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급행2

덤프버전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fff,#1f2023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
]]ㆍ[[틀:대구광역시 순환버스|
순환
]]ㆍ[[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ㆍ[[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ㆍ[[틀:대구광역시 출근맞춤버스|
출근
]]ㆍ[[틀:군위군 마을버스|
군위
]]ㆍ[[틀:대구광역시 폐선된 시내버스|
폐선
]]
급행1[a]
급행2
급행3
급행4

--
급행6
급행7
급행8

--
급행9
급행9-1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파일:영진2314.jpg


파일:성보교통 급행2.jpg

영진교통 차량
성보교통 차량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구_급행2_노선도.jpg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대일리(가창초교)
종점
대구광역시 북구 동호동(북구 동호동(종점))
종점

첫차
05:30
기점

첫차
05:30
막차
[평일] 22:30 / [토요일] 22:23 / [공휴일] 22:19
막차
22:30
평일배차
10분
주말배차
12분
운수사명
성보교통, 영진교통
인가대수
22대[1][2]
노선
가창초교 - 가창면사무소 - 수성못오거리 - 수성구보건소 - 대구은행역 - 약령시 - 대구시산격청사 - 산격1동 행정복지센터[3] - 무태조야동 행정복지센터 - 북구구민운동장 - 운암초교 - 근로복지공단대구병원 - (← 칠곡경대병원후문) - 북구 동호동(종점)

중간 출발 정류소
대일리 방면
동서변리벤빌
동호동 방면
2호선반월당역


2. 개요[편집]


달성군 가창면 대일리(4)에서 북구 산격동 시청 산격청사(3)을 거쳐 북구 동호동 영진교통 차고지(7)까지 운행하는 급행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61.4km.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1998년 개편 이전 수성구 파동에서 봉덕시장과 반월당을 거쳐 동구시장, 동부정류장까지 갔던 10번이 이 노선의 전신이다.[4]

  • 1998년 5월 개편 때 폐선되었다가, 같은해 6월 기존 10번 노선을 사월동까지 연장된 439번 일반버스가 신설되었다. 당시 노선은 '파동[5] - 봉덕시장 - 반월당 - 칠성고가하단 - 경대교 - 동대구시장 - 동대구초교 - 고속터미널 - 동구시장 - 만촌초교 - (무열대, 충의로[6]1/2운행) - 남부정류장 - 사월동(한일운수 차고지)' 구간을 운행했다. 당시 효목동과 만촌동 분리 구간이 상당히 난해했는데, 일부 편도운행으로 동구시장으로 들어갈 때는 지금 156번처럼 효목태왕메트로시티 쪽으로 들어갔다가 효목2동주민센터로 내려왔고, 가창 방향 한정으로 일부는 동구시장 옆길로 들어갔다가 효목2동주민센터로 올라갔다.

  • 1998년 9월 정대리행 외 우록리행과 단산리행 가지노선을 추가했다.

  • 1999년 1월에는 팔조령 인근 범골(삼산리)행 가지노선도 신설됐다.[7]

  • 2002년 경대교~사월동 구간이 통째로 폐지되고 동서변지구 입주에 맞춰 경대교~경대서문~성북교~상수도시설관리소~서변동으로 노선을 변경되었다. 당시에는 현재의 503번, 939번, 북구2번처럼 동서변지구를 S자로 운행했다.

  • 2006년 2월 19일 개편 때 급행으로 형간 전환하여 급행2번으로 변경되었다. 노선도 봉덕시장, 신천동로 구간 대신 수성로로 직선화하고 서변동 구간도 직선화한 후 종점을 칠곡3지구까지 연장되었다.




  • 2013년 12월 20일부터 상동우체국 정류소도 정차한다.[8]

  • 2019년 4월 20일부터 북구 동호동 영진교통 차고지까지 종점이 연장되었고, 수성못코오롱하늘채에도 정차한다.

4. 특징[편집]




  • 북구 칠곡3지구, 무태 지역 수요가 많다. 칠곡과 무태에서 탄 승객들은 주로 경상감영공원, 약령시, 2호선반월당역[9] 정류장에서 대부분 하차한다. 그동안 증차했던 이유도 칠곡3지구, 무태 지역 민원 때문이었다. 이 노선 이외에 시내로 쏴주는 노선들의 특성을 보면 503번은 엑스코와 경북대정문을 거쳐 소요 시간이 많이 걸리며, 706번은 대표적인 가축수송 노선이며, 939번은 산격동 편도 구간, 침산동, 고성동 일대를 돌아서 서문시장, 한일극장으로 가며, 북구2번은 굴곡 문제도 있지만 무엇보다 배차간격이 길다는 단점을 각각 안고 있다. 그에 비해 급행2번은 신속성과 짧은 배차간격으로 무태~시내 수요 상당수를 쓸어간다. 동서변지구에서 급행2번을 타면 시내까지 20분도 안 걸리고, 칠곡3지구에서도 국우터널과 가까운 곳(북구구민운동장 일대)은 시내까지 30분도 안 걸린다. 도남지구, 연경지구가 개발된 이후에는 두 지구 수요까지 몰려들고 있다. 두 지구에서 시내 중심부로 가려는 사람들이 지선 버스를 타고 급행2로 환승하기 때문. 급행2만 전담하는 건 아니고 706번이 보조하고 있다.

