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급행3

덤프버전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fff,#1f2023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
]]ㆍ[[틀:대구광역시 순환버스|
순환
]]ㆍ[[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ㆍ[[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ㆍ[[틀:대구광역시 출근맞춤버스|
출근
]]ㆍ[[틀:군위군 마을버스|
군위
]]ㆍ[[틀:대구광역시 폐선된 시내버스|
폐선
]]
급행1[a]
급행2
급행3
급행4

--
급행6
급행7
급행8

--
급행9
급행9-1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사건 사고
5. 특징
5.1. 일평균 승차량
6. 연계 철도역
7.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구_급행3_노선도.jpg

기점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범물1동행정복지센터)
종점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동명교통)
종점

첫차
[평일, 토요일] 05:30 / [공휴일] 05:33
기점

첫차
05:30
막차
[평일, 토요일] 22:36 / [공휴일] 22:42
막차
[평일, 토요일] 22:35 / [공휴일] 22:25
평일배차
13분
주말배차
15분
운수사명
동명교통, 신진자동차
인가대수
15대[1][2]
노선
범물1동 행정복지센터 - TBC - 황금네거리 - 법원 - 대구중앙중고교 - 2.28기념중앙공원 - 섬유회관 - 북구청역 - 팔달시장 - 팔달교[3] - 대구과학대 - 대구칠곡초교 - 동명교통

중간 출발 정류소
범물동 방향
2.28기념중앙공원
동명 방향
2.28기념중앙공원


2. 개요[편집]


수성구 범물1동 행정복지센터(4)에서 중구 동성로2가 2.28기념중앙공원(0)을 거쳐 칠곡군 동명면 동명교통 차고지(7)까지 운행하는 급행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2.8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파일:DAEGU316.jpg
316번 시절의 모습(출처 : KBS 9시 뉴스).
  • 1992년에 신설된 316번 좌석버스가 전신이다.[4][5]

  • 1998년 개편 때 407번 좌석버스로 변경되었다.

  • 2006년 2월 19일 개편 때 급행3번으로 변경되었다. 급행3번으로 바뀌면서 정차하는 정류장 수가 줄고, 대구광역시경찰청 대신 동아스포츠센터 경유로 변경했다. 인가대수도 17대나 감차했다.[6]

  • 2013년 12월 20일부터 칠곡3차보성타운에도 정차한다.


  • 2016년 12월 막차시간 연장으로 인해 양방향 모두 중간종료[7]가 추가되었다.


  • 2019년 4월 20일부터 TBC에 정차한다.


4. 사건 사고[편집]


칠곡 동명동호JC 교차로 7중 추돌사고 문서 참고.


5. 특징[편집]


  • 칠곡 지역, 특히 칠곡1지구를 비롯한 칠곡중앙대로 연선 지역[8]에서 시내로 나오는 승객과 수성구 일대에서 시내로 나오는 승객들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노선이다. 그만큼 승객이 많다.[9]

  • 2.28기념중앙공원을 기준으로 수요가 극명하게 갈린다.
    • 동명면, 칠곡지구에서 이 노선을 이용해 서문시장(섬유회관 정류소), 2.28기념중앙공원으로 가는 수요는 꾸준히 있고, RH 때는 3호선과 함께 입석 승객도 많이 발생한다. 2022년 9월 기준으로 2.28중앙공원건너1(동명 방향) 이용객 수 1위이다. CGV대구한일건너 정류장을 포함해도 급행3번 수요치보다 많은 노선은 724번 단 하나이며,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TOP10 노선인 425번과 인기 급행노선인 급행5번도 급행3번에 밀려 각각 3위와 4위에 있다. 그만큼 급행3번이 인기가 많다는 것이다.[10] 3호선 개통으로 인해 수요가 많이 줄었는데도 이 정도로 시내 수요가 많다.
    • 반면 수성구에서 이 노선으로 2.28기념중앙공원, 서문시장으로 가는 수요와 RH 때 입석 승객 발생 수는 동명 방면 대비 많지 않다.[11] 그러나 2022년 9월 기준으로 2.28기념중앙공원앞(범물 방향) 이용객 수 3위이다.(9,155명)[12] 범물~중앙로 수요의 상당수가 도시철도로 이동하여 큰 타격을 입었지만, 이 정도의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13] 반면, 범물과 시내를 연결해주는 다른 노선인 204번의 약령시 이용객 수는 급행3번의 절반 정도에 그치고 있다. 아무래도 급행3번은 204번과 달리 배차간격이 길지 않고, 수요가 많이 나올 만한 국채보상로, 동대구로(어린이세상 이북) 구간을 경유하는 노선이라 2.28기념중앙공원~동명 구간까지는 아니더라도 2.28기념중앙공원~범물 구간에서도 꽤 인기가 있는 듯 하다.

