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신 부누

최근 편집일시 :




1 드미트로비치 · 2 가토니 · 3 페드로사 · 4 세르히오 라모스 (4C) · 5 L. 오캄포스 · 6 구델 · 7 수소 · 8 호르단
9 라파 미르 · 10 I. 라키티치 (VC) · 11 루케바키오 · 12 마리아노 · 13 뉠란 · 14 쿠아시 · 15 Y. 엔네시리 · 16 J. 나바스 (C)
17 라멜라 · 18 소우 · 19 M. 아쿠냐 · 20 페르난두 (3C) · 21 올리베르 T. · 22 바데 · 23 마르캉 · 24 수마레 · 25 야누자이 · 26 후안루 · 31 알베르토 F.
파일:UEFA EURO ESP.png 키케 플로레스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야신 부누의 수상 이력

#000000,#e5e5e5
||<-4><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5e5e5><tablebgcolor=#ffffff,#191919><height=40>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bgcolor=#f0f0f0,#191919>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트로페오 리카르도 사모라|[[파일:사모라상.jp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91C3D; font-size: 0.9em"
[[트로페오 리카르도 사모라#s-2|{{{#fff '''2021-22 사모라 상'''}}}]]}}} ||<width=25%> ||<width=25%> ||<width=25%> ||
||<-4><bgcolor=#f0f0f0,#191919> {{{#333333,#cccccc '''베스트팀'''}}} ||
|| [[틀:UEFA 유로파 리그 2019-20 베스트팀|[[파일:europa league logo.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틀:UEFA 유로파 리그 2019-20 베스트팀|{{{#ff8c00 '''2019-20 UEL'''}}}]]}}} || || || ||



파일:부누.png

세비야 FC No. 13
야신 부누
Yassine Bounou | ياسين بونو

출생
1991년 4월 5일 (33세)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
국적
[[모로코|

모로코
display: none; display: 모로코"
행정구
]]
| [[캐나다|

캐나다
display: none; display: 캐나다"
행정구
]]

신체
192cm / 체중 80kg
포지션
골키퍼
주발
왼발
유스클럽
위다드 AC (1999~2010)
프로클럽
위다드 AC (2010~2012)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B (2012~2014)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4~2016)
레알 사라고사 (2014~2016 / 임대)
지로나 FC (2016~2020)
세비야 FC (2019~2020 / 임대)
세비야 FC (2020~ )
국가대표
파일: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54경기 (모로코 / 2013~ )[1]
통산득점
1골[2]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클럽 경력
2.2.1. 2019-20 시즌 (임대)
2.2.2. 2020-21 시즌
2.2.3. 2021-22 시즌
3. 국가대표 경력
4. 플레이 스타일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6. 여담
7.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모로코의 축구선수. 세비야 FC 소속 골키퍼다.

별명인 '보노(Bono)'로도 잘 알려져 있다.

2. 클럽 경력[편집]


모로코의 위다드 카사블랑카에서 프로 데뷔했으나 1군에 있었던 시간은 길지 않았다. 2012년 6월 12일, 그의 재능을 눈여겨 본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로 이적해 B팀에 합류했다.

2014년 여름에는 티보 쿠르투아다니엘 아란수비아가 떠남으로써 1군으로 승격됐으나, 얼마 후 레알 사라고사에 임대되어 두 시즌간 38경기에 출장했다.

2.1. 지로나 FC[편집]


2016년 7월 12일, 그는 지로나로 이적했다. 당시 지로나는 2016-17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 2위로 1부로 승격한 팀이었고 보노는 지로나 소속으로 라리가에 데뷔한다. 이후 팀의 주전으로 오랜기간 활약했으나 그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지로나는 2018-19 시즌 18위을 기록하며 다시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되었다.

2.2. 세비야 FC[편집]


2019년 9월 2일, 세비야로 임대를 떠났다. 팀을 떠난 세르히오 리코의 대체자로 영입된 듯.

2.2.1. 2019-20 시즌 (임대)[편집]


시즌 초반에는 토마스 바츨리크에게 밀려 후보로 남는 듯 했으나 바츨리크가 부상을 당한 동안 기회를 얻으며 리그 6경기에 출전했다.

