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원구 을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노원구/정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파일:국회휘장.svg


노원구 을
하계동, 상계6·7동, 중계동
蘆原區 乙
Nowon B



파일:국회선거구 노원구 을.svg

선거인 수
196,550명 (2020)
상위 행정구역
서울특별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노원구 일부
하계1동, 하계2동, 상계6·7동,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2·3동, 중계4동

신설년도
1988년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우원식




1. 개요[편집]


서울에서 민주당계 정당의 텃밭 중 하나로 일컬어지는 노원구라 민주당계가 우세한 지역이지만, 노원구치곤 치열한 선거전이 벌어지는 선거구기도 하다. 이는 중계동, 하계동의 표심이 팽팽한 데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민주, 보수정당이 나름 팽팽했던 17~19대 국회의원 선거때와는 달리 20대, 21대 총선에서는 민주당이 압도적인 표 차이로 승리를 거두었는데, 이는 현역 의원의 프리미엄과 새누리당에 실망한 중도, 보수 지지층이 여타 후보쪽으로 이탈한 데 기인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지역구 내에서 경쟁력이 있었던 권영진 전 의원이 대구광역시장에 당선되며 국회의원 출마가 불가능하기에 보수정당이 인물 대결에서도 밀리게 되었다.

2020년 3월 3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가 발표한 선거구획정안에 따르면 노원구는 기존 갑을병에서 노원구 을 지역을 각각 노원구 갑,병 지역이 흡수하여 신설 노원구 갑/을[1]로 재편될 예정이었으나, 그 다음날에 여야는 선거구획정위의 획정안을 거부하고 노원구 갑/을/병을 유지시키는 선거구 획정안 기준을 선거구획정위에 전달함에 따라 노원구의 통폐합은 백지화되었다.[2]

2023년 기준 해당 지역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의 원내대표를 역임한 우원식이다.


2. 선거구 변천의 역사[편집]


2000년까지의 노원구 을 선거구는 상계동을 기반으로 했으며, 2004년부터 현재의 하계동+중계동+상계동(일부) 관할구역이 확정되고 기존의 노원구 을 선거구는 노원구 병 선거구로 사실상 계승되었다. 바꿔 말하면 현재의 노원구 을 선거구는 2004년에 신설된 선거구라 봐도 틀리지 않다.[3]


3. 역대 국회의원 목록[편집]


대수
의원명
소속정당
임기
비고
양주군 을[5]
제1대
이진수

[[무소속|
무소속
]]

1948년 5월 31일 ~ 1950년 5월 30일

제2대


1950년 5월 31일 ~ 1954년 5월 30일

제3대
강승구

[[무소속|
무소속
]]

1954년 5월 31일 ~ 1958년 5월 30일

양주군 을[6][7]
제4대
강성태


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제5대
강승구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성북구 을[8] [9]
제6대
서범석

[[민정당|
]]

1963년 12월 27일 ~ 1967년 6월 30일

제7대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성북구 병[10][11]
제8대
고흥문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성북구[12]
제9대
고흥문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정래혁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도봉구[13]
제10대
고흥문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8월 27일
[14]
홍성우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제11대
홍성우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김태수

[[민주한국당|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제12대
조순형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홍성우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노원구 을(노원구 도봉동[15], 상계동, 중계동, 하계동 일대) [16]
제13대
김용채

[[신민주공화당|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노원구 을(노원구 상계동[17] 일대)
제14대
임채정

1992년 9월 8일 ~ 1996년 5월 29일
[18]
노원구 을(노원구 상계동, 중계1·4동[19] 일대)
제15대
임채정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제16대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노원구 을(노원구 상계6·7동, 하계동, 중계동[20] 일대)
제17대
우원식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
권영진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
우원식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
2020년 5월 30일~2024년 5월 29일(예정)



3.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노원구 을
도봉1동, 도봉2동, 하계동, 중계동,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동, 상계4동, 상계5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권오주(權五周)
16,161
4위

15.97%
낙선
2
신두희(申斗凞)
21,028
3위

20.78%
낙선
3
임채정(林采正)
30,346
2위

29.99%
낙선
4
김용채(金鎔采)
31,150
1위

30.79%
당선
5
정선배(鄭善培)
2,474
5위

2.44%
낙선

선거인 수
147,108
투표율
69.46%
투표수
102,187
무효표수
1,028


3.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현역 3선 김용채 의원이 박정희의 '혁명 동지'이자, 신민주공화당 원내총무를 지냈고 국회 건설위원장인 거물인만큼 그를 꺾기 위해 여러 인사들이 도전하였다. 민주당임채정 후보는 문동환, 박영숙과 함께 평화민주당에 입당했던 재야에서 민주화운동에 13대 총선에서도 김용채 의원에 도전했으나 패했다가 다시 도전했으며, 통일국민당 홍성우 후보는 민주공화당에서 정풍 운동을 주도한 3선 의원으로 정계은퇴를 했다가 이번에는 정주영의 통일국민당에서 공천받아 출마하였다. 진보인사인 무소속 오세철 후보도 나왔다.

