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성 함께 쓰기

최근 편집일시 :



중립적 관점이 적용되는 문서입니다.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중립적 내용만을 서술하기로 합의가 이루어졌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 내용이 더위키에 강제되지는 않으나 편집시 참고해주시길 바라며, 중립적 관점이 더이상 유지되지 않을 경우 이 틀을 지워주시기 바랍니다.



<color#fff>

파일:페미니즘 기호 화이트.svg
페미니즘
관련 문서
1세대 · 2세대 · 3세대 · 4세대

[ 펼치기 · 접기 ]
분파
자유주의 페미니즘 (차이 페미니즘) · 래디컬 페미니즘 (TERF · TIRF · SWERF · 정치적 레즈비어니즘 · 문화적 페미니즘) · 상호교차성 페미니즘 (트랜스페미니즘) · 사회주의 페미니즘 (아나카 페미니즘) · 보수주의 페미니즘 (안티포르노 페미니즘 · 페모내셔널리즘) ·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 성 긍정 페미니즘 (립스틱 페미니즘) · 종교 페미니즘 (불교 페미니즘 · 기독교 페미니즘 · 이슬람 페미니즘)
이론
FPOV · 디폴트 여성 · 성인지 감수성 · 성 상품화 · 성적 대상화 · 상호교차성 · 젠더 권력 · 젠더블라인드 · 성차별 · 여성 서사 · 유리천장 · 미러링(신조어)
관련 문서
페미니스트 (남성 페미니스트 · 영페미) · 운동 · 도서 · 영화 · 역사 · 여성 단체 · 여성 정책 · 여성사 · 여성혐오 · 여성주의 성 전쟁 · 68운동 · 서프러제트 · 탈코르셋 운동 · 토플리스 운동 · 쿠투 운동 · 핑크 택스 · 페미위키 · 부모 성 함께 쓰기 · HeForShe · 4B 운동
비판 및 논란 · 속어
안티페미니즘 · 페미나치 · 꼴페미 · 여성 우월주의 · 루이스의 법칙 · 남성혐오 · 자국 이성 혐오 · 뷔페미니즘 · 만물여혐설 · 페미니즘은 돈이 된다 · 페미니즘은 지능의 문제 · 쿵쾅이 · 여쭉메워 · 트페미 · 페미씹덕 · 언론의 메갈리아, 워마드 옹호




1. 개요
2. 예시
3. 비판
4. 법적 현실
5. 실제로 사용 중인 나라
6. 성씨를 물려주는 방식



1. 개요[편집]


부모 성 함께 쓰기는 부친의 성(姓)만 따르는 것도, 모친의 성만 따르는 것도 어느 한쪽의 부모만을 따르는 차별이라 생각하여 아예 부친과 모친의 성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다. 1990년대부터 이이효재(이효재), 고은광순 등이 주창했다. 1997년, 1세대 페미니즘 지도자들이 단합한 13차 한국 여성 대회에서 호주제에 반대하며 부모 성 함께 쓰기를 선언한 것이 본격적인 시작이다.

여성뿐만 아니라 페미니즘에 호의적인 남성이 사용하기도 한다. 혹은 간혹가다가 일뽕이 창씨개명으로써 사용하기도 한다.[1] 행정 절차까지 거치지는 않고 그냥 필명 정도로만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인디 음악에 관한 기사를 많이 쓰는 민중의 소리 기자인 서정민갑이 예시다.


2. 예시[편집]


김씨 성을 가진 남자와 박씨 성을 가진 여자 사이에서 태어난 김미진이란 사람이 있다고 했을 때, 아버지의 성만 따라야 하는 것이 불만이고 그렇다고 어머니의 성만 따라 쓰는 것은 성평등에 위배된다 하여 자신의 이름을 김박미진이라 하는 것이다.

가수 윤도현이 이 방식으로 자식의 이름을 지었다. 자신의 성인 '윤'을 따르되 부인의 성인 '이'를 이름에 넣고 '정'을 합쳐 '윤이정'으로 지었기 때문에 자녀의 이름은 네 글자가 아니고 세 글자다. 그러나 법적으로 이렇다는 거고, 윤도현 부부는 성을 윤이, 이름을 정으로 삼았다고 설명하고 있다.

후술한 바와 같이 법적으로는 성을 하나만 쓸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성은 부계로 하되 이름에다 모계의 성을 포함시키는 방법 등을 통하여 우회적으로나마 부모의 성이 모두 들어간 이름을 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맨 위의 사례를 예시로 들자면 성을 '김'으로 하되 이름을 '박미진'으로 하여 김박미진이란 이름을 쓰는 것이다.