2019-20 시즌 맨유와의 4강전에서 전반 9분 브루노 페르난데스에게 페널티킥 실점을 허용했지만 이름 그대로 야신에 빙의한 듯 맨유의 맹공을 모두 막아내면서 세비야의 2:1 결승 진출에 기여했다.

결승 인테르전에서도 스코어 2:2 동점 , 루카쿠의 결정적인 1:1 상황에서 멋진 선방을 보여주는 등 선전했다. 세비야는 3:2 스코어로 유로파리그에서 우승했다.

시즌 종료 후, 구매 옵션을 발동해 세비야로 완전 이적할 것이라고 한다.

2.2.2. 2020-21 시즌[편집]


2020년 9월 5일, 세비야 완전 이적이 확정되었다. 이적료는 4m 유로이며 4년 계약이다.

UEFA 슈퍼컵 결승에서 FC 바이에른 뮌헨을 상대로 90분동안 1실점을 했고 연장전에서까지 매우 인상적인 플레이를 펼쳤으나 역전골이 나오면서 팀은 준우승했다.

2020-21 시즌 주전 골리로 기용되고 있다.

12R 레알 마드리드전에서 자책골을 기록하면서 팀이 패했다.

28R 바야돌리드전에는 후반 추가시간 세트피스 찬스에 공격에 가담했다가 혼전 상황에서 유세프 엔네시리가 패스한 공을 쥘 쿤데가 오른발로 건드려 보노에게 넘겨줬고, 왼발 슈팅으로 동점골을 기록했다.

시즌 기간 컵대회 포함 45경기에 출전하여 36골만을 내주고 23개의 클린시트를 달성하며 세비야의 새로운 수문장으로 맹활약했다.

2.2.3. 2021-22 시즌[편집]


리그 5R 레알 소시에다드전에서 미켈 오야르사발의 PK를 발로 선방해내며 0:0 무승부를 이끌어 냈다.

리그 12R CA 오사수나전에서 상대 아크서클 부근에 떨어지는 골킥으로 루카스 오캄포스의 추가골을 어시스트했다.

리그 26R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전에서 상대 페널티 박스 안에 떨어지는 골킥으로 무니르 엘하다디의 결승골을 어시스트했고, 크리스티안 테요의 슈팅을 선방하며 결정적인 실점 위기를 넘기는 등 공수양면에서 맹활약하며 팀의 2:1 승리를 이끌었다.

2021-22 시즌에는 전 시즌보다 기복을 줄이고 공중볼 문제를 해결해 라리가 최고의 키퍼로 활약하고 있다.

현재까지 25경기에 출전하여 16실점(경기당 실점율 0.64), 12 클린시트를 기록 중이다.

경기당 최저 실점율 부문에서 라리가 전체 1위를, 클린시트 횟수 부문에서는 라리가 전체 2위를 달리고 있다.

이러한 맹활약을 통해 2021-22 시즌 사모라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2.2.4. 2022-23 시즌[편집]


2022년 11월, 아스톤 빌라 FC와 링크가 뜨고 있다. 예상 이적료는 €20M.

또한 월드컵에서 훌륭한 활약으로 노이어의 장기 부상으로 인해 대체자를 원하는 FC 바이에른 뮌헨과 링크가 뜨고 있다. 이후 얀 조머를 영입하면서 사라졌고 또한 백업 키퍼와 데헤아의 대체자를 원하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22-23 UEFA 유로파리그 결승에서 무리뉴 감독이 주관하는 AS 로마를 상대로 1실점만으로 무승부까지 이끌었고, 승부차기 끝에 두 볼의 선방으로 세비야의 우승을 이끈 주인공이 되었다.

3. 국가대표 경력[편집]



파일:모로코스페인.jpg

캐나다 출생으로 모로코와 캐나다 대표팀 모두 선택권이 있었으나 모로코를 선택, 2013년 부르키나파소전에서 데뷔하였다.

2018 러시아 월드컵을 통해 처음 월드컵 무대를 경험했으나, 무니르 엘카주이에 밀려 본선 경기에 뛰지는 못했다.


