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약수

덤프버전 :



약수의 합에 따른 자연수의 분류
자기 자신과의 비교
과잉수
완전수
부족수
일부의 합 사슬
주기 1
주기 2
주기 3 이상
진약수의 합
완전수
친화수
사교수
비자명 진약수의 합
준완전수
혼약수
준사교수
진약수의 합의 약수
초완전수
?
?
기타
반완전수
괴짜수
불가촉 수




1. 개요
2. 예시


1. 개요[편집]


/ betrothed numbers, quasi-amicable numbers

부부수()나 준친화수라고 부르기도 하며, 친화수와 유사한 개념이다.

두 자연수 [math(m, n)]이 있을 때, [math(m)]의 1을 제외한 진약수들의 합(1과 자기 자신을 제외한 약수의 합, 즉 자명하지 않은 약수들의 합)이 [math(n)]이 되고, [math(n)]의 1을 제외한 진약수들의 합이 [math(m)]이 되면 [math(m, n)]을 혼약수라고 한다.

친화수처럼 약수 함수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math(\sigma\left(m\right) = \sigma\left(n\right)=m + n + 1)]

  • 유도식
[math(k)]라는 수가 있을 때 진약수의 합 공식은 [math(\sigma\left(k\right) -k)] 이므로
[math(\sigma\left(m\right) -m - 1 = n)]
양변에 [math((m+1))]을 더하고
[math(\sigma\left(n\right) -n - 1 = m)]
양변에 [math((n+1))]을 더하면 위 식이 유도됨.



2. 예시[편집]


48의 약수는 1, 2, 3, 4, 6, 8, 12, 16, 24, 48이며, 1을 제외한 진약수의 합은 2 + 3 + 4 + 6 + 8 + 12 + 16 + 24 = 75다. 또한, 75의 약수는 1, 3, 5, 15, 25, 75 인데 1을 제외한 진약수의 합은 3 + 5 + 15 + 25 = 48이 된다. 이런 관계를 만족시키는 (48, 75)는 부부수이다.

그 외 부부수는 (140, 195), (1050, 1925), (1575, 1648) 등이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9:22:19에 나무위키 혼약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