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세이 연구회

최근 편집일시 :




헤이세이 연구회
모테기파

형성
1987년 7월 4일
전신
목요 연구회
설립자
다케시타 노보루
회장
모테기 도시미쓰
성향
중도우파 ~ 우익
이념
보수주의
자유보수주의
반공주의
일본 내셔널리즘
우익대중주의
신보수주의
우파공동체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주요 정치인
누카가 후쿠시로 (최고고문)
후나다 하지메 (부회장)
오쓰지 히데히사 (일시 이탈)[1]
오부치 유코
가토 가쓰노부
신도 요시타카

1. 개요
2. 역사
2.1. 다케시타 - 가네마루 시절
2.2. 오부치 시절
2.3. 하시모토 ~ 누카가 시절
3. 역대 회장 목록



1. 개요[편집]


헤이세이 연구회(平成研究会) 또는 모테기파(茂木派)는 일본의 정당인 자유민주당의 파벌이다. 현재 회장은 모테기 도시미쓰 현 자민당 간사장이다. 굉지회, 지공회, 유린회(다니가키 그룹), 수월회(이시바 그룹)와 함께 보수본류 파벌 중 하나이다.

직접적인 전신은 사토 에이사쿠 총리와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의 파벌인 목요회이고[2] 보다 근본적으로는 요시다 시게루 총리의 파벌에서 유래했다.[3][4]

2. 역사[편집]



2.1. 다케시타 - 가네마루 시절[편집]


1970년대 초반부터 다나카 가쿠에이가 이끄는 목요회는 자민당 내부의 최대 파벌로, 일본 정치를 좌지우지하고 있었다. 비록 다나카 가쿠에이는 계속해서 터져나오는 부패스캔들 때문에 자민당을 탈당했지만, 여전히 당외부에서 목요회를 움켜쥐고 막후에서 자민당과 일본정치를 움직여나갔다.[5] 이 시기에 다나카 가쿠에이는 자신의 파벌지배력이 떨어질 것을 우려해서 확실한 후계자(2인자)를 키우지도 않았고, 목요회에서 총리가 나오는 것도 허용하지 않았다. 이때문에 목요회에서 차세대 주자로 거론되고 있던 다케시타 노보루, 가네마루 신 등은 강한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결국 1985년 이들은 스터디 그룹의 개념인 창정회를 창설하면서 다나카 가쿠에이의 독단적인 파벌운영에 대놓고 반기를 들게 된다. 다나카는 이들의 반란을 진압할려고 했지만, 뇌경색으로 쓰러지면서 자연스레 정계에서 밀려나고 목요회는 다케시타가 장악하게 된다. 목요회 조직을 통채로 흡수한 다케시타는 중국 고전의 경세제민에서 뜻을 빌려 경세회라는 자신의 파벌을 만들고, 같은 해 10월 총리에 취임하면서 자민당의 확실한 주류로 올라서게 된다. 다케시타의 총리 취임후에 경세회의 회장은 가네마루 신이 맡는다.

다케시타가 리크루트 사건으로 불명예 퇴임했을때도 자민당 내 최대 파벌로 남았을 뿐만 아니라 일본 정계를 실질적으로 지배했었고 당시 이를 경세회의 지배라고 불렀다. 현재 파벌이름이 헤이세이 연구회로 바뀌었음에도 경세회로 자주 불리는데, 이때의 영향력이 워낙 컸고 이름이 바뀐뒤에도 이때 수준의 위상을 회복한 적이 없기 때문인 듯 하다.

가네마루 회장 시절, 자민당 간사장을 퇴임한 오자와 이치로가 회장 대행을 맡아 일본 정치의 막후 실세로 군림하게 되자 다케시타의 측근 정치인들의 반발을 샀다. 가이후 내각의 중의원 해산 시도에 오자와와 경세회가 반대를 하여, 가이후 내각이 사지에 몰린 적이 있기도 했다. 그만큼 다케시타파의 지배력이 엄청났다. 이는 오자와의 적이 늘게된 계기 중 하나이기도 하다.

그러나 경세회의 황금기도 사가와 규빈 사건에 책임을 지고 가네마루가 사퇴하면서 끝나는데, 경세회도 오자와파(오자와 이치로, 오쿠다 게이와 등)와 반오자와파(하시모토 류타로, 오부치 게이조 등)두갈래로 나뉘게 된다. 오자와는 하타 쓰토무를 총리로 옹립한다는 조건으로 그를 끌어들였고, 이 조건이 오자와의 하타 회장 구상이다. 반면 반 오자와파는 오부치 게이조를 총리로 옹립하고자 했다.