3.1.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편집]


아프리카 최종 예선 2차전 전반전에서 공을 사수하다가 콩고 측 선수인 크리스티앙 루인다마와 머리를 부딪쳐 경기 중 응급처치를 해 붕대를 감고 진행했으나 얼마 못 가 또다시 충돌이 일어나면서 자리로 복귀하다가 쓰러질 정도로 부상이 악화되어 결국 교체되었다.[3] 다행히 그의 부재에도 2차전은 모로코의 승리로 끝났고 큰 후유증 없이 부상도 회복되어 후술할 맹활약을 펼칠 수 있었다.

2022 카타르 월드컵 본선에선 사모라상을 괜히 받은게 아니라는걸 보여주듯이 탁월한 선방을 수없이 보여주고 엄청난 안정감까지 더하며 대회 최고의 골키퍼로 이름을 날리고 있다.[4][5] 전대회 준우승팀 크로아티아에게 1점도 실점하지 않는 압도적인 활약으로 조별리그 전체에서 단 1실점만을 기록하였으며,[6] 모로코의 조 1위 16강 진출을 이끌었다. 더 흠좀무한 사실은 조 2위인 크로아티아는 승부차기로 무려 브라질까지 찢어버리고 4강까지 올라갔다.

스페인과의 16강에서도 클린시트를 기록해 승부차기까지 경기를 끌고 갔고 승부차기에서는 세 번의 킥 방향을 모두 읽고 한 골도 내주지 않으며[7] 모로코의 8강 진출을 이끌었다. 부스케츠의 슛을 막고는 씨익 웃음까지 지어보이며 축구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경기 시작 몇분전에 급하게 명단에서 빠졌던 벨기에전을 빼면 8강 진출이 결정되기까지 3경기를 뛰었다. 그동안 바로 앞에서 굴절된 수비수의 자책골을 제외하면 승부차기마저도 단 한 골도 실점하지 않은 정말 야신이 강림한 게 아닌지 의심되는 수준의 선방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맹활약을 한 그에게 모로코 선수들은 행가래를 해주며 축하해주었다. 이런 활약을 계속 보이면 다음 경기에서도 모로코는 또 한 번 세계를 놀라게 할 수 있다.

8강전에서는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주앙 펠릭스의 강한 유효 슈팅을 모두 막아내는 무실점 대활약으로 아프리카 역사상 최초의 월드컵 준결승 진출이라는 위대한 기록의 주인공이 되었다. 모로코는 야신 부누의 활약과 뛰어난 팀플레이에 힘입어 아랍권, 아프리카 역사상 처음으로 4강 진출을 해낸 나라가 되었다.

이에 2022년 카타르 월드컵 골든글러브(야신상)는 사실상 리바코비치와 야신 부누의 2파전으로 확정되었다는 예상이 나왔다. 일각에서는 가능성은 낮지만 결승에서 크로아티아 대 모로코전이 일어나 역대급 선방대전을 보고 싶다는 평이 나오기도 했었다.

리바코비치가 4강전에서 페널티킥을 유발하고 결국 3골이나 먹히며 떨어져서[8] 리바코비치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프랑스와의 준결승전에서 전반 5분에 테오 에르난데스에게 선제골을 허용하면서 자책골을 제외한 첫 실점을 기록하였고, 후반 79분에 랑달 콜로 무아니에게 또 골을 허용하면서 2실점을 내줘 아쉽게도 결승행을 이끌지 못했고 이어서 크로아티아와의 3위 결정전에선 전반 6분에 1골을 먹히고 또 1골을 더 먹혀 2:1로 리바코비치의 크로아티아에게 패배하였다. 이후 경기가 끝난 뒤 주심에게 강하게 항의하는 모로코 선수들을 더 이상 접근하지 못하도록 홀로 주심을 감싸며 중재하는 장면이 포착되기도 했다. 프랑스와 크로아티아전에서 연달아 패배하면서 야신상 수상 여부는 애매해졌지만 그래도 리바코비치보다 선방률이 높았으므로 부누의 야신상 수상 확률이 높았으나[9] 결국 야신상은 결승전에서 천금 같은 선방을 보여주고 승부차기를 통해 아르헨티나를 우승에 이르게 한 에밀리아노 마르티네스가 차지했다.

리바코비치와 함께 최종적으로 야신상은 수상하지 못했으나 경기 내내 엄청난 선방으로 자국 역사상 최초로 4강까지 진출시켰으며 엄청난 존재감을 과시했다.

