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후원

덤프버전 :


조선 정승

인조 ~ 경종
[ 좌의정 ]
제141대}}}
정창연
제142대}}}
윤방
제143대}}}
신흠
제144대}}}
오윤겸
제145대}}}
김류
제146대}}}
이정구
제147대}}}
김류
제148대}}}
오윤겸
제149대}}}
홍서봉
제150대}}}
이성구
제151대}}}
최명길
제152·153대}}}
신경진
제154대}}}
심열
제155대}}}
심기원
제156대}}}
김자점
제157대}}}
홍서봉
제158대}}}
심열
제159대}}}
홍서봉
제160대}}}
김자점
제161대}}}
김상헌

제162대}}}
이경석
제163대}}}
남이웅
제164대}}}
이경석

제165대}}}
정태화
제166·167대}}}
조익
제168대}}}
이시백
제169대}}}
김육
제170대}}}
이시백

제171·172대}}}
구인후
제173대}}}
심지원
제174대}}}
원두표
제175·176대}}}
심지원

제175·176대}}}
심지원
제177대}}}
원두표
제178대}}}
홍명하
제179·180대}}}
허적
제181대}}}
정치화
제182대}}}
허적
제183대}}}
정치화
제184대}}}
송시열
제185대}}}
김수항
제186대}}}
이경억

제187대}}}
송시열
제188대}}}
정지화
제189대}}}
김수항

제190대}}}
정치화
제191대}}}
김수항
제192대}}}
권대운
제193대}}}
민희
제194대}}}
정지화
제195대}}}
민정중
제196대}}}
정지화
제197대}}}
남구만
제198대}}}
이단하
제199대}}}
조사석
제200대}}}
목내선
제201대}}}
박세채
제202대}}}
류상운
제203대}}}
윤지선
제204대}}}
최석정
제205대}}}
서문중
제206대}}}
이세백
제207대}}}
이여
제208대}}}
서종태
제209대}}}
김창집
제210대}}}
이유
제211대}}}
이이명
제212·213대}}}
서종태
제214·215대}}}
김창집
제216대}}}
서종태

제217대}}}
이이명
제218·219대}}}
김창집
제220대}}}
이이명
제221대}}}
권상하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 우의정 ]
제161대}}}
윤방
제162대}}}
신흠
제163대}}}
오윤겸
제164대}}}
김류
제165대}}}
이정구
제166대}}}
김상용
제167대}}}
김류
제168대}}}
김상용
제169대}}}
홍서봉
제170대}}}
이홍주
제171대}}}
이성구
제172대}}}
최명길
제173대}}}
장유
제174대}}}
신경진
제175대}}}
심열
제176대}}}
강석기
제177대}}}
심기원
제178대}}}
김자점
제179대}}}
이경여
제180대}}}
심열
제181대}}}
서경우
제182대}}}
심열
제183대}}}
이경석
제184대}}}
남이웅
제185대}}}
이행원

제186대}}}
남이웅
제187대}}}
정태화

제188대}}}
조익
제189대}}}
김육
제190대}}}
조익
제191대}}}
이시백
제192대}}}
한흥일
제193대}}}
이시백
제194대}}}
구인후
제195대}}}
심지원

제196대}}}
원두표
제197대}}}
이후원
제198대}}}
원두표

제199대}}}
정유성
제200대}}}
원두표
제201대}}}
정유성
제202대}}}
홍명하
제203대}}}
허적
제204대}}}
정치화
제205·206대}}}
송시열
제207대}}}
홍중보
제208대}}}
송시열
제209대}}}
김수항

