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마라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에리트레아의 수도 아스마라에 대해 다룹니다. 에버플래닛에 등장하는 행성에 대한 내용은 아스마라(에버플래닛) 문서
아스마라(에버플래닛)번 문단을
아스마라(에버플래닛)#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프리카의 국가별 수도
[ 펼치기 · 접기 ]

북아프리카
ta-hash-start=w-0d9095b0d6bbe98ea0c9c02b11b59ee3[[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ta-hash-start=w-7a06b6b8dff110b697bc996bbbd58eeb[[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ta-hash-start=w-ede3c50dea25ba965ec7192eb15f2f70[[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트리폴리라바트튀니스
ta-hash-start=w-c3804daac5b8859f0975d20c9fe3370e[[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ta-hash-start=w-3e6e161954c6b908db7770bf73f94be7[[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ta-hash-start=w-bc6742d09b1f13d47d72d38c2b7efb1a[[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하르툼알제카이로
ta-hash-start=w-dd473ece077230d91b9340e3b4e57c11[[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서사하라
티파리티
동아프리카
ta-hash-start=w-33774f2e84b754ad8973804d0e907534[[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ta-hash-start=w-ef9c4dc534b21b3f9c62b1857f4a0e81[[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ta-hash-start=w-9b531edcbb1a4a81e667cd8acce6b8ab[[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아스마라지부티모가디슈
ta-hash-start=w-a14ad032813ed4d8c564f5fdb3ba8eb8[[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ta-hash-start=w-486fe7bf40878c65112d074c9d0eb4df[[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ta-hash-start=w-933526d917e9642b5d9a38f215a23b5a[[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주바아디스아바바캄팔라
ta-hash-start=w-508b72dab5b32a519c5c8988b55aeef0[[파일:케냐 국기.svg 케냐ta-hash-start=w-bab82e00570d17a1fe3dcad7dabff3eb[[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ta-hash-start=w-638890d3000ba3ed61234c4d398983e6[[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나이로비키갈리기테가
ta-hash-start=w-792b2eb6ecb026c35f5d189a2d727003[[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ta-hash-start=w-3ebfdb36a1c782dd12d9780e51881a2c[[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ta-hash-start=w-f7fdb6bf52dcf2d89a8bead15ea91679[[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도도마릴롱궤마푸투
ta-hash-start=w-9f6c425b71df66aa20ff08042ad059d9[[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ta-hash-start=w-a154ffbcec538a4161a406abf62f5b76[[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ta-hash-start=w-23fc4cba066f390a8cc729c7592b6ee8[[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빅토리아포트루이스모로니
ta-hash-start=w-f9a78afdf5be220d8779569e5155eab1[[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ta-hash-start=w-e863e61a39e954aaf3d06c1134176c80[[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
안타나나리보하르게이사
서아프리카
ta-hash-start=w-c535e3a7f97daf1c4b1eb03cc8e31623[[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ta-hash-start=w-8a8c717f2c1651dadac5ea3404f7b8ab[[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ta-hash-start=w-39fa41b86975169caa7a8ff90386bd86[[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프라이아아부자바마코
ta-hash-start=w-f593c7d18199a78ec09e0eb3cc063447[[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ta-hash-start=w-6d98e78fc02e40d38aeabfc690361271[[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ta-hash-start=w-37160db944a57234ac9bf1ea9e99ae58[[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와가두구니아메반줄
ta-hash-start=w-65c1700fde3e9a94cc060a7e3777287c[[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ta-hash-start=w-3abd04d5292c5d7d51855825dc434947[[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ta-hash-start=w-88cc8890c7a0d462b0c6335788aa67f2[[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다카르비사우코나크리
ta-hash-start=w-78f9eb91b8c7b3b3967fab18283ec614[[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ta-hash-start=w-3f74a886c7f841699690962c497d4f30[[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ta-hash-start=w-12423e210ece56bfeb607e01ee9210fb[[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프리타운몬로비아야무수크로
ta-hash-start=w-967d7220891508e0bc589157b72a4a6f[[파일:가나 국기.svg 가나ta-hash-start=w-1a91a2ca66852088683be2a0e8c2ebf8[[파일:토고 국기.svg 토고ta-hash-start=w-b9d88fa1cbe8a5974b469eccd7b19aba[[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아크라로메포르토노보
ta-hash-start=w-605aef0bfcf4c561ad415e03c319f568[[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누악쇼트
중앙아프리카
ta-hash-start=w-c68df1093a93023d0960841f27224080[[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ta-hash-start=w-16a21547f5f8cf9b4daa9568e7670ace[[파일:차드 국기.svg 차드ta-hash-start=w-b7e0f3c8cbc0db30c775aa3c2c74b3a8[[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야운데은자메나방기
ta-hash-start=w-50a074e6a8da4662ae0a29edde722179[[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ta-hash-start=w-0c78cd98d2fc75ace15e352273e4fd8a[[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ta-hash-start=w-89d4e9502805abfbe2ac167c6e2178fb[[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상투메말라보리브르빌
ta-hash-start=w-e9dcb63ca828d0e00cd05b445099ed2e[[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ta-hash-start=w-8342ffcd16eae5c3abcc8291bf1e6b0d[[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ta-hash-start=w-192e6a98f4986c6c38f418b7f677d423[[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브라자빌킨샤사루안다
남아프리카
ta-hash-start=w-9bcfb8264cf53ed70ad779e7a43bd96a[[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ta-hash-start=w-0cd1d8f534d35e1443c8c73effc861d8[[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ta-hash-start=w-d740de1e79667d117d8df294726a3cad[[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빈트훅가보로네하라레
ta-hash-start=w-70cd91c4271b8a037837c24b742443b4[[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ta-hash-start=w-0c00d0b2133a405d5b410c2d0316f262[[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ta-hash-start=w-30857e5c75243463e81b85b1f577993e[[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루사카프리토리아
행정

