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암 상가아파트 붕괴사고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우암상가아파트 붕괴 사고
牛岩商街아파트崩壞事故
Uam Apartment & Stores Disaster

파일:우암붕괴.jpg

발생일
1993년 1월 7일 오전 1시 10분경
발생 위치
충청북도 청주시 우암동[1]
유형
화재/붕괴
원인
화재로 인한 가스 폭발
부실공사
인명피해
사망
28명
부상
48명
구조
350명
재산 피해
9억 원
소실 규모
3개동 지상 4층, 지하 1층 아파트 파괴
1. 개요
2. 상세
3. 사망자 신원 확인
4. 이후
5. 사고 후 책임 소재 논란
6. 기타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우암붕괴 2.jpg
파일:우암붕괴 3.jpg
구조 작업 당시의 모습
1993년 1월 7일 충청북도 청주시(現 청원구 우암동)에 위치한 우암상가아파트가 붕괴되어 76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사고.

사건 자체는 아직 취임식 전, 즉 노태우 정부 시절의 일이지만 김영삼이 당선인 신분이라 사고 공화국의 시발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2. 상세[편집]


1993년 1월 7일 새벽 2시 10분경 우암상가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LPG 가스가 폭발해 그 충격으로 아파트가 붕괴되었다. 화재가 직접적인 원인이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부실공사였다. 무리한 설계 및 자금난으로 인해 3차례의 무리한 설계변경과 4층과 옥탑의 증축으로 기초공사에 대한 건물의 하중 문제, 굵고 푸석한 황색 자갈 등의 불량 골재의 사용과 낮은 압축 강도, 일부 철근이 제대로 배근되지 않은 문제, 콘크리트 내에서 나무 조각 등의 이물질 다량 발견 등의 불량시공이 문제였다.

사고 당일 새벽 0시 40분 지하상가에서 누전으로 추측되는 화재가 발생하여 진압작업을 벌였으나 불길이 1층으로 번졌다. 새벽 1시경 불길이 2층으로 점차 번져나갔고 주민들은 4층 옥상으로 대피하였다. 이 중 일부 상인들은 물건을 꺼내기 위해 지하로 내려갔다. 새벽 2시경 화재는 거의 진압되어 갔지만 1층에서 녹은 비닐관을 통해 LPG가스가 새어나왔고 불길이 누설 가스를 태우기 시작했다. 그리고 2시 10분, 가스가 LPG 가스통 10개를 연쇄폭발시켜 그 충격으로 건물 전체가 내려앉았다.

이 사고로 옥상으로 대피한 주민들, 지하로 내려갔던 상인들이 미처 빠져나오지 못해 실종자 1명을 포함해 28명이 사망하였고 부상자도 48명에 이르렀다.참조 또한 점포 50여개와 2층 ~ 4층의 아파트 건물 전체가 붕괴되어 9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350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였다.

파일:우암상가아파트.jpg
붕괴 이전의 우암 상가아파트[2]
사건이 발생한 우암 상가아파트는 총 3개동 지하 1층에 지상 4층, 연면적 9090㎡로 1981년 완공된 소형 아파트였으며, 지하층과 1층은 상가, 그 외 2층과 3층, 4층은 주거용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사고가 발생할 당시에는 총 59가구 398명이 거주 중이었다.


3. 사망자 신원 확인[편집]


붕괴 이후 사망자 수습을 한 뒤 장례를 치르던 도중 고재인(20, 가동 501호)씨로 확인돼 대전 화장장에서 화장된 시신이 사실은 고씨가 아니라 그동안 실종으로 처리되었던 이상선(17, 가동 201호) 군으로 확인되었던 사건으로 이후 신원 확인이 되지 않던 사체 1구가 고씨로 확인된 해프닝이 있다. 이 사건은 당시 유가족이 시신 확인에 있어 얼굴을 보지 못하고 치아로만 사망자를 확인해서 발생했던 일이며 이후 시신에서 발견된 유품으로 인해 화장된 시신이 자신의 아들임을 확인한 이상선 군의 가족은 오열하였다.


4. 이후[편집]


파일:external/static.news.zum.com/2013010613463442.jpg

사고 이후 2년 5개월 만인 1995년 6월 1일 지하 1층, 지상 8층의 평화상가아파트라는 주상복합 건물로 다시 지어졌다. 그리고 그 옆에는 작은 위령비석이 놓여 있다.


