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토 에이사쿠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메이지 시대|

메이지 시대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이토 히로부미
구로다 기요타카
야마가타 아리토모
마쓰카타 마사요시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이토 히로부미
마쓰카타 마사요시
이토 히로부미
오쿠마 시게노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야마가타 아리토모
이토 히로부미
가쓰라 다로
사이온지 긴모치
제13대
제14대

가쓰라 다로
사이온지 긴모치
[[다이쇼 시대|

다이쇼 시대
]]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사이온지 긴모치
가쓰라 다로
야마모토 곤노효에
오쿠마 시게노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데라우치 마사타케
하라 다카시
다카하시 고레키요
가토 도모사부로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야마모토 곤노효에
기요우라 게이고
가토 다카아키
와카쓰키 레이지로
[[쇼와 시대|

쇼와 시대파일:1px 투명.png전전
]]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와카쓰키 레이지로
다나카 기이치
하마구치 오사치
와카쓰키 레이지로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이누카이 쓰요시
사이토 마코토
오카다 게이스케
히로타 고키
제33대

하야시 센주로
[[쇼와 시대|

쇼와 시대파일:1px 투명.png전시
]]
제34대
제35대
제36대
제37대
고노에 후미마로
히라누마 기이치로
아베 노부유키
요나이 미쓰마사
제38-39대
제40대
제41대
제42대
고노에 후미마로
도조 히데키
고이소 구니아키
스즈키 간타로
[[쇼와 시대|

쇼와 시대파일:1px 투명.png전후
]]
제43대
제44대
제45대
제46대
{#000,#fff 히가시쿠니[[파일:1px 투명.png노미야 나루히코
시데하라 기주로
요시다 시게루
가타야마 데츠
제47대
제48-51대
제52-54대
제55대
아시다 히토시
요시다 시게루
하토야마 이치로
이시바시 단잔
제56-57대
제58-60대
제61-63대
제64-65대
기시 노부스케
이케다 하야토
사토 에이사쿠
다나카 가쿠에이
제66대
제67대
제68-69대
제70대
미키 다케오
후쿠다 다케오
오히라 마사요시
스즈키 젠코
제71-73대
제74대

나카소네 야스히로
다케시타 노보루
[[헤이세이 시대|

헤이세이 시대
]]
제74대
제75대
제76-77대
제78대
다케시타 노보루
우노 소스케
가이후 도시키
미야자와 기이치
제79대
제80대
제81대
제82-83대
호소카와 모리히로
하타 쓰토무
무라야마 도미이치
하시모토 류타로
제84대
제85-86대
제87-89대
제90대
오부치 게이조
모리 요시로
고이즈미 준이치로
아베 신조
제91대
제92대
제93대
제94대
후쿠다 야스오
아소 다로
하토야마 유키오
간 나오토
제95대
제96-97대

노다 요시히코
아베 신조
[[레이와 시대|

레이와 시대
]]
제98대
제99대
제100-101대

아베 신조
스가 요시히데
기시다 후미오
인세이 · 헤이케 · 가마쿠라 · 무로마치
아즈치모모야마 · 에도 · 내무경


원로 · GHQ · 부총리





사토 에이사쿠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일본국 제61-63대 내각총리대신
사토 에이사쿠
佐藤栄作 | Satō Eisaku


파일:사토에이사쿠.jpg

출생
1901년 3월 27일
야마구치현 쿠마게군 타부세정
사망
1975년 6월 3일 (향년 74세)
도쿄도 미나토구
도쿄지케이카이의과대학 부속병원[1]
재임기간
제61대 내각총리대신
1964년 11월 9일 ~ 1967년 2월 17일
제62대 내각총리대신
1967년 2월 17일 ~ 1970년 1월 14일
제63대 내각총리대신
1970년 1월 14일 ~ 1972년 7월 7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
아버지 사토 히데스케[1]
어머니 사토 모요
형제
형 사토 이치로[2], 기시 노부스케
누나 4명[3], 여동생 3명[4]
배우자
사토 히로코
자녀
장남 사토 류타로
차남 사토 신지
손주
손자 사토 에이지, 손녀 사토 미치코, 사토 미카
증손주
증손자 사토 에이스케
친인척
조카 기시 노부카즈, 아베 요코
조카사위 아베 신타로
외종손 아베 히로노부, 아베 신조
종손 기시 노부오[5]
종증손 기시 노부치요
손녀사위 아다테 마사시
학력
쿠니키 심상소학교 (졸업)
야마구치 중학교 (졸업)
제5고등학교[6] (졸업)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독일법학 / 학사)
정당