4. 플레이 스타일[편집]


}}}
골키퍼로서 좋은 피지컬과 빠른 반사신경, 민첩성을 바탕으로 하는 슈퍼세이브를 자주 보여준다. 펀칭보다는 주로 캐칭을 하는 스타일이며, 캐칭을 해낼 때의 위치선정이 좋다. 1대1에서 각을 좁히거나 세트피스 상황 속 공중볼 장악에도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 PK선방 능력도 쏠쏠한 편이다.[10] 다만 기복이 있어 실수가 많은 편이라 안정감과 판단력에서 약점을 드러내곤 했었다.

그러나 2021-22 시즌에는 단점을 보완해 라리가 최고의 골키퍼로 우뚝 섰다. 특히 이 시즌에는 레알 마드리드리그, 챔스 우승을 이끌었던 그 쿠르투아를 제치고 라리가 최소 실점률 1위를 달성해 사모라상을 받기도 했다.

또한 2021-22 시즌에는 2도움을 기록할 정도로 빌드업에서도 발군의 기량을 보여줬다.


5. 기록[편집]



5.1. 대회 기록[편집]


  • 위다드 카사블랑카 (2010~2012)



5.2. 개인 수상[편집]



6. 여담[편집]


  • 별명 보노(Bono)는 이름의 일부가 아닌 완전한 별칭으로, 보노 본인은 라리가 등록명으로 Bono를 쓰고 있다. 선수 본인이 별칭 + 성을 같이 쓰지 않는 이상 별칭은 성명과 별개로 구분해서 표기한다. 실제로 공식 홈페이지, 영문위키, Transfermarkt 등의 경우 '야신 부누'와 '보노'로 구분해서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2022년 7월 토트넘과의 프리시즌 경기를 위해 방한했다. 싸인을 요청하는 대부분의 팬에게 싸인을 해주는 등, 팬서비스가 매우 좋았다고 한다.
  • 인터뷰 영상들을 보면 알겠지만 영어, 아랍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총 4개 국어를 능숙히 사용하는 멀티링귀얼이다.
  • 전설적인 골키퍼 레프 야신과 이름이 비슷한데, 이 야신이라는 인명은 쿠란에서 파생된 것으로 아랍 및 이슬람권에서는 드물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 이름이라 그냥 어쩌다 보니 발음이 같은 이름을 가졌을 뿐이다.[11] 당연히 어원부터가 다르며 레프 야신과는 국적도, 언어도 다르며, 단지 이름의 발음을 한국어로 전사할 때의 표기가 동일할 뿐이다. 어쨌든 한국어 표기가 동일하다보니 한국에서는 좋은 활약을 펼치면 레프 야신에 빗대어 표현하곤 한다.[12]
  • 카타르 월드컵 당시 인터뷰를 했을 때, 그가 안고 있던 어린 아들이 마이크를 혀로 핥는 모습이 귀엽다고 화제가 되었다. #
  • 카타르 월드컵 비하인드 스토리에 따르면 본래 골든글러브 수상자는 부누로 예정되었으나 에밀리아노 마르티네스가 결승전에서 연장 혈투를 치르면서 굉장히 활약하여 그 자리에서 바뀌었다고 한다.
  • 내한 당시 곤룡포좌로 유명한 유튜버 규태씨와 스태프와 선수로 만나 친해졌다. 영상

7. 같이 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세비야 FC 2023-24 시즌 스쿼드
등번호
국적
포지션
한국 성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신체조건
비고
1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GK
마르코 드미트로비치
Marko Dmitrovic
1992.01.24
194cm, 94kg
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DF
페데리코 가토니
Federico Gattoni
1999.02.16
183cm, 79kg

3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아드리아 페드로사
Adria Pedrosa
1998.05.13
176cm, 69kg

4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세르히오 라모스
Sergio Ramos
1986.03.30
184cm, 82kg
4주장
5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FW
루카스 오캄포스
Lucas Ocampos
1994.07.11
187cm, 84kg

6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MF
네마냐 구데이
Nemanja Gudelj
1991.11.16
187cm, 73kg

7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수소 페르난데스
Suso Fernandez
1993.11.19
176cm, 70kg

