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1. 역대 기록
2. 본선 진출 이전
3.1. 16강 조별리그 헝가리전 - 3 : 1 승
3.2. 16강 조별리그 불가리아전 - 3 : 0 승
3.3. 16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 3 : 1 승
3.4. 8강전 북한전 - 5 : 3 승
3.5. 4강전 잉글랜드전 - 1 : 2 패
3.6. 3위 결정전 소련전 - 2 : 1 승
5.1. 24강 조별리그 잉글랜드전 - 1 : 0 승
5.2. 24강 조별리그 폴란드전 - 0 : 1 패
5.3. 24강 조별리그 모로코전 - 1 : 3 패
7.1. 32강 조별리그 미국전 - 2 : 3 패
7.2. 32강 조별리그 폴란드전 - 4 : 0 승
8.1. 32강 조별리그 앙골라전 - 1 : 0 승
8.2. 32강 조별리그 이란전 - 2 : 0 승
8.3. 32강 조별리그 멕시코전 - 2 : 1 승
8.4. 16강전 네덜란드전 - 1 : 0 승
8.5. 8강전 잉글랜드전 - 0 : 0 무(PSO 3 : 1 승)
8.6. 4강전 프랑스전 - 0 : 1 패
8.7. 3위 결정전 독일전 - 1 : 3 패
9.1. 32강 조별리그 코트디부아르전 - 0 : 0 무
9.2. 32강 조별리그 북한전 - 7 : 0 승
9.3. 32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 0 : 0 무
9.4. 16강전 스페인전 - 0 : 1 패
10.1. 32강 조별리그 독일전 - 0 : 4 패
10.2. 32강 조별리그 미국전 - 2 : 2 무
10.3. 32강 조별리그 가나전 - 2 : 1 승
11.1. 32강 조별리그 스페인전 - 3 : 3 무
11.2. 32강 조별리그 모로코전 - 1 : 0 승
11.3. 32강 조별리그 이란전 - 1 : 1 무
11.4. 16강전 우루과이전 - 1 : 2 패
12.1. 32강 조별리그 가나전 - 3 : 2 승
12.2. 32강 조별리그 우루과이전 - 2 : 0 승
12.4. 16강전 스위스전 - 6 : 1 승
12.5. 8강전 모로코전 - 0 : 1 패


1. 역대 기록[편집]


  • FIFA 월드컵 역대전적 서열 : 15위
  • ③④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불참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1950년 브라질
기권[1]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3위[2][3]156501178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조별리그[4]17위331022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국/일본
조별리그[5]21위3310264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4위[6][7]13741275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16강[8]11위5412171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조별리그[9]18위4311147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16강[10]13위5412166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8강8위95302126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중미
?????????
합계3위 1회8/22[11]5735176126141

2. 본선 진출 이전[편집]




3. 1966 잉글랜드 월드컵[편집]



3.1. 16강 조별리그 헝가리전 - 3 : 1 승[편집]


파일:1966 FIFA World Cup Official logo.png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 3조 제2경기
1966년 7월 13일 19:30(UTC+0)
올드 트래포드 (영국, 맨체스터)
주심: 레오 캘러건 (웨일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3 : 1파일:헝가리 국기.svg
포르투갈헝가리
1', 67' 주제 아우구스투
90′ 주제 토레스
득점자60′ 페렌츠 베네
관중: 29,886명


3.2. 16강 조별리그 불가리아전 - 3 : 0 승[편집]


파일:1966 FIFA World Cup Official logo.png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 3조 제4경기
1966년 7월 16일 15:00(UTC+0)
올드 트래포드 (영국, 맨체스터)
주심: 호세 마리아 코데살 (우루과이)
파일:포르투갈 국기.svg3 : 0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48-1967).svg
포르투갈불가리아
7' 이반 푸트소프(O.G)
38′ 에우제비우
81′ 주제 토레스
득점자-
관중: 25,438명


3.3. 16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 3 : 1 승[편집]


