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우(1941)

덤프버전 :

대한민국 제10-12대 국회의원
홍성우
洪性宇 | Hong Sung-woo
파일:0003657085_001_20211203045501072.jpg
출생1941년 2월 20일
경기도 안성군
사망2021년 12월 2일 (향년 80세)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라동 제주대학교병원
본관남양 홍씨
배우자허순옥
자녀장남 홍용의, 차남 홍정의, 삼남 홍관의
학력양성국민학교 (졸업)
안성중학교 (졸업)
안성농업고등학교 (임학 / 졸업)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 수료)
경희대학교 문리과대학 (화학 / 중퇴)
경희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 / 중퇴)
종교개신교(장로회)천주교(세례명: 요셉)
최종당적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의원 선수3
의원 대수10, 11, 12
경력제10대 국회의원 (서울 제5선거구 / 무소속)
민주공화당 당무위원 겸 행정위원
민주정의당 당무위원 겸 행정정무위원
제11대 국회의원 (서울 제6선거구 / 민주정의당)
민주자유당 원내수석부총무
제12대 국회의원 (서울 제6선거구 / 민주정의당)
경희대학교 행정학과 겸임교수
신민주공화당 당무위원 겸 전임행정위원
통일국민당 당무위원 겸 상임위원
신정치개혁당 당무위원 겸 전임위원
신민당 당무위원 겸 상임고문
자유민주연합 당무위원
중앙대학교 행정학과 전임강사
명지대학교 행정학과 겸임교수
동아방송대학교 방송연기학과 특임강사
한경대학교 행정학과 겸임교수
배우 경력
데뷔백마고지 (1963년 영화)
활동 기간1963년 ~ 1976년

1. 개요
2. 생애
3. 소속 정당
4. 선거 이력
5. 주요 출연작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배우, 정치인. 본관은 남양(南陽)#.


2. 생애[편집]


1941년 경기도 안성군에서 경찰공무원 출신의 아버지 홍백기(洪百基)의 5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안성중학교안성농업고등학교 임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문리과대학 화학과, 국어국문학과에 재학하다 중퇴하였으며 1963년 영화 백마고지에 출연하여 배우생활을 시작하였다. 1970년대 동양방송데릴사위라는 드라마에 출연하여 당시 시청률 76%라는 경이로운 기록을 세우면서 인기를 얻었다. 1976년 영화 미스염의 순정시절에 출연한걸 마지막으로 배우계에서 은퇴하였다.

배우계에서 은퇴한 뒤 정치인으로 전향하였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 도봉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신민당 고흥문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9년 6월 이후락, 최치환, 김진만, 변정일, 김수, 박용기, 함종빈, 박정수, 정휘동, 임호, 임영득, 한갑수, 윤재명, 권오태 등과 민주공화당에 입당하였다. 10.26 사건박찬종, 남재희, 오유방 등과 정풍 운동을 주도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한국당 김태수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신한민주당 조순형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불출마를 선언하고 정계에서 은퇴하였다. 그러나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국민당 공천을 받아 서울특별시 노원구 을 지역구에 출마했다가 민주당 임채정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선거 직후 국민당에서 탈당했다. 이후 정계를 은퇴한 뒤 MBC 라디오에서 시사칼럼 홈런출발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정치평론가로 활동하였고 교수직도 지내다가 2021년 2월 8일 국민의힘 소속으로 정당에 입당한 후, 2021년 7월 6일 제20대 대통령 선거에 공식 출마 선언하였다. # 하지만 특별한 언급 없이 이후에 열린 대선후보 간담회 등의 당내 일정에는 모두 불참하였고, 예비후보 등록도 하지 않았다.

2021년 12월 2일 향년 80세로 사망했다. # 사인이 혈액암이라는 보도로 미루어 볼 때 대선 출마 선언 후 병세가 위중해져 조용히 출마를 접은 것으로 추정된다.


3.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무소속|
무소속
]]
1978 - 1979정계 입문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1979 - 1980입당

[[무소속|
무소속
]]
1980 - 1981정당 해산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1 - 1990창당
정계 은퇴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90 - 1992합당[1]

[[무소속|
무소속
]]
1992탈당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1992입당
정계 복귀

[[무소속|
무소속
]]
1992 - 2021탈당
정계 은퇴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1입당
정계 복귀
사망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78제10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5[a]
[[무소속|
무소속
]]
71,066 (25.57%)당선 (2위)초선[2][3]
1981제11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6[a]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15,038 (35.82%)당선 (1위)재선[4]
1985제12대 국회의원 선거99,245 (24.14%)당선 (2위)3선[5]
1992제14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노원 을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29,621 (24.04%)낙선 (3위)


5. 주요 출연작[편집]


  • 길(1976)
  • 미스염의 순정시절(1976)
  • 데릴사위(1974)
  • 호기심(1974)
  • 악령(1974) - 만득이 역
  • 산녀(1973)
  • 쥐띠부인(속)(1972)
  • 주차장(1969) - 기자C 역
  • 밀사(1969)
  • 나도 인간이 되련다(1969) - 강석 역
  • 설원의 정(1969)
  • 쌍용검(1968) - 오광평 역
  • 철부지 아씨(1968) - 마을청년 역
  • 칠보반지(1968)
  • 지옥의 십자로(1968)
  • 폭로(1967) - 기자A 역
  • 하얀 까마귀(1967) - 부장 역
  • 백마고지(1963) - 연대장 역


6. 둘러보기[편집]








[1]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a] A B 도봉구[2] 신민당 고흥문 후보와 동반 당선[3] 1979. 6. 7 민주공화당 입당[4] 민주한국당 김태수 후보와 동반 당선[5] 신한민주당 조순형 후보와 동반 당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홍성우 문서의 r1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홍성우 문서의 r1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20:22:29에 나무위키 홍성우(194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