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시장 화재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2. 1960년대
3. 1970년대
4. 2005년
5. 2014년
6. 2016년
6.1. 박근혜 대통령 방문 논란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구 서문시장1922년에 개설된 이래 여러 차례의 크고 작은 화재가 발생했다. 기록된 화재만 무려 17회. 이 정도면 경악이 아니라 경이의 영역. 1952년 2월 24일 점포 4,200개가 전소된 대화재를 시작으로 1960년, 1967년, 1975년에도 큰 화재가 발생했으며 2005년과 2016년에도 화재가 발생해 막대한 피해를 남겼다.

대부분의 원인은 재래시장의 고질병 중 하나인 전기 합선이다. 서문시장 정중앙의 도로에 국수나 먹거리를 팔기 위해 가스나 전선을 사용하는 곳이 많은데 노후된 전선이 노출되어 합선을 일으키고 스파크나 화재로 이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대구 서문시장 화재 일지


2. 1960년대[편집]


파일:external/photom.imaeil.com/1.2663895405E+130001.jpg
파일:external/s21.postimg.org/2016_11_30_21_07_29_686.jpg
(1967년 1월 4일 동아일보 기사)

1960년 6월 16일 오후 12시 23분경 모자 가게에서 유류로 발생한 화재로 인해 43개의 점포가 전소되고 2만여 명의 이재민과 43명의 부상자가 생기는 대형 화재가 발생했다. 피해액은 46억 8,700만 원으로 2019년 7월 화폐 가치로 약 1,865억 원에 이른다. 당시 기준으로도, 지금 기준으로도 엄청난 재산 피해다.

1967년 1월 1일, 전선 마찰로 발생한 화재로 서문시장 1지구 점포 372개가 전소됐으며 재산 피해 규모가 약 1억 8,600만 원[1]이나 됐다. 이로 인해 소방관 1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원인은 전기 합선으로 밝혀졌다.


3. 1970년대[편집]


파일:external/s21.postimg.org/2016_11_30_21_08_05_77.jpg
(1975년 11월 21일 동아일보 기사)

1975년 11월 20일 오후 9시 40분경 서문시장은 담뱃불로 추정되는 화재로 인해 4지구 1, 2층과 1지구 2층이 전소되었다. 피해 점포는 무려 1,900개에 이르렀으며 재산 피해 규모는 약 20억원 가량.[2]

또 1년 뒤인 1976년 12월 17일에도 성냥불 실화로 추정되는 불이 발생해 650개의 점포가 전소되었고 11억 4,000만 원에 달하는 재산 피해가 생겼으며 6명이 부상을 입었다.[3]


4. 2005년[편집]


파일:external/hu3882.s11.hdweb.co.kr/3554364855_cSUAOWYT_EC849CEBACB8EC8B9CEC9EA5ED9994EC9EAC.jpg

2005년 12월 29일에 일어난 화재는 서문시장 2지구 전체를 불태웠으며 재산 피해 규모가 약 600억 원이나 되었다.[4] 사고 원인은 고질적인 문제인 전기 합선으로 밝혀졌다. 2지구 상가 건물은 철거 후 새로 지어야 했으며 재건축 기간 동안 서문시장 맞은편의 (구) 베네시움 상가와 (구) 대영학원 건너편의 (구) 롯데마트 자리에 임시 이전하였다. 현재는 2지구 건물이 완공되어 정상 영업 중.


5. 2014년[편집]


파일:external/thumbnail.egloos.net/a0295675_52f9a6e50db2f.jpg

2014년 2월 15일 아진상가 근처에서 불이 일어나 시민 수십 명이 대피하는 소동이 일어났다. 이 화재 당시에는 인명피해와 별다른 재산 피해가 없었다.


6. 2016년[편집]


파일:external/news.kbs.co.kr/3385932_RWV.png

2016년 11월 30일 오전 2시 8분경 4지구와 1지구에서 불이 났다. 이 화재로 인해 4지구의 의류, 원단, 전통 의상 등을 취급하는 점포 839개가 모두 전소되어 상인회 추산 약 1,000억원의 재산 피해가 났다. 1960년 화재 이후 최대의 재산 피해다. 대구 서문시장 '11년만에 큰 불'[5]