  • 3호선 개통 이후 수요가 많이 감소했다.[14] 2015년 개편 초반 때 대부분 여론은 급행3번의 폐지를 주장했지만, 개편 최종안에서 폐지나 변경 없이 살아남았다. 3호선이 팔거천을 따라 매천지구, 칠곡2지구, 칠곡3지구를 쑤시고 다니도록 설계되어서 칠곡중앙대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역이 태전역매천시장역[15]밖에 없어 칠곡중앙대로에서는 3호선의 접근성이 다소 떨어지며, 3호선에서 빼놓을 수 없는 청라언덕역 막장환승[16] 문제가 있고, 427번704번이 날아가면서 칠곡에서 시내로 가는 수요를 흡수했기 때문에[17] 3호선의 칠곡중앙대로 백업으로 남았다. 급행3번 노선 폐지 타당성에 대해 : 3호선과의 소요시간 비교를 통해서. 다만 그 영향으로 인해 2017년 1월에 2대가 감차되었다. 결과적으로 칠곡~시내 연결 기능을 인정받아서 지금은 폐지 의견이 나오지 않고 있다.[18]

  • 정차하는 정류장 개수도 적어서 정류장 간 간격도 넓고 정체만 없으면 칠곡초교~시내를 30분대에 주파해 주는 개념 급행 노선이긴 한데, 워낙 상습 정체 구간이 많아서[19] 급행버스다운 급행버스 타이틀을 확보하지는 못 했다. 게다가 상습 정체 구간을 하도 많이 지나다 보니, 가끔씩 뒷차가 앞차를 따라잡아 2대가 동시에 같이 다니는 진풍경이 연출되기도 한다.[20]

  • 동명 방향은 벤처밸리네거리에서 좌회전이 금지되어 대구상공회의소에서 U턴한다.[21] 이 구간에 정차하는 정류장은 없다.

  • 농수산물도매시장 정류장은 급행3번이 정차하지 않기 때문에 이 구간에선 유일하게 팔달고가차도를 경유한다.

  • 2015년 8월 1일 개편 전까지 대구 급행버스 노선 중 유일하게 한 회사가 단독 운행하는 노선이자 대구광역시 경계를 넘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 해당 노선에 안전벨트를 뒤로 묶어 두지 않은 차량이 꽤 있다. 주로 신차에서 많이 보이며, 해당 차량 탑승 시 안전을 위해 안전벨트를 꼭 메도록 하자.

  • 2021년 4월 10일부터 2022년 1월 22일까지 급행6번 노선이 연경지구로 연장되면서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노선 중 가장 짧은 거리로 운행하는 노선이었지만 현재는 해당 타이틀이 급행8-1번으로 넘어갔다.[22]


  • 시내버스 탑재형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설치되어 있는 노선중 하나이다.

  • 칠곡의 서대구역 접근성 강화를 위해 신천대로-서대구역을 경유하도록 노선을 변경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칠곡과 서대구역을 연결하는 노선이 추가되고 칠곡6번이 다니지 않은 대구과학대 이북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수혜를 볼 수 있다. 급행8번과의 환승을 통해 달서구, 달성군(유가읍, 구지면)[23]과의 접근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생긴다. 기존 구간은 배차간격이 짧은 309번527번으로 대체가 가능하다.[24]


5.1. 일평균 승차량[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3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7,051명
-
2015년
6,148명
▽ 903
2016년
5,660명
▽ 488
2017년
5,068명
▽ 592
2018년
4,078명
▽ 990
2019년
3,842명
▽ 236
2020년
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
2,899명
▽ 943
2022년
3,287명
△ 388
※ 하차 인원 미포함

  • 2015년 4월 23일 3호선 개통에 따라 중앙로 이동 수요 일부가 3호선으로 이동하면서 급행3번의 일평균 승차량이 감소하였다.


6.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Daegu1.svg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중앙로역[25]
  • 파일:Daegu2.svg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범어역[26]
  • 파일:Daegu3.svg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용지역, 범물역, 지산역, 수성못역, 황금역, 어린이세상역, 서문시장역[27], 북구청역, 팔달시장역, 팔달역


7. 둘러보기[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근교지역간 시내·농어촌버스

[ 펼치기 · 접기 ]
4권역
(청도군)

0
0-1
5권역
(칠곡군)

성서2
7
9
20
27
50
250
5권역
(성주군)

250
성주-대구서부
6권역
(고령군)

650
달성1
606
6권역
(창녕군)

달성6
달성7
7권역
(칠곡군)

급행3
급행9
급행9-1
527
730
칠곡2
칠곡3
팔공3
38
200
250
300
7권역
(구미시)

칠곡3
73-3
78-3
8, 9권역
(경산/영천)

틀:대구-경산/영천간 시내버스
권역 외
(의성군)

군위-탑리, 백학
군위-달산
군위-상곡
권역 외
(의령군)

