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1017 (r7판)

편집일시 :

>
{{{#fff,#1f2023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white 공항
ㆍ[[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ㆍ[[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간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ㆍ[[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ㆍ[[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ㆍ[[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 펼치기 · 접기 ]
10141017102011111112
11131114[a]111511161119
112011221124[a]11261127
11281129[a]1130[a]11311132
113311351136[a]11371138
11391140114111421143
1144115411551162[a]1164[a]
11651167121312181221
12221224122612271711
8101
[a] 차등요금 적용 노선
{{{#fff,#1f2023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

{{{#fff 0권역
ㆍ[[틀:서울 2권역 지선버스|
2권역
]]ㆍ[[틀:서울 3권역 지선버스|

3권역
]]ㆍ[[틀:서울 4권역 지선버스|

4권역
]]ㆍ[[틀:서울 5권역 지선버스|

5권역
]]ㆍ[[틀:서울 6권역 지선버스|

6권역
]]ㆍ[[틀:서울 7권역 지선버스|

7권역
]]


파일:S1017.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017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017 노선도.png
기점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삼화상운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성동구 하왕십리동(상왕십리역)
종점
첫차04:30기점
첫차05:05
막차23:20막차23:55
평일배차10~15분주말배차토요일 14~16분 / 공휴일 17~18분
운수사명한성여객인가대수11대(예비 1대)[1]
노선삼화상운차고지 - 인덕삼거리 - 광운대학교 - 장위래미안아파트 - 국민은행장위동지점 - 장위동고개 - 월곡1동주민센터 - 생명의전화 - (← 성북구보건소 ← 종암SK아파트 ←) - KT월곡지사 - 종암경찰서 - 고려대학교 - 안암오거리 - 서울시동부병원 - 청계벽산아파트·텐즈힐아파트 → 상왕십리역 → 왕십리센트라스아파트 → 왕십리도선동주민센터 → 청계벽산아파트·텐즈힐아파트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한성여객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3.95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34번 도시형버스(상계동 - 이대입구)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상계7단지 - 월계동' 구간과 '용두동 - 이대역' 구간을 단축하고 월계로 구간을 장위동길 구간으로 변경하였고, 번호도 1017번으로 바뀌었다.


  • 월계508교(현 벼루말교) 재설치 및 하천 시설물 보축공사로 인해 2009년 11월 23일부터 2010년 4월 15일까지 장월교로 우회했다. 서울특별시 공지사항 원래는 2010년 1월 31일까지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중간에 공사 계획이 변경되면서 연기되었다.

  • 2017년 11월 20일을 기해 인가상 운행 소요시간이 기존보다 10분 늘어났고, 이에 따라 대당 1일 운생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4회씩, 공휴일의 경우 3회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조치에 따라 배차간격도 1~3분가량 늘게 되었다.관련 공문

  • 2019년 12월 30일을 기해 본래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96분/93분/89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05분/102분/95분으로 늘고 정상운행차량과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모두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6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4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11~13분이던 평일 배차간격이 10~15분으로 조정되었으며, 토요일 최소/최대 배차간격과 공휴일 최소 배차간격이 각각 1분씩 늘었다.관련 공문1관련 공문2

  • 2021년 12월 20일을 기해 서울 경전철 동북선 공사 영향으로 인한 운행 시간 증가를 이유로, 공사 완료 후 원 운행계통 환원을 전제로 본래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05분/102분/95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10분/110분/102분으로 늘었으며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횟수도 85회/72회/63회에서 82회/70회/61회로 각각 3회/2회/2회씩 감회되었고,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배차간격 역시 이번 운행계통 변동에 따라 11~15분/15~17분/18~19분으로 확대 조정되었다.관련 공문(운행횟수 감회 및 배차간격 1차 조정)관련 공문(배차간격 최종 조정)


4. 특징[편집]


  • 이 노선은 103번, 172번, 1137번과 동일한 장위동 고개를 경유하는 노선이라서 저상버스를 투입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시피하고[2], 한성여객 노선 중 유일하게 하계동으로 가지 않는다.

  • 광운대, 장위동에서 하월곡동, 용두동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다. (광운대에서 하월곡은 173번 포함)

  • 벼루말교를 지나는 셋뿐인 노선이다. 나머지는 1137번261번.

  • 출근시간대뿐만 아니라 퇴근시간대에도 상왕십리 방면으로 종점 수요가 꽤 많다. 다만 출퇴근시간이 아니면 100% 앉을 수 있을 정도로 한산한 편이다.

  • 회차 구간이 0권역/2권역의 경계선상이어서 도착 권역 번호가 0이다. 예전에 동대문운동장까지 가던 시절의 잔재인듯. 302번도 마찬가지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017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5,160명-
2014년4,998명▽ 162
2015년5,021명△ 23
2016년4,923명▽ 98
2017년5,074명△ 151
2018년4,937명▽ 137
2019년5,119명△ 182
2020년3,807명▽ 1,312
2021년3,825명△ 18
※ 하차 인원 미포함


4.2. 노선[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017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왕십리교회
04104
왕십리센트라스아파트
04103
왕십리도선동주민센터
04108
종점상왕십리역
04102
도선고등학교.꽃재교회
04252
상왕십리역
04114
이상 회차 구간
청계벽산아파트.텐즈힐아파트
04106
청계벽산아파트.텐즈힐아파트
04107
동아제약앞
06185
동아제약앞
06184
서울시동부병원
06183
서울시동부병원
06182
용두시장앞
06180
용두시장앞
06181
안암오거리
06177
종암초등학교앞
06179
우신향병원
06176
우신향병원
08157
고려대학교앞
06175
고대앞
08156
숭례초등학교
08155
숭례초교
08154
종암동주민센터
08153
종암동주민센터
08152
종암경찰서
08151
종암경찰서
08150
KT월곡지사
08128
KT월곡지사
08129
종암SK아파트
08130
-
성북구보건소
08131
-
생명의전화
08290
생명의전화
08289
월곡동두산아파트
08288
월곡동두산아파트
08287
월곡삼성래미안아파트
08286
밤나무골시장
08285
월곡1동주민센터
08284
월곡1동주민센터
08283
창문여고
08102
장위동입구
08406
장위동고개
08275
장위동고개
08276
장위1동주민센터
08277
장위1동주민센터
08278
장위1동치안센터
08279
장위1동치안센터
08280
국민은행장위동지점
08281
국민은행장위동지점
08282
장곡초교
08294
장곡초교
08293
장곡초교사거리
08291
장곡초교사거리
08222
꿈의숲아이파크아파트
08219
꿈의숲아이파크아파트
08220
장위래미안아파트
08242
장위래미안아파트
08239
벼루말교
11468
벼루말교
11465
광운중학교
11333
광운전자공업고등학교
11334
광운대학교
11285
광운대학교
11335
월계삼거리
11286
월계삼거리
11336
신도브래뉴.한전노원변전소
11346
신도브래뉴.한전노원변전소
11332
인덕삼거리
11345
인덕삼거리
11331
삼화상운차고지 · 삼화상운차고지
11482 · 11482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광운대역[3]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월곡역[4], 고려대역[5]
  •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춘선: 광운대역[6]


[1] 토요일 8대 / 공휴일 7대 운행[2] 위의 이미지가 문제의 그 구간이다.[3] 월계삼거리 하차[4] 성북구 보건소 하차[5] 고려대학교 하차[6] 평일 8:47 2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