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폄우사

덤프버전 :

분류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창덕궁 폄우사
昌德宮 砭愚榭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2-71번지)
건축시기
1827년 ~ 1830년 이전 (창건)

파일:external/ddmz.co.kr/13431884374132.jpg}}}
폄우사
}}}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영상. 존덕정, 관람정, 승재정과 같이 소개한다.

1. 개요
2. 이름
3. 역사
4. 구조
5. 여담


1. 개요[편집]


창덕궁 후원 관람지 권역정자이다. 존덕정의 서쪽에 있다.

파일:창덕궁_후원권역_관람지.jpg}}}
관람지 권역. 왼쪽부터 폄우사, 존덕정, 관람정, 승재정이다.[1]


2. 이름[편집]


'폄우(砭愚)' 뜻은 '어리석음(愚)에 돌침을 놓아 깨우치게 한다(砭)'이다. '왕이 스스로 어리석음을 깨우쳐 마음을 다잡으라'는 뜻이다. #

특이하게 건물 이름이 일반적으로 붙는 '전(殿)', '당(堂)', '합(閤)', '각(閣)', '재(齋)', '헌(軒)', '누(樓)', '정(亭)'이 아닌 '사(榭)'로 끝난다. '사(榭)'는 '높은 터에 지은 정자'란 뜻이다. 현재 남아있는 궁궐 전각 중 '사(榭)'를 사용하는 건물은 폄우사가 유일하다.

현재 현판은 1903년(광무 7년)에 창덕궁 후원의 감독직을 맡았던 동농 김가진이 썼다.


3. 역사[편집]


언제 지었는지 모른다. 다만, 1828년(순조 28년) ~ 1830년(순조 30년) 사이에 그린 《동궐도》에서 보이므로, 그 이전에 지은 듯 하다. 이후 몇 번의 변형을 거쳐 오늘에 이른다.
파일:옛날 폄우사.png}}}
왼쪽은 《동궐도》의 폄우사(붉은 원 안), 오른쪽은 《조선고적도보》의 폄우사


4. 구조[편집]


  • 1층[2] 목조 건물로 남향(南向)이다. 정면 3칸, 측면 1칸, 총 3칸이다.

  • '一' 자형 건물이다. 《동궐도》를 보면, 폄우사 서남쪽으로 3칸짜리 건물이 있었고 담으로 폄우사와 붙어있어 '「' 자 형태를 이루었으나 지금은 폄우사만 남았다. 순종 때인 1908년(융희 2년)에 만든 《동궐도형》에는 현재와 같은 모습인 것을 보아 그 이전에 바뀐 듯하다.

  • 한 단의 장대석 기단 위에 주춧돌을 올리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다. 기단의 윗에는 전돌을 깔았다. 기둥과 주춧돌은 사각이다.

  • 지붕은 맞배지붕으로 양쪽 박공에 풍판을 달았다. 처마는 홑처마로, 용마루와 추녀마루는 기와로 마감했다. 공포는 초익공 양식이며 창방과 장여 사이에 소로를 얹었다. 단청은 모로단청으로 칠했다.

  • 현판은 동쪽 끝 칸 남면 도리에 걸려있다. 흰 바탕에 검은 글씨이다.

  • 정면(남면) 앞에는 쪽마루가 덧대어있고, 쪽마루 밑에는 나무기둥과 주춧돌이 있다. 서쪽부터 2칸은 온돌방이고, 동쪽 끝의 1칸은 대청이다. 그런데 현재는 온돌방 바닥에 마루가 깔려있다. 나중에 마루방으로 개조한 듯 하나 바뀐 시기는 알 수 없다.

  • 벽면의 모습은 칸마다 다르다. 제일 서쪽 끝 칸의 벽면의 형태가 특이하다. 칸 안에 샛기둥을 두고 그 양 옆의 모양을 다르게 했다. 샛기둥 서쪽 면은 전부 벽이지만, 동쪽 면은 문상방과 문선을 설치한 뒤 문선 안에 창을 두고 나머지는 으로 마감한 형태이다. 가운데 칸의 벽면 역시 서쪽 칸 샛기둥 동쪽 면과 같으나 벽면 전체에 대칭으로 만든 점이 다르다. 두 칸 남면 벽면의 하단부에는 머름을 두었다.

