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취운정

덤프버전 :

분류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창덕궁 낙선재
昌德宮 翠雲亭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2-71번지)
건축시기
1686년 (창건)

취운정[A]
}}}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영상
1. 개요
2. 이름
3. 역사
4. 구조
5. 여담



1. 개요[편집]


창덕궁 낙선재 구역에 있는 정자이다. 수강재의 북쪽 화계 위, 한정당의 동남쪽에 있다.

비공개 구역이라 일반 관람객들은 가까이서 볼 수 없다.

2. 이름[편집]


'취운(翠雲)' 뜻은 '푸른(翠) 구름(雲)'이다. '취'는 '비취'란 뜻인데 여기서는 의미가 넓어져 비취색, 즉 푸른색을 나타낸다.


3. 역사[편집]


1686년(숙종 12년)에 지었다. 이후 큰 변화없이 오늘에 이른다.


4. 구조[편집]


  • 남향(南向)한 1층[1] 목조 건물로 2고주 5량가 구조이다. 장대석 2단으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다. 기둥주춧돌은 사각이다. 기단 앞에는 두 단 짜리 계단을 두 벌 놓았다. 현판은 걸어두지 않았다.

  • 정면 4칸, 측면 3칸이다. 가장자리를 둘러싼 칸은 툇간이고 안쪽에 온돌방이 2칸 있다. 툇간의 넓이는 온돌방 칸보다 좁다. 툇간은 밖과 통해있으며 바닥은 우물마루이다. 온돌방 정면과 후면의 외벽은 머름을 두고 그 위에 창문을 올린 형태이다. 그러나 측면의 외벽은 가운데에 창을 두고 나머지를 흰 으로 마감한 모습이다.

  • 온돌방천장에는 우물반자를 설치했다. 툇간의 천장은 서까래와 구조가 다 보이는 연등천장이다.

  • 온돌방 정면과 후면에 달은 창문은 사분합이다. 안쪽 문은 '용(用)'자살이고, 바깥쪽 문은 띠살이며, 들어올릴 수 있게 만들었다.

  •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홑처마, 공포없는 민도리집이다.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는 기와로 마감했다. 용두, 잡상, 취두를 올리지 않았다. 단청은 모루단청으로 칠했다.

  • 툇간 바깥쪽에는 난간을 설치했다. 난간은 '아(亞)'자 형 교란으로, 그 위에 하엽동자 형태의 난간기둥과 돌란대를 얹은 형태이다. 툇간으로 드나드는 가운데 2칸에는 기둥 끄트머리에 짧게 난간을 두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함인정 취운정.png}}} ||
창경궁 함인정(맨 오른쪽 건물) 마당에서 바라본 취운정 지붕과 동쪽 담의 문(붉은색 원 안)[A]
파일:취운정에서_본_낙선재.jpg}}} ||
취운정에서 바라 본 낙선재 화계[2]
건물 주위 동, 서, 북쪽에 담장이 있고 서쪽과 동쪽, 그리고 동남쪽에 작은 일각이 하나씩 있다. 그러나 정남쪽은 트여있어 수강재 뒤편과 낙선재 쪽 화계를 장애물 없이 볼 수 있다. 서쪽 문으로 나가면 한정당이 나오고, 동남쪽 문으로 나가면 수강재가 나온다. 그리고 동쪽 문으로 나가면 창경궁 함인정 마당이 바로 나온다.[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궐도 취운정.png}}} ||
《동궐도》의 취운정
동궐도》를 보면 서쪽과 남쪽에 나무 판장을 두었으며, 서쪽 판장 옆에는 취병[4]을 두고, 취병 가운데에 아치 을 설치한 모습이 나온다. 지금은 다 사라지고 없다.

5. 여담[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10:16:05에 나무위키 창덕궁 취운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A B 사진 출처 - 카카오맵.[1]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2]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창덕궁 낙선재.[3] 사실 낙선재 구역이 원래는 창경궁이었다.[4] 翠屛. 나무로 뼈대를 세운 뒤 뼈대 사이마다 키 작은 나무나 덩굴 식물을 심어 자라게 하는 형태의 담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