파일:1966 FIFA World Cup Official logo.png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 3조 제5경기
1966년 7월 19일 19:30(UTC+0)
구디슨 파크 (영국, 리버풀)
주심: 조지 맥카베 (잉글랜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3 : 1파일:브라질 국기.svg
포르투갈브라질
15′ 시모에스
27′, 85' 에우제비우
득점자73′ 힐두
관중: 58,479명


3.4. 8강전 북한전 - 5 : 3 승[편집]


파일:1966 FIFA World Cup Official logo.png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 8강 제4경기
1966년 7월 23일 15:00(UTC+0)
구디슨 파크 (영국, 리버풀)
주심: 메나헴 아슈케나지 (이스라엘)
파일:포르투갈 국기.svg5 : 3파일:북한 국기.svg
포르투갈북한
27', 42'(PK),56', 59'(PK) 에우제비오
78′ 주제 아우구스토
득점자1′[* 공식 기록은 23초이다.] 박승진
21′ 리동운
22′ 양성국
관중: 40,248명


3.5. 4강전 잉글랜드전 - 1 : 2 패[편집]


파일:1966 FIFA World Cup Official logo.png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 4강 제2경기
1966년 7월 26일 19:30(UTC+0)
웸블리 스타디움 (영국, 런던)
주심: 피에르 슈빈테 (프랑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1 : 2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포르투갈잉글랜드
82' 에우제비오 (PK)득점자30′, 80' 보비 찰튼
관중: 95,000명


3.6. 3위 결정전 소련전 - 2 : 1 승[편집]


파일:1966 FIFA World Cup Official logo.png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 3·4위전
1966년 7월 28일 19:30(UTC+0)
웸블리 스타디움 (영국, 런던)
주심: 켄 대그놀 (잉글랜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2 : 1파일:소련 국기.svg
포르투갈소련
82' 에우제비오 (PK)
89' 주제 토레스
득점자43' 에두아르트 말로페예프
관중: 88,000명


4. 1970 멕시코 월드컵 ~ 1982 스페인 월드컵[편집]




5. 1986 멕시코 월드컵[편집]



5.1. 24강 조별리그 잉글랜드전 - 1 : 0 승[편집]


파일: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로고.svg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F조 제2경기
1986년 6월 3일 16:00(UTC-6)
에스타디오 테크놀로지코 (멕시코, 몬테레이)
주심: 폴커 로스 (서독)
파일:포르투갈 국기.svg1 :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포르투갈잉글랜드
76′ 카를로스 마누엘득점자-
관중: 23,000명


5.2. 24강 조별리그 폴란드전 - 0 : 1 패[편집]


파일: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로고.svg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F조 제4경기
1986년 6월 7일 16:00(UTC-6)
에스타디오 우니베르시타리오 (멕시코, 몬테레이)
주심: 알리 빈 나세르 (튀니지)
파일:포르투갈 국기.svg0 : 1
파일:폴란드 국기.svg
포르투갈폴란드
-득점자68′ 브워지미에시 스몰라레크
관중: 19,915명


5.3. 24강 조별리그 모로코전 - 1 : 3 패[편집]


파일: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로고.svg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F조 제5-2경기
1986년 6월 7일 16:00(UTC-6)
에스타디오 트레스 데 마르초 (멕시코, 자포판)
주심: 앨런 스노디 (북아일랜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1 : 3
파일:모로코 국기.svg
포르투갈모로코
80′ 디아만티누득점자19′, 26' 압델라자크 카이리
62′ 압델크림 메리
관중: 28,000명


6. 1990 이탈리아 월드컵 ~ 1998 프랑스 월드컵[편집]




7. 2002 한일 월드컵[편집]



7.1. 32강 조별리그 미국전 - 2 : 3 패[편집]


파일: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로고_좌우.svg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D조 2경기
2002.06.05.(수) 18:00 (UTC+9)
수원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주심: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비론 모레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2 : 3파일:미국 국기.svg
포르투갈미국
39′ 베투
71′ 제프 아구스(O.G)
득점4′ 존 오브라이언
29′ 조르주 코스타(O.G)
36′ 브라이언 맥브라이드
관중: 37,306명
경기 최우수 선수: 파일:UEFA USA.png [[브라이언 맥브라이드|{{{#ffffff 브라이언 맥브라이드}}}]]