지역구
야마구치 2구 (중선거구)
의원 선수
10 (중)
의원 대수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약력
고등문관시험 합격
철도성 관료
운수성 철도총국 장관
운수성 차관
제4대 내각관방장관
중의원 의원
제3대 민주자유당 정무조사회장
초대 자유당 정무조사회장
제2·5대 자유당 간사장
제3대 전기통신대신
제3대 우정대신
제4·21-22대 홋카이도개발청 장관
제7대 건설대신
제3대 자유민주당 총무회장
제64대 대장대신
제22대 통상산업대신
제12·13대 과학기술청 장관
제5대 자유민주당 총재
제91대 외무대신(내각총리대신 겸직)
제61-63대 내각총리대신
칭호
종1위
대훈위 국화장경식
도쿄제국대학 법학사

1. 개요
2. 생애
2.1. 총리로서의 활동
3. 한국계 도래인 후손 설
5. 선거 이력
6. 여담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일본정치인, 제61~63대 총리. 7년 8개월을 재임하며 훗날 외종손자 이전까지 전후 최장 재임 총리였다. 8년 가까운 그의 집권기간동안 일본은 미국으로부터 오키나와를 반환받았고, 더불어 미국, 소련 다음 가는 경제대국으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하였다.[2] 또한 이 시기 자유민주당최전성기라고 평가받았다.

기시 노부스케 전 총리의 친동생이며[3] 고노에 후미마로 내각 밑에서 일했던 마츠오카 요스케 외무대신은 그의 백부뻘 되는 사람이다. 그리고 부인은 외사촌지간이다.[4] 또한 일본 역사상 최장 집권 총리인 아베 신조의 외종조부이기도 하다.

영향력과 존재감에 있어서 형인 기시 노부스케, 역대 최장수 참의원 의장인 시게무네 유조(重宗 雄三)와[5] 더불어 조슈고산케(長州御三家)라고 불리었다.[6]

별명은 인사의 사토(人事の佐藤), 귀 밝은 에이사쿠(早耳の栄作)다. 별명이 아예 쇼와의 요괴아오오니였던 형 기시 노부스케가 그랬듯이 이 사람도 주도면밀한 정치가였다. 그 외에 잘생기고 위엄있는 얼굴덕에[7] 정계의 단주로(政界の団十郎)[8]라는 별명 또한 유명했다. 젊은 시절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실제로 형보다 외모가 훨씬 낫다.

비핵 3원칙[9]을 내세운 공로로 1974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는데, 이로써 일본인으로서 최초이자 유일한 노벨평화상 수상자가 되었다. 형은 전범재판에까지 회부된 인물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참 아이러니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2. 생애[편집]


파일:사토 에이사쿠 1.jpg
도쿄제국대학 재학 시절
파일:Kishi_Family.jpg
형 기시 노부스케 가족, 사촌 요시다 히로시와[10] 함께한 사토(맨 뒤)
파일:사토 에이사쿠 2.jpg
철도성 시절

1901년 야마구치현 타부세정(田布施町)에서 양조업을 영위하던 사토 히데스케의 3남으로 태어났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양조장은 대개 지역 유지가 경영했고 사토의 집안도 그랬다.[11] 공부를 매우 잘했는지 명문 구제 야마구치 중학교구제 제5고등학교를 거쳐 도쿄제국대학 법학부를 독일법 전공으로 졸업했다.[12]

1923년 12월 고등문관시험 행정과에 합격하였고 1924년 4월 대학 졸업 후 철도성[13] 관료로 입성했다. 그러나 '해군이 시작된 이래의 수재' 라고 까지 불렸던 큰형 이치로나 일찍부터 혁신관료로 주목받고 출세가 빨랐던 둘째형 기시에 비해 사토는 출세가 상당히 늦고 관료 경력에 곡절이 많았다. 1938년 철도성 감독국 철도과장, 1940년 감독국 총무과장, 1941년 감독국장, 1942년 감리국장, 1943년 운수통신성으로 개편된 뒤 자동차국장을 거쳤는데 육군의 고위 인사나 도큐의 총수 고토 게이타(五島慶太)등과 마찰을 빚고서 1944년 오사카철도국장으로 좌천된다. 이 자리는 본성 국장 출신자가 갈 자리가 아니었기에 좌천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이게 전화위복으로 작용한다. 오사카에 좌천되어 있던 덕에 1945년 패전 후 연합군에 의해 공직 추방을 당하지 않았던 것이다. 형 기시는 만주국의 고관을 지냈고 특히 도조 히데키 내각의 대신으로 입각한 경력 탓에 몇 년간 공직 추방을 당했다. 고위직이 쓸려나간 덕에, 그전부터 친분이 있었던 요시다 시게루에게 발탁되어[14] 1946년 운수성 철도총국 장관을 지내며 전쟁으로 붕괴된 철도망의 재건과 국철노조의 공세에 수완을 발휘하였고,[15] 1947년 가타야마 데쓰 내각에서도 운수성 차관을 지냈다. 이후 가타야마 내각의 실력자 니시오 스에히로(西尾末廣)로부터 내각관방차장[16] 취임을 제의받았지만 거절하고 아시다 히토시 내각이 붕괴된 후 출범한 2차 요시다 내각에서 비의원의 신분으로 1948년 내각관방장관에 취임한다. 이걸 보면 이미 그때 사토는 관료로서의 업무능력뿐만 아니라 정치력도 인정받았던 듯 하다. 1949년 치러진 전후 최초로 치러진 중의원 총선거에서 무난하게 당선되었는데 이때 친우들이 많았던 사회당으로 출마하려고 했다가 형의 일갈에 일본 자유당 소속으로 출마했다고 한다. 이후 자유당 간사장 임기 중 비리 스캔들로 잠시 태클이 걸린 것 빼고는 꽤 무난한 출세 가도를 달려왔다. 형인 노부스케가 내각총리대신에 오르자 대장대신을 맡았고, 라이벌이케다 하야토 휘하에서도 통상산업대신을 맡는 등 요직을 많이 맡았다.

