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농구/2023-24 시즌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한국프로농구

}}} ||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svg
한국프로농구 역대 시즌 일람
2022-23 시즌2023-24 시즌2024-25 시즌


1. 오프시즌
1.1. 코칭 스태프 변경
1.2. 트레이드
1.3. 외국인 선수
1.4. 은퇴
1.5. FA
1.5.1. FA 대상자
1.5.2. FA 계약
1.5.3. 계약 미체결
1.6. 군 입대
2. 경기 일정
3. 달라지는 점
4. 정규시즌
4.1. 중계 방송
4.2. 라운드별 경기 결과
4.2.1. 1라운드
4.2.2. 2라운드
4.2.3. 3라운드
4.2.4. 4라운드
4.2.5. 5라운드
4.2.6. 6라운드
4.3. 코칭 스태프 변경
4.4. 선수 이동
4.4.1. 트레이드
4.5. 신인 드래프트
4.6. 주요 사건 및 기록
4.6.1. 시즌 전
4.6.2. 10월
4.6.3. 11월
4.6.4. 12월
4.6.4.1. 군 전역
4.6.5. 1월
4.6.6. 2월
4.6.7. 3월
4.6.8. 4월
4.7. 구단별 시즌 기록
5. 정규 시즌 순위 및 상대전적
6. 시즌 최종과 시즌 마감
6.1. 정규 시즌 기록 1위
6.1.1. 국내선수
6.1.2. 외국인 선수
6.2. 시상식
6.2.1. 정규시즌 MVP
6.2.2. 베스트 5
6.2.3. 수비 5걸
6.2.4. 식스맨 상
6.2.5. MIP
6.2.6. 이성구 페어플레이상
6.2.7. 포카리스웨트 인기상
6.2.8. KBL 신인왕
6.2.9. KBL 감독상
7. 플레이오프



1. 오프시즌[편집]



1.1. 코칭 스태프 변경[편집]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
서울 SK 나이츠
이름이전 직책새 직책
김재환SK 매니저코치
문형준SK 전력분석원코치
네이트 힉맨SK 트레이너외국인 코치
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이름이전 직책새 직책
김도수kt 코치코치
박상현데이원 전력분석원전력분석팀장
파일:부산 KCC 이지스 엠블럼.svg
부산 KCC 이지스
이름이전 직책새 직책
이상민삼성 감독코치
박경상-[1]전력분석원
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
원주 DB 프로미
이름이전 직책새 직책
김주성감독대행감독
한상민SK 코치수석코치
밥 쏜튼미시시피 주립대 여자부 코치코치
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svg
수원 kt 소닉붐
이름이전 직책새 직책
송영진수석코치감독
박지현휘문중 코치코치
김영환-[2]코치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이름이전 직책새 직책
강혁코치감독대행
김상영상무 수석코치코치
이찬영전력분석팀장코치


1.2. 트레이드[편집]


  • 정규시즌 개막 전 트레이드만 기재.


1.3. 외국인 선수[편집]


KBL 2023-24 시즌 외국인 선수 계약
이름포지션국적구분
파일: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엠블럼 적색배경.svg
정관장
오마리 스펠맨센터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재계약
듀본 맥스웰센터
파일:미국 국기.svg

신규 계약[일시대체선수]
대릴 먼로포워드
파일:미국 국기.svg

재계약
렌즈 아반도가드
파일:필리핀 국기.svg

재계약[아시아쿼터]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
SK
자밀 워니센터
파일:미국 국기.svg

재계약
리온 윌리엄스센터
파일:미국 국기.svg

재계약
고메즈 딜 리아노가드
파일:필리핀 국기.svg

신규 영입[아시아쿼터]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유색배경).svg
LG
아셈 마레이센터
파일:이집트 국기.svg

재계약
단테 커닝햄포워드
파일:미국 국기.svg

재계약
저스틴 구탕가드
파일:필리핀 국기.svg

재계약[아시아쿼터]
파일: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엠블럼.svg
소노
재로드 존스포워드
파일:미국 국기.svg

신규 영입[3]
치나누 오누아쿠센터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신규 영입
디욘타 데이비스포워드
파일:미국 국기.svg