개표 결과 김용채 후보가 임채정 후보를 불과 36표 차이로 누르고 당선되어 5선에 성공했으나, 재검표에서 결과가 바뀐다. 군부재자 투표의 100표 다발 하나가 잘못 집계된 것이 드러나 오히려 임채정 후보의 역전승이 선언된 것이다. 김용채는 당선 후 정무제1장관에 임명되었으나 재검표 결과 때문에 의원직 뿐만 아니라 장관직도 잃고 말았다.
노원구 을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동, 상계4동, 상계5동, 상계6동, 상계7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용채(金鎔采)
40,551[21]
12위

32.91%
낙선
2
임채정(林采正)
40,515[22]
21위[23]

32.88%
당선
3
홍성우(洪性宇)
29,621
3위

24.04%
낙선
4
전대열(全大烈)
2,589
5위

2.10%
낙선
5
오세철(吳世徹)
9,181
4위

7.45%
낙선
6
장성욱(張成郁)
743
6위

0.60%
낙선

선거인 수
174,554
투표율
71.21%
투표 수
124,292
무효표 수
1,092


3.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재검표까지 가는 접전 끝에 승리한 임채정 의원에 대항해 신한국당에서는 박종선 후보가 나왔다. 그는 여론조사 전문가로서 전문성을 내세우며 힘있는 여당의 젊은 후보에게 표를 모아달라고 호소했다. 재검표 끝에 패했던 김용채 전 의원은 이번에는 자유민주연합 소속으로 출마했다. 그는 자신이 지역구 개발에 기여했다며, 서울의 동북부에 우뚝 솟은 중심 생활도시로 가꾸겠다고 밝혔다.

통합민주당에서는 이문옥 후보가 출마했는데, 양심선언 후 이문옥 감사관 구속 사건으로 세인의 주목을 받았던 인물. 참공무원의 표상을 구호로 무공해 정치인이 되겠다고 지지를 당부했다. 현역 임채정 의원 역시 자신의 활발한 의정활동을 소개하고 장학로 비리사건 등 여권에 대한 공세를 폈다. 정치가 깨끗해지려면 무엇보다도 청와대가 먼저 깨끗해져야 한다며 깨끗한 정치를 선언하였다.

임채정 후보는 33.25%의 득표로 2위인 신한국당 박종선 후보를 6.6% 차이로 누르고 재선에 성공한다.
노원구 을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동, 상계4동, 상계5동, 상계6동, 상계7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 중계1동, 중계4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종선(朴鍾善)
33,396
2위

26.68%
낙선
2
임채정(林采正)
41,615
1위

33.25%
당선
3
이문옥(李文玉)
15,879
4위

12.68%
낙선
4
김용채(金鎔采)
33,026
3위

26.39%
낙선
5
구판홍(具判弘)
1,224
5위

0.97%
낙선

선거인 수
199,183
투표율
63.64%
투표 수
126,752
무효표 수
1,612


3.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재선 임채정 의원의 전성기가 시작된다. 지역에서 확고하게 자리 잡았고, 당내에서도 탁월한 정세판단 감각을 인정받아 집권여당의 정세분석위원장을 맡는 등 싱크탱크로써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것이었다. 주민간담회 등 지역구 관리에도 신경을 써 와 이미지가 나쁘지 않은 상황이었다.

여기에 한나라당장두환 후보를 공천했다. 충남 연기 출신으로 정치개혁시민연합 대변인 등을 맡으면서 기성 정치권의 물갈이와 정치개혁을 줄기차게 제기해 온 힘을 바탕으로 '정치신인의 새바람'을 일으켜 보겠다고 다짐했다. 자민련한국토지공사 사장으로 자리를 옮긴 김용채 전 장관을 대신해 민주한국당 창당발기위원이었던 박병일 전 의원이 선거구를 노원구 갑에서 노원구 을로 옮겨 출마했다. 민주국민당이동섭 후보가, 민주노동당은 서울지하철노조위원장을 지냈던 정윤광 후보가 출마했다.

임채정 의원이 장두환 후보를 4% 차이로 누르고 3선에 성공했다.
노원구 을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동, 상계4동, 상계5동, 상계6동, 상계7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 중계1동, 중계4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장두환(張斗煥)
43,091
2위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37.05%
낙선
2
임채정(林采正)
47,815
1위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41.11%
당선
3
박병일(朴炳一)
8,279
3위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7.12%
낙선
4
이동섭(李銅燮)
3,224
6위
[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2.78%
낙선
5
정윤광(鄭允洸)
6,910
4위
[include(틀:민주노동당)]
5.94%
낙선
6
김선욱(金善郁)
1,481
8위
[include(틀:청년진보당)]
1.27%
낙선
7
이달원(李達源)
3,842
5위
[include(틀:무소속)]
3.30%
낙선
8
정선배(鄭善培)
1,663
7위
[include(틀:무소속)]
1.43%
낙선

선거인 수
217,658
투표율
53.87%
투표 수
117,258
무효표 수
953


3.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노원구의 인구가 증가하면서 제17대 국회에서 노원구 병 지역구가 새로히 신설되는 과정에서 월계동, 공릉동 지역은 노원구 갑, 하계동, 중계동 지역과 상계6·7동은 노원구 을, 상계6·7동을 제외한 상계동 지역은 노원구 병 선거구가 되었다. 이로 인해 현역 열린우리당 임채정 의원은 노원구 병 지역구로 출마를 선언하였고[24], 자리가 빈 노원구 을 지역구의 열린우리당 후보는 정치 신인 우원식이 되었다. 우원식 후보는 박정희, 전두환 퇴진 운동 등을 하며 구속된 경력이 있는 민주화운동 출신으로, 서울시의회 의원을 거쳐 새천년민주당 창당준비위원과 환경관리공단 관리 이사를 지냈다.

