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궁 태령전

덤프버전 :

분류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271호 경희궁
경희궁 태령전
慶熙宮 泰寧殿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45 (신문로2가)
건축시기
1744년 이전 추정 (창건) / 2001년 (복원)

파일:external/hyulimbook.co.kr/%ED%83%9C%EB%A0%B9%EC%A0%84(%EC%97%AC%ED%96%89%ED%8E%B8%EC%A7%80).jpg}}}
태령전
1. 개요
2. 이름
3. 역사
4. 구조
5. 여담



1. 개요[편집]


경희궁에 있는 어진 봉안소[1], 즉 진전(眞殿)이다. 자정전의 서쪽에 있다. 정조는 《경희궁지》에서 태령전을 “자정전 서쪽에 있으며 임금님의 어진을 봉안하는 곳이다.”라고 소개했다.


2. 이름[편집]


'태령(泰寧)' 뜻은 '넉넉하고(泰) 편안하다(寧)'이다. 현재의 현판은 2001년 복원할 때 석봉 한호글씨를 모아 만들었다.[2]

'태전'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물론 ''의 원래 발음이 '녕'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태전'이 맞다. 하지만 예전부터 '寧'의 앞 글자가 받침이 없는 경우 활음조 현상으로 인해 '령'으로 읽고 썼기 때문에[3] 이를 반영한 태전으로 부르는 게 적절하다. 이 문서명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표기인 경희궁 태령전이지만, 태녕전으로 검색해도 들어올 수 있게 했다.


3. 역사[편집]


원래 이 일대에는 상례 공간이었던 읍화당(挹和堂)이란 건물이 있었다. 읍화당은 1731년(영조 7년)까지 기록에서 존재가 확인되나# 그 이후 역사에 대한 자료는 찾아볼 수 없다. 태령전이 기록에서 처음 보이는 것은 1744년(영조 20년) 8월 20일 자 《영조실록》 기사이다. 저 때 중수했다는 내용인데, 이로 미루었을 때 읍화당을 고쳐짓고 태령전으로 이름을 바꾸었을 가능성이 크다. 영조는 평생에 걸쳐 총 13점의 초상화를 남겼는데, 그 중 7점을 태령전에 봉안했다.#

1776년(영조 52년) 영조가 승하하자 정조는 태령전과 그 일대를 영조의 장례공간으로 활용했다. 우선 혼전을 이곳에 두었고#[4] 태령전 근처에 재실 도수연을 세웠다.#, 또한 정조 자신이 머물 여막을 태령전 남쪽 행각에 두었고# 인산 날 여기서 망곡례를 행했다.#

1786년(정조 10년)에는 사망한 문효세자의 혼궁[5]을 이 곳에 두고 일종의 위령제인 재우제(再虞祭)[6]를 지냈다.# 1836년(헌종 2년)에는 종묘의 영녕전을 증축공사하면서, 잠시 제1실 ~ 제8실에 있던 신주의 일부를 모시는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이후 기록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고종 시기 경복궁을 중건할 때 경희궁건물들을 헐어다 자재로 쓰면서 사라졌다. 근거는 다음 기록에서 찾을 수 있다.

서궐(경희궁) 내에는 숭정전, 회상전, 정심합(正心閤), 사현합(思賢閤), 흥정당만 남기고 그 나머지는 모두 헐었다. 목재를 가져오니 다수가 썩었다. 이 가운데 좋은 것을 골라서 (경복궁의) 나인간(內人間)과 각사의 건조에 사용했다.

《경복궁 중건일기》

일제강점기 이후 태령전 자리에 경성중학교[7]가 들어섰고 해방 후에는 서울고등학교로 바뀌었다. 1980년대에 서울고등학교가 지금의 서초구 효령로로 이사간 후 서울특별시문화재청에서 2001년에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4. 구조[편집]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궐도 태령전.png}}} ||
《서궐도안》을 채색한 《서궐도》의 태령전
자락에 자리잡은 지형의 특성 상, 기단을 두 단으로 쌓았다. 아랫 단은 장대석을 세 벌 쌓았고 윗 단은 두 벌을 쌓았다. 계단은 정면에 윗 단 3벌, 아랫 단 3벌을 합쳐 총 6벌이 놓여있고, 측면에는 윗 단 1벌, 아랫 단 1벌을 합쳐 총 2벌이 놓여있다.

