울산 버스 338

덤프버전 :

>
울산광역시
[[틀:울산광역시의 리무진(급행)버스|

급행
]]ㆍ[[틀:울산광역시의 직행좌석버스|

직행
]]ㆍ[[틀:울산광역시의 시내일반버스|

일반
]]ㆍ[[틀:울산광역시의 시내지선버스|

지선
]]ㆍ[[틀:울산광역시의 마을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cc66; font-size: 16px; color: #fff"
마을]]ㆍ[[틀:울산광역시의 마실버스|

마실
]]



파일:울산 338번.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338번
기점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읍 신화리(삼남신화)종점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소호리(태종)
종점행첫차06:15(언양 출발)/09:00기점행첫차07:15
막차19:00막차20:20
배차간격1일 5회
운수사명울산여객인가대수1대
노선삼남신화 - 마산입구 - 중남초등학교 - 신복회관 - (신안) - 상천마을 - 삼남중학교 - 중남초등학교 - 마산입구 - 작천정입구 - 남천교 - 시장입구 - 구.언양버스터미널 - 축협 - 언양전화국 - 삼성아파트 - 경동청구 - 향산 - 상북면행정복지센터 - 양등입구 - 상북농공단지 - 진우훼미리아아파트[1] - 동호그린코아 - 삽재 - 토끼가든 - 외양 - 와리 - 소호[2] - 대곡 - 소호[3] - 태종교 - 태종


2. 개요[편집]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대우여객이 농어촌버스였던 시절에 언양터미널에서 태종마을까지 이어주던 시외완행 노선이었다.

  • 1995년에 도농통합 후 371번으로 부여받았다.

  • 2000년대 초반에 기점이 언양 메가마트로 연장됨으로 인해서 언양터미널에 들어가지 않게 되었다.

  • 2003년 개편 때 번호가 338번으로 바뀌었다.






  • 2019년 7월 1일부터 304번울산여객이 철수하면서 이노선에서 울산여객이 단독운행하게 되었다.

  • 2020년 11월 9일에 마실버스 울주10번의 신설로 신안지원이 폐지되었다.

  • 2023년 5월 22일부터 시간표가 변경되었다.#

4. 특징[편집]


  • 언양에서 출발하는 차량과 태종 막차는 와리로 들어가지 않는다.

  • 태종에서 355번2번과 연계가 가능하다.

  • '삽재' 정류장에서 내려서 7.2km 정도 걸으면 삼계리 정류장이 나오고 여기서 동곡으로 가는 청도행복버스를 이용할 수 있으나, 거리가 아주 먼 관계로 석남사까지 빠꾸해서 시외버스를 타고 가는게 훨씬 낫다.

  • 2023년 4월 17일, 울산MBC에서 진행하는 울트라방송에 오지마을을 기행하는 버스로 본 노선이 나왔다. 이 버스, 심상치 않다.[4]

4.1. 시간표[편집]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338번 시간표
삼남신화 → 태종태종 → 삼남신화
109:00107:15
212:20210:30
315:30313:50
419:00417:00
520:20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338번(언양) 시간표
구.언양시외버스터미널 → 태종
106:15

4.2. 노선[편집]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338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태종마을길
태종잿골 ▼▲ 태종
소호로
대곡 ▼▲ 태종교
소호대곡길
새창골 ▼▲ 소호
소호로
와리 ▼▲ 소호
소호와리길
와리입구 ▼▲ 와리
소호로
외양 ▼▲ 옥천당
문복로
삽재 ▼▲ 외양
삽재로
궁근정새동네 ▼▲ 삽재
신기길
장성 ▼▲ 동호그린코아
석남로
▲ 상북농공단지
울밀로
양등입구 ▼
상북로
경동청구 ▼▲ 청구골든
남천로
삼성아파트 ▼▲ 혜원어린이집
웃방천1길
언양성당 ▼▲ 삼성아파트
헌양길
남천교 ▼▲ 언양전화국
남천로
시장입구 ▼▲ 언양알프스시장
헌양길반구대로
구언양버스터미널 ▼▲ 구언양버스터미널
반구대로헌양길
언양알프스시장 ▼▲ 시장입구
남천로
상평마을 ▼▲ 남천교
중평로
울산산업고등학교 ▼▲ 서울산보람병원
반구대로
마산입구 ▼▲ 벌장
중남로
공암 ▼▲ 대원그린아파트
반구대로
신안입구 ▼▲ 언양정비
강당로
상천마을 ▼▲ 가천마을
상천로
신복회관 ▼▲ 상천마을
사촌신복로
중남초등학교 ▼▲ 신복
중남로
웃마산 ▼▲ 마산입구
신화리로


5. 연계 철도역[편집]


없음.


6. 둘러보기[편집]



파일:경주시 CI.svg -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파일:포항시 CI.svg파일:영천시 CI.svg파일:청도군 CI.svg파일:양산시 CI.svg
경주 - 타 시 · 군 간 버스
[ 울산광역시 ]
[ 포항시 ]
포항시환승지경주시
800감포100100-1130
1607001100
600강동200201202
203205206
207208212
2172601200
206위덕대212222260
700기계1기계200
9009000포항경주공항1000
[ 영천시 ]
영천시환승지경주시
753760번대763임포305
753아화300300-1301
302303304
3051300
[ 청도군 ]
청도군환승지경주시
동곡순환동곡지촌2-1산내
동곡: 동곡터미널에서 청도군 농어촌버스, 경산시 시내버스 환승 가능 / 산내: 산내정류소에서 경주시 시내버스 환승 가능
[ 양산시 ]
양산시환승지경주시
1330003100언양35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6:24:44에 나무위키 울산 버스 338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안내방송은 진우훼미리아파트이다.[2] 태종방향만 정차.[3] 삼남신화방향만 정차.[4] 실제 울주군 상북면 골짜기와 경주시 산내면 인근 오지마을을 누비는 노선답게 주 이용객은 노인층이며 이에 따라 배차간격 및 시간을 맞추기 위해 승객이 탑승함과 동시에 출발하는 시내노선과는 달리 승객이 탑승 후 전체 착석하면 출발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