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 효사랑요양병원 화재 사고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external/image.edaily.co.kr/PS14052800094.jpg

1. 개요
2. 전개
3. 미흡한 진상규명
4. 유사 사고
5. 관련 자료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014년 5월 28일 발생한 화재 사고. 진화 자체는 빨랐으나 유독가스가 심했고 탈출이 어려운 고령자가 많아 사망자 21명이라는 초대형 참사가 되고 말았다.


2. 전개[편집]


5월 28일 오전 0시 27분경 119에 전라남도 장성군 삼계면에 위치한 효사랑요양병원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신고가 접수되었다. 소방당국은 신고 접수 4분만인 오전 0시 31분에 현장에 도착하여 진화 작업을 시작했고 24분만에 완전히 진화를 마쳤다.

화재가 일어난 곳은 별관 2층으로, 별관 건물에 있던 인원 중 1층에 있던 44명과 2층에 있던 35명 중 7명이 대피하였다. 그러나 미처 대피하지 못한 28명이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었고 입원 환자와 간호사 등을 포함해 21명이 숨지고 말았다. 본관에도 환자 등 254명이 머무르고 있었으나 다행히 현장에 출동한 119 대원들의 대피 유도로 본관 인원들 중에서는 사상자가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입원 환자들이 대부분 7~80대의 고령이다 보니 혼자서는 거동이 어려운 사람들이 많았고 이 때문에 신속히 대피하지 못해 변을 당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별관은 언론 보도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건강한 환자들이 쓰던 장소였다.

참사 직후 수사기관들은 요양병원 측에 대해 압수수색을 시작했다. 화재 당시의 근무상황 분석 등을 통해 안전관리가 소홀했는지 등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한편 이 화재가 예고된 인재(人災)라는 의견에도 무게가 실렸다. 이미 여러 차례 언론을 통해 알려진 요양병원의 열악한 근무 여건, 부실한 안전관리 등의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것이다. 해당 병원은 의료법상 의료인력 기준이 낮은 데다 스프링클러 설치 의무규정이 없어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았고 간호조무사는 1명밖에 없었으며 소화기는 캐비넷에 방치됐다.

얼마 후 가해자가 CCTV 추적으로 검거되었는데 80대의 치매노인으로, 평소에 의료진과 주변 환자들간의 마찰이 자주 있었다는 점으로 미뤄 법원은 구속영장을 발부했다.(해당 기사 참조) 이후 재판에 넘겨졌는데 1심에서 무기징역을 구형받고[1] 징역 20년을 선고받았으나 항소심 재판 도중 갑자기 사망하였다.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를 시작으로 상왕십리역 전동열차 충돌탈선 사고, 고양종합터미널 화재 사고 등의 대규모 안전사고로 인해 국민 정서가 극도로 예민해진 상황에서 터진 대형 화재사고인지라 많은 이들이 불안해했다. 더구나 고양종합터미널 화재 사고가 발생한 지 불과 이틀만에 발생한 사고였으며 그것으로도 모자라 몇 시간 후 도곡역 열차 방화 사건까지 터지고 말았다.

한편 사고 희생자들 중 현장에 화재 진압차 출동했던 소방관의 아버지가 포함되어 있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해당 소방관은 병원 2층에 아버지가 입원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다른 환자들을 구조하는 데 진력하다[2] 현장 수습이 끝난 후에야 뒤늦게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접했다고 해서 안타까움을 샀다.#


3. 미흡한 진상규명[편집]


사고 후 사망자들의 유족들은 화재 당시 상황을 알기 위해 병원측에 물어봤지만 대답이 없었다. 논의 후 유족들은 '장성 효사랑요양병원 화재참사 유가족 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군청에 합동분향소를 차리고자 했으나 군청이 이를 거부하자 홍길동체육관에 분향소를 차렸다.

병원측이 환자들의 손발을 묶어 놓은 흔적이 있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일반 요양병원의 환자 중 치매 환자들의 발작 등을 억제하기 위해 손발을 묶어 두는 사례 때문인 듯. 그러나 기사에 의하면 가족들의 동의도 없이 결박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80대 노인의 방화 원인과 학대 여부 등을 밝히기 위해 CCTV 전체 공개를 요청했지만 검찰과 경찰은 이를 거부했다. 병원 역시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유족들에게 "부모 버린 주제에 이제 와서 돈 찾냐"며 모욕적으로 대했고 당시 인터넷 뉴스 댓글창에서도 몇몇 악질 네티즌들이 유족들을 모욕하기까지 했다.[3]

정부의 후속대책으로는 스프링클러 의무화, 간호인력 확보, 요양병원 및 요양원에 대한 정확한 기준 제시, 안전시설 확보 및 정부의 관리감독 등이 제시되었다.

