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물역

덤프버전 :

범물역
파일:Daegu3.svg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Beommul
한자
凡勿
간체자
가나
凡勿(ポンムル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지범로 194 (범물동)
관리역 및 고객센터
3호선
5관리역(수성못) / 3고객센터
운영 기관
3호선
파일:대구교통공사 로고.svg
개업일
3호선
2015년 4월 23일
역사 구조
지상 3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凡勿驛 / Beommul Station

1. 소개
2. 일평균 이용객
3. 승강장
4. 역 주변 정보
5. 연계 교통
6. 사건·사고
7. 둘러보기



1. 소개[편집]


파일:범물역사.jpg
범물역 (2020년)

옛날 이곳에 이 많아 의 울음소리가 끊이지 않았기 때문에 범물이라는 지명이 생겼다. 역이 범물1동에 있으며, 역 바로 옆에 범물네거리가 있고 많은 사람들이 범물동이라고 하면 범물네거리 쪽을 떠올리기 때문에 범물이 역명으로 정해졌다. 조감도상에는 수성이란 역명이 붙어져 있는데, 수성역은 2호선 대구은행역의 공사 당시 가칭이기도 하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최대 수혜지 중 하나다(다른 수혜지는 칠곡). 이곳은 1980년대 후반부터 지산범물지구 개발이 가속화되어 급격히 인구가 증가하였으며,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부촌이었다. 지산범물지구는 도심과 조금 더 가깝고 명문 학교들을 품은 범어동, 만촌동, 황금동의 재개발이 진행되며 쇠퇴하기 시작했다.

1번 출구와 4번 출구 앞에 동아백화점 수성점이 있다. 아파트 단지가 상당히 많이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1호선 상인역과 유사한 변화를 맞이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상인역보다 배후 인구가 적어서(좁은 시가지) 상인역 수준의 승객을 모으지 못하고 있다. 그래도 3호선의 수성구 구간에서 가장 이용률이 높은 역이다.

역 아래에 있는 지범로는 범어천을 덮은 위에 도로를 낸 복개 구간이고 하수관로가 매설되어 있어서 다른 구간보다 기둥이 늦게 세워졌다.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로가 보강된 다음 기둥이 하수관로 아래의 지하 깊숙이 설치됐다. 만약 3호선이 본디 계획대로 지하 중전철로 건설됐다면, 이 구간은 기존에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로 때문에 엄청난 난공사가 이뤄졌을 것이다. 1호선 동촌역의 위치가 수요처와 동떨어진 것도 동촌로가 복개도로이기 때문이다. 범물네거리~용지네거리 구간은 지범로보다 빠른 2012년 6월 초부터 기둥이 생기기 시작했다. 여기가 범어천 복개구간이라서 도로 전체가 파헤쳐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사 초기엔 하수관로가 있는 지하에서 작업이 많이 이뤄졌기에 지상에 복공판이 설치되어 지하철 공사를 방불케 했다.

동아백화점 수성점 쪽 출구가 범물1동에 있으며, 건너편의 2번과 3번 출구는 범물2동에 있다.


2. 일평균 이용객[편집]


범물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연도
파일:Daegu3.svg
비고
2015년
7,342명
[1]
2016년
8,089명

2017년
8,216명

2018년
8,194명

2019년
8,515명

2020년
6,071명

2021년
6,668명

2022년
7,022명

출처

[1] 2015년 자료는 개통일인 4월 23일부터 12월 31일까지 25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범물역의 하루 평균 이용객은 7,052명(2022년 기준)으로, 3호선 전체 4위를 기록하고 있다. 1위는 3호선이 유일하게 지나가는 핵심 지역인 서문시장역, 2위는 반대편의 상업 중심지인 팔거역이며 3위는 칠곡운암역으로 즉, 명덕역 동쪽의 동남부 일대에서는 가장 이용객이 많은 역이다.

범물역의 이용객이 많은 이유는 아파트나 주택 등이 몰려있어 출퇴근 및 등하교 이용객이 많은 지산범물지구의 상업 중심지이기 때문이다. 1, 4번 출구 앞에 동아백화점 수성점을 필두로 수많은 상업지구가 모여 있으며 스타벅스, 써브웨이, 대구은행 등등 유동 인구가 많은 곳에만 설치되는 매장들이 있을 만큼 이곳을 지나는 사람들의 숫자가 많다. 위치가 워낙 외진 계곡 지형이기 때문에 버스를 타고 넘어오는 환승객은 거의 없으나, 주변 유동 인구만으로도 충분히 노선 전체 3위에 필적하는 수요를 창출해낼 수 있었던 것이다. 다만 이 지역이 대구에서도 꽤 외지고 고립된 지역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역시나 수요가 다소 낮은 편이기는 하다.

향후 범물역 인근의 노후 아파트가 재건축되면 이용객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3. 승강장[편집]


파일:범물역2.jpg
역 안내도

지산




용지



4. 역 주변 정보[편집]



파일:attachment/범물역/329-1.jpg

원래는 1번과 4번 출구 사이에 역과 동아백화점 수성점을 잇는 통로가 생길 예정이었으나, 계획이 변경되어서 연결 통로는 생기지 않았다. 이랜드그룹에서 건설비를 부담하지 않아 생기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2]


5. 연계 교통[편집]


1번 출구 앞
파일:버스정류장2.png동아백화점수성점앞 (대구 02248)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em"
수성1-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em"
수성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em"
수성4
2번 출구 앞
파일:버스정류장2.png범물한라주택 (대구 05065,0008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em"
수성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em"
수성1-1
3번 출구 앞
파일:버스정류장2.png동아백화점수성점건너 (대구 0224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em"
수성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em"
수성1-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em"
수성3-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em"
수성4


6. 사건·사고[편집]


2011년 11월 8일, 동아백화점 수성점 앞 공사장에서 도시가스관이 파열되어 가스가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다행히도 사고가 출근시간 전에 발생했고 복구 조치가 신속히 이뤄져서 1995년에 일어난 상인동 가스폭발 참사가 재발하진 않았다. 그런데 이 사고는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상수도관이 손상되어 복구되던 도중에 발생한 것이다. 다만 요즘 쓰이는 도시가스는 LPG가 아닌 LNG라서 가스 폭발의 위험성이 낮다.

2018년 3월 8일 11시 11분 경에 기록적인 폭설로 범물역에서 용지역으로 향하던 열차가 선로 결빙으로 인해 오르막길에 미끄러져 멈추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어 1시간 후에 지산역에서 범물역으로 향하던 열차가 미끄러져 멈추는 사고가 또 발생했다. 결국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전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다.
[2] 대봉교역대구백화점 측에서 연결통로 건설 비용을 모두 부담하는 조건으로 대백프라자에 연결 통로가 만들어졌다. 대구 전 지역을 수요처로 삼는 대백프라자와 달리 동아백화점 수성점은 2000년대 후반부터 고급 백화점의 위상을 잃으며 주로 지역 주민을 주 수요처로 삼기에 연결통로의 필요성이 떨어지는 것도 한 몫 했을 듯.


7.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0:35:28에 나무위키 범물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