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리클레 합성곱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성질
2.1. 항등원
2.2. 역원


1. 개요[편집]


Dirichlet's convolution
디리클레 합성곱은 두 수론적 함수 사이에 정의되는 이항연산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ath(f*g(n)=\displaystyle\sum_{d|n}f(d)g(\frac{n}{d}))]

이 때 [math(f(1)\neq0)]인 모든 수론적 함수의 집합은 디리클레 합성곱 하에서 아벨군을 이룬다.


2. 성질[편집]


• 교환법칙 [math(f*g=g*f)]

• 결합법칙 [math(f*(g*h)=(f*g)*h)]

• 분배법칙 [math(f*(g+h)=f*g+f*h)]


2.1. 항등원[편집]


수론적 함수 [math(I(n))]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함수이다.

• [math(I(n)=[\frac {1}{n}]=\begin{cases} 1&(n=1)\\0&(n>1)\end{cases})]

이 때 [math(I(n))]은 모든 함수 [math(f)]에 대해 다음 성질을 만족한다.

• 항등원 [math(I*f =f*I=f)]
[증명]
--
[math((f*I)(n)=\displaystyle\sum_{d|n}f(d)I(\frac {n}{d})=\displaystyle\sum_{d|n}f(d)[\frac {d}{n}]=f(n))]



2.2. 역원[편집]


[math(f(1)\neq0)]을 만족하는 수론적 함수 [math(f)]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수론적 함수 [math(f^{-1})]이 유일하게 존재한다.

• 역원 [math(f*f^{-1}=f^{-1}*f=I)]
이 때 [math(f^{-1})]은 다음 점화식을 만족한다.

• [math(f^{-1}(1)=\frac {1}{f(1)}, f^{-1}(n)=\frac{-1}{f(1)}\displaystyle\sum_{d|n, d $(document).ready(function(){ $("#rfn-1").bind("contextmenu",function(e){ $("#Modalrfn-1").attr("style", "display: block;"); return false; }); $("#Modalrfn-1").on("click", function(){ $("#Modalrfn-1").attr("style", "display: none;"); }); $("#rfn-1").bind("touchend", function(){ $("#Modalrfn-1").attr("style", "display: block;"); }); $("#Modalrfn-1").bind("touchstart", function(){ $("#Modalrfn-1").attr("style", "display: none;"); }); }); [1]
[증명]
---
우선 [math(n=1)]일 때에서 [math(f^{-1}(1)=\frac{1}{f(1)})]을 얻는다.

[math(n>1)]에 대해 [math(\displaystyle\sum_{d|n}f(\frac{n}{d})f^{-1}(d)=I(n)=0)]임을 이용하자.
[math(좌변 =f(1)f^{-1}(n)+\displaystyle\sum_{d|n, d<n}f(\frac{n}{d})f^{-1}(d)=0)]

[math(\therefore f^{-1}(n)=\frac{-1}{f(1)}\displaystyle\sum_{d|n, d<n}f(\frac{n}{d})f^{-1}(d))][1]

즉 수론적 함수 [math(f(1)\neq 0)]에 대해 [math(f^{-1})]의 함수값이 존재하며 유일하다.

예시로 [math(u(n)=1)]과 뫼비우스 함수 [math(\mu(n))]은 서로 역원이다.[2]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18:20:00에 나무위키 디리클레 합성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math(단, n>1)][2] 이를 통해서 뫼비우스 반전 공식을 유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