4. 유사 사고[편집]




5. 관련 자료[편집]




6. 둘러보기[편집]


문서가 있는 대한민국의 화재 목록
[ 펼치기 · 접기 ]
1990년대 이전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10년우신골든스위트 화재A
2011년호남고속 차고지 화재사건V, 설봉호 화재 사고A , 2011년 충북 청주시 낭성면 산불?
2013년인사동 식당밀집지역 화재V, 외발산동 버스 차고지 방화사건V, 포항 산불사고V, 2013년 울주 산불?
2014년고양종합터미널 화재 사고H, 2014년 서문시장 화재?, 장성 효사랑요양병원 화재 사고V, 도곡역 열차 방화 사건V, 2014년 대전 목상동 한국타이어 공장 화재?
2015년의정부 아파트 화재 사고H, 강화도 캠핑장 화재 사건A
2016년춘천중앙교회 화재 사고?, 경부고속도로 언양분기점 관광버스 화재 사고A, 김포 상가건물 공사현장 화재 사고H, 2016년 서문시장 화재A
2017년여수 수산시장 화재A, 화성 동탄 메타폴리스 상가 화재 사고H, 2017년 5월 강릉-삼척-상주 산불H, 강릉 석란정 화재 사건?,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고?, 수원 광교 오피스텔 공사현장 화재사고?
2018년종로 여관 방화 사건V, 밀양 세종병원 화재 사고A, 세브란스병원 화재 사고H, 인천 이레화학 화재E, 군산 유흥주점 방화 사건V, 세종시 아파트 공사장 화재 사고A, 인천 세일전자 화재 사고E, BMW 차량 연쇄 화재 사고A, 진관동 편의점 화재 사고H, 대한송유관공사 고양저유소 화재 사고H, 종로 고시원 화재 사고H, KT 아현지사 화재 사고?, 수원 골든플라자 화재 사고?
2019년양양 산불H, 진주 아파트 방화·흉기난동 살인 사건V, 원주 중앙시장 화재A, 경북 구미 모텔 화재사고?, 천안 라마다호텔 화재사고?, 고양 성석동 폐기물 처리시설 화재 사고?, 대구 사우나 화재 사고A, 불광동 모델하우스 화재?,부산 해운대구 산불H, 포항 산불?, 고성-속초 산불A, 강릉-동해 산불A, 인제 산불H, 은명초 화재H, 김포 요양병원 화재 사고A
2020년대
2020년2020년 춘천 산불H, 삼성전자 화성 반도체 공장 화재A, 울산 웅촌면 산불?, 울산 두서면 산불?, 제석산 산불A, 2020년 4월 경기도 수원 광교산 산불?, 군포 물류창고 화재 사건H, 2020년 4월 안동 산불H, 한익스프레스 이천 물류센터 화재 사고A, 2020년 5월 고성 산불A, 2020년 6월 양산 산불A, 파주 드라마 스튜디오 화재 사건?, 고흥 윤호21병원 화재 사고A, 죽굴도 화재 사건H, 용인 SLC 물류센터 화재 사건A, 인천 초등학생 형제 방임 및 화재 사건H, 울산 남구 삼환아르누보아파트 화재 사고?, 남양주 수진사 방화 사건V, 인천 남동공단 화장품 공장 화재?군포 아파트 화재사건E, 서울 마포 모텔 방화 사건V
2021년2021년 2월 양양 산불?, 2021년 정선 산불?, 2021년 하동 산불?, 2021년 안동 산불H, 2021년 영동 산불A, 2021년 예천·영주 산불?, 2021년 논산 산불?, 이천 쿠팡 덕평 물류센터 화재 사고A, 천안 주상복합 지하주차장 화재사고A, 고양 화정동 달빛마을 4단지 화재사고?, 2021년 11월 양양 산불H, 2021년 순천 산불?, 한마음마트 봉담점 화재사고H