파벌 내에서 계속 집회를 한 오자와파는, 다케시타와 가네마루의 지지를 얻고자 경세회 최고 간부회에 갔지만, 두 사람은 오자와에게 “아이같은 싸움은 그만둬라”, “오부치는 적이 적으니 오부치가 회장이 되어야 한다.”이라며 사실상 오부치 편을 들었다. 수적으로는 오자와 파가 더 많았음에도 최고 고문격인 두 사람이 해당 발언을 하자 간부회는 교착 상태에 빠졌다. 그런데 돌연 기자회견자리에서 경세회 좌장격인 하라다 켄이 “회장감으론 오부치가 적절하다.”라는 말을 함으로써 여론이 뒤집혔고, 1992년, 오부치는 반 강제적으로 경세회 차기 회장직에 취임한다.

오부치 취임 5시간 후, 하타와 오자와 등 오자와파 인물들은 개혁 21 포럼을 창설하여 헤이세이회에서 분파한다. 이로써 당 최대 세력이었던 경세회는 각각 제 4대 파벌인 경세회와 제 5대 파벌인 하타•오자와파로 쪼그라든다.


2.2. 오부치 시절[편집]


1993년 6월 하타·오자와파는 탈당 이후 신생당을 결성. 호소카와 모리히로를 총리로 하는 비자민 정권 을 수립했다.

호소카와·하타내각과 비자민 정권이 단기간에 붕괴, 무라야마 내각이 세워짐으로써 자민당이 여당으로 복귀하자, 오부치파도 점차 세력을 회복했다. 1995년 총재선에서 다케시타는 파벌 간부 하시모토 류타로 의 옹립을 결정. 총재 취임 후 1996년 1월 무라야마 내각 퇴진을 받고 후임 총리대신으로 취임했다. 그동안 당내 파벌 해소 운동이나 소파벌 전락으로 사무소 유지비가 엄격해지면서 다나카파때부터 입주하던 사방회관에서 경세회 간판을 내렸고, 그 후, 헤이세이 연구회로 이름을 바꾸었다.

파벌 출신인 하시모토 류타로가 총리 시대에 후텐마 기지 이전 문제 에 진력한 적도 있어 방위 문제나 오키나와 문제에 강한 파벌로 알려져 있다.

1998년 7월 참의원 의원 선거에서 패배하자 다케시타는 즉시 총리 총재직을 하시모토에서 파벌 회장인 오부치로 교체하도록 지시했다. 후계 회장에게는 와타누키 타미스케가 취임했다. 이 결정을 불복으로, 카지야마 세이로쿠[6]는 파벌을 탈퇴하고 독자적으로 총재선에 출마. 다케시타는 고이즈미 준이치로를 출마시켜 3개의 골목 형태를 취했고, 그때까지 '일치 결속·상자 도시락'이라 불리는 오부치파가 처음으로 깨끗함을 보였다. 이 무렵부터, 파벌의 아킬레스건으로 오부치파의 후계자가 부재하는 것이 속삭이기 시작한다. 장래를 이어야 할 젊은이의 대부분이 오자와와 하타 등과 함께 자민당을 탈당했기 때문이다.


2.3. 하시모토 ~ 누카가 시절[편집]


2000년에 오부치, 다케시타가 잇달아 사망. 7월 와타누키가 중의원 의장으로 취임하고 파벌을 이탈했기 때문에 하시모토가 후임 회장으로 취임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파벌의 실권을 잡고 있던 것은 노나카 히로무아오키 미키오였다.

하시모토는, 2001년 4월, 모리 총재의 후임을 선택하는 총재선에 출마했지만, 고이즈미 준이치로에 대패했다. 다나카파 이후 '일치 결속·상자 도시락'이라 불리는 철의 단결을 자랑했지만 고이즈미 정권 성립 이후 총재 후보가 부재한 채로 구심력이 떨어졌다. 또 각각 전쟁 이후의 원념을 안고 있는 고이즈미 총리는 '저항세력'으로 자리매김해 눈의 적이 되었고, 고이즈미 정권에서는 2003년 9월까지 하시모토파는 당 집행부에서 벗어났다. 하시모토 분파 미키 행정부(과거의 다나카 분파 시대가 당 지도부에 임명될 수 없었던 1974년 ~ 1976년 )는 25년 만에 처음으로, 하시모토 분파의 영향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증거였다.

2003년 총재선에 있어서, 반고이즈미의 급선봉이었던 노나카가 독자 후보의 옹립을 주장했지만, 아오키 미키오와 무라오카 카네조가 고이즈미 지지를 표명했기 때문에 노나카는 완전히 고립. 총재선 속에 노나카는 이를 이유로 의원은퇴를 표명하는 사태가 되었다. 파내 에서는 사사가와 가미 · 쿠마시로 아키히코 등 여러 회원이 공공연히 출마 의욕을 나타내는 등 크게 혼란했지만, 최종적으로 후지이 타카오 를 옹립. 파내의 지지를 제대로 얻을 수 없는 가운데 후지이는 낙선해 고이즈미가 재선되었다. 그 후의 고이즈미 정권하의 당 임원 인사에서는 2003년 9월부터 2004년 9월까지 누카가 후쿠시로가 정조 회장으로, 2004년 9월부터 2006년 9월까지 규마 후미오가 총무 회장에 기용되어 오랜만에 당3역 포스트를 얻었다.

