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개-7

덤프버전 :

세계의 중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북한이 생산한 미사일 및 어뢰 종류
[ 펼치기 · 접기 ]
단거리
KN-02/화성-11(160km, 220km) · KN-09/KN-16(180km, 200km) · 화성-11나(450km) · 조종방사포/KN-25(250km, 400km) · KN-24/화성-11나(450km) · 스커드/화성-5·6(340km, 700km) · KN-23(600km, 800km)
준중거리
SCUD-ER(1,000km) · 노동/화성-7(1,300km) · KN-15/북극성-2(1,300km) · 극초음속 2형(2,000km)
중거리
화성-8(극초음속, 3,200km) · 무수단/화성-10(4,000km) · KN-17/화성-12(6,000km)
대륙간
KN-08, KN-14/화성-13 · KN-20/화성-14(10,000km) · KN-22/화성-15(13,000km) · 화성-17(15,000km)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실험
대포동 1호/백두산 로켓(1998) · 대포동 2호/은하 로켓(2006) · 대포동 3호/은하 2호/광명성 2호(2009)
은하 3호/광명성 3호(2012년 4월, 12월) · 광명성 4호(2016)
SLBM
KN-23 개량 SLBM(590km) · KN-11/북극성(1,300km) · KN-26/북극성-3(2,500km) · 북극성-4 · 북극성-5
지대공
KN-06 (S-300, HQ-9 기반), KN-07 (S-400, HQ-9 기반)
함대함
KN-01 (실크웜 기반) · 금성 3호 (KH-35 기반)
지대함
KN-18(대함 탄도탄) · KN-19 (지대함 버젼)
어뢰
CHT-02D · PT-97W
미분류
불새-2/3 (9M111 Fagot 기반), 신형 대전차 미사일, KN-12/KN-13
파일:2019 국방백서 북한 미사일.png




(추정) 번개-7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의 추정 번개 미사일의 한 종류


파일:번개-7 무장장비전시회 공개사진.png

발사된 번개-7[1]

파일:번개-7 2차 시험발사 모습.png

번개-7의 발사 장면
북한 명칭
미상
국방백서 표기
없음
KN 코드
미상
최대사거리
미상
1. 개요
2. 설명
2.1. 공개
2.2. 재등장
2.3. 제식 명칭
3. 시험 발사
3.1. 1차 시험 발사
3.2. 2차 시험 발사
4. 평가
5. ER형



1. 개요[편집]


조선인민군의 신형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로 '번개 7호', '번개-7'로 언론에 알려져 있다. '신형 KN-06'이라고도 불린다.


2. 설명[편집]



2.1. 공개[편집]



파일:번개-7 열병식 TEL 전면.jpg

번개-7 TEL의 전면

파일:번개-7 열병식 TEL 후면.jpg

번개-7 TEL의 후면
2020년 10월 10일 열병식에서 기존 번개-5(KN-06)보다 더 길어진 발사관에 들어있는 S-400 모습과 닮은 신형 지대공미사일이 등장했다. 처음에는 번개-5의 장갑 강화형 내지는 단순 개량형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이 때 공개된 지대공 무기가 3종이나 되어 다른 TEL과 혼동되기도 하는데, 뒤에서 앞으로 보면 형상이 다름을 쉽게 알 수 있다.


2.2. 재등장[편집]



파일:번개7호.jpg

자위-2021 행사에서 공개된 번개-7의 미사일
2021년 10월 11일 북한 당국이 개최한 무기전시회 《자위-2021》에 미사일 실물이 등장했으며, 예상 추정치보다 더 대형이어서 사정거리도 상당히 길 것으로 추정된다.


2.3. 제식 명칭[편집]


북한 측에서 공식적으로 표기를 드러낸 적이 없기에, 공식 명칭은 화성 미사일 처럼 《번개-7》형 따위일 수도 있고, 붙는 숫자가 '7'이 아닐 수도 있다.[2]

  • 번개-7
이 미사일을 '번개-7'이라고 상정하는 것은 한호석[3]김태훈이 주장한 '번개-6'의 존재를 인정하는 입장이다. 해당 장비의 정체에 대해서는 번개 미사일 항목 참조. Oryx도 이 주장을 따라 해당 장비를 번개-6으로 상정하였다.

  • 번개-6
반면 임철균 KODEF 연구원은 기고문에서 이 미사일이 '번개-6'이고 후술할 'ER형'이 '번개-7'일 것으로 추정했다. #[4] 따라서 이 미사일의 제식 명칭에 대한 여러가지 추측이 난무하고 있다. 이후 홍민 통일연구원 연구원은 2023년 2월 8일 북한 열병식을 분석한 보고서에서도 이 입장을 채택했다. 영문 위키백과에서도 이를 표제어로 채택하고 있다.