이에 맞서는 한나라당 후보는 권영진으로,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회창 총재의 정무 및 공보 보좌 역으로 정치권에 입문했다. 고려대 대학원 초대 총학생회장을 지냈고 한나라당에서는 개혁 성향의 인물로 알려져 있다. 새천년민주당은 임래규 전 산업자원부 차관이 출마했다. 31년간 공직 생활을 한 관료 출신으로, 상공부 산업정책국장, 통상산업부 중소기업국장, 산업자원부 무역조사실장 등 수출과 산업 관련 요직을 두루 거쳤다. 나라경제 30년 경륜을 노원에 쏟아붓겠다고 밝혔다.

탄핵 정국 등의 호재를 받은 우원식 후보가 접전 끝에 권영진 후보를 1.9% 차이로 누르고 어렵사리 당선되었다.

노원구 을
하계1동, 하계2동,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2동, 중계3동, 중계4동, 상계6동, 상계7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권영진(權泳臻)
42,677
2위

39.61%
낙선
2
임래규(林來圭)
7,249
4위

6.72%
낙선
3
우원식(禹元植)
44,720
1위

41.51%
당선
4
안대륜(安大崙)
1,200
6위

1.11%
낙선
5
이상현(李尙炫)
9,511
3위

8.82%
낙선
6
조종만(曺鐘滿)
2,374
5위

2.20%
낙선

선거인 수
163,462
투표율
66.35%
투표 수
108,463
무효표 수
732


3.6.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현역인 통합민주당 우원식 의원이 17대 총선에서 탄핵 정국에서도 1.9% 차이로 간신히 승리했던만큼, 18대 총선도 알 수 없는 방향으로 흘러갔다. 원내로 첫 진출한 우원식 의원은 김근태 의원, 임채정 국회의장 등과 함께 활동하며, 강남북간 재정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해 서울시 재산세를 공동과세하는 지방세법 개정안,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한 '사회적 기업육성법' 제정안 등을 주도했다. 또 국회 환노위 여당 간사를 맡아 미군부대 기름유출이나 비정규직 해소문제를 집중 거론했다. 공약으로는 재산세의 50%인 공동과세를 100%로 확대해 강남북 균형발전의 재정적 근거를 확대하고 창동 차량기지 이전의 원활한 마무리를 통해 지역의 교육, 생활환경 개선 등을 내걸었다.

17대 총선에서 패했던 한나라당권영진 후보는 오세훈 시장의 서울시장 후보시절 비서실장을 맡아 당선을 돕고,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을 지내면서 서울시 재산세 공동과세제 도입, 노원구 국제화교육특구 지정 등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명박 대통령측근으로, 이명박 대통령 당선의 호재를 누리게 되었다. 중앙정부의 교육특구 재정지원 실현, 장애인기초생활수급자들에 대한 실질적인 일자리 공급, 초중등교육법 개정을 통한 자율교육 실현, 창동차량기지 이전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88만원 세대 희망본부' 본부장인 민주노동당 조현실 후보도 출마해, 등록금 문제와 청년실업, 비정규직 문제 해결, 그리고 쓰레기 소각장 이전과 동부간선도로 정체 문제 해결을 대표적인 지역 공약으로 내세웠다.

권영진[25] 후보가 5.8% 차이로 우원식 현역 의원을 꺾고 원내에 진출한다.
노원구 을
하계1동, 하계2동,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2동, 중계3동, 중계4동, 상계6·7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우원식(禹元植)
38,104
2위

44.09%
낙선
2
권영진(權泳臻)
43,150
1위

49.93%
당선
4
조현실(曺絃實)
4,182
3위

4.83%
낙선
6
고진목(高辰睦)
593
4위

0.68%
낙선
7
여석동(呂奭東)
385
5위

0.44%
낙선

선거인 수
165,955
투표율
52.44%
투표 수
87,026
무효표 수
612


3.7.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새누리당 권영진 의원과 민주통합당 우원식 전 의원의 3번째 매치가 성사되었다. 스코어 1:1인 만큼 중요한 승부가 아닐 수 없었다. 권영진 후보는 "우원식 후보가 17대 국회에서 동부간선도로 확장 문제와 창동차량사업소 이전 등에 대해 말만 했지 지키지 못했지만, 저는 성과를 이뤄냈다"며 "서울시 부시장 시절부터 국회의원 4년 동안 열심히 일한 것을 주민들이 잘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새누리당이 아직 쇄신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새누리당이 국민과의 약속을 실천해서 완전히 다른 정치세력으로 재탄생해야 한다"고 밝혔다.

우원식 후보는 권영진 후보의 주장에 반대하며, "17대 국회에 제가 있는 동안 강남북 균형발전을 위한 법률 등이 통과됐다. 하지만 18대 국회에서는 지지부진했다. 주민들의 실망이 크다"며 "제가 19대 국회에 들어가 이를 제대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권영진 후보가 19대 국회에서 4대강 정비 사업, 친수구역 개발, 부자감세 등에 대해 모두 찬성을 했다, 서민경제와 맞지 않는다"고 지적하며, 부자감세, 토목사업으로 인해 주민들의 불만이 크고 소상공인, 자영업자, 서민경제가 완전히 죽었다고 주장했다.

3번째 매치 역시 박빙의 승부 끝에 우원식 후보가 1.8%[26]차이로 제치고 승리했다.
노원구 을
하계1동, 하계2동,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2동, 중계3동, 중계4동, 상계6·7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권영진(權泳臻)
49,026
2위

47.94%
낙선
2
우원식(禹元植)
50,844
1위

49.72%
당선
3
이기재(李褀載)
1,198
3위

1.17%
낙선
6
전영돈(全永敦)
733
4위

0.71%
낙선
7
이선엽(李善燁)
445
5위

0.43%
낙선

선거인 수
167,833
투표율
61.25%
투표 수
102,800
무효표 수
554

이후 권영진은 대구로 하방해서 재선 대구시장을 지냈다.