제210대}}}
이경억
제211대}}}
김수흥
제212대}}}
이완
제213대}}}
정지화

제214대}}}
김수항
제215대}}}
권대운
제216대}}}
허목
제217대}}}
민희
제218대}}}
오시수
제219대}}}
민정중
제220대}}}
이상진
제221대}}}
김석주
제222대}}}
남구만
제223대}}}
정재숭
제224대}}}
이단하
제225대}}}
조사석
제226대}}}
이숙
제227·228대}}}
여성제
제229대}}}
김덕원
제230대}}}
민암
제231대}}}
윤지완
제232대}}}
류상운
제233대}}}
신익상
제234대}}}
윤지선
제235대}}}
서문중
제236대}}}
최석정
제237대}}}
이세백
제238대}}}
민진장
제239대}}}
신완
제240대}}}
김구
제241대}}}
이유
제242대}}}
서종태
제243대}}}
김창집
제244대}}}
이이명
제245대}}}
서종태
제246대}}}
윤증
제247대}}}
김창집
제248대}}}
조상우
제249대}}}
김창집
제250대}}}
김우항
제251대}}}
이이명
제252대}}}
권상하
제253대}}}
조태채
제254대}}}
이건명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정사공신
[ 펼치기 · 접기 ]
1623년 3월 13일 인조에 의해 책록
정사일등공신
김 류이 귀김자점1심기원1
신경진이 서최명길이홍립
구 굉심명세
정사이등공신
이 괄2김경징3신경인이중로
이시백이시방장 유원두표
이 해신경유박호립장 돈
구인후장 신심기성
정사삼등공신
박유명한 교송영망이항
최내길신경식구인기조 흡
이후원홍진도원우남김원량
신 준노수원유백증박 정
홍서봉이의배이기축이원영
송시범김 득홍효손김 련
유순익한여복홍진문유 구
1 김자점의 난으로 인한 제명
2 1624년 이괄의 난으로 인한 제명
3 병자호란 강화도를 지키지 못했다는 죄로 사사되어 삭탈



조선 정승
완남부원군(完南府院君) 충정공(忠貞公)
이후원
李厚源
출생1598년 9월 11일
(음력 선조 31년 8월 11일)
사망1660년 3월 14일
(음력 현종 1년 2월 4일)
봉호완남부원군(完南府院君)
시호충정(忠貞)
본관전주 이씨
사심(士深)
오재(迂齋)
부모부친 - 이욱(李郁)
모친 - 장수 황씨(長水黃氏)
부인초실 광산 김씨
계실 영월 신씨
자녀3남 2녀
장남 - 이주(李週) 김씨 소생
차남 - 이운(李運) 김씨 소생
3남 - 이선(李選) 김씨 소생
장녀 - 이수강(李壽康) 김씨 소생
차녀 - 이수애(李壽愛) 신씨 소생

1. 개요
2. 생애
3. 가족과 후손
4. 여담
5. 묘역



1. 개요[편집]


조선 중기의 문신. 세종의 적5남 광평대군의 7대손이다.


2. 생애[편집]


어려서부터 김장생의 밑에서 글을 배운 영향으로 당색은 서인이었다. 1623년(인조 1)에 일어난 인조반정에서 공을 세워 정사공신 3등에 책록되고 본관인 전주의 별호 완산(完山)에서 유래한 완남군(完南君)으로 봉해졌다. 이후 주로 지방관을 두루 거쳐 태인현감과 군수, 단양익산의 군수, 충청도함경도의 관찰사, 강화부유수, 그리고 한성부서윤, 우윤 및 판윤 직을 역임했다. 태인현감으로 재직할 당시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결사대를 이끌고 반란군 진압에 참여했다.

정묘호란이 발발하자 참전하여 총융청의 주장 총융사를 종사관으로서 보좌했다. 1635년(인조 13) 증광 문과에 급제했고 1636년(인조 14) 대간#臺諫인 지평, 장령을 역임했다. 그 해 말에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척화파로서 청나라와의 결사항전을 인조에게 건의했다. 또한 인조가 피신해있던 남한산성을 청나라 군대가 포위하여 인조가 다른 곳으로 갈지 말지 고민하자 남한산성을 끝까지 지켜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전후 승정원의 동부승지, 좌부승지, 우승지를 거쳐 사헌부 대사간, 대사헌을 맡았다. 1644년(인조 22) 심기원이 종친 회은군을 추대하려는 역모를 일으키자 이를 평정했다.