    대청 칸의 남면과 동면은 벽과 문이 없이 트여있으며 난간을 둘렀다. 난간은 풍혈을 뚫은 궁판 위에 하엽동자 모양의 난간기둥과 돌란대를 둔 모습이다. 단, 남면 난간의 경우는 사람이 출입할 수 있게 기둥 양 옆에 짧게 설치했다.

    정면(남면)과 뒷면(북면)의 모습 역시 다르다. 가운데 칸의 경우는 정면과 뒷면의 모습이 같으나, 서쪽 끝 칸의 뒷면은 가운데에 샛기둥과 중인방을 '十' 자 모양으로 둔 뒤, 부재 사이를 전부 으로 마감한 형태이며 하단부에 머름도 없다. 동쪽 끝 대청 칸 뒷면은 가운데 칸 벽면과 같은 모습이다. 서쪽 측면은 중인방을 설치한 뒤 그 위에 문선과 창, 벽을 두고, 중인방 아래에는 벽과 붉은 나무 을 둔 형태이다.

  • 실내 천장은 구조가 다 보이는 연등천장이다. 일반적으로 온돌방에는 벽지를 바르는데 폄우사 온돌방에는 바르지 않았다. 원래부터 그런 건지 아니면 나중에 마루방으로 개조하면서 뜯어낸 건지는 알 수 없다. 온돌방과 대청 사이에는 분합문이 있었는데 지금은 없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폄우사 돌판.png}}} ||
폄우사 돌판
폄우사에서 존덕정으로 가는 길에 화강암으로 만든 돌판이 14개 깔려있다. 이 돌들을 밟으며 걸으면 저절로 팔자걸음을 지게 된다.

南苑草芳眠錦雉 (남원초방면금치)
남쪽 동산에 꽃다운 풀에 아름다운 꿩이 졸고

夾城雲偄下霓旄 (협성운난하예모)
협성(夾城)에 구름 따뜻하니 무지개가 내려오네

絶壁過雲開錦繡 (절벽과운개금수)
절벽에 구름이 지나가니 수 놓은 비단이 펼쳐지고

踈松隔水奏笙簧 (소송격수주생황)
성긴 솔 물 건너 편에서 생황을 연주하네

林下水聲喧笑語(임하수성훤소어)
숲 속 아래 물 소리는 웃음 소리인 양 떠들썩하고

巖間樹色隱房櫳 (암간수색은방롱)
바위 사이 나무 빛깔은 방 창살을 숨기고 있네

畵閣條風初拂柳 (화각조풍초불류)
그림같은 누각에 한 줄기 바람은 버들을 막 스치고

銀塘曲水半含苔 (은당곡수반함태)
은빛 연못 물굽이에는 이끼 반쯤 머금었네

#

폄우사 주련 시
정면과 동면, 뒷면 기둥에 주련을 걸었다. 주련에는 위에 있는 를 적어놓았다.


5. 여담[편집]


  • 정조가 폄우사에서 사계절을 주제로 지은 《폄우사사영(砭愚榭 四詠)》을 지었다. 그의 손자 효명세자도 폄우사를 자주 찾아 독서하고 쉬는 공간으로 활용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
    〈창덕궁 달빛기행〉 영상
〈창덕궁 달빛기행〉 코스 중 한 곳이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 ||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창덕궁 후원에서 만나는 한권의 책' 행사 홍보 영상.
시기는 2016년 가을이다.

2010년부터 문화재청에서 매년 가을에 여는 '창덕궁 후원에서 만나는 한권의 책' 행사 장소로 사용한다. 정자 내부에 책을 비치해두어 시민들이 후원의 경치를 보며 독서할 수 있게 한다.[3] 행사 기간은 일정하지 않으나 대략 4월 중순 ~ 5월 중순(봄), 10월 중순 ~ 11월 중순(가을)이다. 창덕궁 후원 입장료만 내면 별도로 들어가는 은 없다. 2020년에는 코로나 19 사태로 진행하지 않았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2]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3] 영화당, 존덕정, 취규정도 장소로 활용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창덕궁 존덕정
창덕궁 존덕정
문서의 r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6;"
, 6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6;"
, 6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10:16:20에 나무위키 창덕궁 폄우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