3.8.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노원구 을
하계1동, 하계2동, 상계6·7동,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2·3동, 중계4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홍범식(洪範植)
32,026
2위

29.88%
낙선
2
우원식(禹元植)
55,687
1위

51.95%
당선
3
황상모(黃相模)
19,462
3위

18.15%
낙선

선거인 수
167,383
투표율
64.73%
투표 수
108,351
무효표 수
1,176
현역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의원은 단수추천으로 공천되어 3선에 도전한다.

19대 총선에서 패한 권영진 전 의원은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대구시장에 출마해 당선되어서 경선 지역으로 분류되었고, 대신 새누리당은 영입인재 1호였던 6인 중 한 명인 김태현 변호사와 홍범식 전 당협위원장과 경선을 실시했고, 홍범식 전 당협위원장이 경선에서 승리하여 공천되었다. [27][28]

국민의당에서는 황상모 후보를 공천하였다. 안철수 후보가 바로 옆 지역구인 노원구 병 지역에서 출마해 종종 합동유세를 하기도 했다.

선거 결과 현역 우원식 의원이 3선 고지에 올랐다. 권영진 후보를 상대로 이겼을 때는 두 번 다 2,000표 내외의 박빙싸움이었는데, 이번에는 23,000표가 넘는 여유 있는 승리를 거뒀다.

어떻게 보면 새누리당의 실책이였다. 100% 지역구민 여론조사였다지만, 여론조사 특성상 안 받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사실상 영입인재 하나 허공에 날린 셈이 되었다. 정당 지역구 여론조사 전화를 받을 사람들은 당원 밖에 없고, 당원이 영입인재라고 해도 험지에다 생판 모르는 사람 공천해서 탈탈 털리는 것 보다는 이름이라도 알고 있는 사람을 뽑아 안전한 쪽을 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셈. 거기다가 권영진이 대구시장 후보로 차출되어 당선된 이후, 사실상 노원 소외론이 점차 고개를 들기 시작했으며, 이는 결국 새누리당의 패착으로 이어진 것이다. 애초 홍범식부터가 이 지역 위원장을 안한지가 꽤 오래 됐으니...

이번 선거에서 보수 진영은 많은 것을 잃었다. 본래 노원구 자체가 전라도 출신 인구가 많은 동네라서 험지로 분류된다고는 하지만, 그건 그냥 전라도 사람이 다른 지역에도 많아서 그런 거고,[29][30] 사실 노원구는 본래는 보수 성향이 꽤 강한 곳이였다. 이 지역은 이명박서울특별시장의 영향도 컸지만, 2011년 재개발 붐이 불었을 당시 노원구 재개발 사랑방에 한나라당 지지 성향이 많이 존재했다. 이러한 사실은 당시 부동산계에서도 유명한 얘기였다. 때문에 보수정당이 적어도 경합을 자랑한 곳이였다. 따라서 다른 지역에 비해 원적지가 전라도인 사람이 많은 것일 뿐이지 보수 진영에 불리한 지역은 아니었다.[31] 따라서 강남 지역을 제외한 서울특별시 전역이 보수정당에서 이탈해가는 와중에, 이 지역을 놓친 것은 뼈아픈 일.

3.9.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노원구 을
하계1동, 하계2동, 상계6·7동,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2·3동, 중계4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우원식(禹元植)
71,708
1위

62.67%
당선
2
이동섭(李銅燮)
41,792
2위

36.52%
낙선
7
차동익(車東益)
906
3위

0.79%
낙선

선거인 수
163,736
투표율
71.56%
투표 수
115,788
무효표 수
1,382

노원구 을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후보
우원식
이동섭
(1위/2위)
현대 6차
61.87%
37.03%
▼24.84
청솔
60.83%
38.59%
▼22.24
현대우성
60.18%
39.14%
▼21.04
중계 주공 1단지
59.76%
39.42%
▼20.34
상계 주공 6단지
56.06%
43.02%
▼13.04
중계 주공 3단지
55.44%
43.09%
▼12.35
중계 목화 4단지
54.61%
44.14%
▼10.47
중계 목련 3단지
53.33%
45.23%
▼8.10
선거 직전 노원구 선거구가 3곳에서 2곳으로 줄면서 변동이 있을 뻔 했으나, 현행 유지로 결론났다.# 명목상으로는 노원구 병이 폐지되고, 과 을로 조정되는 것이지만 사실상 노원구 을이 갑/병 양 끝 선거구로 합쳐지는 모양새였다.

우원식 의원이 지역구 관리를 잘 해서 그런지 아파트 지역에서도 과반이 넘는 특표율을 보이며, 62.67%라는 압도적 득표율로 4선에 성공했다.[32] 우원식 의원의 지역구 공약은 창동차량사업소 부지에 서울대학교병원을 유치하는 것이다. 반대로 낙선이동섭 의원은 창동차량사업소 부지에 스타필드와 게임문화공간을 유치하는 것이었다. 국가혁명배당금당 차동익 후보는 지역구 공약이 아예 없었다.[33]


3.10.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노원구 을
하계1동, 하계2동, 상계6·7동,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2·3동, 중계4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0


00.00%

2

0


00.00%

3

0


00.00%


선거인 수

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노원구 인구 감소로 인해, 일부는 노원구 갑으로 편입되고 일부는 노원구 병과 합쳐져 새로운 을 지역구로 개편 예정이다. 즉, 이름만 '을'이고 사실 병 지역구를 기반으로 을 선거구 일부가 포함되는 형태.
따라서, 현 노원 병 지역에 출마할 예정의 후보들은 그대로 노원 을에 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일부 후보 간 공천갈등이 예상된다.