7.2. 32강 조별리그 폴란드전 - 4 : 0 승[편집]


파일: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로고_좌우.svg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D조 4경기
2002.06.10.(월) 20:30 (UTC+9)
전주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전라북도 전주시)
주심: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휴 달라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4 : 0파일:폴란드 국기.svg
포르투갈폴란드
14′, 65', 77' 파울레타
88′ 후이 코스타
득점-
관중: 31,000명
경기 최우수 선수: 파일:UEFA POR.png [[파울레타|{{{#ffffff 파울레타}}}]]


7.3. 32강 조별리그 대한민국전 - 0 : 1 패[편집]


파일: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로고_좌우.svg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D조 5-1경기
2002년 6월 14일 금요일 20:30 (UTC+9)
[[인천문학경기장|{{{#ffffff 인천문학경기장}}}]] ([[대한민국|{{{#ffffff 대한민국}}}]], [[인천광역시|{{{#ffffff 인천광역시}}}]] [[미추홀구|{{{#ffffff 미추홀구}}}]])
주심: 파일:UEFA ARG.png {{{#ffffff 앙헬 산체스}}}
관중: 50,239명
파일:Portugal FPF 2002.png0 : 1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svg
파일:UEFA POR.png 포르투갈파일:UEFA KOR.png 대한민국
-파일:득점 아이콘.svg70′ [[박지성|{{{#373a3c,#dddddd 박지성}}}]] (A. [[이영표|{{{#373a3c,#dddddd 이영표}}}]])
27′ [[주앙 핀투|{{{#000000 주앙 핀투}}}]]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66′ [[베투|{{{#000000 베투}}}]] 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https://www.fifa.com/fifaplus/ko/watch/2kkcHOvmuPl6Y3r1c70KXj|{{{#a38054 경기 다시 보기}}}]] | [[https://m.youtube.com/watch?v=5LgejEH3KZ8|{{{#003b9e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fifa.com/tournaments/mens/worldcup/2002korea-japan/match-center/43950047|{{{#f1011e 매치 리포트}}}]]
경기 최우수 선수: 파일:UEFA KOR.png [[박지성|{{{#ffffff 박지성}}}]]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히딩크호/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포르투갈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2006 독일 월드컵[편집]



8.1. 32강 조별리그 앙골라전 - 1 : 0 승[편집]


파일:2006 FIFA 월드컵 독일 로고.svg
2006 FIFA 월드컵 독일 D조 제2경기
2006년 6월 11일 21:00(UTC+1)
뮌게어스도퍼 슈타디온 (독일, 쾰른)
주심: 호르헤 라리온다 (우루과이)
파일:포르투갈 국기.svg1 : 0파일:앙골라 국기.svg
포르투갈앙골라
4′ 파울레타득점자-
관중: 45,000명
Man of the Match: [[루이스 피구|{{{#000000 루이스 피구}}}]] (포르투갈)


8.2. 32강 조별리그 이란전 - 2 : 0 승[편집]


파일:2006 FIFA 월드컵 독일 로고.svg
2006 FIFA 월드컵 독일 D조 제4경기
2006년 6월 17일 15:00(UTC+1)
발트슈타디온 (독일, 프랑크푸르트)
주심: 에리크 풀라 (프랑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2 : 0파일:이란 국기.svg
포르투갈이란
63' 안데르송 데쿠
80′ 크리스티아누 호날두(PK)
득점자
관중: 48,000명
Man of the Match: [[데쿠|{{{#000000 데쿠}}}]] (포르투갈)


8.3. 32강 조별리그 멕시코전 - 2 : 1 승[편집]


파일:2006 FIFA 월드컵 독일 로고.svg
2006 FIFA 월드컵 독일 D조 제5-1경기
2006년 6월 21일 16:00(UTC+1)
아레나 아우프샬케 (독일, 겔젠키르헨)
주심: 류보시 미헬 (슬로바키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2 : 1파일:멕시코 국기.svg
포르투갈멕시코
6' 마니시
24′ 시망 사브로자(PK)
득점자29' 호세 폰세카
-퇴장자61′ 루이스 에르네스토 페레스 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
관중: 52,000명
Man of the Match: [[호세 폰세카|{{{#000000 호세 폰세카}}}]] (멕시코)