사실 사토의 집권엔 사법적인 운도 따랐다. 대표적으로, 그 유명한 '지휘권 파동'으로 살아남은 주인공이다. 당시 조선업 진흥을 위해서 조성한 기금의 정치자금 유용을 놓고서 수사를 진행하던 도쿄지검 특수부는 사토를 체포하려 했으나 요시다의 압력을 받은 이누카이 다케루[17] 법무대신이 검사총장에 대한 수사지휘권을 발동해서 사토에 대한 체포를 저지했다. 그리고 지휘권을 발동한 이누카이는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임해 버렸다… 이로 인해 여론의 반발이 일었고 이어진 선거에서 여당이 좋지 못한 성적표를 받으면서 6년 간 집권했던 요시다 내각은 붕괴했다. 이후 일본에서 법무대신의 수사지휘권은 사실상 사문화되었다. 한편 이때 호되게 당한 일본 검찰은 이 일을 교훈 삼아 후일의 록히드 사건 수사에서는 철저히 비밀유지를 해가며 다나카를 죄어 들어가 기습적으로 체포에 성공했다.

사토가 총리 자리를 의식하기 시작하면서 이케다와의 관계가 틀어지기 시작했는데, 그의 일기에서도 날이 갈수록 이케다에 대한 표현이 냉소적으로 변하는 걸로 보아선 상당히 불편한 관계였던 듯 싶다. 그러다가 이케다가 후두암으로 사임하자 자민당 총재 자리에 올랐다. 자동적으로 총리 자리 획득.[18]

총리에 취임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미국행. 가서 논란거리가 남아있었던 오키나와를 돌려받기 위해 린든 B. 존슨 대통령과 회담했지만 신통치 않자 오키나와로 달려갔다. 거기서 오키나와 주민들에게 일본은 당신네들을 한시도 잊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나서 다시 밀사를 통해 미국과 재협상 돌입. 그런 식으로 계속 밀어붙이자 지친 리처드 닉슨 美 대통령은 1972년 오키나와를 일본에게 돌려줬다. 이때 핵무기도 빼고 군대만 남기기로 합의한 일명 비핵 3원칙을 대대적으로 선언했고 이 공로를 인정 받아 1974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19]

오랜 기간 집권하였고 더욱이 집권 이래의 목표였던 오키나와 반환 완수라는 업적을 남기고 영광스러운 퇴진을 하였지만 그 이면에는 후계자를 정할 때 상당히 골머리를 앓았는데, 사토는 원래 후계자로 후쿠다 다케오를 점찍어두고 있었다. 그러나 정치 실세로 급성장한 다나카 가쿠에이를 막지 못했고 각복전쟁이 일어나는 걸 무력하게 지켜보았다. 어느새 커버린 계파원 다나카 가쿠에이의 힘을 보고 질려버린 사토는 총리 자리를 내던지듯이 사임하였다.

다만 형인 기시가 대놓고 다나카 혐오를 보인 탓에 겉으로만 다나카를 견제했을 뿐, 뒤로는 다나카를 은근히 지원했다는 주장도 적지 않다. 실제로 사토는 다나카가 10회 참의원 선거의 패배[20]와 정치자금 문제로 후쿠다 다케오와 미키 다케오 등으로부터 공격을 받을때 다나카에게 힘을 실어주었기 때문이다. 이후로도 자민당 원로회의에서 다나카를 씹어대는 형 기시와 말싸움까지 벌일 정도였다고. 이 무렵 다나카는 사토를 방문한 자리에서 눈물까지 흘렸다고 하며, 사토는 퇴임 후 가진 인터뷰에서 "후쿠다는 형 기시의 직계라고 보는게 정확하고, 나의 직계는 다나카"라고 말하기도 하였다.#

총리 자리에서 물러나고 1974년 노벨평화상까지 수상한뒤 1975년, 74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21]. 최후가 약간 어이없는데 5월 19일 요정 신기라쿠[22]에서 열린 야마구치현 출신 정재계 실력자들의 모임인 장영회에 참석하였다가 뇌졸중으로 쓰러져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깨어나지 못하고 약 3주 뒤 사망하였다. 사후 대훈위국화장경식과 대훈위국화대수장이 동시에 추증됐다.