5. 사고 후 책임 소재 논란[편집]


붕괴 사고가 마무리된 이후 부실시공 및 관리 감독 부실로 사고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시 당국이 아니라 뜬금없이 사고를 진압한 소방관들이 연일 경찰에 불려가 조사를 받았다. 당연히 소방관들은 건물 붕괴가 자신들 책임이냐며 항의했고 몇몇 소방관들은 이걸 계기로 사직하기도 했다.

사고 발생 12일 후 내무부에서는 이원종 충청북도지사[3]나기정 청주시장에게 경고 조치하고 보사환경국장은 직위해제한 데 비해 충북 도 소방본부장과 청주소방서장, 청주소방서방호과장에게는 중징계 및 지방직 전직, 직위해제 등의 징계를 내렸다. #


6. 기타[편집]


구조활동을 하던 장현철 소방관은 당시 건물의 잔해에 매몰되어 온 몸의 뼈가 골절되는 중상을 입었으나 소방서를 떠나지 않고 재활하여 10년간 내근 후 2005년부터 현장 활동을 재개했다.


7. 관련 문서[편집]


  • 로넌 포인트: 이쪽도 가스폭발로 붕괴가 일어난 건물이지만, 부실공사가 실질적인 원인이다.


8. 둘러보기[편집]



역대 대한민국의 대형 사고 및 참사

[ 2020년대 ]
발생일
사망
사건명

2022년 10월 29일

159
이태원 압사 사고

2020년 4월 29일

38
}}}
[ 2010년대 ]
발생일
사망
사건명

2019년 5월 29일

27
헝가리 유람선 침몰 사고

2018년 1월 26일

47
밀양 세종병원 화재 사고

2017년 12월 21일

29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고

2014년 12월 1일

27
501오룡호 침몰사고

2014년 5월 28일

21
장성 효사랑요양병원 화재 사고

2014년 4월 16일

299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2010년 3월 26일

46
천안함 피격 사건

}}}
[ 2000년대 ]
발생일
사망
사건명

2008년 1월 7일

40
이천 냉동창고 화재 사고

2003년 2월 18일

192
대구 지하철 참사

2002년 4월 15일

130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

2001년 9월 25일

25
제7호 태창호 사건

2001년 7월 24일

20
진주 관광버스 추락사고

2000년 10월 27일

22
장수 88올림픽고속도로 추돌 참사
[ 1990년대 ]
발생일
사망
사건명

1999년 10월 30일

56
인천 인현동 호프집 화재 참사

1999년 6월 30일

23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사고

1998년 10월 29일

27
부산 범창콜드프라자 화재
1997년 8월 6일
228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