관할인 중부 소방서는 물론 대구소방안전본부 관할 모든 소방서에서 총출동하여 소방대원 750여 명, 소방차 90대 등이 투입되었지만 불이 쉽게 붙는 의류 상가로 불이 번지는 바람에 피해가 컸다. 진화 도중 4지구와 다른 건물을 연결하는 통로가 무너지면서 소방관 2명이 추락하여 부상을 입기도 했고 소방장 1명도 화상을 입었다. 다행히 모두 큰 부상은 아니라고 한다. 그 밖의 사망자 등의 인명피해는 나오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화재 피해를 입은 4지구 건물은 11년 전의 2지구처럼 40% 가량이 붕괴되었고 나머지 부분도 붕괴 위험 가능성이 컸다. 관할인 대구 중구청 측에서는 2005년 당시보다 피해가 더 클 것으로 예상했으며 워낙 피해가 커서 건물을 아예 헐고 새로 지어야 할 것으로 봤다. 안전 진단 결과 E등급(사용불가) 판정을 받으며 결국 4지구 상가의 철거가 확정됐다.

파일:20161130_081232.jpg

2016.11.30 오전 8시 즈음에 촬영한 사진

파일:20161130_085831.jpg

2016.11.30 오전 8시 50분 즈음 계성중학교 내에서 촬영한 사진

화재의 규모가 너무 커서 주변까지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바로 인근에 있던 계성초등학교는 연기로 도저히 수업을 할 수 없어 화재 당일인 11월 30일은 오전 수업만 하고 학생들을 귀가시켰고 계성중학교에선 8시 50분에 교무 회의를 하여 학생들을 바로 하교시켰다. 그 당시 본교 복도는 연기, 가스 냄새가 심하여 회의가 끝날 때까지 복도로 나가는 것을 금지시켰다.

서문시장 바로 건너편에는 1,000병상급의 상급종합병원인 동산병원이 있는데 새벽부터 소방차들의 사이렌 소리와 화재 연기로 안정을 취해야 할 입원 환자들이 밤잠을 설쳐야 했고 일부는 호흡 곤란을 호소하기도 하였다.

주변 뿐 아니라 대구 시내 곳곳에 연기가 뒤덮였고 11월 30일 하루 종일 온 대구 시내에 탄내가 진동했다. 중구는 물론 수성구, 심지어 북구 끝자락에 위치한 칠곡지구까지도 탄내가 많이 났고, 멀리 떨어진 동구달서구에도 탄내가 희미하게 났다.

파일:20161201_093441.jpg

2016년 12월 1일 오전 9시 34분경 서문시장역에서 내려다본 서문시장 입구의 모습. 화재 발생 후 31시간이나 지났지만 주변에 소방차가 배치되어 진화했다.

기사에 따르면 화재 발생 30시간이 지난 2016년 12월 1일 오전 7시에도 불이 완전히 꺼지지 않아 소방당국이 진화 작업에 애를 먹은 것으로 알려졌다. 불이 난 건물에 섬유 원단, 침구류, 의류 등을 취급하는 상점이 밀집되어 있어서 끊임없이 작은 불씨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며 잔불이 완전히 진화 되기까지 약 10시간 가량이 더 소모될 전망이었다. 2005년 2지구 화재 당시에도 불이 완전히 진화되는 데 40시간이 넘게 걸렸다. 결국 화재 발생 59시간 만인 12월 2일 낮에 겨우 진화가 완료됐고 이미 무너진 곳에서는 굴삭기가 동원되어 잔해 정리 및 남은 불씨를 제거했다.

진화 작업 동안 5지구와 대로변의 몇몇 점포들만 영업을 했고 나머지 서문시장 대부분의 구역이 출입 통제가 되면서 임시 휴업에 들어갔다. 12월 5일에 이르러서 4지구에 펜스를 쳐 놓고 나머지 구역의 영업이 재개되었다. 하지만 시장 한가운데에 위치한 4지구가 막힌 바람에 서문시장의 가운데가 단절되었다. 시장 외곽을 빙 둘러야만 반대편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시장 내 통행이 상당히 어려워졌다. 통로가 단절된 바람에 화재 피해를 입지 않은 다른 점포들도 영업에 적잖은 피해를 입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편 피해를 입은 4지구의 대체상가 부지는 (구) 베네시움 쇼핑몰로 정해졌다. 관련 기사

4지구에서 발생한 화재로 야시장 역시 상당한 타격을 받았는데 화재 이후 2달 가량 영업이 중단되었기 때문이다. 관련 기사 야시장 상인 중 일부는 동성로에 있는 에비뉴8번가 내 광장에서 영업할 예정이었으나 대구시와 중구청의 불허로 무산되고 말았다. 관련 기사 하지만 2017년 3월 3일부터 재개장하여 영업을 시작했다. 관련 기사