  •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이다. 공포는 이익공 양식으로 되어있으며 공포 사이마다 화반을 두고 틈새를 으로 막았다.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는 양상바름을 하고 그 위에 취두와 용두, 잡상을 올렸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태령전 뒷면.png}}} ||
태령전 뒷면
3면이 전부 띠살 창호로 된 으로 되어 있다. 문 위엔 교창을 두었다. 뒷면의 경우만 다른데 양 끝 가장자리 칸은 문을 달았으나 가운데 3칸에는 중인방을 두고 그 위, 아래를 으로 마감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태령전 내부.png}}} ||
태령전 내부
정면 5칸, 측면 2칸의 총 10칸으로 실내는 전부 뚫려 한 공간으로 쓸 수 있게 했다. 영조의 진전이었던 점을 반영하여 2001년 복원한 후 이 곳에 영조 어진의 모사본[8]을 전시 중이다. 훼손을 막기 위해 사방을 유리로 막았다.


5. 여담[편집]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희궁 서암.jpg}}} ||<width=494>
파일:서암의 샘.png
[1] 奉安所. 보관하고 모시는 곳.[2] 이것을 집자(集字)라고 한다.[3] 대표적인 예로, 인명으로는 무령왕(武寧王), 효령대군(孝寧大君), 이어령(李御寧) 등을, 이외에는 보령군(保寧郡), 고령가야(古寧伽倻)를 들 수 있다. 자세한 것은 '' 항목 참조.[4] 이 때 태령전에 보관 중이던 어진을 임시로 태령전 서쪽에 있는 위선당이란 곳에 옮겨 모셨다. 이후 어진경현당을 거쳐# 창덕궁 선원전으로 옮겨갔다.#[5] 왕이 되지 못하고 죽었으므로 혼'전(殿)'으로 부르지 못하고 혼궁이라 했다.[6] 시신을 무덤에 안장한 후 신주를 만들어 혼령을 안정시키는 제사를 우제(虞祭)라고 한다. 제우제는 하관(下棺) 후 두 번째로 지내는 우제이다.[7] 현재 마포구 연남동에 있는 경성중학교와는 전혀 다르다. 그 곳은 1967년 개교했으며 한자가 '景'城으로 다르다.[8] 摹寫本. 베껴 그린 그림.
태령전 뒤에 있는 서암
서암의 샘
태령전 뒤에 큰 바위가 있다. 정조가 지은 《경희궁지》에는 “태령전 뒤에는 암천(巖泉, 바위 )의 좋은 경치가 있다.” 고 적혀있는데 바로 그 바위이다. 경희궁이 창건되기 훨씬 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이름은 서암(瑞巖)이다. 원래 이름은 기운이 서려 있다는 뜻의 왕암(王巖)이었다. 광해군경희궁을 짓게 한 새문동[9] 왕기설의 근원이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을 정도.[10] 지금 이름인 서암은 숙종이 상서로운 기운이 서린 곳이라는 의미를 담아 지은 것이다. 자세한 것은 서암 문서 참조.
[9] 경희궁 일대가 돈의문(서대문) 바로 안쪽에 위치한다. 돈의문의 별칭이 새문이었기에 그 부근을 새문동이라 불렀다. 자세한 것은 돈의문 항목 참조.[10] 그래서 새 궁궐 짓는다며 원래 이 자리에 있던 정원군(광해군이복 동생)의 을 빼앗았고, 정원군은 화병으로 사망했다. 나중에 정원군의 아들 능양군이 광해군을 몰아내고 인조로 즉위하면서 뺏긴 집을 도로 다시 찾은 모양새가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경희궁
경희궁
문서의 r32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5;"
, 5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5;"
, 5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4:06:28에 나무위키 경희궁 태령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