4. 역대 대통령 선거 결과[편집]



4.1.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노원구 을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동, 상계4동, 상계5동,
상계6동, 상계7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

정당




후보
김영삼
김대중
정주영
박찬종
득표수
54,573
50,800
24,453
9,815
득표율
38.54%
35.88%
17.27%
6.93%
순위
1위
2위
3위
4위

선거인 수
173,068
투표 수
142,898
무효표 수
1,330
투표율
82.57%


4.2.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노원구 을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동, 상계4동, 상계5동, 상계6동,
상계7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 중계1동, 중계4동

정당



후보
이회창
김대중
이인제
득표수
68,669
69,562
21,276
득표율
42.40%
42.95%
13.13%
순위
2위
1위
3위

선거인 수
198,861
투표 수
163,589
무효표 수
1,654
투표율
82.26%

4.3.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노원]
정당



후보
이회창
노무현
권영길
득표수
151,666
171,726
7,069
득표율
44.84%
50.77%
3.66%
순위
2위
1위
3위

선거인 수
460,763
투표 수
340,150
무효표 수
1,966
투표율
73.82%

4.4.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노원]
정당





후보
정동영
이명박
권영길
문국현
이회창
득표수
76,021
157,439
8,445
22,951
37,607
득표율
24.87%
51.52%
2.76%
7.51%
12.30%
순위
2위
1위
5위
4위
3위

선거인 수
466,884
투표 수
306,503
무효표 수
918
투표율
65.65%

4.5.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노원]
정당


후보
박근혜
문재인
득표수
170,114
194,546
득표율
46.46%
53.14%
순위
2위
1위

선거인 수
473,741
투표 수
368,003
무효표 수
1,905
투표율
77.68%

18대 대선 서울 노원구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박근혜
문재인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70,114
(46.46%)

194,546
(53.14%)

-24,432
(▼6.68)

77.68%
월계1동
47.05%
52.67%
▼5.62
75.72
월계2동
47.93%
51.66%
▼3.73
74.58
월계3동
45.46%
54.18%
▼8.72
79.33
공릉1동
45.65%
54.04%
▼8.39
75.86
공릉2동
47.35%
52.23%
▼4.88
79.37
하계1동
49.28%
50.26%
▼0.98
78.0
하계2동
46.02%
53.58%
▼7.56
79.80
중계본동
48.53%
51.10%
▼2.57
78.35
중계1동
45.33%
54.34%
▼9.01
81.32
중계2·3동
45.56%
53.97%
▼8.41
77.16
중계4동
46.39%
53.17%
▼6.78
77.68
상계1동
47.85%
51.75%
▼3.90
76.93
상계2동
49.06%
50.62%
▼1.56
74.67
상계3·4동
48.30%
51.26%
▼2.96
71.29
상계5동
48.49%
51.14%
▼2.65
74.14
상계6·7동
44.62%
55.05%
▼10.43
78.44
상계8동
39.52%
60.09%
20.57
80.18
상계9동
44.81%
54.93%
▼10.12
79.48
상계10동
44.93%
54.82%
▼9.89
78.82
후보
박근혜
문재인
격차

국외부재자투표
38.61%
60.80%
22.19

국내부재자투표
47.81%
51.29%
▼3.48




4.6.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노원]
정당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득표수
158,167
67,590
96,325
24,846
24,498
득표율
42.41%
18.12%
25.83%
6.66%
6.56%
순위
1위
3위
2위
4위
5위

선거인 수
464,422
투표 수
374,213
무효표 수
1,306
투표율
80.58%

19대 대선 서울 노원구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58,167
(42.41%)

67,590
(18.12%)

96,325
(25.83%)

24,846
(6.66%)

24,498
(6.56%)

+61,842
(△16.58)

80.58%
월계1동
40.14%
21.79%
24.70%
6.72%
6.27%
△15.44
77.08
월계2동
39.80%
22.51%
25.50%
6.17%
5.50%
△14.30
75.18
월계3동
42.70%
21.33%
23.44%
6.11%
5.96%
△19.26
79.39
공릉1동
42.85%
18.79%
24.39%
6.75%
6.79%
△18.46
76.97
공릉2동
41.38%
19.63%
22.86%
7.42%
6.71%
△18.52
80.67
하계1동
40.81%
18.78%
25.80%
7.37%
6.73%
△15.01
78.50
하계2동
44.22%
16.46%
25.22%
7.33%
6.45%
△17.0
82.28
중계본동
43.12%
15.74%
26.04%
7.95%
6.84%
△17.08
80.18
중계1동
45.42%
14.51%
24.89%
8.11%
6.72%
△20.53
83.11
중계2·3동
42.97%
18.52%
25.49%
6.52%
6.02%
△17.48
78.58
중계4동
41.48%
19.35%
26.98%
5.76%
5.99%
△14.50
78.45
상계1동
38.84%
19.28%
29.93%
5.73%
5.84%
△8.91
78.11
상계2동
39.40%
18.85%
28.86%
6.52%
5.99%
△10.54
75.87
상계3·4동
35.99%
21.31%
31.11%
4.89%
5.49%
△4.88
71.35
상계5동
37.24%
20.50%
30.44%
5.59%
5.78%
△6.80
74.05
상계6·7동
43.97%
17.37%
24.68%
6.79%
6.85%
△19.29
81.0
상계8동
46.70%
14.28%
25.59%
6.43%
6.69%
21.11
83.21
상계9동
40.72%
18.26%
27.04%
6.57%
7.15%
△13.68
81.78
상계10동
41.54%
17.15%
27.67%
6.45%
6.89%
△13.87
81.03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
32.65%
17.73%
38.27%
5.61%
2.81%
5.62