가수 김C도 이 방식을 썼다. 고로 딸의 이름은 김유우주. 다만 김C는 현재 이혼한 상태이다.

김박첼라라는 음악가는 본명은 아니지만 예명을 양성 쓰기 운동에서 영감을 받았다.

시인 권박과 배우 공유는 특이하게도 별명을 부모의 두 성 따로 쓰고 있다. 본명은 각각 권민자, 공지철이다.

NCT의 멤버 쟈니의 경우, 한국계 미국인이기 때문에 본명이 John Jun Suh(존 전 서)이다. 이에 아버지가 한국에서 한국어 이름을 등록하면서 성인 Suh(서)가 이름 앞으로 와 '서존전'으로 표기했는데, '서'가 부계 성씨, '존'이 이름, '전'이 모계 성씨이다. 양성쓰기를 의도한 것이 아니나 어머니 성을 미들 네임으로 쓰는 미국식 문화를 적용하다 보니 발생한 사례다.

정치권에서는 남윤인순, 양이원영, 한이명숙 등이 부모 성을 함께 사용한다. 그 외 윤김지영, 김신명숙 등이 있다.


3. 비판[편집]


성평등을 위해 부모 성을 함께 쓴다고 하지만, 막상 같이 쓰면 대부분 아버지의 성이 앞에 오는 것 때문에 "그렇게 부모 성 함께 쓴다고 요란을 떨면서 실효성이 있냐?"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며, 엄마의 성은 결국 외할아버지의 성이기 때문에 무슨 의미냐고 조롱하기도 한다.[2]

게다가 변씨와 소씨, 이씨와 오씨, 김씨와 장씨, 고씨와 추씨, 조씨와 조씨, 강씨와 정씨, 신씨와 한씨, 채씨와 소씨 등 성씨를 합치면 어감상 이상해지는 경우는 당연히 부모 성 함께 쓰기를 받아들일 수가 없다.

이러한 모순의 연장선상에서 할아버지의 성이 김씨, 할머니의 성이 이씨, 외할아버지의 성의 박씨, 외할머니의 성이 최씨이고 이름이 철수이면 김이박최철수라고 쓸 거냐는 비아냥을 받기도 한다. 이 원칙에 충실하다 보면 성이 무한정 길어지는 부작용이 있다.


4. 법적 현실[편집]


민법 제781조(자의 성과 본) ①자는 부의 성과 본을 따른다. 다만, 부모가 혼인신고시 모의 성과 본을 따르기로 협의한 경우에는 모의 성과 본을 따른다.

② 부가 외국인인 경우에는 자는 모의 성과 본을 따를 수 있다.

③ 부를 알 수 없는 자는 모의 성과 본을 따른다. (중략)

⑥ 자의 복리를 위하여 자의 성과 본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부, 모 또는 자의 청구에 의하여 법원의 허가를 받아 이를 변경할 수 있다. (후략)

2018년 중순 이전의 대한민국 민법상, 자녀는 아버지의 성씨를 따르는 것이 원칙이다.[3] 예외적인 경우[4] 어머니의 성씨를 따를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성씨를 하나만 쓴다는 점은 달라지지 않는다. 두 글자 이상의 성씨는 남궁, 선우, 황보, 제갈 같은 원래 복성 말고는 인정되지 않는다.

예시로 든 김박미진 씨의 경우, 대한민국 현행법상 이 사람의 법적 성씨는 이고 이름은 박미진이 된다. 이는 공문서를 작성할 때 가장 확실하게 알 수 있게 되는데, 예컨대 여권을 신청할 때 성씨 쓰는 칸에 KIMPARK이라고 썼다간 없는 사람 취급받아 반려될 것이다.


5. 실제로 사용 중인 나라[편집]


스페인어권과 포르투갈어권에서는 부모의 성을 함께 사용한다. 이들의 풀네임은 제1 이름 + 제2 이름[5] + 성1 + 성2의 순인데, 자식은 아버지의 성1과 어머니의 성1을 물려받게 된다. 위키백과

호세 루이스 블라스코(José Ruiz y Blasco) ♡ 마리아 피카소 로페스(María Picasso y López)
→ 파블로 루이스 피카소 (Pablo Ruiz Picasso)

매 세대마다 성을 물려주면 풀네임이 계속 길어질 수밖에 없으므로, 할머니와 외할머니의 성을 손자에게 물려주지 않는 식으로 성 2개를 유지하는 것. 모계의 성씨가 이어지지 않는다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어머니의 성씨를 앞자리에 놓으면 된다. 그리고 스페인의 양성평등법은 1999년 이후 어머니의 성씨를 앞자리에 놓는 것(surname transposition)을 허용했다. 반면 포르투갈 및 브라질에서는 어머니 성1 + 아버지 성1 순으로 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라틴아메리카에서는 호적을 등록할 때 부모가 각각 승인을 해야 자신의 성을 물려줄 수 있다. 즉, 만약 아버지가 호적에 올리는 것을 거부하면 아버지의 성을 쓸 수 없어서 이름 1 + 이름 2 + 어머니 성과 같은 식이 되는데 이러면 호로자식 취급을 받게 된다고 한다. 저 의미는 쟤는 내 자식이 아니다 라고 말하는 식이기 때문이다.

