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지로 티탄 (r1판)

편집일시 :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JRA상 최우수 부내국산마

[ 펼치기 · 접기 ]
유슌상
1982
메지로 티탄
1983 · 1984
미스터 시비 >

1985 · 1986
미호 신잔
JRA상
1987
미호 신잔
1988 타마모 크로스

1989
뱀부 비긴
1990
야에노 무테키
1991
토카이 테이오 >

1992
메지로 파머

1993
야마닌 제퍼

1994
네하이 시저

1995
후지야마 켄잔

1996
플라워 파크

1997
메지로 도베르

1998
메지로 브라이트

1999
에어 지하드
2000
다이타쿠 야마토 --
2001
없음-- >

2002
토카이 포인트

2003
히시 미라클

2004
델타 블루스

2005
세자리오

2006
카와카미 프린세스

2007
다이와 스칼렛
2007년을 끝으로 폐지되었다.

파일:titan02.jpg
이름メジロテイターン
Mejiro Titan
출생1978년 3월 22일
죽음2009년 10월 13일 (31세)
성별수컷
털색회색 (芦毛,아시게)
아비메지로 아사마(メジロアサマ)
어미셰릴(Cheryl)
외조부스놉(Snob)
생산자메지로 목장
마주메지로 상사 주식회사
조교사오가타 토키치 (미호) → 오가타 모리츠구 (미호)
성적27전 7승
총상금1억 7550만 8000엔
주요
우승
팔대경주천황상 (가을)(1982)
중상닛케이상(1982)
세인트라이트 기념(1981)
수상1982년 유슌상 최우수 부내국산마
대표 자마메지로 맥퀸 (1987)
상세 정보파일:netkeiba_logo.png | JBIS

1. 개요
2. 혈통
3. 생애
3.1. 종마 생활
3.1.1. 주요산구
4.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일본의 경주마. 메지로 아사마 - 메지로 티탄 - 메지로 맥퀸으로 이어지는 부자 3대 천황상 제패를 달성한 말이다. 특히 메지로 아사마 - 티탄의 천황상 우승은 조교사 오가타 토키치[1] - 모리츠구, 기수 이토 세이지로 - 마사노리 모두 부자 제패라는 진귀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이름은 고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신족 "티탄"에서 따왔다.

2. 혈통[편집]


1대2대3대
메지로 아사마
メジロアサマ
1966
Partholon
196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Milesian
Paleo
Sweet Sixteen
1951 파일:미국 국기.svg
First Fiddle
Blue Eyed momo
Cheryl
1971 파일:프랑스 국기.svg
Snob
1959 파일:프랑스 국기.svg
Mourne
Senones
Chanel
1961 파일:프랑스 국기.svg
Pan
Barley Corn

모마 셰릴은 메지로 라이언의 외조모이기도 하다.

3. 생애[편집]


셰릴은 프랑스산 말로 키타노 토요키치가 거액으로 사들여 프랑스에서 현역 9전 2승을 기록하고 메지로 목장에서 번식암말로 활동했다. 1977년 셰릴과 메지로 아사마와 교배를 결정했는데 이는 메지로 아사마의 자마로 천황상을 잡고 싶었던 키타노의 의지였지만 프랑스에서 비싸게 사 온 메지로 목장의 대표 암말을 수태율도 낮은 아사마와 굳이 배합한다며 빈축을 샀고 이는 메지로 목장 내에서 조차 같은 생각이었다.

그렇게 태어난 메지로 티탄은 당시 메지로 목장 내 퍼진 불명의 X성 장염으로 동기 6마리가 죽는 가운데 다행히 걸리지 않아 살아남았다. 조교가 늦어저 1981년 4세(현 3세) 1월에 데뷔했으나 한동안 불안한 성적으로 봄의 클래식 경주에는 참가할 수 없었다. 8월부터 연승을 하고 세인트 라이트 기념을 승리하면서 첫 중상승리를 기록했고 경기 직전 오가타 토키치가 사망해 아들 오가타 모리츠구의 담당이 되었다. 이 승리로 킷카상도 기대되었지만 골절이 판명되어 휴양에 들어갔다.