효종이 즉위한 뒤에는 세자좌부빈객 자격으로 《인조실록》 제작에 편수관으로 참여했고, 성균관 대사성을 거쳐 도승지예조, 형조, 공조, 이조판서를 두루 지낸 뒤 1657년(효종 8) 우의정에 올랐다. 1660년(현종 1) 향년 세는나이 63세, 만 61세로 세상을 떠났다. 사후 8년 뒤인 1668년(현종 9) 시호 충정(忠貞)을 받았고# 1685년(숙종 11) 경기도 광주의 수곡서원에 제향되었다.


3. 가족과 후손[편집]


상술했듯 광평대군의 후손이다. 가계는 이렇게 내려온다.

광평대군 - 영순군 - 청안군 이영 - 정안부정 이천수 - 이한 - 이인건 - 이욱 - 이후원

이후원은 이욱의 3남으로, 위로 형이 2명 있었다. 이들의 이름은 이후재, 이후배이다.
이후원은 슬하에 3남 2녀를 두었다. 이중 차남 이운은 자식을 낳지 못하고 죽었으며 양자로 입적한 사람도 없어 후사가 끊겼다. 장남 이주는 1남 2녀를 두었고 3남 이선은 3남 1녀를 낳았다. 이들의 자손이 번성하여 현재 이후원의 후손들은 수가 많다.

  • 부 : 완산부원군 이욱(完山府院君 李郁)
  • 모 : 장수 황씨(長水 黃氏) - 문정 황정욱(文貞 黃廷彧)의 딸

  • 정부인 : 증 정경부인 광산 김씨(贈 貞敬夫人 光山 金氏) - 김반[1](金槃)의 딸
    • 장남 : 이주(李週, 1625 ~ ?)
    • 며느리 : 연안 이씨(延安 李氏) - 충정 이시방(忠靖 李時昉)의 딸
      • 손자 : 이산휘(李山輝)
      • 손녀 : 김개신(金介臣)에게 출가
      • 손녀 : 윤도명(尹道明)에게 출가
      • 손녀 : 홍우한(洪禹翰)에게 출가
    • 차남 : 이운(李運)
    • 3남 : 이선(李選, 1632 ~ ?)
    • 며느리 : 파평 윤씨(坡平 尹氏) - 윤강(尹絳)의 딸
    • 며느리 : 창원 황씨(昌原 黃氏) - 황일보(黃一皓)의 딸
      • 손자 : 이성휘(李聖輝)
      • 손자 : 이창휘(李昌輝)
      • 손자 : 이장휘(李長輝)
      • 손녀 : 홍우령(洪禹寧)에게 출가
    • 장녀 : 이수강(李壽康, 1634 ~ ?)
    • 사위 : 청성부원군 문충공 김석주(淸城府院君 文忠公 金錫冑) - 청릉부원군 김좌명(淸陵府院君 金佐明)의 아들
  • 계부인 : 정경부인 영월 신씨(貞敬夫人 寧越 辛氏) - 신희도(辛喜道)의 딸
    • 차녀 : 이수애(李壽愛, 1655 ~ ?)
    • 사위 : 응교 박태보(應敎 朴泰輔) - 문절 박세당(文節 朴世堂)의 아들


4. 여담[편집]




5. 묘역[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28호29호30호
도봉서원과 각석군완남부원군 이후원 묘역월산대군 이정 태실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29호
완남부원군 이후원 묘역
完南府院君 李厚源 墓域

소재지서울특별시 강남구
분류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기타
수량 / 면적분묘 1基, 석물 9基, 토지 2,039.6㎡
지정연도2009년 12월 31일

파일:완남부원군_이후원_묘역.jpg
이후원 묘[2]


현재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이후원의 묘가 있다. 조상광평대군 묘역 근처에 있다. 원래는 경기도 금천 삼석산에 있었다가 경기도 광주 세곡을 거쳐 1704년(숙종 30년)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졌다.

묘의 동남쪽에는 이후원의 일생과 업적이 적힌 묘비가 세워져있다. 이후원이 등용한 송시열송준길이 글을 짓고 이경직의 아들 이정영이 글씨를 썼으며, 묘비 상단의 머릿글은 김수항이 썼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이정영(1616) 문서의 r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이정영(1616) 문서의 r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19:41:25에 나무위키 이후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