6.1. 박근혜 대통령 방문 논란[편집]


서문시장은 박근혜가 대통령 당선 이전부터 자신이 정치적 위기를 맞을 때마다 방문한 곳으로, 2016년 화재 때도 자신의 입지가 불안한 와중에도 대통령으로서 현장을 방문하였다. (YTN)

하지만 15분 동안 상인 회장의 설명만 들으면서 살펴보았을 뿐 상인들과의 대면, 대화가 없었으며 대구 시민과 상인들은 환영은 커녕 침묵 시위가 이어졌다. 박근혜는 이날 어떠한 공식 입장도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그 자리에 나타난 박사모, 박대모(근혜 통령을 사랑하는 임) 회원들이 태극기를 들고 박수까지 치며 환영하였지만 이를 본 시민과 상인들이 "불난 데 부채질하냐"며 서로 실랑이가 벌어졌다. 실제 불난 지구쪽 대표 상인 및 화재 피해 상인 중에서는 대통령을 만난 사람이 없다고 한다.

그런데 서문시장을 방문한 이유가 특검을 피하기 위한 꼼수라는 이야기가 나왔다. 또 이날 박 전 대통령의 대구 방문 사실을 알리며 긴급 연락이라는 이름의 박근혜 지지자들을 대상으로 한 "서문시장으로 2시까지 태극기를 들고 오라"는 카카오톡 메시지가 돌았다. 청와대 대변인은 이후 브리핑에서 "박 대통령이 대구에서 돌아오는 길에 울었다"고 하며[6] 시장에 머물렀던 시간이 10분이 아니라 무려 15분이라고 하였다. (뉴스토마토) (JTBC) (매일신문1) (매일신문2) 당시 영상 상인 인터뷰1

이번 방문을 두고 지역 일간지인 영남일보에서는 연극이라며 비판하는 기사를 내보냈다. 대통령 방문 전에 이동 경로 상의 소방 호스를 치우라는 주문이 내려왔으며 대구소방안전본부 소속이 아닌 소방관들이 배치되어 있고 방문 시간 동안 화재 진압 작업이 중단되었다고 한다.

대구문화방송에서는 이런 보도까지 나왔다. (대구mbc, R)논란과 상처로 얼룩진 대통령 방문


7. 둘러보기[편집]