1982년 1월부터 조교에 들어갔지만 조정이 늦어 4월에 복귀한 아르헨티나 공화국배 패전으로 천황상 봄을 포기했다. 이 후 들쭉날쭉한 경기로 질 때는 맥없이 지고 이길 때는 압승하는 잠재력은 있지만 변덕스러운 말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4번 인기로 나간 천황상 가을에서는 제3 코너에서 마크하던 쿄에이 프로미스가 주춤하는 것을 보고 롱 스퍼트를 걸어 직선 주로에서 선두에 섰고 그대로 쭉 달려 히카리 듀얼에 1.5마신 차 레코드 승리를 거두며 키타노가 염원하던 천황상 부자제패를 달성했다.

이 후로는 이듬해까지 현역으로 뛰었지만 범주를 계속 했을 뿐으로 1승도 더 올리지 못했다. 1983년 1월 15일 앰버 샤다이와 함께 은퇴식을 치르고 종마가 되었다.

3.1. 종마 생활[편집]


메지로 목장의 창업주 키타노 토요키치는 1984년 죽을 때 메지로 티탄의 자식으로 천황상을 이겨달라는 유언을 남겼으며, 그의 사후 메지로 목장은 토요키치의 꿈을 목장의 목표로 삼았다. 그리고 메지로 티탄의 자마 메지로 맥퀸이 1991년 천황상(봄)을 우승하며 메지로 아사마-메지로 티탄-메지로 맥퀸으로 이어지는 3대 천황상 제패를 성공한다.

2000년에 종마를 은퇴하고, 고향인 메지로 목장에서 공로마로 여생을 보내다가 2009년 10월에 노환으로 죽었는데, 당시 나이가 무려 31살로, 아들 메지로 맥퀸이 죽은 2006년보다도 3년이나 더 살았다.[2]

3.1.1. 주요산구[편집]


1985년산
  • 메지로 마샤스 - 하코다테 기념(1991)
1987년산
1991년산
  • 파리스 나폴레옹 - 머큐리 컵(1997)
1995년산
  • 아토믹 썬더 - 도쿄 더비(1998), 토츠카 기념(1998)


4. 경주 성적[편집]


경주일경마장
경기명
트랙
확률인기착순기수1착마
(2착마)
1981년 (4세, 현 3세)
1.25도쿄4세 신마더트 1400m5.943착우스이
타케시
에나 오기
2.7도쿄4세 신마더트 1200m212착아메리칸 샘
2.15도쿄4세 신마더트 1200m3.722착라이징
레이디
3.7나카야마4세 미승리잔디 1200m1.611착(셀머 로드)
3.29나카야마4세이하 4백만더트 1200m3.314착라이징 레이디
6.13삿포로4백만 이상더트 1500m6.624착이토
마사노리
빙고 하이든
6.27삿포로4백만 이상더트 1500m631착(마블 신세이)
7.12삿포로4백만 이상더트 1500m12.555착트랙 세이하
8.9하코다테4백만 이상잔디 1800m8.431착(아사 맥)
8.22하코다테HTB상잔디 2000m321착(리키 산 산)
9.27나카야마세인트라이트 기념잔디 2200m19.551착(산에이 솔론)
1982년 (5세, 현 4세)
4.4나카야마아르헨티나 공화국 컵잔디 2500m11.936착마스자와
스에오
미나가와 만나
5.16도쿄닛케이상잔디 2500m5.211착이토
마사노리
(캔디 라이트)
6.6한신타카라즈카 기념잔디 2200m319착몬테 프린스
8.29하코다테하코다테 기념잔디 2000m7.336착카즈시게
9.26나카야마올커머잔디 2000m315착토도로키 히호
10.10도쿄마이니치 왕관잔디 2000m10.445착쿄에이 프로미스
10.31도쿄천황상 (가을)잔디 3200m10.941착(히카리 듀얼)
12.26나카야마아리마 기념잔디 2500m6.628착히카리 듀얼
1983년 (6세, 현 5세)
1.23나카야마아메리카 자키 클럽 컵잔디 2500m8.448착이토
마사노리
앰버 샤다이
2.20도쿄메구로 기념 (봄)잔디 2500m5.116착오사키
쇼이치
토쇼 갓
3.13나카야마나카야마 기념잔디 1800m6.824착에이티 토쇼
4.3나카야마아르헨티나 공화국배잔디 2500m7.444착미나가와 만나
5.15도쿄닛케이상잔디 2500m1.713착아사히 테이오
11.12도쿄4세 이상 오픈잔디 1800m20.532착이토
마사노리
에이티 토쇼
11.27도쿄재팬 컵잔디 2400m29.8812착스타네라
12.25나카야마아리마 기념잔디 2500m20.806착리드 포 유
[1] 엄밀히 말하면 메지로 아사마가 천황상에서 우승했을 때에는 오가타 토키치의 주전 기수였다가 조교사로 신규 개업한 야스다 타카요시에게 보내진 후였다.[2] 다만 이는 맥퀸이 심부전으로 갑작스레 단명한 것도 감안해야된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천황상 가을|{{{#fff 천황상 가을