관외사전투표
46.72%
13.86%
23.61%
7.44%
7.99%
△23.11

재외투표
61.13%
7.25%
15.04%
3.99%
11.93%
46.09

국회의원 선거구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격차
투표율
노원구 을[34][35]
43.20%
17.31%
25.50%
7.09%
6.51%
△17.70
80.22%

4.7.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노원]
정당


후보
이재명
윤석열
득표수
169,275
163,340
득표율
48.94%
47.22%
순위
1위
2위

선거인 수
441,879
투표 수
349,297
무효표 수
3,424
투표율
79.05%

20대 대선 노원구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이재명
윤석열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69,275
(48.94%)

163,340
(47.22%)

+ 5,935
(△1.72)

349,297
(79.04%)

월계1동[A]
46.68%
49.63%
▼2.95
75.52
월계2동[B]
49.07%
47.16%
△1.91
73.64
월계3동
46.53%
49.61%
▼3.08
76.80
공릉1동
49.30%
46.63%
△2.67
75.27
공릉2동[C]
47.65%
48.20%
▼0.54
78.33
하계1동
46.58%
49.76%
▼3.18
76.68
하계2동
50.15%
46.14%
△4.01
81.07
중계본동
50.02%
46.15%
△3.86
78.13
중계1동
49.77%
46.78%
△2.98
80.16
중계2·3동
50.83%
45.39%
△5.44
76.10
중계4동
49.65%
46.61%
△3.05
77.24
상계1동[G]
49.11%
47.04%
△2.07
75.06
상계2동
47.47%
48.82%
▼1.35
76.11
상계3·4동
48.13%
48.37%
▼0.24
72.07
상계5동
49.25%
47.25%
△2.00
74.64
상계6·7동
47.25%
48.70%
▼1.45
77.94
상계8동
50.32%
45.77%
△4.54
78.68
상계9동
47.51%
48.80%
▼1.29
79.36
상계10동[36]
46.40%
49.93%
▼3.54
79.42
후보
이재명
윤석열
격차

거소·선상투표
46.54%
47.55%
▼1.01

관외사전투표
51.09%
44.78%
△6,30

재외투표
64.99%
30.53%
△34.46

후보
이재명
윤석열
격차
투표율
노원구 을[E][37]
49.16%
47.09%
△2.07
78.05

5. 역대 지방선거 결과[편집]



5.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5.1.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노원구 을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동, 상계4동, 상계5동,
상계6동, 상계7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

정당



후보
정원식
조순
박찬종
득표수
22,920
47,476
40,671
득표율
19.97%
41.37%
35.44%
순위
3위
1위
2위

선거인 수
170,212
투표 수
116,326
무효표 수
1,589
투표율
66.87%

5.1.2. 노원구청장 선거[편집]


노원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기재
90,979
2위

35.42%
낙선
2
최선길
126,775
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49.35%
당선
3
김동익
39,099
3위

15.22%
낙선

선거인 수
390,892
투표율
67.52%
투표 수
263,936
무효표 수
7,083

5.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5.2.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노원구 을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동, 상계4동, 상계5동, 상계6동,
상계7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 중계1동, 중계4동

정당



후보
최병렬
고건
이병호
득표수
40,047
46,968
2,260
득표율
44.85%
52.61%
2.53%
순위
2위
1위
3위

선거인 수
199,465
투표 수
90,221
무효표 수
946
투표율
45.23%

5.2.2. 노원구청장 선거[편집]


노원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기재
73,386
1위

41.48%
당선
3
이동식
65,077
2위

36.78%
낙선
4
송광선
14,247
4위

8.05%
낙선
5
노태숙
6,505
5위

3.67%
낙선
6
양회선
17,701
3위

10.00%
낙선

선거인 수
396,961
투표율
45.63%
투표 수
181,140
무효표 수
4,224

5.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5.3.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
정당


후보
이명박
김민석
득표수
109,154
89,265
득표율
51.97%
42.50%
순위
1위
2위

선거인 수
460,769
투표 수
211,967
무효표 수
1,939
투표율
46.00%

5.3.2. 노원구청장 선거[편집]


노원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기재
107,373
1위

51.37%
당선
2
고용진
89,457
2위

42.79%
낙선
3
최창우
12,185
3위

5.82%
낙선

선거인 수
460,769
투표율
46.01%
투표 수
211,995
무효표 수
2,980

5.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5.4.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
정당



후보
강금실
오세훈
박주선
득표수
70,050
140,438
16,712
득표율
29.40%
58.95%
7.01%
순위
2위
1위
3위

선거인 수
465,546
투표 수
239,926
무효표 수
1,729
투표율
51.54%

5.4.2. 노원구청장 선거[편집]