2.1. 총리로서의 활동[편집]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61.jpg
61대 총리 취임 후

파일:external/cache6.amanaimages.com/23023000984.jpg
각료 인선 후 기념 촬영을 한 사토 에이사쿠 내각의 모습

1964년 11월부터 1972년 7월까지 7년 8개월(2798일)동안 집권했다. 이는 총 재임 기간으로는 아베 신조, 가쓰라 다로에 이은 3번째 기록이며, 연속 재임 기간으로는 2020년 8월 24일에 아베 신조에게 경신당하기 전까지 최장 기록이었다.#[23] 이케다 하야토와는 구마모토 제5고등학교 동창이자, 요시다 시게루의 휘하에서 정치 생활을 해낸 요시다 스쿨 세대[24]. 그러나 총리 자리를 두고 동기나 친구 따위의 감정은 젖혀둔 채 사토가 총리 자리에 올라가는 시절은 지키려는 이케다와 뺏으려는 사토의 난투극으로 얼룩졌다.

전후 일본에서 가장 오랜 기간 집권한 영광을 누렸지만, 명문가 출신, 엘리트, 완벽주의자에 공무원 시절 생긴 깐깐한 성격까지 더해서 대중의 인기를 크게 받진 못한 케이스였다. 사토의 위엄있는 외모 또한 대중적 인기에는 오히려 마이너스가 되었다. 사토의 화려한 배경과 더불어 평범한 국민들 입장에서는 굉장히 거리감 있는 인물로 받아들여졌던 것이다. 게다가 사토는 입이 매우 무겁고 정책 결정 과정이나 인사(人事)에 있어서도 보안 유지를 중시하여 언론을 통해 적극적으로 정책을 홍보한 전임 총리였던 이케다 하야토와는 다르게 언론과도 사이가 별로였다. 오죽하면 언론계에선 '아와시마(淡島, 사토의 자택 소재지)[25]에 특종은 없다'는 말이 유행하였을 정도였다고 한다.

사토 사임회견 당시 이야기다. 깐깐한 성격 탓에 언론과 사이가 좋지 않았던 사토는 사임회견에 신문사 기자들은 오지 않게 하라고 지시를 내려놨는데, 이게 싸인이 맞지 않아서 결국 신문사 기자들이 우루루 몰려와 회견을 기다렸다. 하지만 기자들을 본 사토의 반응은 매우 냉담했고, 급기야 "TV는 어디 있어! 신문사들 앞에서 이야기하기 싫어! 기자들은 나가! 난 국민과 직접 대화하겠다!"라고 소리쳤다. 그러자 신문사 기자들은 보란듯이 모두 빠져나갔고, 때문에 총리 사임회견이라는 빅 이벤트 장소에 남은 건 사토와 그의 보좌관 몇, 그리고 그를 촬영하는 TV 카메라맨 뿐이었다는 매우 훈훈한(?) 이야기. 하지만, 정작 당시 일본 국민들도 총리 사임에 별 관심이 없었다. 여기서 총리사임 기자회견 당시 모습을 볼 수 있다(약 1분 17초쯤 부터). 우루루 빠져나가는 신문기자들과 텅 빈 회의실에서 혼자 기자회견하는 모습이 일품이다.

이를 방증하듯이 사토 집권 시기에 자민당의 득표율이 50%대 중반을 기록하는 압도적인 수준에서 40%대 후반으로 우려할 정도로 떨어졌다. 하지만 운이 좋게도 일본 야당 지지기반이 다당화되어가며[26] 자민당과 사회당 득표가 동시에 떨어지는 덕분에 일단 현상유지는 가능했다. 공명당, 공산당, 민사당의 득표율과 의석이 불어나는데 반해 사회당의 의석수와 득표율은 오히려 떨어졌던 것. 사실 1960년대 중반부터 도쿄도를 비롯한 상당수 지자체에서 야당이 집권했지만 이러한 경향이 중/참의원 총선거로까지 이어지지는 않았다. 자민당 약세지역인 대도시에서도 야당 후보들이 각개각패 당하는 형국이었기 때문이다. 다만 사토는 마지막 선거인 1971년 참의원 선거에서 63석을 확보하는데 그치면서 낮은 인기를 확인했고, 지지율이 20%대로 떨어지면서 임기를 마감했다.