2004년에 일치연암 헌금사건이 부상하고, 노나카 히로무와 아오키 미키오가 만나는 형태로 하시모토 류타로가 1억엔의 수표 를 받아, 정치 수지 보고서에 어둠 헌금으로서 처리하고 있던 의혹이 부상(이 의혹으로는 무라오카 카네조 전 관방장관이 재택 기소되어 유죄). 2004년 7월 30일, 하시모토는 책임을 지는 형태로 회장을 사임. 파로부터도 이탈해, 2005년 의 중원 해산으로 정계를 은퇴했다(그 다음해에 사망).

게다가 우정국회 에서의 일본우정 민영화 법안의 대응을 둘러싸고 2005년의 제44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법안 반대자들이 낙선하여 당내 제 1파벌의 자리를 뺐겼다.

회장 부재의 상태가 계속되었지만, 제3차 고이즈미 개조 내각이 성립한 4일 후인 2005년 11월 4일, 회장에 쓰시마 유지가 취임. 2003년 9월 총재선 이후 파내에서 이어지고 있는 중원과 참원의 웅덩이 해소가 큰 과제였다. 또, 중의원 간부의 대부분이, 1993년 이후의 정계 재편 속에서 복당한 인원들(대부분이 오자와 이치로가 이끄는 신진당, 자유당 출신이다.)과 민주당 출신(하토야마 쿠니오 등)이었다.

원래 경세회 분열과 그 후의 거짓말쟁이 해산에 있어서, 후나다 하지메 · 하토야마 쿠니오 등의 장래를 담당할 것으로 보인 의원이 이당 내지 파벌 이탈해(그 후 대부분이 복당했지만, 하토야마 쿠니오는 재차 자민당을 이당, 후나다 하지메는 도치기현 제1구에서 낙선했다), "NYKK"의 한명이라고 한 나카무라 기시로(현재는 입헌 민주당 소속)가 제네콘 부패 사건 으로 실각하는 등, 인재가 부족한 가운데 차기 총재 후보는 후지이 타카오, 누카가 후쿠시로라고 여겨지게 되었다.

그러나 후지이 타카오는 우정 해산때 낙선했고, 이 때문에 마지막까지 남은 누카가 후쿠시로 를 총리 총재 후보로 키워 가는 방향이라고 하는 견해가 강해졌지만, 아오키 미키오가 총재선 때마다 누카가 옹립에 찬동하지 않는 등, 자타 모두 인정하는 총리 총재 후보란 말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또 하토야마 구니오는 파벌 복귀 후에도 아소 타로의 맹우로 활동해 파벌로서의 통일된 행동을 취할 수 없었다. 게다가 우정 반역으로 탈당했다 복당한 의원의 대부분이 타파벌로 이적하거나 무파벌이 되어 파벌을 돌볼 간부가 부재했다.

3. 역대 회장 목록[편집]


대수
이름
파벌 호칭
임기
1
다케시타 노보루
다케시타파
1987년
2
가네마루 신
1987년 ~ 1992년
3
오부치 게이조
오부치파
1992년 ~ 1998년
4
와타누키 다미스케
1998년 ~ 2000년
5
하시모토 류타로
하시모토파
2000년 ~ 2004년
공석 (2004~2005년)
6
쓰시마 유우지
쓰시마파
2005년 ~ 2009년
7
누카가 후쿠시로
누카가파
2009년 ~ 2018년
8
다케시타 와타루
다케시타파
2018년 ~ 2021년
9
모테기 도시미쓰
모테기파
2021년 ~ 현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2:21:39에 나무위키 헤이세이 연구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참의원 의장 취임으로 일시 이탈.[2] 다나카 가쿠에이의 목요회의 2인자였던 다케시타 노보루가 경세회라는 파벌을 차려 나간 뒤 목요회를 흡수했다.[3] 계보대로 이어간다면 보수본류의 직계 중 한 갈래다. (요시다파->사토파->다나카파->다케시타파->오부치파->하시모토파->다케시타파->모테기파)[4] 보수본류의 또 다른 직계는 굉지회다. 요시다 시게루의 정치적 제자이자 사토 에이사쿠의 동기이자 라이벌인 이케다 하야토부터 시작해서 현재 일본 총리인 기시다 후미오까지 내려온다. 이 쪽은 창설된 1957년 이래 한 번도 이름을 바꾸지 않았다.[5] 이 시기 다나카 가쿠에의 별명이 '어둠의 쇼군'이었다[6] 가지야마 히로시의 이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