케이프타운
입법

블룸폰테인
사법
마세루
ta-hash-start=w-561e7e7d74cece738de9b23c0dd293d2[[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로밤바
왕정·입법

음바바네
행정
아메리카의 수도 | 아시아의 수도 | 오세아니아의 수도 | 유럽의 수도



[ 펼치기 · 접기 ]

문화유산
아스마라
: 아프리카의 모더니스트 도시

ኣስመራ፡ ዘመናዊት ከተማ ኣፍሪቃ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1deg, transparent 65%, #12AD2B 65%), linear-gradient(159deg, transparent 65%, #4189DD 65%), linear-gradient(159deg, transparent 24%, #EA0437 24%), linear-gradient(21deg, transparent 24%, #EA0437 24%), linear-gradient(147deg, transparent 16%, #EA0437 16%), linear-gradient(33deg, transparent 16%, #EA0437 16%), linear-gradient(to bottom, #EA0437 50%, #EA0437 5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FFBD26"
[[에리트레아|[[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에리트레아
관련 문서
}}}}}} }}}
<^|1><height=34><colcolor=#fff><bgcolor=#4189DD,#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Asmara2.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Asmara%2C_beirut_street.jpg
베이루트 거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Asmara%2C_cinema_impero%2C_07.jpg
이탈리아 통치기의 건물 중 하나인 "제국극장"

Asmara
티그리냐어: ኣስመራ, Asmera

유네스코 세계유산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이름한국어아스마라: 아프리카의 모더니스트 도시
영어Asmara: A Modernist African City
프랑스어Asmara : une ville africaine moderniste
국가·위치에리트레아 중앙 주
등재유형문화유산
등재연도2017년
등재기준(ii)[1], (iv)[2]
지정번호1550
1. 개요
2. 역사
3. 주민



1. 개요[편집]


에리트레아수도이자 최대도시. 이웃나라 에티오피아아디스아바바(2,355m)처럼 2,325m 고원에 위치한 도시이다. 일 평균기온 13.2도(12월)~17.6도(5,6월)로 전형적인 고산기후를 나타낸다. 연간강수량은 518.6mm로 생각보다 낮은 편은 아니다.

인구는 2015년 기준 약 80만명이다.


2. 역사[편집]


파일:에리트레아_이탈리아_통치_이전_모습.jpg
이탈리아 통치 이전의 아스마라. 허름한 움막들밖에 없다.
1889년 이탈리아 왕국이 에리트레아를 점령하였고, 항구도시 마사와를 대신할 이탈리아령 에리트레아의 수도로서 1897년 마르티니 총독에 의해 건설되었다. 20세기 초반 들어 해안으로 이어지는 철도가 건설되었다. 1930년대 베니토 무솔리니의 파시즘 치하에서 아스마라에는 새로운 건축물들이 잇따라 들어서 작은 로마(Piccola Roma, ፒኮላ ሮማ)라 불리었다. 이 때 건축된 이탈리아 모더니즘 양식 건물들은 아직도 잘 보존되어 있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1939년 당시 98,000명의 인구 중 이탈리아인이 53,000명을 차지하여 이탈리아인의 도시로 여겨졌는데, 당시 에리트레아 거주 이탈리아인은 75,000명에 불과했다. 그 시절 지어진 건축 중에 키케로 경기장도 있는데, 그 키케로가 아니라 사업가 프란체스코 키케로의 이름을 딴 것이다.
파일:1930년_아스마라.jpg
1930년의 아스마라 모습.
1929년 아스마라 지도

이탈리아가 패전하면서 1952년 국제연합은 에리트레아를 에티오피아 제국에 넘겨, 에티오피아와의 연방제가 이루어진다. 에티오피아 치하에서 아스마라는 일개 지방도시로 전락했고, 티그리냐어 대신 암하라어공용어가 된다. 에티오피아 제국이 미국우방국이어서 1943년부터 1977년까지 미군이 주둔하기도 했었다. 더욱이 1961년에는 자치가 폐지되고 에티오피아 직할로 들어가게 되어 에리트레아 독립 전쟁이 일어난다. 독립전쟁은 30년간 계속되었지만 다행히 피해는 그리 많이 입지 않았다.1993년 전쟁이 끝나고 에리트레아가 독립하며 수도가 되어 오늘에 이른다. 에티오피아가 시장경제로 전환한 이후 계속 발전하여 과거의 흔적을 보기 힘든 반면, 이곳은 멩기스투 사회주의 정권 당시와 달라진 것이 없다. 다만 평양, 아시가바트와 같이 독재정권 특유의 과시적 건축물이 없는 것을 그나마 다행이라고 해야 할까.(...)

2020년 티그라이에서 일어난 내전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 티그라이 반군이 쏜 미사일로 인해 아스마라도 건물이 일부 파손되는 일이 발생했다.[3]


3. 주민[편집]


종교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60%, 가톨릭 21%, 수니파 이슬람 19%이다. 아스마라 근교 고원지대 마을들은 기독교인 비중이 높으나, 저지대로 내려가면 무슬림이 거주하는 읍과 마을들도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01:28:06에 나무위키 아스마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할 것[2]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3] 아스마라는 에티오피아 북부의 티그라이와 매우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