50년대 자민당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부총재 오노 반보쿠[27] 이누카이 다케루[28] 전 법무 대신을 가리켜서 얼굴만 희멀건 쭉정이라고 무시하고 다녔는데, 이누카이의 은혜를 입은 사토가 이누카이에게 안부 인사 한번 다녀오지 않은 것을 친우인 오키 신지로 과기청 장관을 통해 알고는 격노하면서 이누카이를 자파로 초빙하였다. 이후 오노는 사토가 이누카이의 장례식에도 참석하지 않은 것을 보고는 대놓고 반 사토를 외치고 다녔는데, 정작 사토는 장례식이 끝나고 반년 후에 이목을 숨겨가며 은인인 이누카이의 집으로 와 문상을 했다고 한다.

실제로 오노 반보쿠와는 견원지간이었다. 사토는 오노를 가리켜 지성없는 나니와부시(浪花節)[29], 오노는 사토를 가리켜 거만한 관료라고 서로 씹어댔다. 오노의 추모회에서는 서민적인 이미지의 오노가 반짱이라고 불리는 것처럼 자신도 에이짱이라고 불렸으면 좋겠다고 했는데 나중에 "따로 칭찬할 거리가 없잖나." 라고 했다. 실제로 후에 개그맨 출신 정치인인 요코야마 노크가 '에이짱'이라 불렀더니 무지하게 불쾌한 표정을 지었다고 한다.

사실 사토가 총리, 총재가 되고 대파벌의 장으로 성공한 데는 다나카 가쿠에이라는 부하의 존재도 컸다. 사토는 다나카를 부려서 당내의 정보를 철저히 긁어모았고, 그것을 토대로 정치활동을 했다. 1950년대에 사토에게 붙은 별명인 "귀 밝은 사토"는 다나카의 헌신이 아니었다면 붙여지지도 않았을 것이다. 실제로 사토는 중의원에서 야당 의원의 질의에 대한 답변 도중에 "다나카는 나의 오른팔"이라고 공개적으로 언급할 정도였다.[30][31]

요약하면 사토는 대중적인 스킨십에는 워낙 취약해서 그다지 인기가 없었다. 그럼에도 사토가 장기 집권을 할 수 있었던 비결은 첫째, 막대한 자금 동원력[32]. 둘째, 교묘한 당내 역학관계 조정과 실력자들에 대한 인사[33][34]. 셋째, 참의원 내 자민당 세력에 대한 확고한 통제[35], 넷째는 야당 지지층의 다당화 경향으로 인한 일본사회당의 세력 약화, 마지막으로 경제 호황을 들 수 있다.[36]


3. 한국계 도래인 후손 설[편집]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다음의 을 '한국계 도래인 설'에 관한 서술이 포함된 문단의 최상위에 명시하고, 이 에 따라 '한국계 도래인 설'에 관한 서술을 허용하기(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조건>
  • 토론 관리 방침의 근거 신뢰성 순위 7순위 이상의 근거자료 위주로 서술하고, 그 외 한국계 도래인 설에 대한 주관적 의견은 최소화하여 서술한다.
  • 사토 에이사쿠와 아베 신타로, 아베 신조가 공개 석상에서 한국계 도래인인지 아닌지를 직접 발언한 내용이 없음을 서술한다.
  • 사토, 아베 가문이 도래인 후손이라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는 일본 내 역사학적 기록이 확인되지 않음을 서술한다.

  • 한국계 도래인 집안 설이 있다. 김충식 <동아일보> 논설위원이 2006년에 발간한 책 <슬픈 열도-영원한 이방인 사백년의 기록>의 내용에서, 임진왜란 직후인 1598년 일본에 끌려간 도공으로 일본의 도자기 종가를 이루게 된 심수관(沈壽官) 가문의 14대 후손을 인터뷰하는 과정 중 1964년부터 72년까지 일본 총리를 지낸 사토 에이사쿠(佐藤榮作·1901~75)가 죽기 1년 전인 1974년 자신을 찾아와 사토 집안도 임진왜란 이후 일본으로 건너온 한국계임을 직접 고백했다고 밝혔다는 것이다.
14대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가문이 한반도에서 건너온 도래인임을 추정케 하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1964∼1972년 총리를 지낸 사토 에이사쿠(佐藤榮作)에게서다. 지금도 그의 거실에는 사토 전 총리가 써준 휘호가 걸려 있다. ‘묵이식지(默而識之)’라는 글씨 곁에 ‘심수관 선생에게, 갑인년 봄 에이사쿠’라는 서명이 적혀 있다. 갑인년은 1974년을 뜻한다. # #

  • 2016년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도 심수관 14대는 같은 얘기를 한다.
14대는 사토 전 총리가 이 휘호를 써준 날을 어제처럼 기억한다. 사토 전 총리는 차를 대접받은 뒤 “좋은 차였습니다”고 인사하고는 “수관 씨, 몇 대째입니까”라고 물었다고 한다. “14대입니다”라고 하니 “저는 좀 더 짧을 겁니다. 당신네는 게이초(慶長·1596∼1615년) 때 왔는데 우리 선조는 그 뒤에 온 것 같습니다”라고 말했다는 것이다. 그러고는 붓과 벼루를 청해 글씨를 써줬다는 것이다. 묵이식지는 말로 하지 않아도 알아줄 것은 다 알아주고 통한다는 뜻이다.