2022년창원 반도체 금형부품 공장 화재?, 아산 귀뚜라미 보일러 공장 화재 사고?, 강원도 인제 남면 산불H, 평택 냉동창고 신축공사현장 화재 사고A , 2022년 경북 영덕 산불A, 2022년 구례 간전면 산불H, 2022년 대구 달성군 주암산 산불V,옥수역 화재 사건?, 2022년 울진-삼척 산불H, 2022년 3월 영월 산불?, 2022년 합천-고령 산불?, 2022년 강릉-동해 산불V/?, 2022년 남한산성 산불V?/H?, 2022년 경북 봉화 산불H, 2022년 4월 양구 산불H, 2022년 경북 군위 산불?, 2022년 대구 달서구 학산 산불?, 울산 에쓰오일 화재사고?, 2022년 5월 울진 산불H, 2022년 5월 밀양 산불? , 전북 남원 식품 공장 화재?, 대구 변호사 사무실 방화 사건V, 이천 관고동 병원 화재?, 대전 현대프리미엄아울렛 화재 사고?, 대구 동구 율암동 섬유공장 화재?, 강릉시 현무-IIC 미사일 낙탄 사고A,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인터넷 서비스 장애 사건A,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화재 사건? , 순천 폐기물처리시설 화재 사건? , 원주 폐기물사업장 화재?, 대구 가스충전소 폭발사고A , 2022년 대구 달서구 성서공단 화재? , 2022년 서울 남대문시장 화재? , 제2경인고속도로 갈현고가교 화재사고A
2023년부산 부전동 오피스텔 주차타워 화재E , 2023년 강남구 구룡마을 화재?, 고양 존속살인 사건V , 2023년 예천 산불H , 2023년 김천 산불? , 2023년 영양 산불H , 2023년 순천 산불H, 2023년 대구 달서구 대덕산 산불? , 인천 현대시장 방화 사건V , 2023년 합천 산불H , 2023년 부여 산불H , 2023년 하동 지리산 산불?, 2023년 광주 운암산 산불H , 2023년 대전 목상동 한국타이어 공장 화재?, 2023년 상주 외남면 산불H, 2023년 광주 양동시장 인근 방화 사건V , 2023년 3월 평창 산불H, 2023년 순천 별량면 산불H , 2023년 서천 산불H, 2023년 안동시 도산면 산불?, 2023년 화천 군 사격장 산불H, 2023년 강화 마니산 산불?, 안산 선부동 빌라 화재사고A, 아산 둔포면 폐기물 야적장 화재?, 2023년 화천 화천읍 산불?, 2023년 포천시 영북면 산불H, 2023년 제천 봉양읍 산불H, 2023년 홍성 산불H, 2023년 옥천 군북면 산불H, 2023년 군위 소보면 산불H, 2023년 당진 대호지면 산불?, 2023년 서울 인왕산-북악산 산불?, 2023년 대전-금산 산불H, 2023년 보령 청라면 산불H, 2023년 고창 상하면 산불?, 인천 부평구 상가건물 화재 사고?, 2023년 함평 산불A, 2023년 순천 송광면 산불?, 2023년 영주 평은면 산불A, 서울 방이동 오피스텔 화재 사고?, 2023년 4월 강릉 산불A, 화순 백재활요양병원 화재 사고?, 밀양 한국카본 2공장 화재?, 김포 통진읍 열풍기 제조 공장 화재 사고?, 화성 팔탄면 플라스틱 제조 공장 화재?, 안동 북후면 식품 가공 공장 화재 사고A, 완주 알루미늄 가공품 생산공장 화재?, 인천 귤현동 비닐하우스 화재 사고?, 대구 중리동 재활용 공장 화재?, 부산 해운대 씨클라우드호텔 화재?, 화성 향남읍 자원순환시설 화재A, 부산 좌천동 목욕탕 폭발사고?, 부산 개금동 아파트 화재 사고?, 인천 논현동 호텔 화재 사고?, 서울 도봉구 아파트 화재 사고E
H: 사람에 의한 실화, V: 고의적 방화, A: 누전, 장비 고장, 가스 누출 등에 의한 사고, E: 그 외, ?: 원인 불명/조사중