노원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서종화
56,119
2위

23.64%
낙선
2
이노근
121,683
1위

51.26%
당선
3
김학주
19,146
4위

8.07%
낙선
4
최창우
15,103
5위

6.36%
낙선
5
김양섭
1,174
6위

0.49%
낙선
6
정재복
482
7위

0.20%
낙선
7
이기재
23,666
3위

9.97%
낙선

선거인 수
465,546
투표율
51.55%
투표 수
239,999
무효표 수
2,626

5.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5.5.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
정당



후보
오세훈
한명숙
노회찬
득표수
119,567
124,603
12,126
득표율
45.58%
47.50%
4.62%
순위
2위
1위
3위

선거인 수
470,325
투표 수
264,043
무효표 수
1,726
투표율
56.14%

5.5.2. 노원구청장 선거[편집]


노원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노근
120,464
2위
[include(틀:한나라당)]
46.30%
낙선
2
김성환
139,714
1위

53.69%
당선

선거인 수
470,325
투표율
56.14%
투표 수
264,043
무효표 수
3,865

5.6.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
정당


후보
나경원
박원순
득표수
104,251
131,293
득표율
44.08%
55.51%
순위
2위
1위

선거인 수
473,941
투표 수
238,496
무효표 수
1,997
투표율
50.32%

5.7.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5.7.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
정당


후보
정몽준
박원순
득표수
115,716
163,418
득표율
41.06%
57.98%
순위
2위
1위

선거인 수
471,804
투표 수
284,532
무효표 수
2,724
투표율
60.31%

5.7.2. 노원구청장 선거[편집]


노원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정기완
111,723
2위

40.10%
낙선
2
김성환
164,175
1위

58.93%
당선
4
정재복
2,652
3위

0.95%
낙선

선거인 수
471,804
투표율
60.31%
투표 수
284,525
무효표 수
5,975

5.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5.8.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
정당



후보
박원순
김문수
안철수
득표수
150,657
54,461
62,193
득표율
53.88%
19.47%
22.24%
순위
1위
3위
2위

선거인 수
456,370
투표 수
283,039
무효표 수
3,461
투표율
62.02%

5.8.2. 노원구청장 선거[편집]


노원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오승록
180,217
1위

64.94%
당선
2
임재혁
64,925
2위

23.39%
낙선
3
양건모
28,330
3위

10.20%
낙선
4
한덕희
4,013
4위

1.44%
낙선

선거인 수
456,370
투표율
62.02%
투표 수
283,040
무효표 수
5,555

5.9. 2021년 재보궐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
정당


후보
박영선
오세훈
득표수
111,652
145,073
득표율
42.02%
54.60%
순위
2위
1위

선거인 수
446,223
투표 수
267,498
무효표 수
1,830
투표율
59.95%


6. 정당별 역대 지역위원장[편집]


민주당계 정당

1991~1995
임채정

1995~2000

2000~2004

2004~2007
우원식

2007~2008

2008

2008~2011

2011~2013

2013~2014

2014~2015

2015~

보수정당

2004~2012
권영진[38]

2012

2017~2020
장일

2020
이동섭[39]