이에 대해 14대는 “그 말의 진위를 따져보지는 않았지만 사토 총리의 고향인 야마구치(山口)는 예로부터 조선반도와의 교류가 가장 활발했던 지역이라 가능한 얘기일 것”이라고 말했다. 사토 에이사쿠는 아베 현 총리의 외할아버지인 기시 노부스케(岸信介)의 친동생이다. 1975년 세상을 떴다.#

  • 이와 관련해서 사토 에이사쿠가 생전에 공개 석상에서 자신이 한국계 도래인 후손인지 아닌지에 대해서 직접 발언한 적은 없다.

  • 현존하는 일본 내 사료(史料) 중에서 사토 가문의 시조가 도래인이라고 기록된 사료가 발견된 적은 없다.


4. 가족관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아베 신조/가족관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지역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49
제2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야마구치 2구


52,850 (16.2%)
당선 (1위)
초선
1952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60,875 (17.8%)
당선 (2위)
재선
1953
제2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68,386 (20.5%)
당선 (1위)
3선
1955
제2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63,229 (19.1%)
당선 (1위)
4선
1958
제2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72,545 (19.7%)
당선 (2위)
5선
1960
제2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74,830 (21.2)
당선 (1위)
6선
1963
제3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94,785 (26.0%)
당선 (1위)
7선[37]
1967
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88,859 (22.5%)
당선 (1위)
8선[38]
1969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96,979 (23.1%)
당선 (1위)
9선[39]
1972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66,282 (15.2%)
당선 (2위)
10선[40]


6. 여담[편집]


파일:external/news.xinhuanet.com/121909809_11n.jpg
총리 시절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

  • 외종손인 아베 신조가 나이가 들어갈 수록 점차 사토 에이사쿠의 얼굴을 닮아가고 있다. 청장년기의 아베는 젊은 시절의 사토와 그리 닮지 않았지만, 나이가 노년에 들어서자 용모가 비슷해지는 경향이다.

  • 퇴임 후인 1974년 "핵무기를 만들지도, 가지지도, 들이지도 않는다"라는 비핵 3원칙을 내세운 공로로 노벨평화상을 받았는데, 당시 일본에서는 총재 선거에서 예전 보스의 심기를 거스른 다나카 가쿠에이가 사토와 관계 회복을 위해 전방위 로비를 편 끝에 노벨상을 안겨준 것 아니냐는 소문도 꽤 돌아다녔다고 한다. 어쨌든 결론적으로 형 기시 노부스케는 전범, 동생은 노벨평화상 수상자라는 이색적인 기록도 낳게 되었다.

  • 일본에선 한때 신임 미국 대통령을 가장 먼저 만난 일본 총리는 단명한다는 속설이 있었는데, 이게 사토 이후의 일본 총리들에게 해당된다. 그 정점은 아무래도 빌 클린턴을 만나고 자민당 38년 여당의 종지부를 찍은 미야자와 기이치 총리와 버락 오바마를 만난 아소 다로 아닐까 싶다. 아베 신조도널드 트럼프를 만나고도 몇 년 더 재임하여 최장 재임 총리가 되었지만 제 명에 못 살고 암살당하여 다른 의미로 단명 총리가 되었다.[41] 조 바이든을 처음만난 스가 요시히데도 바로 그해에 총리직에서 내려와야 했다. 다만 아이러니하게도 사토가 만난 리처드 닉슨워터게이트로 반대 상황이 되었다. 물론 이런 속설은 총리 자리에 2년 이상 있기 힘든 일본 정치 자체의 특성 탓도 커보인다.


  • 대외적인 이미지와는 달리 사적으로는 상당히 남을 돌봐주길 좋아하고 의리가 있었다고 한다. 철도성 관료 시절 대립했던 국철 노조원들이 은퇴 후 어려움을 겪자 도와주거나 중국에 근무하던 시절 인연을 맺은 홍사익의 유족들이 미국 이민을 가는데도 많은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면을 드러내는 성격은 아니었다.


  • 차남 사토 신지가 아버지인 에이사쿠의 출신지가 속한 야마구치현 제2구에서 중의원을 역임한 적이 있다.