신규 영입
조쉬 토랄바가드
파일:필리핀 국기.svg

신규 영입[아시아쿼터]
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현대모비스
게이지 프림센터
파일:미국 국기.svg

재계약
케베 알루마센터
파일:미국 국기.svg

신규 영입
파일:부산 KCC 이지스 엠블럼.svg
KCC
라건아센터
재계약[귀화선수]
알리제 존슨포워드신규 영입
제프리 에피스톨라가드재계약[아시아쿼터]
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흰색).svg
DB
디드릭 로슨포워드신규 영입
개리슨 브룩스센터신규 영입[4]
제프 위디센터신규 영입
이선 알바노가드재계약[아시아쿼터]
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유색배경).svg
kt
패리스 배스센터신규 영입
마이클 에릭센터신규 영입
데이브 일데폰소가드재계약[아시아쿼터]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
한국가스공사
아이제아 힉스센터신규 영입[5]
앤드류 니콜슨포워드신규 영입
앤서니 모스포워드신규 영입
SJ 벨란겔가드재계약[아시아쿼터]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유색배경).svg
삼성
코피 코번센터신규 영입
이스마엘 레인포워드신규 영입
아반 나바가드신규 영입[아시아쿼터]

1.4. 은퇴[편집]













1.5. FA[편집]



1.5.1. FA 대상자[편집]













1.5.2. FA 계약[편집]


2023-24 FA 계약
원 소속팀이름포지션새 소속팀계약일자계약 기간보수총액보상선수 / 금액
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흰색).svg
DB
김현호가드잔류2023년 5월 11일1년1억원없음[A]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유색배경).svg
삼성
이호현파일:부산 KCC 이지스 엠블럼.svg
KCC
2023년 5월 15일4년2억 4천만원
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유색배경).svg
정관장
배병준잔류3년2억원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유색배경).svg
LG
서민수포워드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흰색).svg
DB
2023년 5월 16일
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현대모비스
김영현가드1억 5천만원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
SK
최성원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
정관장
2023년 5월 17일4억
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유색배경).svg
정관장
문성곤포워드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유색배경).svg
kt
5년7억 8000만원10억원
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유색배경).svg
kt
양홍석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유색배경).svg
LG
2023년 5월 18일7억 5000만원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유색배경).svg
LG
정인덕잔류3년9000만원없음[A]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
SK
최원혁가드2억원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유색배경).svg
삼성
이동엽3억원
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유색배경).svg
kt
한희원포워드2년2억 7500만원
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유색배경).svg
정관장
오세근센터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
SK
3년7억 5000만원없음[6]
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유색배경).svg
kt
김민욱파일:고양 데이원 점퍼스 엠블럼.svg
데이원
2억원없음[A]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
한국가스공사
정효근포워드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유색배경).svg
정관장
2023년 5월 19일5억원6억원
이대헌포워드잔류4년5억 5천만원없음[A]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유색배경).svg
삼성
조우성센터2023년 5월 21일3년8천만원
김광철가드2년7천만원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
SK
최준용포워드파일:부산 KCC 이지스 엠블럼.svg
KCC
2023년 5월 21일5년6억원11억원
양우섭가드잔류2023년 5월 22일1년6000만원없음[A]
파일:부산 KCC 이지스 엠블럼.svg
KCC
이종현센터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유색배경).svg
정관장
1억 5000만원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유색배경).svg
LG
김준일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현대모비스
4년4억 5000만원
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유색배경).svg
정관장
함준후포워드파일:고양 데이원 점퍼스 엠블럼.svg
데이원
2년8000만원
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현대모비스
함지훈잔류4억 5000만원
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현대모비스
최진수3억 5000만원
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흰색).svg
DB
윤성원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유색배경).svg
삼성
3년8000만원
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현대모비스
김현민잔류1년7000만원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
한국가스공사
최주영센터4000만원
박봉진포워드7000만원

1.5.3. 계약 미체결[편집]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 이대성[7]

계약 미체결자는 2023-24 시즌에는 뛸 수 없고 다음 시즌 FA를 신청한다면 다시 한 번 모든 팀과 협상할 수 있다.