필리핀은 스페인의 식민지였다가 미국의 식민지로 편입되어 스페인과 미국의 풍습이 혼합된 형태가 되었다. 위키백과1, 2 이름이 '마일린 아세부치 아이린코'라는 여성이 있다고 치면 '마일린'이 이름, '아세부치'는 어머니의 성, '아이린코'가 아버지의 성이다. 이 여자가 만약 결혼한다면, 어머니의 성인 '아세부치'는 없어지고 아버지의 성인 '아이린코'가 가운데로 이동되며, 새롭게 남편의 성이 뒤에 붙는다. 혹은 기존의 성씨를 둘 다 버리고 남편의 성만 사용하거나, 아예 남편의 풀네임을 사용하고 Mrs.를 붙일 수도 있다. 아예 남편의 성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풀네임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페인어권과 포르투갈어권 국가가 아니더라도 부모 중 한명이 스페인어권과 포르투갈어권이면 쓰는 경우가 있다.

두 어권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두 성을 합쳐서 자기 성으로 삼는 경우도 있다. 마운트배튼윈저미타그레플레르가 있다. 이 중 전자는 영국 왕실 가문으로서, 그 가문원들이 누구의 혈통을 물려받았는지를 따지기 위해 저런 성을 쓰는 것이다[6].


6. 성씨를 물려주는 방식[편집]


성 2개를 사용하는 부부끼리 결혼할 경우, 자식은 성 4개를 물려받게 된다. 이런 식이면 세대가 지날 때마다 성이 계속 늘어날 수밖에 없으므로, 4개 중 2개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스페인의 방식에 따르면 손자는 할아버지와 외할아버지의 성씨만 물려받게 되므로 모계 성씨가 이어지지 않고, 포르투갈의 방식에 따르면 손자는 할머니와 외할머니의 성씨만 물려받게 되므로 부계 성씨가 이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한민국에서 본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아버지의 부계 성씨와 어머니의 모계 성씨를 물려받는 방식을 주장한다. 다만 이 방식은 딸만 낳으면 아버지는 손자에게 자기 성을 물려줄 수 없고, 아들만 낳으면 어머니는 손자에게 자기 성을 물려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7]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3:07:43에 나무위키 부모 성 함께 쓰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이 경우는 보통 그냥 새로운 성씨를 만들거나 일본에 이미 존재하던 성씨를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2] 더 나아가 이씨 성을 가진 남자가 등씨 성을 갖는 중국 여자와 국제결혼 해서 박문이라는 아들을 두면 어떡할 거냐, 신씨 성을 가진 페미니스트가 풍씨 성을 가진 중국 남자와 국제결혼해서 수길이라는 딸을 두면 어떡할 거냐는 등의 조롱도 있다.[3] 2018년 중순부터는 합의 하에 엄마 성씨를 따르든 아빠 성씨를 따르든 상관이 없도록 법이 바뀌었다. [4] 가령 부부의 이혼 이후 자녀를 어머니가 양육하는 경우. 안정환이 이 경우로 유명하다. e스포츠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왕호의 사례도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5] 세례명이 아니다.[6] 실제로 유럽귀족들은 작위 상속 문제때문에 양성쓰기가 매우 흔하다. 옛 러시아 황실의 가문인 로마노프 왕가의 성씨도 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Гольштейн-Готторп-Романов)다.[7] 이는 사실 특별히 문제라고 볼 수는 없는데, 왜냐하면 기존의 부계 성씨에서도, 딸만 낳은 아버지는 결국 손자에게 자기 성씨를 물려줄 수 없기 때문이다. 딸이 아버지의 성을 쓰더라도 결국 외손자는 사위의 성을 쓰게 되기 때문이다. 부모 성 쓰기는 기존에 존재하던 부계의 연속성을 추가적으로 파괴하지 않으면서도 모계의 연속성을 함께 명시적으로 드러내는 것이다. 부계와 모계 성이 각각 Y 염색체와 mtDNA에 대응된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