문서가 있는 대한민국의 화재 목록

[ 펼치기 · 접기 ]
1990년대 이전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10년
우신골든스위트 화재A
2011년
호남고속 차고지 화재사건V, 설봉호 화재 사고A , 2011년 충북 청주시 낭성면 산불?
2013년
인사동 식당밀집지역 화재V, 외발산동 버스 차고지 방화사건V, 포항 산불사고V, 2013년 울주 산불?
2014년
고양종합터미널 화재 사고H, 2014년 서문시장 화재?, 장성 효사랑요양병원 화재 사고V, 도곡역 열차 방화 사건V, 2014년 대전 목상동 한국타이어 공장 화재?
2015년
의정부 아파트 화재 사고H, 강화도 캠핑장 화재 사건A
2016년
춘천중앙교회 화재 사고?, 경부고속도로 언양분기점 관광버스 화재 사고A, 김포 상가건물 공사현장 화재 사고H, 2016년 서문시장 화재A
2017년
여수 수산시장 화재A, 화성 동탄 메타폴리스 상가 화재 사고H, 2017년 5월 강릉-삼척-상주 산불H, 강릉 석란정 화재 사건?,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고?, 수원 광교 오피스텔 공사현장 화재사고?
2018년
종로 여관 방화 사건V, 밀양 세종병원 화재 사고A, 세브란스병원 화재 사고H, 인천 이레화학 화재E, 군산 유흥주점 방화 사건V, 세종시 아파트 공사장 화재 사고A, 인천 세일전자 화재 사고E, BMW 차량 연쇄 화재 사고A, 진관동 편의점 화재 사고H, 대한송유관공사 고양저유소 화재 사고H, 종로 고시원 화재 사고H, KT 아현지사 화재 사고?, 수원 골든플라자 화재 사고?
2019년
양양 산불H, 진주 아파트 방화·흉기난동 살인 사건V, 원주 중앙시장 화재A, 경북 구미 모텔 화재사고?, 천안 라마다호텔 화재사고?, 고양 성석동 폐기물 처리시설 화재 사고?, 대구 사우나 화재 사고A, 불광동 모델하우스 화재?,부산 해운대구 산불H, 포항 산불?, 고성-속초 산불A, 강릉-동해 산불A, 인제 산불H, 은명초 화재H, 김포 요양병원 화재 사고A
2020년대
2020년
2020년 춘천 산불H, 삼성전자 화성 반도체 공장 화재A, 울산 웅촌면 산불?, 울산 두서면 산불?, 제석산 산불A, 2020년 4월 경기도 수원 광교산 산불?, 군포 물류창고 화재 사건H, 2020년 4월 안동 산불H, 한익스프레스 이천 물류센터 화재 사고A, 2020년 5월 고성 산불A, 2020년 6월 양산 산불A, 파주 드라마 스튜디오 화재 사건?, 고흥 윤호21병원 화재 사고A, 죽굴도 화재 사건H, 용인 SLC 물류센터 화재 사건A, 인천 초등학생 형제 방임 및 화재 사건H, 울산 남구 삼환아르누보아파트 화재 사고?, 남양주 수진사 방화 사건V, 인천 남동공단 화장품 공장 화재?군포 아파트 화재사건E, 서울 마포 모텔 방화 사건V
2021년
2021년 2월 양양 산불?, 2021년 정선 산불?, 2021년 하동 산불?, 2021년 안동 산불H, 2021년 영동 산불A, 2021년 예천·영주 산불?, 2021년 논산 산불?, 이천 쿠팡 덕평 물류센터 화재 사고A, 천안 주상복합 지하주차장 화재사고A, 고양 화정동 달빛마을 4단지 화재사고?, 2021년 11월 양양 산불H, 2021년 순천 산불?, 한마음마트 봉담점 화재사고H
2022년
창원 반도체 금형부품 공장 화재?, 아산 귀뚜라미 보일러 공장 화재 사고?, 강원도 인제 남면 산불H, 평택 냉동창고 신축공사현장 화재 사고A , 2022년 경북 영덕 산불A, 2022년 구례 간전면 산불H, 2022년 대구 달성군 주암산 산불V,옥수역 화재 사건?, 2022년 울진-삼척 산불H, 2022년 3월 영월 산불?, 2022년 합천-고령 산불?, 2022년 강릉-동해 산불V/?, 2022년 남한산성 산불V?/H?, 2022년 경북 봉화 산불H, 2022년 4월 양구 산불H, 2022년 경북 군위 산불?, 2022년 대구 달서구 학산 산불?, 울산 에쓰오일 화재사고?, 2022년 5월 울진 산불H, 2022년 5월 밀양 산불? , 전북 남원 식품 공장 화재?, 대구 변호사 사무실 방화 사건V, 이천 관고동 병원 화재?, 대전 현대프리미엄아울렛 화재 사고?, 대구 동구 율암동 섬유공장 화재?, 강릉시 현무-IIC 미사일 낙탄 사고A,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인터넷 서비스 장애 사건A,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화재 사건? , 순천 폐기물처리시설 화재 사건? , 원주 폐기물사업장 화재?, 대구 가스충전소 폭발사고A , 2022년 대구 달서구 성서공단 화재? , 2022년 서울 남대문시장 화재? , 제2경인고속도로 갈현고가교 화재사고A
2023년
부산 부전동 오피스텔 주차타워 화재E , 2023년 강남구 구룡마을 화재?, 고양 존속살인 사건V , 2023년 예천 산불H , 2023년 김천 산불? , 2023년 영양 산불H , 2023년 순천 산불H, 2023년 대구 달서구 대덕산 산불? , 인천 현대시장 방화 사건V , 2023년 합천 산불H , 2023년 부여 산불H , 2023년 하동 지리산 산불?, 2023년 광주 운암산 산불H , 2023년 대전 목상동 한국타이어 공장 화재?, 2023년 상주 외남면 산불H, 2023년 광주 양동시장 인근 방화 사건V , 2023년 3월 평창 산불H, 2023년 순천 별량면 산불H , 2023년 서천 산불H, 2023년 안동시 도산면 산불?, 2023년 화천 군 사격장 산불H, 2023년 강화 마니산 산불?, 안산 선부동 빌라 화재사고A, 아산 둔포면 폐기물 야적장 화재?, 2023년 화천 화천읍 산불?, 2023년 포천시 영북면 산불H, 2023년 제천 봉양읍 산불H, 2023년 홍성 산불H, 2023년 옥천 군북면 산불H, 2023년 군위 소보면 산불H, 2023년 당진 대호지면 산불?, 2023년 서울 인왕산-북악산 산불?, 2023년 대전-금산 산불H, 2023년 보령 청라면 산불H, 2023년 고창 상하면 산불?, 인천 부평구 상가건물 화재 사고?, 2023년 함평 산불A, 2023년 순천 송광면 산불?, 2023년 영주 평은면 산불A, 서울 방이동 오피스텔 화재 사고?, 2023년 4월 강릉 산불A, 화순 백재활요양병원 화재 사고?, 밀양 한국카본 2공장 화재?, 김포 통진읍 열풍기 제조 공장 화재 사고?, 화성 팔탄면 플라스틱 제조 공장 화재?, 안동 북후면 식품 가공 공장 화재 사고A, 완주 알루미늄 가공품 생산공장 화재?, 인천 귤현동 비닐하우스 화재 사고?, 대구 중리동 재활용 공장 화재?, 부산 해운대 씨클라우드호텔 화재?, 화성 향남읍 자원순환시설 화재A, 부산 좌천동 목욕탕 폭발사고?, 부산 개금동 아파트 화재 사고?, 인천 논현동 호텔 화재 사고?, 서울 도봉구 아파트 화재 사고E