1.6. 군 입대[편집]









2. 경기 일정[편집]



라운드별 일정(괄호는 경기 번호를 의미한다.)
  • 1라운드(1~45):2023년 10월 21일~11월 14일
  • 2라운드(46~90):2023년 11월 16일~12월 9일
  • 3라운드(91~135):2023년 12월 10일~1월 2일
  • 4라운드(136~180):2024년 1월 2일~2월 1일[8]
  • 5라운드(181~225):2024년 2월 1일~3월 5일[9]
  • 6라운드(226~270):2024년 3월 5일~3월 31일


3. 달라지는 점[편집]


  • 2023년 6월 16일 KBL 이사회 및 임시회의를 통해 고양 데이원을 제명#시키기로 결정했다. 현재 부산광역시에서 프로농구단 유치 의사를 밝혔는데, 만약 신규 창단이 없을 경우 2023-24시즌은 9개 구단으로 시즌을 치루게 된다. 2023년 7월 21일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가 창단 발표를 하면서 10구단으로 시즌을 치른다.

  • 동아시아 슈퍼리그가 확대됨에 따라 수요일에는 3일을 제외하고[10] 경기를 편성하지 않는다. 월요일에는 1경기, 화, 목, 금요일에는 2경기,[11] 주말 경기에는 3경기씩 편성된다.[12]

  • 2023년 8월 30일 전주 KCC 이지스가 부산광역시로 연고지 이전을 하면서 부산 KCC 이지스로 팀명이 바뀌었다. 또한 안양 KGC인삼공사도 팀명이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로 바뀌었다.[13]

4. 정규시즌[편집]



4.1. 중계 방송[편집]




4.2. 라운드별 경기 결과[편집]



4.2.1. 1라운드[편집]


순위경기수승률게임차비고
1원주 DB 프로미1091.900-1라운드 최다승 신기록
2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1073.7002.0
3수원 kt 소닉붐963.6672.5
4창원 LG 세이커스954.5563.5
5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1055.5004.0
6서울 SK 나이츠844.5004.0
7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945.4444.5
8부산 KCC 이지스725.2865.5
9서울 삼성 썬더스1028.2007.0
10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817.1257.0


4.2.2. 2라운드[편집]




4.2.3. 3라운드[편집]




4.2.4. 4라운드[편집]




4.2.5. 5라운드[편집]




4.2.6. 6라운드[편집]




4.3. 코칭 스태프 변경[편집]




4.4. 선수 이동[편집]




4.4.1. 트레이드[편집]




4.5. 신인 드래프트[편집]





4.6. 주요 사건 및 기록[편집]



4.6.1. 시즌 전[편집]


시즌 시작하기 전부터 여러가지 일들이 있었다. FA 시장에서 대어급 선수들이 이적을 했는데, 문성곤이 수원 kt 이적을 시작으로 양홍석이 창원 LG로 이적을 했고, 오세근이 12년간 정들었던 안양 정관장을 떠나 서울 SK로 이적했다. 최준용까지 부산 KCC로 이적하고 정효근도 안양 정관장으로 이적하면서 23~24 시즌에는 어떤 스토리가 나올 지 기대하는 팬들도 있다. 김영환, 김동욱, 양희종이 차례로 은퇴하면서 2005년 드래프트 선수들은 전원 은퇴했고, 황금세대로 불렸던 2007년 드래프트 선수들은 함지훈만 남게 되었다. 윤호영마저 은퇴하면서 2008년 드래프트 멤버들이 전원 은퇴했다.

코칭 스태프들의 변화 역시나 이슈였는데 원주 DB의 레전드이자 원클럽맨인 김주성이 DB의 정식 감독으로 부임했고, 수원 KT의 프랜차이즈 스타인 송영진이 KT의 감독이 되고 김영환이 코치로 부임을 했다. 2009년부터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감독이었던 유도훈 감독이 14년만에 감독직에서 물러나게 되고 강혁 코치가 대행으로 팀을 이끌게 된다. 무엇보다 가장 충격적인 소식은 이상민 前 서울 삼성 감독이 부산 KCC의 코치로 2007년 보호선수 명단에서 제외된 지 16년만에 다시 KCC로 돌아온 것이다. 점차 KBL에서도 21세기에 데뷔했던 선수들이 감독을 맡는 등[14] 코칭 스태프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아직 80년대에 태어난 감독은 없지만 점차 변화가 생길 것으로도 보인다.[15]

한편 채무 관련으로 부실 운영을 하던 고양 데이원 점퍼스6월 16일부로 KBL에서 제명되었다가 대명소노그룹에 인수되면서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라는 이름으로 출발하게 된다.

