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육군

덤프버전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fff" 파일:필리핀 국기.svg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
필리핀
관련 문서
<^|1><height=34><colcolor=#000,#fff><bgcolor=#fff,#1f2023>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가 · 국기 · 국장 · 필리핀수리
역사역사 전반 · 필리핀 도독령 · 필리핀 제도 미국군정부 · 필리핀 제도 도민정부 · 필리핀 자치령 · 필리핀 행정위원회 · 필리핀 제1공화국 · 필리핀 제2공화국 · 필리핀 제3공화국 · 필리핀 제4공화국
정치정치 전반 · 헌법 · 말라카냥궁 · 대통령 · 대통령 선거 · 필리핀 의회(상원, 하원) · 에드사 혁명
외교외교 전반 · ASEAN · APEC · IPEF · 미국-필리핀 상호방위조약 · 여권
경제경제 전반 · 필리핀 페소 · 경제 성장 · 수빅경제특별구역 · 넥스트 일레븐
국방필리핀군(육군 · 해군 · 공군) · 호세 리잘급 호위함
문화문화 전반 · 필리핀어 · 필리핀 영어 · 요리(시니강 · 람바녹 · 산 미겔 · 탄두아이 · 레촌) · PBA · 필리핀 축구 국가대표팀 · 졸리비 · 공휴일 · 필리핀 무술
관광관광 전반 · 보라카이 · 세부 · 비간 · 교회 · 지하 강
인물호세 리잘 · 니노이 아키노 · 라몬 막사이사이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 에밀리오 아기날도 · 라푸라푸 · 매니 파퀴아오
지리말레이 제도(루손섬 · 민다나오섬) · 메트로 마닐라 · 피나투보 화산 · 타알 화산
교통교통 전반 ·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 · 필리핀항공 · 세부퍼시픽 · 지프니
교육교육 전반 · UP 시스템
치안·사법필리핀 국가경찰
민족필리핀인 · 필리핀계 미국인 · 중국계 필리핀인
기타마라위 전투 · SM 슈퍼몰

}}}

필리핀 육군
Hukbong Katihan ng Pilipinas
Philippine Army
파일:필리핀 육군 엠블럼.svg
설립1935년
현역101,000명
예비군100,000명
주요임무필리핀 국토 방위, 지상전
현 육군 참모 총장안드레스 C. 센티노
통수권자봉봉 마르코스
군기파일:필리핀 육군기.svg
홈페이지https://www.army.mil.ph/
참전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
CPP-NPA-NDF 반란
모로 분쟁
1. 개요
2. 장비
2.1. 기갑차량
2.2. 보병장비



1. 개요[편집]


필리핀 육군은 필리핀군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조직이다. 2022년 기준으로, 지상전을 담당하는 20만여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다. 1935년 필리핀 자치령 육군으로 출발해 필리핀 공산당 반란모로 분쟁, 베트남 전쟁 등 국내외 전쟁과 반군 소탕작전에 참여해왔다.


2. 장비[편집]






파일:필리핀 국기.svg 현대 필리핀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기타 전차경전차사브라 | M41 워커 불독R | M5A1 스튜어트R
중형전차M4A1R · M4A3 셔먼R | M4 컴포지트 헐R
장갑차차륜장갑차{VBTP-MR 과라니} | 판두르 II 사브라 | CS/VP3 빅풋 | V-300 Mk.II FSV해병 | GKN 심바 | V-150(S) | M8 그레이하운드R | M3A1 스카웃 카R
궤도장갑차{ASCOD 2 CV} | KAAV7A1해병 | M113(A1/A2+) FSVM | M113A2+ IFVM | AIFV-25 | PIFV-12.7 · ACV-15 AAPC | M113(A1/A2/A2+) | LVTH-6해병 | M3 하프트랙R
차량소형
ATV}}} 가와사키 테릭스 | 캔암 디펜더 맥스 TX HD10
IMV}}} 험비육·해병 | BJ2022 | KLTV육·해병/D | MX-8 | KM450 | MMPV해병 | M151해병
민수용}}} 토요타 하이럭스 | 닛산 나바라 D23 · D40 | 미쓰비시 L200 | 델타 미니크루저해병
트럭
군용}}} KM250 | KM500 | M939 | M916A1 | M809 | M35(A1/A2/A3) · M36 · M59 덤프 | M52 | GAZ-3308 | 우랄-4320D | 둥펑 EQ2082 · EQ2102 | 시노트럭 ZZ2167D · ZZ2057D
자주포자주곡사포ATMOS 2000
자주박격포M125A2 카돔M
대전차 자주포M18 헬캣R | M3 GMCR
대공 차량자주대공포M16 MGMCR
다연장로켓K-136 구룡D
공병 차량구난차량ASCOD 2 ARV | YPR-806 · ACV-15 ARV | KM250 견인차 | M916A1 견인차 | M826 견인차 | M60 LWB 견인차
AEVFNSS 쿤두즈
교량 차량메르카바 AVLB | 노린코 GQL-111 TLB
기타KM452 정비샵 | M936 정비샵 | M109A3 정비샵 | LARC-V 수륙양용 운반차해병 | GKN 아쿠아트랙 수륙양용 운반차해병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D: 공여받은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육군






2.1. 기갑차량[편집]


필리핀 육군의 전차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ASCOD 2 사브라경전차스페인 / 이스라엘1대17대최대 144대 도입 계획
판두르 II 사브라차륜형 경전차체코 / 이스라엘10대
필리핀 육군의 장갑차량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M113A1/A2 FSV화력지원차량미국 / 이스라엘18대
M113A2 IFVIFV미국 / 이스라엘3대
AIFV-25IFV미국38대
PIFV-12.7IFV미국13대
ACV-15APC튀르키예6대
VBTP-MR 과라니APC브라질28대
M113A1APC미국50대
M113A2APC미국114대
M113A2+APC미국20대
필리핀 육군의 포병장비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K-136다연장로켓대한민국18문
ATMOS 2000자주곡사포이스라엘12문
카돔 120자주박격포이스라엘15문
카돔 81자주박격포이스라엘5문


2.2. 보병장비[편집]


파일:attachment/필리핀군/2.jpg

필리핀 육군 특수임무대의 모습. 이들은 특수부대인만큼 필리핀군 내에서 최정예라 사진 제일앞의 병사가 들고있는 것처럼 M4A1을 지급받는다. 하지만 몇몇 병사들만 그렇고 사진 오른쪽에서 두 번째 병사가 손에 쥐고 있는 것처럼 M16A1에 삼각형 총열덮개가 부착된 3~40년 넘어가는 AR 계열도 여전히 사용중이다. 그래도 국가에서 취급 잘해주는 정예군이라고, 대한민국이 특전사에게 일반 전투복과는 다른 특전복을 지급하듯이 타 부대와는 다른 특이한 패턴의 전투복을 지급받는다. 다만 다른 장비들까지 완전히 다른 물건을 줄 순 없었는지 군장은 일반 보병들이 쓰는 하네스에 자신들이 입는 옷의 위장색과 맞추기 위한 흰칠을 조금씩 해서 사용한다.

파일:Screenshot_20200905-023947_YouTube.jpg

필리핀 내 반군과의 전쟁을 다룬 바이스 다큐멘터리. 최근에는 그래도 디지털 컴뱃셔츠에 옵스코어도 간간이 착용한다. M653이라는 M16A1 카빈을 사용하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필리핀군 문서의 r23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필리핀군 문서의 r23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21:10:17에 나무위키 필리핀 육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