역대 대한민국의 대형 사고 및 참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 202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2022년 10월 29일
159이태원 압사 사고
2020년 4월 29일
38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 201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2019년 5월 29일
27헝가리 유람선 침몰 사고
2018년 1월 26일
47밀양 세종병원 화재 사고
2017년 12월 21일
29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고
2014년 12월 1일
27501오룡호 침몰사고
2014년 5월 28일
21장성 효사랑요양병원 화재 사고
2014년 4월 16일
299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2010년 3월 26일
46천안함 피격 사건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 200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2008년 1월 7일
40이천 냉동창고 화재 사고
2003년 2월 18일
192대구 지하철 참사
2002년 4월 15일
130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
2001년 9월 25일
25제7호 태창호 사건
2001년 7월 24일
20진주 관광버스 추락사고
2000년 10월 27일
22장수 88올림픽고속도로 추돌 참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 1990년대 ]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 198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89년 9월 17일
24전북 모래재 버스 추락 사고
1989년 7월 27일
79대한항공 803편 추락 사고
1987년 11월 29일
115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1987년 8월 29일
32오대양 집단자살 사건
1987년 6월 16일
29극동호 유람선 화재 사건
1986년 7월 30일
21고창 거룻배 전복 사고
1985년 1월 11일
38양강교 버스 추락사고
1984년 1월 14일
38부산 대아호텔 화재 사건
1983년 10월 9일
25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1983년 9월 1일
269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1983년 4월 18일
25대구 초원의집 화재
1982년 6월 1일53청계산 C-123 추락사고
1982년 4월 26일
62우순경 사건
1982년 2월 5일53제주 C-123 추락사고
1981년 11월 22일
33부산 금정산 버스 추락사고
1981년 5월 14일
55경산 열차 추돌사고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 197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79년 10월 27일
26은성탄광 화재
1979년 4월 14일
44함백 탄광 폭발사고
1978년 7월 23일
33한강대교 버스 추락 사고
1977년 11월 11일
59이리역 폭발사고
1976년 10월 28일
34동해 어선 조난 사고
1976년 5월 18일
23답곡리 버스 추락사고
1976년 2월 28일
32화천 버스 추락사고
1974년 11월 3일
88대왕코너 화재사고
1974년 2월 22일
159YTL30호 침몰 사건
1973년 8월 12일
32영동역 유조열차 폭발 사고
1973년 5월 16일
22영일 건널목 열차 추돌사고
1972년 12월 2일
53서울시민회관 화재 사고
1972년 8월 1일
26의암호 버스 추락 사고
1971년 12월 25일
166대연각호텔 화재
1971년 10월 13일
20남원역 열차 추돌사고
1971년 5월 10일
80청평호 버스 추락 사고
1971년 5월 10일
31질자호 침몰 사고
1970년 12월 15일
326남영호 침몰사고
1970년 11월 5일
31의암호 선박 전복 사고
1970년 10월 14일
46모산 수학여행 참사
1970년 8월 21일
25추풍령 고속버스 추락 참사
1970년 4월 8일
33와우 시민아파트 붕괴사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 196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69년 9월 17일
76창녕 남지읍 나룻배 전복사고
1969년 9월 17일
37창녕 기관선 - 남지교 충돌 사고
1969년 1월 31일
41천안 열차 추돌사고
1968년 1월 8일
41함양 버스 추락사고
1967년 10월 16일
42금릉 버스 추락 사고
1967년 9월 15일
29삼양수산 원양어선 침몰 사고
1967년 4월 8일
80서울 청구동 C-46 추락사고
1967년 1월 14일
93한일호-충남함 충돌 사고
1967년 1월 1일
41서문시장 화재
1964년 7월 29일
95+서해 어선단 실종 사고
1963년 10월 23일
49여주 조포 나룻배 침몰 사고
1963년 6월 25일
70거제 장승포 산사태
1963년 1월 18일
140연호 침몰 사건
1962년 9월 7일
36한남동 나룻배 침몰 사고
1960년 3월 2일
62부산 국제고무공장 화재
1960년 1월 26일
31서울역 압사 사고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 195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59년 7월 17일
67부산 공설운동장 압사 사고
1956년 1월 12일
66태신호 화재
1955년 3월 2일
42부산역 열차 화재
1953년 11월 27일
29부산역전 대화재
1953년 1월 31일
56오산 건널목 추돌 사고
1953년 1월 25일
66행운환 침몰사고
1953년 1월 9일
330창경호 침몰 사고
1951년 7월 11일
94제5편리호 침몰 사고
1951년 7월 11일
30+제13호 침몰 사고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 194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49년 10월 5일
71평해호 침몰 사고
1949년 8월 18일
51대강 터널 질식 사고
1947년 8월 19일
23태양환호 침몰 사고
1946년 11월 13일
42영등포역 열차 충돌 사고
1945년 8월 24일
549​~� 이상
우키시마호 사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3:03:00에 나무위키 장성 효사랑요양병원 화재 사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1명의 사망자가 생긴 방화사건임에도 불구하고 어째서인지 사형이 구형되지 않았다.[2] 구조 작업에 누를 끼칠까봐 동료에게도 이 사실을 알리지 않았다고 한다.[3] 당연히 일부러 상처를 주려는 2차 가해의 의도에서 이런 댓글을 다는 것이지 효를 어겼다고 정의로운 마음에 질타하는 게 아니다. 또한 중증 치매 환자를 집에서 간병하는 가정치고 멀쩡한 가정이 드물다. 대다수의 가족 구성원이 극심한 우울증을 겪기도 하고 심지어 치매 환자와 함께 동반자살하는 사례도 드물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