8.4. 16강전 네덜란드전 - 1 : 0 승[편집]


파일:2006 FIFA 월드컵 독일 로고.svg
2006 FIFA 월드컵 독일 16강 제4경기
2006년 6월 25일 21:00(UTC+1)
프랑켄 슈타디온 (독일, 뉘른베르크)
주심: 발렌틴 이바노프 (러시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1 : 0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포르투갈네덜란드
23' 마니시득점자-
45+1′ 코스티냐 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
78′ 데쿠 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
퇴장자63′ 할리드 불라루즈 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
90+5′ 지오반니 반 브롱크호르스트 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
관중: 41,000명
Man of the Match: [[마니시|{{{#000000 마니시}}}]] (포르투갈)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뉘른베르크의 전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5. 8강전 잉글랜드전 - 0 : 0 무(PSO 3 : 1 승)[편집]


파일:2006 FIFA 월드컵 독일 로고.svg
2006 FIFA 월드컵 독일 8강 제3경기
2006년 7월 1일 17:00(UTC+1)
아레나 아우프샬케 (독일, 겔젠키르헨)
주심: 오라시오 엘리손도 (아르헨티나)
파일:포르투갈 국기.svg0 : 0
(PSO 3 -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포르투갈잉글랜드
-득점자-
-퇴장자62′ 웨인 루니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관중: 52,000명
Man of the Match: [[오언 하그리브스|{{{#000000 오언 하그리브스}}}]] (잉글랜드)

승부차기
국가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점수31
순서선축후축
1시망 사브로자O프랭크 램파드X
(골키퍼 선방)
2우고 비아나X
(골대 밖)
오언 하그리브스O
3프티X
(골대 밖)
스티븐 제라드X
(골키퍼 선방)
4헬데르 포스티가O데이비드 캐러거X
(골키퍼 선방)[12]
5크리스티아누 호날두O--


8.6. 4강전 프랑스전 - 0 : 1 패[편집]


파일:2006 FIFA 월드컵 독일 로고.svg
2006 FIFA 월드컵 독일 4강 제2경기
2006년 7월 5일 21:00(UTC+1)
알리안츠 아레나 (독일, 뮌헨)
주심: 호르헤 라리온다 (우루과이)
파일:포르투갈 국기.svg0 : 1파일:프랑스 국기.svg
포르투갈프랑스
-득점자33' 지네딘 지단(PK)
관중: 66,000명
Man of the Match: [[릴리앙 튀랑|{{{#000000 릴리앙 튀랑}}}]] (프랑스)


8.7. 3위 결정전 독일전 - 1 : 3 패[편집]


파일:2006 FIFA 월드컵 독일 로고.svg
2006 FIFA 월드컵 독일 3·4위전
2006년 7월 7일 21:00(UTC+1)
고틀리프 다임러 슈타디온 (독일, 슈투트가르트)
주심: 가미카와 도루 (일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1 : 3파일:독일 국기.svg
포르투갈독일
88' 누누 고메스득점자56′, 78'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
60' 프티(O.G)
관중: 52,000명
Man of the Match: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000000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 (독일)


9. 2010 남아프리카 공화국 월드컵[편집]



9.1. 32강 조별리그 코트디부아르전 - 0 : 0 무[편집]


파일: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로고.svg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G조 제1경기
2010년 6월 15일 16:00(UTC+2)
넬슨 만델라 베이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포트엘리자베스)
주심: 호르헤 라리온다 (우루과이)
파일:포르투갈 국기.svg0 : 0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포르투갈코트디부아르
-득점자-
관중: 37,304명
Man of the Match: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스페인)


9.2. 32강 조별리그 북한전 - 7 : 0 승[편집]


파일: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로고.svg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G조 제4경기
2010년 6월 21일 13:30(UTC+2)
그린 포인트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
주심: 파블로 포소 (칠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7 : 0파일:북한 국기.svg
포르투갈북한
29′ 하울 메이렐레스
53′ 시망 사브로자
56′ 우구 알메이다
60′, 89' 티아구 멘데스
81′ 리에드송
87′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득점자-
관중: 63,644명
Man of the Match: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포르투갈)