8월 30일 KCC가 연고지를 전주에서 부산으로 연고지를 옮겼다. 부산에서 프로농구가 열리는 것은 2020-2021 시즌 부산 kt 이후 2년 6개월만이다.

4.6.1.1. 컵대회[편집]

10월 8일부터 10월 15일까지 군산월명체육관에서 KBL 컵대회가 개최될 예정이다. 처음 개최했던 2020년 이후 3년만에 군산 개최이며, 2020년과는 다르게 유관중으로 열린다.

부산 KCC가 울산 현대모비스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4.6.2. 10월[편집]


10월 21일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VS 서울 SK 나이츠의 경기로 정규시즌이 개막할 예정이다. (서울 SK 나이츠가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를 89:74로 완승을 하였다.)

4.6.3. 11월[편집]




4.6.4. 12월[편집]


12월 31일 대구체육관에서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농구영신 경기를 펼칠 예정이다.


4.6.4.1. 군 전역[편집]







4.6.5. 1월[편집]


1월 14일 KBL 올스타전이 열릴 예정이다. 1월 11일부터 16일까지 올스타 브레이크에 들어간다.


4.6.6. 2월[편집]


2월 16일부터 2월 27일까지 FIBA 홈 앤 어웨이 A매치로 인해 브레이크 기간에 돌입한다.

4.6.7. 3월[편집]


3월 31일 정규시즌이 종료될 예정이다.


4.6.8. 4월[편집]




4.7. 구단별 시즌 기록[편집]





5. 정규 시즌 순위 및 상대전적[편집]




6. 시즌 최종과 시즌 마감[편집]



6.1. 정규 시즌 기록 1위[편집]


실제로 수상이 이루어지는 1위 타이틀은 굵게 표시한다.


6.1.1. 국내선수[편집]




6.1.2. 외국인 선수[편집]




6.2. 시상식[편집]



6.2.1. 정규시즌 MVP[편집]


KBL 국내선수 MVP

KBL 외국선수 MVP


6.2.2. 베스트 5[편집]


KBL 베스트 5


6.2.3. 수비 5걸[편집]


KBL 수비 5걸


6.2.4. 식스맨 상[편집]


KBL 식스맨 상


6.2.5. MIP[편집]


KBL 기량발전 상


6.2.6. 이성구 페어플레이상[편집]


KBL 페어플레이 상


6.2.7. 포카리스웨트 인기상[편집]


KBL 인기상


6.2.8. KBL 신인왕[편집]


KBL 최우수 신인상


6.2.9. KBL 감독상[편집]


KBL 감독상


7. 플레이오프[편집]






[1] 선수 은퇴[2] 선수 은퇴[일시대체선수] [아시아쿼터] A B C D E F G H I [3] 시즌 도중 교체[귀화선수] 특별규정 적용[4] 시즌 도중 부상으로 교체[5] 시즌 전 부상으로 교체[A] A B C D E [6] 만 35세 이상 FA에 해당되므로 보상 없음[7] 해외 진출 의사에 따른 계약 미체결.[8] 1월 11~16 올스타 브레이크, 1월 14일 올스타전[9] 2월 16~27일 FIBA H&A 브레이크[10] 1월 17일, 2월 14일, 2월 28일에만 경기를 한다.[11] 공휴일에도 평일이면 2경기씩 하지만 크리스마스3.1절에는 3경기씩 열린다.[12] 정규리그 마지막 경기날인 3월 31일에는 5경기를 동시에 개최한다.[13] 같은 날 여자배구단 대전 KGC인삼공사도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로 바뀌었다.[14] KT 송영진-2001년 데뷔, DB 김주성-2002년 데뷔[15] 농구와 함께 타 종목에서 80년대 출생 감독이 없는 리그는 KBO리그가 유일하다. 최고령 감독은 kt wiz 이강철 감독(1966년 출생), 최연소 감독은 두산 베어스 이승엽 감독과 삼성 라이온즈 박진만 감독(1976년 출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