  • 야마사키 토요코의 소설 '운명의 인간(運命の人)'[42], 화려한 일족(華麗なる一族), 불모지대(不毛地帶)등에서는 '사하시 케이사쿠'로 이름이 약간 변경돼서 등장했다. 형인 이와오 전 총리와 함께 일본의 석유 이권을 장악하고 거기서 나오는 막대한 자금으로 정재계위에 군림하는 초거물이다.

  • 나카소네 야스히로는 회고록에서 자신의 재상학(宰相學)은 사토 에이사쿠의 지도를 받은 것으로 여기고 있으며 "요시다 시게루의 재상학이 천성적인 것이라면 사토 에이사쿠의 재상학은 열심히 배우고 노력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 독서를 즐겼으며 총리가 된 후 업무에 바빠 책 읽을 시간을 갖지 못하자 ‘다이제스트 담당비서’를 두고 읽고 싶은 책을 요약토록 하고 그걸 읽었다고 한다. 대통령 후보 시절의 김영삼이 지속적으로 자질 논란에 시달리자 측근들이 사토의 사례에서 힌트를 얻어 따라했지만 김영삼이 대통령이 되고 나서 흐지부지 되었다.(...)#

  • 본인의 장례식에서 미키 다케오 총리가 괴한에게 구타당한 일을 계기로 시큐리티 폴리스가 창설된다.

  • 일본 역대 총리 중 첫 20세기 태생 총리이다.