2020~


[1] 노원구 갑: 월계동, 공릉동, 하계동중계본동, 1동 / 노원구 을: 중계2~4동, 상계동.[2] 다만 노원구와 바로 인접해있는 별내신도시 개발 등의 영향으로 노원구의 인구가 2021년 들어서는 52만명 선이 붕괴되며 지속적인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22대 총선에서는 선거구 갑을 체제로 재편되는 형태로 통폐합될 것이 유력시된다.[3] 유사한 사례가 송파구 을인데, 15대 총선 때 갑/을/병으로 나눴다가 16대 총선에서 갑/을로 합쳤는데, 이를 재편하는 과정에서 을 선거구가 기존에는 없던 구획으로 나타나면서 신설된 셈이나 다름없었다.[4] 제 1대 국회의원 총선거가 실시될 당시, 지금의 노원구 지역은 양주군 노해면에 속해 있었다.[5] 양주군 화도면, 와부면, 미금면, 구리면, 노해면[4], 진건면, 진접면[6] 양주군 화도면, 와부면, 미금면, 구리면, 노해면, 진건면, 진접면, 별내면[7] 양주군 갑 선거구에서 현재의 양주시, 의정부시 지역과 같이 선거를 치루어 오던 별내면이 양주군 을 선거구로 변경되었다.[8] 돈암동, 종암동, 상월곡동, 하월곡동, 미아동, 장위동, 석관동, 번동, 우이동, 수유동, 창동, 월계동, 쌍문동, 공릉동, 하계동, 중계동, 상계동, 도봉동, 방학동[9] 1963년 1월 1일 부로, 노해면은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어, 성북구의 관할로 들어가게 된다. 노해면이 서울특별시에 편입되면서, 상계동, 중계동, 하계동, 공릉동, 월계동, 도봉동, 방학동, 창동, 쌍문동의 9개 동으로 나뉘어 성북구로 편입되었고, 이에 따라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도 종전의 양주군 을 선거구에서 성북구 을 선거구로 조정되었다.[10] 성북구 월곡동, 장석동, 창동(현 도봉구 창동,쌍문동, 노원구 월계동 지역), 태릉동, 노원동, 도봉동)(출처 http://uci.or.kr/G500:1310377-00000010318813)[11] 성북구인구가 증가하여 국회의원 선거구도 2개에서 3개로 분구되어, 지금의 노원구 갑 선거구에 해당하는 월계동공릉동은 성북구 병 선거구의 소속이 되었다.[12] 제 9대 총선 부터 제 12대 총선까지는 중선거구제를 이용하여 한 선거구 당 두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했기 때문에, 성북구 선거구는 하나로 합구되어 두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했다.[13] 1973년 7월 1일부로, 미아동, 번동, 수유동, 우이동, 창동, 월계동, 쌍문동, 상계동, 중계동, 도봉동, 방학동, 공릉동, 하계동이 도봉구로 분구되어, 국회의원 선거구도 이에 맞게 종전의 성북구 선거구에서 도봉구 선거구로 분구되었다.[14] 1980년 8월 27일에 사직하였다.[15] 노원구 갑 선거구에 편입됐던 창동과 함께 1989년 1월 1일 도봉구 반환 이전까지 1년간 노원구 관할이었다.[16] 1988년 1월 1일 부로, 도봉구에서 노원구가 분구되었다. 이에 따라 국회의원 선거구도 도봉구 선거구에서 분구되었고, 13대 총선부터 소선거구제가 실시됨에 따라 노원구는 2개의 선거구를 할당받게 된다.[17] 선거구 조정으로 하계동과 중계동이 노원구 갑으로 넘어감.[18]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직후에는 김용채가 당선자로 발표되었으나 대법원 재검표 결과로 1992년 9월 당락이 바뀌었다.[19] 선거구 조정으로 중계1·4동이 노원구 을로 넘어옴.[20] 선거구 조정으로 하계동과 중계본동·중계2·3동이 노원구 을로 복귀. 상계6·7동을 제외한 나머지 상계동은 노원구 병으로 분구.[21] 재검표 후 40,443표[22] 재검표 후 40,601표[23] 재검표 결과 당선[24] 출마 결과 당선되면서 4선 고지에 올랐다.[25] 이후 재선 대구광역시장을 지냈다.[26] 우연찮게 득표율이 1,818표차다왠지 욕같다[27] 여기에는 공천 잡음이 있었고, 새누리당의 공천 실책 중 하나였다. 김무성이 이들을 데려온 이유는 예나 지금이나 미약한 보수정당의 젊은층 지지율을 끌어오기 위해, 김태현을 비롯해, 배승희, 최진녕, 박상헌, 변환봉, 전희경 등의 1970년대생을 영입한 것인데, 이들 중에 성남시 수정구에 공천된 변환봉을 제외하고 모두 공천에서 패배하거나, 다른 사람이 단수추천으로 공천되어 탈락했다. 전희경은 비례로 틀어 당선되었다. 훗날 김태현 변호사는 인터뷰에서 “새누리당 1호 영입인사인데 왜 그런 마음이 없겠나. 당에서 전략적으로 데려온 사람들은 가산점이 됐든 당 차원의 인력 지원이 됐든 특별한 배려가 필요하다.”며, 섭섭한 마음을 드러냈다. #[28] 근데 저 영입인재 조차도 비판이 있다. 저 6명 모두 당원이거나 당원만 아니였지, 사실상 새누리당 쪽 인물이였다. 배승희는 국회 비서관, 박상헌은 2008년부터 한나라당 당적이였고, 18, 19대 총선에서 공천에 두 번이나 패배했으며, 전희경도 새누리당 당원이였고, 변환봉, 최진녕, 김태현은 그 전부터 보수 우파 패널로 자주 출연했었다. 친박계 수장인 서청원 최고위원조차 "당원이거나, 사실상 우리와 연관이 깊었던 사람들인데, 무슨 영입인재냐?"라고 비판했을 정도.[29] 그렇지만 노원구가 전라도 출신이 서울에서 관악구 다음으로 2위이다. 호남향우회에서도 노원구에 앞으로 전라도 출신이 많이 살 것이라 그랬는데, 실제로 그렇게 되었으며, 원래부터 노원구는 경상도 출신은 도봉구보다도 대단히 극히 드물게 사는 편이다. 특히나 노원구만큼 광주광역시 출신이나 순천시, 여수시 출신이 많은 지역은 전혀 없다.[30] 참고로 경상도 출신 인구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많은 곳은 서울특별시가 아닌 경기도 성남시이다. 이곳에서 성남시장을 역임했던 이재명부터가 경상북도 안동시 출신이다.[31] 물론 노원구가 서울에서 가장 전출입이 많고 잠시 살다가 뜨는 지역인지라 전라도 출신과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출신이 상당히 유입된 경향이 상당히 큰 것도 사실이다.[32] 백사마을 일대를 관할하는 중계본동 2투표소에서만 15표 차이로 패배했고, 그 외의 모든 관내 투표소에서 승리했다.[33] 당에서도 공식적으로 지역 발전에 대해서는 공약하지 않겠다고 했기 때문에 지역 발전에 대한 공약이 없는 것이 정상적이다.[노원] A B C D E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공릉1동, 공릉2동, 하계1동, 하계2동,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2·3동, 중계4동,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4동, 상계5동, 상계6·7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34] 지역구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우원식[35] 관할 동 : 하계1동, 하계2동,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2·3동, 중계4동, 상계6·7동[A] 광운대학교가 있는 동네[B] 인덕대학교가 있는 동네[C]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삼육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육군사관학교가 있는 동네[G] 안철수 후보의 거주지[36]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의 거주지[E] 하계1동, 하계2동,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2·3동, 중계4동, 상계6·7동[37] 지역구 국회의원 :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4선)[38]대구광역시장. 19대 총선에서 우원식에게 패하자 대구로 낙향했지만 여전히 노원 을 관내(중계1동)에 자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곳에 어머니를 모시고 있다.[39] 현 국기원장. 당선 후에도 당적 및 당협위원장직 유지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