H: 사람에 의한 실화, V: 고의적 방화, A: 누전, 장비 고장, 가스 누출 등에 의한 사고, E: 그 외, ?: 원인 불명/조사중




역대 대한민국의 대형 사고 및 참사

[ 2020년대 ]
발생일
사망
사건명

2022년 10월 29일

159
이태원 압사 사고

2020년 4월 29일

38
}}}
[ 2010년대 ]
발생일
사망
사건명

2019년 5월 29일

27
헝가리 유람선 침몰 사고

2018년 1월 26일

47
밀양 세종병원 화재 사고

2017년 12월 21일

29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고

2014년 12월 1일

27
501오룡호 침몰사고

2014년 5월 28일

21
장성 효사랑요양병원 화재 사고

2014년 4월 16일

299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2010년 3월 26일

46
천안함 피격 사건

}}}
[ 2000년대 ]
발생일
사망
사건명

2008년 1월 7일

40
이천 냉동창고 화재 사고

2003년 2월 18일

192
대구 지하철 참사

2002년 4월 15일

130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

2001년 9월 25일

25
제7호 태창호 사건

2001년 7월 24일

20
진주 관광버스 추락사고

2000년 10월 27일

22
장수 88올림픽고속도로 추돌 참사
[ 1990년대 ]
발생일
사망
사건명

1999년 10월 30일

56
인천 인현동 호프집 화재 참사

1999년 6월 30일

23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사고

1998년 10월 29일

27
부산 범창콜드프라자 화재
1997년 8월 6일
228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