7.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생애 및 활동
생애
가족
기시 노부스케 · 조카사위 아베 신타로 ·외종손 아베 히로노부 · 외증손 아베 신조 · 종손 기시 노부오 · 종증손 기시 노부치요
역대 내각
제1차 사토 내각 · 제1차 사토 제1차 개조내각 · 제1차 사토 제2차 개조내각 · 제1차 사토 제3차 개조내각 · 제2차 사토 내각 · 제2차 사토 제1차 개조내각 · 제2차 사토 제2차 개조내각 · 제3차 사토 내각 · 제3차 사토 개조내각
역대 선거
제2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2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2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2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2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3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09:37:46에 나무위키 사토 에이사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지케이카이는 한자로 자혜회(慈恵会)라 읽는다. 때문에 한국에서는 자혜회병원이라는 이름으로도 많이 불린다.[2] 1969년 일본이 서독을 추월해서 2위 경제대국이 된 게 사토 에이사쿠 집권기이다.[3] 기시 노부스케와 사토 에이사쿠 형제의 아버지의 본성은 기시였는데, 데릴사위로 오면서 성을 사토로 바꾸었다. 하지만 기시 노부스케는 부친의 원래 성인 기시를 형제 중에 홀로 이어받았고, 사토 에이사쿠는 외조부와 아버지의 성인 사토를 이어받았으므로 형제끼리 성이 다른 것이다.[4] 사촌혼에 대해 한국이나 중국 등 일부 나라는 법으로 금지하고 있지만, 사촌 항목을 봐도 알 수 있듯 사촌혼을 인정하는 국가는 의외로 많다. 아니 한국 중국 미국 일부 주들 정도를 제외한 전세계 대부분 국가들에서 허용된다. 물론 현대화되면서 유럽이나 일본도 젊은 세대들 사이엔 사촌혼이 상당히 터부시되는 경향이 있지만, 그래도 사촌혼이 우리나라처럼 그리 이상하게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간 나오토 총리가 사촌혼을 했다가 일각에서 멸시받은 사례도 없지는 않다.[5] 당시 참의원을 가리켜 시게무네 왕국이라고 할 정도였다.[6] 비슷하게 이들의 야마구치현 선배들인 이토 히로부미, 야마가타 아리토모, 이노우에 가오루를 한데 묶어 조슈삼존(長州三尊)이라고 불렀다.[7] 젊었을때 요정을 가면 게이샤들이 사토를 무더기로 따랐다고 한다.[8] 일본 가부키의 최고 명문가인 이치카와 종가 나리타야의 당주가 대대로 습명하는 '이치카와 단주로'에서 따온 별명. 이치카와 단주로는 그 시대 가부키계에서 절대적인 위치를 가지는 당대 최고의 가부키 배우로 여겨지기에, 단주로라는 이름이 미남의 대명사로 쓰인다.[9] '핵무기를 만들지도, 가지지도, 들이지도 않는다'고 선언[10] 요시다 시게루의 사위였다.[11] 원래 집안에 대대로 양조의 권리가 인정되었고, 이 권리를 일시적으로 다른 곳에 대여하고 있었으나 1898년경 부친이 야마구치현청 공무원을 퇴직한 뒤 양조장을 시작했다. 어린 시절 지역에서 사토 가의 도련님으로 유명했던 모양.[12] 큰형 이치로나 둘째형 기시 노부스케도 이름난 수재들이었는데 고향에서는 사토 삼형제를 가리켜 '머리는 위에서 부터, 배짱은 밑에서 부터'라는 말이 있었다고 한다.[13] 43년 운수통신성으로 개편된다.[14] 사토의 사촌동생이 요시다의 사위였다. 즉 전후 일본의 이름난 명문들중에서도 손꼽히는 요시다 가문과 기시-사토 가문은 혼맥으로 연결되는 규벌(閨閥)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15] 이때 사토와 더불어 해운총국 장관을 지내며 철도의 사토, 해운의 아리타라고까지 불렸던 거물 관료가 아리타 기이치(有田喜一)였지만 아리타는 훗날, 요시다 시게루 대신 아시다 히토시의 요청에 응하였고 결국 사토와 비교하면 굉장히 평범한 정치인으로 머물렀다. 그래도 각료를 세차례나 지낸 정계의 중진이었다. 사토가 워낙 거물로 성장해서 그렇지...참고로 아리타가 처음 입각한게 사토 정권때였다.[16]내각관방 부장관[17] 자유주의자로서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대의 최후 총리였던 이누카이 쓰요시의 외아들이었다. 참고로 다케루는 1920년대 내내 소설가로 꽤 나갔던 경력이 있다.[18] 이케다도 내심 사토가 자신의 뒤를 잇길 바랬는지 사토가 총재로 지명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비서관인 이토 마사나리에게 "잘됐다, 사토라면 내가 편하지"라고 말하였다고 한다.[19] 하지만 훗날 알고보니 이게 다 거짓 아니냐얘기도 나돌고 있다.[20] 이때 다나카는 선거에 500억엔에서 1천억엔을 동원하였다고 한다.[21] 그야말로 부와 권력과 명예 세가지 분야에서 모두 최고까지 다 누렸다고 볼 수 있다.[22] 일본에서 가장 비싼 요정으로 아쿠타가와상나오키상의 심사가 열리는 곳으로도 유명하다.[23] 요시다 시게루보다도 더 긴 총리 생활을 하였다.[24] 이케다를 정계로 끌어들인 게 사토라고 알려져 있다.[25] 현재의 세타가야구 다이자와(世田谷区 代沢). 다케시타 노보루 등도 거주하던 도쿄의 손꼽히는 부촌이다.[26] 일본의 선거제도가 중선거구제였기 때문에 제1야당에게 표를 몰아주는 식의 투표행태가 먹히지 않았던 측면도 있다. 물론 소선거구제라해도 2012년 이후의 일본에서는 다당화 경향이 뚜렸히 나타나기는 한다.[27] 한국에는 역도산의 후견인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28] 5·15 사건으로 살해당한 이누카이 쓰요시 전 총리의 아들이다. 극동국제군사재판 당시 증인으로 출석하기도 했다.[29] 일본의 악극 중 한 종류로 라쿠고와 달리 샤미센의 반주에 따라 이야기의 내용을 가창과 말로 전달하는 형태였으며 메이지 시대에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 주로 서민적 의리와 인정에 호소하는 작품이 많았다.[30] 이미 사토 집권기부터 사토파의 정치자금은 사토4:다나카6의 비율로 모금되고 있다는 소문이 돌 정도로 파벌 내부에서 다나카의 비중이 매우 컸다.[31] 조선 의옥(造船疑獄) 사건 경험 때문인지는 몰라도 사토는 본인이 직접 정치자금을 만드는걸 상당히 꺼렸다.[32] 사토의 풍부한 자금은 부하 다나카 가쿠에이, 경제 4단체를 중심으로 일본 경제를 장악한 재계 주류의 전폭적인 사토 정권 지원에서 기인한다.[33] 인사의 사토라는 별명이 여기서 나온 것이다. 더불어 고노 이치로, 오노 반보쿠등 사토에 맞설만한 당인파 거물들이 잇달아 죽은 이유도 컸다.[34] 이에 대해 나카소네 야스히로 전 총리는 "가와시마 쇼지로(川島正次郞), 호리 시게루(保利茂), 후쿠다 다케오, 다나카 가쿠에이등의 명마를 잘 다루어 장거리를 완주하였다"고 평가하였다.[35] 당시 참의원의장이던 시게무네 유조(重宗 雄三)는 천황이라 불리울 정도로 참의원내에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고 이를 통해 자민당 총재 선거 때마다 80표 이상을 동원하며 이케타, 사토 정권을 지탱하였다.[36] 유명한 이자나기 경기가 사토 집권 시기다.[37] 1964.11.09~1967.02.17 제1차 내각[38] 1967.02.17~1970.01.14 제2차 내각[39] 1970.01.14~1972.07.07 제3차 내각[40] 1975.06.03 사망[41] 사망 당시 67세였다. 일본이 세계에서 평균 수명이 가장 긴 국가임을 감안하면 67세 사망은 단명이나 다름없다.[42] 2012년에 TBS에서 10부작 드라마로 제작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