의령/신반-대구[1]
[1] 시외버스→농어촌버스 전환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20:50:19에 나무위키 대구 버스 급행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동명교통 8대 / 신진자동차 7대[2] 공휴일 13대 운행[3] 정류소 이름은 대백인터빌.[4] 비슷한 일반버스 16번이 있었다. 일반버스 16번은 1998년에 427번으로 바뀌었다가 2015년 개편 때 폐선되었다.[5] 참고로 1988년 좌석버스 신설 당시부터 1991년까지는 307번 좌석버스가 동명면에 들어갔다. 316번이 신설되면서 307번은 동명에서 빠지고 학정동으로 변경되었다.[6] 2006년 개편 전 407번이었을 때에는 34대가 6분 간격으로 빗자루질하면서 다녔다.[7] 대구칠곡초등학교(동명 방향), 황금네거리(범물 방향)[8] 칠곡2지구는 3호선을, 칠곡3지구는 급행2번을 주로 이용한다.[9] 다만 3호선 개통 후 칠곡에서 수성구 간을 오가는 장거리 승객의 수요는 줄었다.[10] 상술한 저 4개의 노선만이 10,000명을 넘었는데, 그만큼 칠곡, 성서 주민들이 중앙로를 오갈 때 시내버스를 많이 이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게다가 5위도 성서, 서구를 경유하는 급행1번이다.(9971명)[11] 서문시장이야 3호선 서문시장역이 바로 앞에 있으니 섬유회관에 하차해 도보로 이동해야 하는 급행3번보다 3호선이 우위를 점하며, 급행3번 대신 명덕역에서 1호선 안심 방면으로 환승하는 승객들이 많아지고 있다. 중앙로역에 도착하면 이들 가운데 대다수가 중앙로역에서 내린다. 남산역으로 돌아서 중앙로로 가야 하는 칠곡과 달리, 수성구~중앙로역의 선형은 돌아서 가지 않기 때문이다. 반월당역을 포함해 시내 전체로 봐도 칠곡은 청라언덕역 막장환승 문제가 있지만, 수성구는 명덕역 환승이 그리 까다롭지 않다.[12] 1위는 724번이고 2위는 급행5번이다.[13] 이는 곧 3호선 개통 이전에는 현재 수치보다 엄청난 수치를 기록했음을 보여준다.[14] 402번, 427번, 704번도 마찬가지였다. 이들 노선은 3호선 중복도와 가파른 수요 감소로 3호선 개통 직후에 폐지되었다.[15] 바로 앞은 아니지만, 칠곡중앙대로와 나란히 놓여 있다.[16] 명덕역 환승은 그나마 경쟁력이 있다.[17] 칠곡 권역에서 시내를 이어주는 간선 노선은 724번730번이 남았지만, 724번은 중간에 태전삼거리에서 관음동으로 곧바로 올라가며, 730번은 매천지구, 북부정류장 환승센터, 오봉오거리(북침산치안센터)을 경유하므로 굴곡과 소요시간 문제가 있다. 실제로 칠곡 주민들은 요금을 더 내더라도 730번보다 급행3번을 더 많이 이용한다.[18] 649번 폐지 의견과 840번 시지 단축 의견이 꾸준히 나오는 것과 대조된다.[19] 일단 대구광역시의 대표적인 헬게이트팔달교~만평네거리를 지난다. 그런데 해당 구간에서는 정차하는 정류장이 아예 없다.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도 무정차 통과한다. 다만 팔달교 일대는 3호선 개통 후 NH에는 덜 막힌다. 이 외에도 원대로, 달성로, 국채보상로, 동대구로 등이 상습 정체 구간이다.[20] 절대로 빗자루 배차로 인해 2대가 같이 다니는 것이 아니다. 설명했듯이 뒷차가 앞차를 따라잡아 그런 것이고 이런 경우가 연출되면 뒷차를 탄 승객들이 앞차를 탄 승객들보다 빨리 가는 어이없는 현상이 생긴다. 물론 이럴 경우 뒷차가 추월하지 않더라도 높은 확률로 가축수송 차량 뒤에 공기수송 차량이 다니는 모습이 보이게 된다.[21] 2006년 개편 초기에는 노선 버스에 한해 여기서 좌회전이 가능해 이 노선과 724번이 여기서 좌회전했다. 그러나 724번은 U턴 구간에서 민원이 있어 얼마 지나지 않아 대구상공회의소에서 U턴하는 것으로 변경됐고 급행3번도 대구상공회의소에서 U턴하는 것으로 바뀌었다.[22] 가장 긴 거리로 운행하는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노선은 2023년 7월 1일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으로 신설된 급행9번.[23] 다만 이 지역은 급행7번을 통한 칠곡 이동이 이미 주류이다.[24] 다만 두 노선 모두 원대오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원대시장 쪽으로 꺾는다.. 그나마 323번이 북구청 전까진 경유하지만..[25] 곽병원 정류장 또는 2/28 기념중앙공원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5~10분 가량 이동[26] 그랜드호텔 정류장 이용[27] 섬유회관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