9.3. 32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 0 : 0 무[편집]


파일: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로고.svg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G조 제5-1경기
2010년 6월 25일 16:00(UTC+2)
모지스 마비다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더반)
주심: 베니토 아르춘디아 (멕시코)
파일:포르투갈 국기.svg0 : 0파일:브라질 국기.svg
포르투갈브라질
-득점자-
관중: 62,712명
Man of the Match: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포르투갈)


9.4. 16강전 스페인전 - 0 : 1 패[편집]


파일: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로고.svg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16강 제8경기
2010년 6월 29일 20:30(UTC+2)
그린 포인트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
주심: 엑토르 발다시 (아르헨티나)
파일:포르투갈 국기.svg0 : 1파일:스페인 국기.svg
포르투갈스페인
-득점자63' 다비드 비야
89′ 히카르두 코스타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퇴장자-
관중: 62,955명
Man of the Match: 차비 에르난데스 (스페인)


10. 2014 브라질 월드컵[편집]



10.1. 32강 조별리그 독일전 - 0 : 4 패[편집]


파일: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로고_좌우.svg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G조 1경기
2014. 06. 16.(월) 13:00(UTC-3)
아레나 폰치 노바 (브라질, 살바도르)
주심: [[밀로라드 마지치|{{{#000000 밀로라드 마지치}}}]] (세르비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0 : 4파일:독일 국기.svg
포르투갈독일
-득점자12'(PK), 45+1', 78' 토마스 뮐러
32' 마츠 후멜스
37′ 페페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퇴장자-
Man of the Match: 토마스 뮐러(독일)
관중 : 51,081명


10.2. 32강 조별리그 미국전 - 2 : 2 무[편집]


파일: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로고_좌우.svg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G조 4경기
2014. 06. 22.(일) 18:00(UTC-4)
아레나 아마조니아 (브라질, 마나우스)
주심: 네스토 피타나 (아르헨티나)
파일:포르투갈 국기.svg2 : 2파일:미국 국기.svg
포르투갈미국
5' 나니
90+5' 실베스트르 바렐라
64' 저메인 존스
81' 클린트 뎀프시
Man Of the Match: [[팀 하워드|{{{#000000 팀 하워드}}}]] (미국)
관중 : 40,123명


10.3. 32강 조별리그 가나전 - 2 : 1 승[편집]


파일: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로고_좌우.svg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G조 5-2경기
2014. 06. 26.(목) 13:00(UTC-3)
이스타지우 마네 가힌샤 (브라질, 브라질리아)
주심: 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2 : 1파일:가나 국기.svg
포르투갈가나
30' 존 보예 (O.G)
80'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득점자57' 아사모아 기안
Man Of the Match: [[크리스티아누 호날두|{{{#000000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포르투갈)
관중: 67,540명


11. 2018 러시아 월드컵[편집]



11.1. 32강 조별리그 스페인전 - 3 : 3 무[편집]


파일: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로고_좌우_White.svg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B조 2경기
2018.06.15.(금) 18:00(UTC+3)
피시트 올림픽 스타디움 (러시아, 소치)
주심: 지안루카 로키 (이탈리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3 : 3파일:스페인 국기.svg
포르투갈스페인
4'(PK),44', 88'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득점자24', 55' 디에고 코스타
58' 나초 페르난데스
Man of the Match: 크리스티아누 호날두(포르투갈)
관중 : 43,866명


11.2. 32강 조별리그 모로코전 - 1 : 0 승[편집]


파일: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로고_좌우_White.svg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B조 3경기
2018.06.20.(수) 15:00(UTC+3)
루즈니키 스타디움 (러시아, 모스크바)
주심: [[마크 가이거|{{{#000000 마크 가이거}}}]] (미국)
파일:포르투갈 국기.svg1 : 0파일:모로코 국기.svg
포르투갈모로코
4'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Man of the Match: 크리스티아누 호날두(포르투갈)


11.3. 32강 조별리그 이란전 - 1 : 1 무[편집]