1996년 7월 26일

20
철원 군부대 산사태

1996년 4월 4일

21
양평 버스 추락 사고

1995년 8월 21일

37
경기여자기술학원 화재

1995년 6월 29일

502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1995년 4월 28일

101

1994년 10월 24일

29
충주 제5호 화재사고

1994년 10월 21일

32
성수대교 붕괴 사고

1993년 10월 10일

292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1993년 7월 26일

68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 사고

1993년 6월 10일

20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

1993년 4월 19일

34
논산 정신병원 화재

1993년 3월 28일

78

1993년 1월 7일

28
우암 상가아파트 붕괴사고

1991년 11월 3일

22
인제 버스 추락 사고

1990년 11월 4일

21
소양호 버스 추락 사고

1990년 9월 1일

25
영동고속도로 섬강교 버스추락사고
}}}
[ 1980년대 ]
발생일
사망
사건명

1989년 9월 17일

24
전북 모래재 버스 추락 사고

1989년 7월 27일

79
대한항공 803편 추락 사고

1987년 11월 29일

115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1987년 8월 29일

32
오대양 집단자살 사건

1987년 6월 16일

29
극동호 유람선 화재 사건

1986년 7월 30일

21
고창 거룻배 전복 사고

1985년 1월 11일

38
양강교 버스 추락사고

1984년 1월 14일

38
부산 대아호텔 화재 사건

1983년 10월 9일

25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1983년 9월 1일

269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1983년 4월 18일

25
대구 초원의집 화재
1982년 6월 1일
53
청계산 C-123 추락사고

1982년 4월 26일

62
우순경 사건
1982년 2월 5일
53
제주 C-123 추락사고

1981년 11월 22일

33
부산 금정산 버스 추락사고

1981년 5월 14일

55
경산 열차 추돌사고
}}}
[ 1970년대 ]
발생일
사망
사건명

1979년 10월 27일

26
은성탄광 화재

1979년 4월 14일

44
함백 탄광 폭발사고

1978년 7월 23일

33
한강대교 버스 추락 사고

1977년 11월 11일

59
이리역 폭발사고

1976년 10월 28일

34
동해 어선 조난 사고

1976년 5월 18일

23
답곡리 버스 추락사고

1976년 2월 28일

32
화천 버스 추락사고

1974년 11월 3일

88
대왕코너 화재사고

1974년 2월 22일

159
YTL30호 침몰 사건

1973년 8월 12일

32
영동역 유조열차 폭발 사고

1973년 5월 16일

22
영일 건널목 열차 추돌사고

1972년 12월 2일

53
서울시민회관 화재 사고

1972년 8월 1일

26
의암호 버스 추락 사고

1971년 12월 25일

166
대연각호텔 화재

1971년 10월 13일

20
남원역 열차 추돌사고

1971년 5월 10일

80
청평호 버스 추락 사고

1971년 5월 10일

31
질자호 침몰 사고

1970년 12월 15일

326
남영호 침몰사고

1970년 11월 5일

31
의암호 선박 전복 사고

1970년 10월 14일

46
모산 수학여행 참사

1970년 8월 21일

25
추풍령 고속버스 추락 참사

1970년 4월 8일

33
와우 시민아파트 붕괴사고
[ 1960년대 ]
발생일
사망
사건명

1969년 9월 17일

76
창녕 남지읍 나룻배 전복사고

1969년 9월 17일

37
창녕 기관선 - 남지교 충돌 사고

1969년 1월 31일

41
천안 열차 추돌사고

1968년 1월 8일

41
함양 버스 추락사고

1967년 10월 16일

42
금릉 버스 추락 사고

1967년 9월 15일

29
삼양수산 원양어선 침몰 사고

1967년 4월 8일

80
서울 청구동 C-46 추락사고

1967년 1월 14일

93
한일호-충남함 충돌 사고

1967년 1월 1일

41
서문시장 화재

1964년 7월 29일

95+
서해 어선단 실종 사고

1963년 10월 23일

49
여주 조포 나룻배 침몰 사고

1963년 6월 25일

70
거제 장승포 산사태

1963년 1월 18일

140
연호 침몰 사건

1962년 9월 7일

36
한남동 나룻배 침몰 사고

1960년 3월 2일

62
부산 국제고무공장 화재

1960년 1월 26일

31
서울역 압사 사고

}}}
[ 1950년대 ]
발생일
사망
사건명

1959년 7월 17일

67
부산 공설운동장 압사 사고

1956년 1월 12일

66
태신호 화재

1955년 3월 2일

42
부산역 열차 화재

1953년 11월 27일

29
부산역전 대화재

1953년 1월 31일

56
오산 건널목 추돌 사고

1953년 1월 25일

66
행운환 침몰사고

1953년 1월 9일

330
창경호 침몰 사고

1951년 7월 11일

94
제5편리호 침몰 사고

1951년 7월 11일

30+
제13호 침몰 사고

}}}
[ 1940년대 ]
발생일
사망
사건명

1949년 10월 5일

71
평해호 침몰 사고

1949년 8월 18일

51
대강 터널 질식 사고

1947년 8월 19일

23
태양환호 침몰 사고

1946년 11월 13일

42
영등포역 열차 충돌 사고

1945년 8월 24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549​~� 이상
우키시마호 사건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1:53:59에 나무위키 서문시장 화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9년 7월 화폐 가치로 약 60억 8,700만원에 이른다. 당시 사고 일이 1월 1일 신정이었기에 설날 차례 음식을 팔고 있었는데 대부분 못 쓰게 되어 피해가 더 컸다.[2] 2019년 7월 화폐 가치로 약 194억 2,200만원에 이른다.[3] 2019년 7월 화폐 가치로 약 100억 5,300만원에 이른다.[4] 2019년 7월 화폐 가치로 약 795억 6,000만원이다.[5] 2019년 7월 화폐 가치로 약 1,031억원이다.[6] 이에 대해 썰전에서 유시민이 말하길 이래봐야 국민들은 "그래서 어쩌라고?"라며 차가운 반응만 보일 뿐이라는 발언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