8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호안 호르단
Joan Jordán
1994.07.06
184cm, 74kg

9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라파 미르
Rafa Mir
1997.06.18
191cm, 86kg
1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MF
이반 라키티치
Ivan Rakitić
1988.03.10
184cm, 78kg
부주장
11
파일:벨기에 국기.svg
FW
도디 루케바키오
Dodi Lukebakio
1997.09.24
187cm, 77kg
1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FW
마리아노 디아스
Mariano Díaz
1993.08.01
180cm, 76kg

13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GK
외르얀 뉠란
Ørjan Nyland
1990.09.10
192cm, 90kg

14
파일:프랑스 국기.svg
DF
탕기 쿠아시
Tanguy Nianzou Kouassi
2002.06.07
191cm, 85kg

15
파일:모로코 국기.svg
FW
유세프 엔네시리
Youssef En-Nesyri
1997.06.01
188cm, 73kg

16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헤수스 나바스
Jesús Navas
1985.11.21
170cm, 60kg
주장
17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FW
에릭 라멜라
Érik Lamela
1992.03.04
184cm, 81kg

18
파일:스위스 국기.svg
MF
지브릴 소우
Djibril Sow
1997.02.06
184cm, 76kg

19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DF
마르코스 아쿠냐
Marcos Acuña
1991.10.28
172cm, 69kg

20
파일:브라질 국기.svg
MF
페르난두 헤제스
Fernando Reges
1987.07.25
183cm, 74kg
3주장
21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올리베르 토레스
Óliver Torres
1994.11.10
175cm, 63kg

22
파일:프랑스 국기.svg
DF
로익 바데
Loïc Badé
2000.04.11
191cm, 82kg

23
파일:브라질 국기.svg
DF
마르캉
Marcão
1996.06.05
185cm, 74kg

24
파일:프랑스 국기.svg
MF
부바카리 수마레
Boubakary Soumare
1999.02.27
188cm, 82kg
[A]
25
파일:벨기에 국기.svg
MF
아드난 야누자이
Adnan Januzaj
1995.02.05
186cm, 75kg
26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후안루 산체스
Juanlu Sanchez
2003.08.15
183cm, 68kg

31
파일:스페인 국기.svg
GK
알베르토 플로레스
Alberto Flores
2003.11.10
187cm, -kg

구단 정보
감독: 키케 플로레스 / 홈 구장: 에스타디오 라몬 산체스 피스후안
출처: 공식 홈페이지,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9월 12일




