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대로

덤프버전 :








대한민국의 일반국도
48번 국도
강화 방면
강화대로

김포대로
(장기교차로~강화대교)

서울 방면
태장로
48번 국도
강화 방면
태장로

김포대로
(태리교차로~개화교)

서울 방면
개화동로

1. 개요
2. 구간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에서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포내리를 잇는 총 거리 약 30.6km의 도로이다.

2006년 장기지구 조성으로 김포 원도심(김포본동~고촌읍 일대 택지지구)을 우회하는 도로인 태장로(김포 우회도로, 장기동~고촌읍 신곡IC) 구간이 새로 건설되면서, 김포 원도심 내 김포대로 구간(신곡IC~장기동)은 48번 국도에서 해제되었다.

도로명의 유래는 원래 김포국제공항으로 가는 공항대로를 일컫던 김포가도라는 말이 이후 김포시를 거쳐 강화도로 연결되는 48번 국도 구간까지 의미가 확장되어 사용되기 시작했고, 이후 김포시에서 가로명을 제정할 때 이를 반영하여 김포대로로 명명하였다.

김포한강로의 개통 이전에는 김포의 유일한 간선도로였다. 때문에 시가지가 48번 국도 연선에 주로 조성됨으로써 난개발을 조장했고, 2000년대 이후 풍무지구 및 고촌지구, 김포한강신도시가 조성되며 그나마 한산하던 일부 지역마저 대거 개발되어 도로 자체가 헬게이트가 되고 말았다. 김포 시내구간인 걸포동~선수삼거리 구간은 그나마 낫지만, 김포 우회도로(태장로)와 만나는 고촌읍 구간은 그야말로 헬게이트. 김포 골드라인 공사할 당시에는 차선을 가변제로 운영하기 시작했고 더 막혔었다. 김포한강로가 끝나고 양곡으로 직결되는 도로 및 김포시 양촌읍, 통진읍, 월곶면을 지나 강화대교를 건너 강화도로 연결되는 구간도 병목현상으로 인해 일부가 상습정체구역이다.

원래 전구간 48번 국도가 되어야 했으나, 도로명주소 고지 및 시행 이전에 우회되어 현재 48번 국도 김포시내 구간은 태장로에 지정되어 있는 실정이다.

김포대로 일부 구간에 김포 골드라인가 지나간다.

2. 구간[편집]


  • 붉은 색을 제외한 모든 구간은 48번 국도 구간이다.
동쪽 기점
소재지
이름
접속 노선
국도/지방도






개화동
[1]
개화동로
(92번 서울특별시도)



전호리
고촌 나들목
벌말로
(39번 국도)

김포아라대교 (아라뱃길)









신곡리
김포IC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신곡사거리
고촌역
김포대로320번길
인향로

천등고개사거리
수기로
고송로

태리
천등교차로
신곡로

장곡교차로
장곡로

태리교차로
태장로
(48번 국도)

풍무동
선수삼거리
풍무1로 77

풍무역
풍무1로 55
사우1교 (김포대수로)


사우동
신사우삼거리
풍무로
(307번 지방도)

사우사거리
사우지하차도
사우역
사우중로
북변동
[2]
걸포사거리
북변로
홍도평로
걸포삼거리
걸포북변역
걸포로
북변사거리
중봉로
나진교 (나진포천)


장기동
나진나들목
고양대로
(98번 지방도)

검은다리사거리
용주물로
장기교차로
태장로
(48번 국도)
(356번 지방도)
356번 지방도
중첩

운양동
장기사거리
김포한강2로
전원로
한강로사거리
김포한강1로
벌산교차로
김포한강6로




누산리
누산사거리
해평로
누산로
누산교차로
양곡로
(356번 지방도)
누산삼거리
김포대로1759번길

누산교 (봉성보천)



흥신리
서김포통진IC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인천김포고속도로)




수참리
하성삼거리
하성로

도사리
도사2리사거리
도사동교차로


마송초교교차로
흥신로
(355번 지방도)

마송리
통진중고사거리
조강로

마송우회도로사거리
서암로

마송현대아파트
김포대로2270번길

담터사거리
조강로

옹정리
옹정삼거리
김포대로2435번길




갈산리
오리정입구
갈산삼거리
군하로

갈산사거리
군하로

군하교 (포내천)



군하리
김포CC삼거리
군하로
(56번 지방도)

포내리
김포대학입구
김포대학로

성동검문소
김포대로3023번길

성동마을입구
문수산로

강화대교 (서해)
서쪽 종점 (강화대교, 강화대로 직결)


3.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04:11:48에 나무위키 김포대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나들목 형태이나 교차로 이름이 없다.[2] 걸포동과의 경계를 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