(팔대경주)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
3
2
0
0
m
4세 이상 (연령 표기는 현재 기준)
1937
해피 마이트
1938
히사토모 >

1939
테츠몬
1940
로키 모어
1941 에스테이츠

1942
니 파투아

1943
쿠리 히카리 ~~

1944~1946
없음~~

1947
토요 우메

1948
카츠 후지

1949
뉴포드
1950
야시마 도터
1951
하타카제 >

1952
트랙 오

1953
퀸 나루비

1954
오팔 오키드

1955
다이나나 호슈

1956
미드팜

1957
하쿠치카라

1958
셀룰로스

1959
가넷
1960
오테몬
1961
타카마가하라 >

1962
쿠리히데

1963
류 포렐

1964
야마토 쿄다이

1965
신잔

1966
코레히데

1967
카부토 시로

1968
니트 에이트

1969
메지로 타이요
1970
메지로 아사마
1971
토메이 >

1972
야마닌 웨이브

1973
타니노 치카라

1974
카미노 테시오

1975
후지노 파시아

1976
아이풀

1977
호쿠토 보이

1978
텐메이

1979
쓰리 자이언츠
1980
프리티 캐스트
1981
호요 보이 >

1982
메지로 티탄

1983
쿄에이 프로미스
2
0
0
0
m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 지정 후
1984
미스터 시비
1985
갤럽 다이나 >

1986
사쿠라 유타카 오
3세 이상
1987
닛포 테이오
1988
타마모 크로스 >

1989
슈퍼 크릭
1990
야에노 무테키
1991 프레크라스니

1992
레츠 고 타킨

1993
야마닌 제퍼

1994
네하이 시저

1995
사쿠라 치토세 오

1996
버블껌 펠로우

1997
에어 그루브

1998
오프사이드 트랩

1999
스페셜 위크
2000
티엠 오페라 오
2001
아그네스 디지털 >

2002 · 2003
심볼리 크리스 에스

2004
젠노 롭 로이

2005
헤븐리 로맨스

2006
다이와 메이저
국제 GI 지정 후
2007
메이쇼 삼손
2008
보드카 >

2009
컴퍼니
2010
부에나 비스타
2011 토센 조던

2012
에이신 플래시

2013
저스터웨이

2014
스필버그

2015
러블리 데이

2016
모리스

2017
키타산 블랙

2018
레이 데 오로

2019 · 2020
아몬드 아이
2021
에프포리아
2022 · 2023
이퀴녹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닛케이상|{{{#fff 닛케이상