  • 수성구가창면에서도 중요한 노선이다. RH 때는 수성구에서 입석 승객까지 태우고 다닌다. 그 외 시간에도 어느 정도 자리는 채우고 다닌다. 수성구 쪽 승객들은 대구은행역과 시내에서 많이 내린다. 북구 쪽으로 가는 승객들도 대구은행역에서부터 많이 타기 시작한다. 수성구/가창 쪽 수요가 적다는 주장은 이제는 옛말이다. 퇴근시간에 이 버스를 대구은행역 주변에서 보면 양방향으로 승객을 가득 태우고 다닌다. 2015년 개편 이전에는 칠곡, 무태 지역과 반대로 수성구, 가창면 일대에서는 704번에 밀려 수요가 많지 않았다.[10] 그러나 2015년 개편 이후에는 수성구 거주민 수요도 많이 늘어났다. 240번은 2015년 개편 후 지속적으로 감차당했을 뿐만 아니라 중구, 남구 구간에서 좁은 도로를 경유하는 굴곡 구간이 있으며, 폐선된 704번을 대체하는 304번도 2015년 개편 후 지속적으로 감차당했고 삼산리로 증차 없이 연장하며 배차간격이 영 좋지 않다. 가창2번신천동로를 경유하여 소요시간 면에서 장점이 있지만 이 노선은 배차간격과 더불어 시내 중심가 구간이 편도 운행 구간이라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11][12] 즉 양 극단에서 폭발적인 수요를 자랑하는 노선인 셈이다.

  • 2006년 개편 초에는 승객이 많지 않았다. 칠곡3지구나 무태 쪽에서도 706번에 수요가 밀려 낮에는 빈 자리가 많이 보였다. 다른 급행 노선들은 장거리 수요가 많던 기존 좌석버스 노선을 승객 이용 패턴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선에서 일부분만 개량한 형태였기 때문에 기존 좌석버스를 이용하던 승객들이 그대로 넘어와서 수요가 많았지만, 이 노선은 일반버스 중에서도 승객이 많지 않은 편이었고 그나마 구간 수요가 많은 편이었던 439번을 계승했고, 직선화된 구간과 변화된 승객 이용 패턴 면에서 신설 노선이나 마찬가지였다. 원래 신설노선이 정착하는 데 시간이 좀 걸린다. 그러나 이후 입소문이 났는지 승객이 점점 많아졌고 그에 따라 증차된 것이다.[13]

  • 장기 정차는 영진교통 종점에서 한다. 대일리종점에서는 10분 대기 후 출발한다. 칠곡차량기지 맞은편에 있으며, 바로 옆에 환승주차장이 있다.

  • 행선지에 대구역네거리가 표시되어 있지만 이 노선은 대구역북편네거리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한다. 이 노선을 타고 대구역으로 가려면 경상감영공원이나 홈플러스 대구점에서 내린 후 다른 노선으로 환승하거나 대구역 지하상가를 횡단하여 대구역으로 이동해야 한다.

  • 영진교통에서 가창 방향으로 운행할 때에는 칠곡경대병원 후문을 경유하고 반대 방향은 학정삼거리로 운행한다.


  • 칠곡경대병원 후문 종점에서 회차시 도로가 좁은 관계로 교통 흐름을 막는 게 불가피한 데다가 2016년 말 후문 앞에 병원 직원을 위한 어린이집이 개원할 예정이고, 2017년 11월에는 병상 700개가 포함된 경대병원 임상실습동이 들어설 예정이어서 종점 이전 압박이 거세게 일고 있다.관련 기사 결국 영진교통북구 동호동 칠곡차량기지사업소 근처로 차고지를 이전하면서 종점이 연장되었다.

  • 이 노선이 운행하는 수성구 파동 일대는 공배 중인 두 회사의 차고지가 있었던 동네다.

  • 무태, 칠곡3지구 수요 때문인지 2017년에 하차단말기가 하나 더 장착됐다.

  • 뒷문 이후로 의자가 5열 박힌 버스가 가장 오래 운행될 노선이다. 이 노선에 운행 중인 NEW BS106 초기형 차량도 뒷문 이후로 의자를 5열 박아서 출고되었기 때문. 당연히 의자 간격이 극악이라 버덕이든 일반인이든 다 싫어한다. 거기다가 앉은 자리가 뒷바퀴 위에 있는 의자라면 신체고문이 따로 없다.200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대우차는 이게 기본 사양인 듯 대부분 뒷문 이후 5열로 출고되어 나왔지만 다행히도 2010년대 중반 이후로는 뒷문 이후 4열로 출고되어서 나오고, 2015년 개편으로 급행버스 운행을 위해 개조된 버스들 중에서도 5열로 개조된 버스는 없다.