}}} ||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
등번호
이름
생년월일
출장

소속 클럽
GK
1
야신 부누
(Yassine BOUNOU)
1991년 4월 5일 (33세)
45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12
무니르 모하메디
(Munir MOHAMEDI)
1989년 5월 10일 (34세)
43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웨흐다 FC
22
아흐메드 레다 타냐우티
(Ahmed Reda TAGNAOUTI)
1996년 4월 5일 (28세)
3
0
파일:모로코 국기.svg 위다드 AC
DF
2
아슈라프 하키미
(Achraf HAKIMI)
1998년 11월 4일 (25세)
53
8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3
누사이르 마즈라위
(Noussair MAZRAOUI)
1997년 11월 14일 (26세)
14
2
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
5
나예프 아게르드
(Nayef AGUERD)
1996년 3월 30일 (28세)
25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6
로맹 사이스
(Romain SAÏSS)
1990년 3월 26일 (34세)
65
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샤바브 FC
18
유니스 압딜하미드
(Yunes ABDELHAMID)
1987년 9월 28일 (36세)
11
0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드 랭스
20
아슈라프 다리
(Achraf DARI)
1999년 5월 6일 (24세)
4
0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브레스트 29
24
바드르 바눈
(Badr BENOUN)
1993년 9월 30일 (30세)
15
5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SC
25
야히아 아티야트 알라
(Yahia ATTIYAT ALLAH)
1995년 3월 2일 (29세)
3
0
파일:모로코 국기.svg 위다드 AC
MF
4
소피앙 암라바트
(Sofyan AMRABAT)
1996년 8월 21일 (27세)
38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7
아민 하릿
(Amine HARIT)
1997년 6월 18일 (26세)
16
0
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8
아제딘 우나히
(Azzedine OUNAHI)
2000년 4월 19일 (24세)
9
2
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10
아나스 자루리
(Anass ZAROURY)
2000년 11월 7일 (23세)
0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번리 FC
11
압델하미드 사비리
(Abdelhamid SABIRI)
1996년 11월 28일 (27세)
2
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파이하 FC
13
일리아스 셰이르
(Ilias CHAIR)
1997년 10월 30일 (26세)
10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14
자카리아 아부클랄
(Zakaria ABOUKHLAL)
2000년 2월 18일 (24세)
13
2
파일:프랑스 국기.svg 툴루즈 FC
15
셀림 아말라
(Selim AMALLAH)
1996년 11월 15일 (27세)
23
4
파일:스페인 국기.svg 발렌시아 CF
16
압데 에잘줄리
(Abde EZZALZOULI)
2001년 12월 17일 (23세)
2
0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17
소피앙 부팔
(Sofiane BOUFAL)
1993년 9월 17일 (30세)
31
5
파일:카타르 국기.svg 알 라이얀 SC
23
빌랄 엘 카누스
(Bilal EL KHANNOUS)
2004년 5월 10일 (19세)
2
0
파일:벨기에 국기.svg KRC 헹크
26
야히아 자브란
(Yahya JABRANE)
1991년 6월 18일 (32세)
16
2
파일:모로코 국기.svg 위다드 AC
FW
9
압데라자크 함달라
Abderrazak HAMDALLAH
1990년 12월 17일 (33세)
17
6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이티하드 FC
19
유세프 엔네시리
(Youssef EN-NESYRI)
1997년 6월 1일 (26세)
49
14
파일:스페인 국기.svg 세비야 FC
21
왈리드 셰디라
(Walid CHEDDIRA)
1998년 1월 22일 (26세)
2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프로시노네 칼초
일정
2026 월드컵 지역예선
2023년 11월 22일(수)
원정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2년 11월 22일





[1] 2023년 3월 29일 기준[2] 2021년 3월 20일에 있었던 세비야 FC와 레알 바야돌리드 CF와의 경기에서 후반 93분에 팀의 동점골을 넣은 적 있다.[3] 이 때문에 전반전 추가시간이 12분이나 주어졌다.[4] 원래도 라리가 정상급의 골키퍼로 인정받았으나 월드컵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실력을 보이고 있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5] 다만 벨기에 전은 어지럼증으로 인해 경기 직전 교체를 해서 서브 키퍼인 무니르 모하메디가 대타로 나왔다.[6] 캐나다전에서만 실점했는데, 그것도 16강이 거의 확정된 상태에서 자기편 수비수가 공을 잘못 건드려서 자책골을 넣은 것이었다. 그래서 골키퍼가 막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 그리고 그 경기는 이겼다.[7] 파블로 사라비아는 구석을 노리다가 골 포스트를 때렸으나 제대로 찼어도 낮게 깔아찬 탓에 방향상 막힐 가능성이 높았다.[8] 특히 첫 실점의 경우는 리바코비치 본인의 파울로 PK를 허용하고 실점한 거여서 본인의 책임소재가 크다. 다만 리바코비치도 4강전에서 여러번 슈퍼세이브를 보여주기는 했다.[9] 하지만 임팩트로 따지면 8강전에서 무려 브라질을 상대로 말도 안되는 유효슈팅들을 선방한 리바코비치가 더욱 큰 편이다.[10] 2022 카타르 월드컵 16강 스페인전 승부차기에서 2개를 막고 다른 하나도 골대에 맞았으나 방향은 완전히 읽었다.[11] 국내에서 비교적 잘 알려진 선수라면 알제리 대표팀에서도 활약했던 야신 브라히미가 대표적이다. 브라히미의 경우 알파벳 표기는 Yacine으로 보노와는 다른 표기를 쓰긴 하나 아랍어 원어 표기는 동일하다. 참고로 레프 야신은 표기가 Yashin이다.[12] 공교롭게도 일본에서도 두 야신의 이름을 같은 표기로 적어서 야신 드립이 나오곤 한다. 해외에서도 카타르 월드컵에서의 활약상으로 인해 언어유희로 드물게 쓰긴 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11:17:29에 나무위키 야신 부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