파일: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로고_좌우_White.svg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B조 5-1경기
2018.06.25.(월) 21:00(UTC+3)
모르도비아 아레나 (러시아, 사란스크)
주심: 엔리케 카세레스 (파라과이)
파일:포르투갈 국기.svg1 : 1파일:이란 국기.svg
포르투갈이란
44' 히카르두 콰레스마득점자90+3' 카림 안사리파드 (PK)
관중 : 41,685명
Man of the Match: 히카르두 콰레스마 (포르투갈)


11.4. 16강전 우루과이전 - 1 : 2 패[편집]


파일: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로고_좌우_White.svg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16강 2경기
2018.06.30.(토) 21:00 (UTC+3)
피시트 올림픽 스타디움 (러시아, 소치)
주심: 세자르 라모스 (멕시코)
파일:포르투갈 국기.svg1 : 2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포르투갈우루과이
54' 페페득점자7', 61' 에딘손 카바니
관중: 44,873명
Man of the Match: 에딘손 카바니(우루과이)

12. 2022 카타르 월드컵[편집]



12.1. 32강 조별리그 가나전 - 3 : 2 승[편집]




12.2. 32강 조별리그 우루과이전 - 2 : 0 승[편집]


파일: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로고_좌우_White.svg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H조 4경기
2022년 11월 29일 화요일 04:00 (한국시각)[13]
루사일 스타디움 (카타르, 루사일)
주심: 알리레자 파가니 (이란)
관중: 88,668명
파일:포르투갈 국기.svg2 : 0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포르투갈우루과이
54′ 브루노 페르난데스
90+3′ 브루노 페르난데스 (PK)
파일:득점 아이콘.svg-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파일:2022 FIFA 월드컵 포르투갈 아이콘.svg 브루노 페르난데스


12.3. 32강 조별리그 대한민국전 - 1 : 2 패[편집]


파일: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로고_좌우_White.svg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ffffff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H조 5-1경기}}}]]
2022년 12월 3일 토요일 00:00 (한국 시각 기준)
[14]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990e31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990e31 ([[카타르|{{{#990e31 카타르}}}]], [[알라이얀|{{{#990e31 알라이얀)}}}]]}}}
주심: [[파쿤도 테요|{{{#990e31 파쿤도 테요}}}]] [[아르헨티나|{{{#990e31 (아르헨티나)}}}]]
관중: 44,097명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빨간색 로고.svg
2 : 1
파일: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2022 FIFA 월드컵 대한민국 아이콘.svg 대한민국파일:2022 FIFA 월드컵 포르투갈 아이콘.svg 포르투갈
27′ [[김영권|{{{#373a3c,#dddddd 김영권}}}]]
90+1′ [[황희찬|{{{#373a3c,#dddddd
황희찬}}}]] (A. [[손흥민|{{{#373a3c,#dddddd 손흥민}}}]])
파일:득점 아이콘.svg5′ [[히카르두 오르타|{{{#373a3c,#dddddd 히카르두 오르타}}}]] (A. [[디오구 달로트|{{{#373a3c,#dddddd 디오구 달로트}}}]])
[[https://2022soccer.imbc.com/Vod/MVodView?bid=1005832100907100000&type=5&sv=|{{{#990e31 경기 다시 보기}}}]] | [[https://m.youtube.com/watch?v=a2LHDA8w744|{{{#990e31 경기 하이라이트}}}]] | [[https://www.fifatrainingcentre.com/media/native/world-cup-2022/report_133040.pdf|{{{#990e31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파일:2022 FIFA 월드컵 대한민국 아이콘.svg [[황희찬|{{{#FFFFFF 황희찬}}}]]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벤투호/2022 FIFA 월드컵 카타르/포르투갈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4. 16강전 스위스전 - 6 : 1 승[편집]


파일: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로고_좌우_White.svg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16강 8경기
2022년 12월 7일 수요일 04:00 (한국시각)
[15]
루사일 스타디움 (카타르 루사일)
주심: 세사르 라모스 (멕시코)
관중: 83,720명
파일:포르투갈 국기.svg6 : 1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2022 FIFA 월드컵 포르투갈 아이콘.svg 포르투갈파일:2022 FIFA 월드컵 스위스 아이콘.svg 스위스
17', 51', 67' 곤살루 하무스
33' 페페
55' 라파엘 게헤이루
90+2' 하파엘 레앙
파일:득점 아이콘.svg58' 마누엘 아칸지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파일:2022 FIFA 월드컵 포르투갈 아이콘.svg 곤살루 하무스