  • 2013년 11월 18일 ~ 2020년 3월 1일까지는 성보교통 운행노선들 중 유일하게 서구를 가지 않았다.[14][15]


  • 운행하는 두 업체 다 북구 검단동 일대에 있다가, 영진교통은 더 북쪽으로 올라가 북구 동호동으로 이전했으나 두 업체 중 어느 곳도 급행2번의 노선 트레이드를 하지 않고 있다. 그럴만한 것이 영진교통은 칠곡으로 이전하면서 자사 차고지가 급행2번의 기종점 역할을 하고 있는데다 성보교통 역시 중간종료 지점이 하나같이 신천대로 출입구 바로 옆이라 신천대로라는 스킬을 거의 치트키 수준으로 써먹을 수 있어서 가창이나 상동에서 종료하더라도 성보교통까지 걸리는 시간이나 거리가 월등히 짧기 때문이다. 역으로 가창이나 상동에서 종료한 차량이 세왕교통까지 공차회송 하는 거리, 시간마저 성보교통으로 가는 것과 차이가 적어서 가창권 노선임에도 세왕교통이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16][17]

  • 시내버스 탑재형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설치되어 있는 노선 중 하나이다.


4.1. 일평균 승차량[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2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9,246명
-
2015년
8,595명
▽ 651
2016년
8,936명
△ 341
2017년
8,440명
▽ 496
2018년
7,386명
▽ 1,054
2019년
7,892명
△ 506
2020년
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
6,102명
▽ 1,790
2022년
6,259명
△ 157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Daegu1.svg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반월당역, 중앙로역, 대구역[경상감영공원]
  • 파일:Daegu2.svg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대구은행역, 경대병원역, 반월당역
  • 파일:Daegu3.svg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수성시장역[18], 칠곡경대병원역
  • 일반 철도역 : 대구역(무궁화호, ITX-새마을)[경상감영공원]

6.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21:18:13에 나무위키 대구 버스 급행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성보교통 9대 / 영진교통 13대[2] 토요일 21대 / 공휴일 17대 운행[3] 정류소명은 산격주공아파트[4] 1984년 고정배차 시절 10번 노선은 현대교통, 일신교통, 세운버스(1988년 즈음 10번에서 철수)에서 운행했다. 이 중 일신교통(현 영진교통)은 현재에도 급행2번을 운행 중이다.[5] 정대리 지원운행[6] 현재의 937번의 단독 구간이다.[7] 이 노선은 가창2번으로 분리되었다가 405번이 삼산리로 연장된 후 폐선되었다.[8] 현재는 가창 방면 한정으로 정류소 이름은 수성동일하이빌정문으로 변경되었다.[9] 2호선 반월당역 환승 수요도 꽤 많을 것으로 보인다. 무태나 산격1동에서 2호선으로 갈아타려면 급행2번이 가장 좋은 선택지이기 때문. 다른 노선들은 굴곡도가 매우 높다.[10] 2006년 개편 직후 칠곡, 무태에서 706번에 밀려 수요가 많지 않았던 것과 유사하다. 704번은 칠곡 수요도 많았고 이 때문에 꾸준히 증차되어 배차간격이 짧았고, 저상버스를 투입하지 못했다.[11] 시내~파동/가창 구간을 이용하기 위해 가창2번을 타는 승객은 별로 없다.[12] 시내 중심가 구간이 편도 운행 구간이라 어르신들이 대구역에서 가창 가냐고 기사들에게 물어보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칠성고가도로가 기점이므로 대구역에서 가창 방면으로 가려면 전철이나 101-1번, 401번, 618번, 708번, 808번, 980번을 타고 칠성시장으로 이동한 후 환승해야 한다.[13] 2015년 개편 초기 급행5번518번에 승객이 뒤쳐저 많이 까였던 상황과 비슷하다.[14] 평일 출근시간대 맞춤노선인 4010번을 제외할 경우[15] 북구1번도 얼핏 보기에는 서구를 지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검단동 방향의 공단역 ~ 만평네거리 구간이 서구 비산7동 소재다. 그리고 2015년 개편 이전에 전담한 708번의 경우에는 대구대 방향의 공단역 ~ 고성아파트서편 구간이 서구 비산동/원대동 소재다.[16] 세왕교통은 현재 급행 노선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17] 참고로 성보교통은 물론 영진교통도 과거 차고지가 가창/파동 쪽이라, 과거에는 지금과는 정반대로 칠곡에서 가창까지의 공차회송 거리가 만만치 않았다. 물론 마찬가지로 신천대로가 있어서 빨랐겠지만.[경상감영공원] A B 정류장 하차 후 환승 혹은 도보로 대구역 지하상가를 통해 이동. 아니면 대구삼성창조캠퍼스 정류장 하차 후 환승해도 된다. 대구역북편네거리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기 때문이다.[18] 동성초등학교에서 하차해서 걸어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