1996년 7월 26일

20
철원 군부대 산사태

1996년 4월 4일

21
양평 버스 추락 사고

1995년 8월 21일

37
경기여자기술학원 화재

1995년 6월 29일

502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1995년 4월 28일

101

1994년 10월 24일

29
충주 제5호 화재사고

1994년 10월 21일

32
성수대교 붕괴 사고

1993년 10월 10일

292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1993년 7월 26일

68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 사고

1993년 6월 10일

20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

1993년 4월 19일

34
논산 정신병원 화재

1993년 3월 28일

78

1993년 1월 7일

28
우암 상가아파트 붕괴사고

1991년 11월 3일

22
인제 버스 추락 사고

1990년 11월 4일

21
소양호 버스 추락 사고

1990년 9월 1일

25
영동고속도로 섬강교 버스추락사고
}}}
[ 1980년대 ]
발생일
사망
사건명

1989년 9월 17일

24
전북 모래재 버스 추락 사고

1989년 7월 27일

79
대한항공 803편 추락 사고

1987년 11월 29일

115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1987년 8월 29일

32
오대양 집단자살 사건

1987년 6월 16일

29
극동호 유람선 화재 사건

1986년 7월 30일

21
고창 거룻배 전복 사고

1985년 1월 11일

38
양강교 버스 추락사고

1984년 1월 14일

38
부산 대아호텔 화재 사건

1983년 10월 9일

25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1983년 9월 1일

269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1983년 4월 18일

25
대구 초원의집 화재
1982년 6월 1일
53
청계산 C-123 추락사고

1982년 4월 26일

62
우순경 사건
1982년 2월 5일
53
제주 C-123 추락사고

1981년 11월 22일

33
부산 금정산 버스 추락사고

1981년 5월 14일

55
경산 열차 추돌사고
}}}
[ 1970년대 ]
발생일
사망
사건명

1979년 10월 27일

26
은성탄광 화재

1979년 4월 14일

44
함백 탄광 폭발사고

1978년 7월 23일

33
한강대교 버스 추락 사고

1977년 11월 11일

59
이리역 폭발사고

1976년 10월 28일

34
동해 어선 조난 사고

1976년 5월 18일

23
답곡리 버스 추락사고

1976년 2월 28일

32
화천 버스 추락사고

1974년 11월 3일

88
대왕코너 화재사고

1974년 2월 22일

159
YTL30호 침몰 사건

1973년 8월 12일

32
영동역 유조열차 폭발 사고

1973년 5월 16일

22
영일 건널목 열차 추돌사고

1972년 12월 2일

53
서울시민회관 화재 사고

1972년 8월 1일

26
의암호 버스 추락 사고

1971년 12월 25일

166
대연각호텔 화재

1971년 10월 13일

20
남원역 열차 추돌사고

1971년 5월 10일

80
청평호 버스 추락 사고

1971년 5월 10일

31
질자호 침몰 사고

1970년 12월 15일

326
남영호 침몰사고

1970년 11월 5일

31
의암호 선박 전복 사고

1970년 10월 14일

46
모산 수학여행 참사

1970년 8월 21일

25
추풍령 고속버스 추락 참사

1970년 4월 8일

33
와우 시민아파트 붕괴사고
[ 1960년대 ]
발생일
사망
사건명

1969년 9월 17일

76
창녕 남지읍 나룻배 전복사고

1969년 9월 17일

37
창녕 기관선 - 남지교 충돌 사고

1969년 1월 31일

41
천안 열차 추돌사고

1968년 1월 8일

41
함양 버스 추락사고

1967년 10월 16일

42
금릉 버스 추락 사고

1967년 9월 15일

29
삼양수산 원양어선 침몰 사고

1967년 4월 8일

80
서울 청구동 C-46 추락사고

1967년 1월 14일

93
한일호-충남함 충돌 사고

1967년 1월 1일

41
서문시장 화재

1964년 7월 29일

95+
서해 어선단 실종 사고

1963년 10월 23일

49
여주 조포 나룻배 침몰 사고

1963년 6월 25일

70
거제 장승포 산사태

1963년 1월 18일

140
연호 침몰 사건

1962년 9월 7일

36
한남동 나룻배 침몰 사고

1960년 3월 2일

62
부산 국제고무공장 화재

1960년 1월 26일

31
서울역 압사 사고

}}}
[ 1950년대 ]
발생일
사망
사건명

1959년 7월 17일

67
부산 공설운동장 압사 사고

1956년 1월 12일

66
태신호 화재

1955년 3월 2일

42
부산역 열차 화재

1953년 11월 27일

29
부산역전 대화재

1953년 1월 31일

56
오산 건널목 추돌 사고

1953년 1월 25일

66
행운환 침몰사고

1953년 1월 9일

330
창경호 침몰 사고

1951년 7월 11일

94
제5편리호 침몰 사고

1951년 7월 11일

30+
제13호 침몰 사고

}}}
[ 1940년대 ]
발생일
사망
사건명

1949년 10월 5일

71
평해호 침몰 사고

1949년 8월 18일

51
대강 터널 질식 사고

1947년 8월 19일

23
태양환호 침몰 사고

1946년 11월 13일

42
영등포역 열차 충돌 사고

1945년 8월 24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549​~� 이상
우키시마호 사건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2:52:33에 나무위키 우암 상가아파트 붕괴사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는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우암동이지만 사건 발생시에는 그냥 청주시였다. 청주시에 일반구상당구흥덕구가 설치된 것은 1995년의 일이다. 이후 우암동은 2014년 6월까지는 상당구였다가 청주·청원 통합과 동시에 청원구로 바뀌었다.[2] 건물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자료사진으로 쓰였기 때문에 균열 부위에 흰색의 화살표 표시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3] 이 사람은 이후 서울특별시장으로 영전했지만 성수대교 붕괴 사고가 또 터지면서 경질되어 짐을 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