12.5. 8강전 모로코전 - 0 : 1 패[편집]


파일: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로고_좌우_White.svg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8강 3경기
2022년 12월 11일 일요일 00:00 (한국시각)
[16]
알투마마 스타디움 (카타르 도하)
주심: 파쿤도 테요 (아르헨티나)
관중: 44,198명
파일:포르투갈 국기.svg0 : 1파일:모로코 국기.svg
파일:2022 FIFA 월드컵 포르투갈 아이콘.svg 포르투갈파일:2022 FIFA 월드컵 모로코 아이콘.svg 모로코
-파일:득점 아이콘.svg42' 유세프 엔네시리
-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90+3' 왈리드 셰디라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파일:2022 FIFA 월드컵 모로코 아이콘.svg 야신 부누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8강/모로코 vs 포르투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1:28:39에 나무위키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6개국] A B C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 유럽 지역예선 6조에서 스페인에게 1무 1패로 패해 탈락했지만 스코틀랜드의 기권으로 인해 FIFA가 포르투갈에 참가요청을 하였고 포르투갈에서 이를 수용했으나 뒤늦게 거절했다. 월드컵에 갈 수 있었음에도 포르투갈이 이를 거절했으니 기권으로 처리한다.[2] 4강전 탈락 후 3·4위전 최종 3위[3] 1라운드 16강 조별리그에서 3회 연속 우승을 노리던 펠레의 브라질을 3:1로 격파하고 펠레에 치명적인 부상을 입혔다. 8강에서는 같은 돌풍의 팀 북한을 만나 0:3에서 5:3으로 반전드라마를 쓴 명경기를 치르고 4강에 갔다.[24개국] A B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4] 24강 조별리그에서 잉글랜드를 이겼지만 돌풍의 팀 모로코에 일격을 맞고 조 꼴찌, 대회 17위로 16강 실패[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5] 역시 돌풍의 팀 미국과 대한민국에 밀려 폴란드를 4:0으로 대파하고도 대회 21등으로 16강 실패. 이 때가 포르투갈의 전성기였는데 루이스 피구를 경기내내 공 한번 제대로 못잡게 만든 송종국, 결승골을 뽑아낸 박지성, 그리고 두 명의 퇴장과 피구의 무승부 간청사건은 축구팬들에게 두고두고 회자될 만하다.[6] 4강전 탈락 후 3·4위전 최종 4위[7] 톱시드는 멕시코였지만 자기들이 톱시드인 양 3전 전승으로 올라갔다. 16강에서 네덜란드와 거친 싸움+대량의 카드수집을 통해 8강 진출, 잉글랜드와의 승부차기에서 호날두의 루니와 퍼기를 뒷목잡게 하는 윙크를 날리고 결국 승리[8] 북한과의 리턴매치에서 7:0 대승을 거뒀지만 나머지 경기에서 무득점, 16강에서 당 대회 우승팀 스페인을 만나 0:1로 져서 탈락.[9] 첫 경기 독일전에서 페페가 퇴장당하고 4:0으로 일방적으로 털렸다. 이 경기에서 발목잡혀 4년전 호주와 똑같은 코스로 광탈(18등).[10] 1승 2무로 토너먼트에 오른 뒤 16강 우루과이전에서 1:2 패배[11]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12] 첫 시도에서는 성공했으나 휘슬을 불기 전에 차 무효가 되었고, 다시 찬 공은 포르투갈의 히카르두 골키퍼에게 막혔다.[13] AST(아라비아 표준시) 기준 11월 28일 월요일 22:00[14] AST(아라비아 표준시) 기준 2022년 12월 2일 금요일 18:00.[15] AST(아라비아 표준시) 기준 12월 6일 화요일 22:00[16] AST(아라비아 표준시) 기준 12월 10일 토요일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