3. 시험 발사[편집]



3.1. 1차 시험 발사[편집]



파일:북한 판치르.jpg

2021년 9월 30일 시험발사
열병식 후 11개월이 지난 2021년 9월 30일 실험 발사에 나섰다. # 부스터가 달린 2단 구조로 기존의 번개-5(KN-06)와는 큰 차이를 보인다. #

국방과학원 명의 발표에서는 쌍타조종기술과 2중 임펄스 비행 발동기(펄스 모터)를 비롯한 중요 새 기술 도입으로 미사일 조종 체계의 속응성과 유도 정확도, 공중목표 소멸 거리를 대폭 늘린 신형 반항공 미사일의 놀라운 전투적 성능이 검증됐다"라고 주장했다.


3.2. 2차 시험 발사[편집]



파일:2022년 11월 2일 북한 지대공 미사일 도발.jpg

북한이 공개한 11월 2일 번개-7 발사 사진[5]
2022년 11월 2일 북한 미사일 도발에서 발사되었다. 비질런트 스톰에 대한 맞대응 성격이었다.


4. 평가[편집]


앞서 언급한대로 다비드슬링과 유사한 형태의 외양이다. 자위-2021에서 북한이 전시한 미사일 중 역시 이스라엘제인 스파이크 대전차미사일과 똑같은 대전차미사일도 등장하여, 북한이 이스라엘 방위산업체를 해킹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일부 밀리터리 매니아의 주장이 제기되었다. 유용원 기자 역시 이런 취지의 기고문을 작성했다. 이 외에도 시리아에 떨어진 다비드슬링 1발을 시리아 측에서 입수했다는 보도가 있었는데, 이를 북한이 입수했을 수 있다는 시나리오도 보충적으로 제시하였다. 물론 두 시나리오 모두 유용원이 글에서 밝혔듯이, 확실치는 않다.


5. ER형[편집]


한편 2020년 10월 10일 열병식에서는 이보다도 더 긴 형태의 TEL도 식별되었다. 이후 《자위-2021》에서도 재등장하였다. 전문가들은 이를 ER(사거리 연장형) 형으로 추정하면서도, 발사인원이 TEL 내부에 탑승할 수 있는 구조[6]로 미루어 보아 지대지 순항 미사일일 가능성도 제기하였다. 열병식 순서에서 '조선인민군 신형 저고도 대공체계 - 번개-7 기본형 - 북극성-2 - 이 문단의 ER형 미사일'의 순서대로 퍼레이드를 벌였던 점도 의구심이 든다. #

다만 북한이 2021년 1월 밝힌 순항 미사일 개발은 화살-1, 화살-2등으로 현실화되었기 때문에, 이 ER형 TEL의 정체가 무엇일지는 두고 봐야 할 노릇이다. 물론 조셉 뎀시 등은 여전히 지상공격 순항미사일(LACM)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 이 입장이 사실이라면 번개-7 ER형이 아니라 순항미사일 C형 따위의 가칭으로 불려야 할 것이다.


파일:번개-7 ER형 2020년 열병식 모습.jpg

번개-7 ER TEL의 전면

파일:번개-7 ER 열병식 TEL 후면.jpg

번개-7 ER TEL의 후면
그리고 또 자위-2021 행사에서는 대공 무기 쪽에 전시되었다. 의도적인 기만전술일 가능성도 크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5;"
, 5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5;"
, 5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0:11:28에 나무위키 번개-7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무장장비전시회-2023 오프닝 영상에서의 공개 사진[2] 당장 화성-17이 화성-16으로 알려지는 등, 북한은 최대한 미사일 제식 명칭을 숨기거나 혼란을 주려 한다.[3] 북한의 입장을 일방적으로 선전하는 종북주의자. 이 사람은 수많은 종북인사 중에서도 3류 양판소 작가 수준으로 북한 군사력을 뻥튀기하는 것으로 악명높은 사람이다. 한호석 칼럼만 보면 북한은 거의 외계인 수준의 군사력을 갖추고 있다.[4] 다만 해당 기고문에는 해당 장비의 이동식 미사일 발사대에 붙은 북한 열병식 로고를 러시아국기라고 주장하는 황당한 내용이 섞여 있다.[5] 왼쪽 상단과 오른쪽 하단 사진은 번개-7이 아니다.[6] 이는 SCUD 발사용 TEL에서도 식별되는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