()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1953
타카하타
1954
후소 >

1955
쿠리 치카라

1956
후쿠류

1957
하쿠치카라

1958
온워드 데어

1959
히시 마사루
1960
오테몬
1961
호마레보시 >

1962
온슬로트

1963
야마노 오

1964
야마토 쿄다이

1965
후지 이사미

1966
스피드 킹

1967
스피드 심볼리

1968
히시 야쿠신

1969
라이트 월드
1970
아카네 텐류
1971
마키노 호프 >

1972
카츠 타이코

1973
토요 아사히

1974
타케쿠마 히카루

1975 · 1976
화이트 폰테인

1977
그린 그래스

1978
카네 미노부

1979
단켄지
1980
호요 보이
1981
웨스턴 제트 >

1982
메지로 티탄

1983
아사히 테이오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 지정 후
1984
하야테 미그
1985
심볼리 루돌프 >

1986
체스넛 밸리

1987
미호 신잔

1988
메지로 풀마

1989
런닝 프리
1990
오스미 샤다이
1991
키리 상시 >

1992
메지로 라이언

1993
라이스 샤워

1994
스테이지 챔프

1995
인터 라이너

1996
홋카이 루소

1997
로젠 카발리에

1998
텐진 쇼군

1999
세이운 스카이
2000
레오 류호
2001
메이쇼 도토 >

2002
액티브 바이오

2003
인그란디어

2004
윈 제네랄레

2005
유키노 선 로얄

2006
링컨
국제 GII 지정 후
2007
네버 부숑
2008
마츠리다 고흐 >

2009
알나스라인
2010
마이네르 키츠
2011 투 더 글로리

2012
네코 펀치

2013
페노메노

2014
윈 바리아시옹

2015
어드마이어 데우스

2016
골드 액터

2017
샤케트라

2018
간코

2019
메이쇼 텟콘
2020
미키 스왈로
2021
윈 마릴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background:#268300; font-size: .7em;"
2022 · 2023 타이틀홀더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세인트 라이트 기념|{{{#fff 세인트 라이트 기념

()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1947
이스트 퍼레이드
1948
키요마사 >

1949
토사 미도리
1950
위저드
1951 미츠하타

1952
마사무네

1953
럭키 타카요시

1954
호마레 오

1955
타카하기

1956
키타노 오

1957
파일:Anglo-Arabian-Brand.png 세이유

1958
히시 마사루

1959
하쿠쿠라마
1960
키타노 오자
1961
켄로쿠 오 >

1962
류 무사시

1963
그레이트 요루카

1964
우메노 치카라

1965
키쿠노 스즈란

1966
히로 이사미

1967
몬타 선

1968
아사카 오

1969
아카네 텐류
1970
쿠리시바
1971
벨 와이드 >

1972
타이호 시로

1973
누아지 터프

1974
스루가 슨푸조

1975
이시노 아라시

1976
닛포 킹

1977
프레스 토코

1978
사쿠라 쇼리

1979
빙고 가루
1980
몬테 프린스
1981
메지로 티탄 >

1982
호스피탈리티

1983
메지로 하이네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I 지정 후
1984
심볼리 루돌프
1985
타이거 보이 >

1986
레전드 테이오
중앙 GII 승격 후
1987
메리 나이스
1988
다이고 쉬르 >

1989
사쿠라 호쿠토 오
1990
화이트 스톤
1991 스트롱 카이저

1992
레거시 월드

1993
러거 챔피언

1994
윈드 필즈

1995
선데이 웰

1996
로젠 카발리에

1997
샤코 테스코

1998
레오 류호

1999
블랙 턱시도
2000
어드마이어 보스 |
2001
신코 칼리도 >

2002
밸런스 오브 게임

2003
비타 로자

2004
파일:홋카이도 문장.svg 코스모 벌크

2005
킹스 트레일

2006
토센 샤나 오

2007
록 드 캉브

2008
다이와 와일드 보어

2009
나카야마 페스타
국제 G2 지정 후
2010
쿼크 스타
2011
페이트풀 워 >

2012
페노메노

2013
율 싱잉

2014
이슬라 보니타

2015
키타산 블랙

2016
디 마제스티

2017
미키 스왈로

2018
제네랄레 우노

2019
리온 리온
2020
배빗
2021
아사마노 이타즈라 >

2022
가이아 포스

2023
레벤스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21:40:06에 나무위키 메지로 티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