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
[ 펼치기 · 접기 ]
주요 정보유치 과정 · 경기 종목 · 선수 목록 · 대회 진행 (개막식 · 폐막식) · 대한민국 대표팀 · 평가
문제점 및 사건 사고 (대규모 외교적 보이콧 · 문화공정 논란쇼트트랙 편파판정 논란 (반응) · 카밀라 발리예바 도핑 적발 사건)
개별 종목파일: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파일: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픽토그램.svg 피겨 스케이팅 · 파일: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컬링 픽토그램.svg 컬링 · 파일: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루지 픽토그램.svg 루지 · 파일: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아이스하키 픽토그램.svg 아이스하키
대회 관련 기타 문서
마스코트
빙둔둔 ·
주경기장
베이징국가체육장 · >

패럴림픽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

개막 선언자
시진핑 ·

성화 점화자
디니걸 이라무장 · 자오자원
파일: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로고_White.svg 一起向未来
Together For a Shared Future
함께하는 미래로
}}}||
}}}||
[ 펼치기 · 접기 ]
주요 정보유치 과정 · 대한민국 대표팀
대회 관련 기타 문서
마스코트
쉐룽룽 ·
주경기장
베이징국가체육장 · >

올림픽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

개막 선언자
시진핑 ·

성화 점화자
리두안
파일: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로고_White.svg 一起向未来
Together For a Shared Future
함께하는 미래로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파일: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로고.svg
개최지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베이징
일정2022년 2월 5일 ~ 2월 16일
경기장Capital Indoor Stadium
주관 단체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국제빙상경기연맹
경기 종목9개 종목
참가국23개국
참가 선수112명
20182026



1. 개요[편집]


2022년 2월 5일부터 2월 16일까지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된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에 관한 문서.


2. 출전권[편집]


출전권은 올림픽 직전에 열린 2021-22 쇼트트랙 월드컵 결과에 따라 배분된다. 한 국가는 남녀 각각 1~3명의 선수가 출전할 수 있고 남녀 계주에 참가하는 국가는 4~5명까지 출전할 수 있다.[1] 개최국인 중국은 10장의 출전권을 자동으로 부여받는다.

출전권 배분 현황
[ 펼치기 · 접기 ]

국가혼성여자남자총합
계주500m1000m1500m계주500m1000m1500m계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12331233110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111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1111112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13331333110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1333133311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11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111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12222224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111213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22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11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122233317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111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13231223110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13322317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1113125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1122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13331333110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1322116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1333122319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11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112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133211227
총합 23개국1232323683232368112



3. 출전 선수[편집]






4. 경기 일정[편집]


  • 결승 경기는 볼드체 표기
날짜시간[2]종목
2월 5일19:00여자 500m
남자 1000m
혼성 2000m 계주
2월 7일19:30남자 1000m
여자 500m
2월 9일19:00여자 1000m
남자 1500m
여자 3000m 계주
2월 11일19:00여자 1000m
남자 500m
남자 5000m 계주
2월 13일19:30남자 500m
여자 3000m 계주
2월 16일19:30여자 1500m
남자 5000m 계주


5. 결과[편집]



남자금메달은메달동메달
500m파일:헝가리 국기.svg
리우 샤오앙
40.33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콘스탄틴 이블리예프
40.45파일:캐나다 국기.svg
스티븐 뒤부아
40.68
1000m파일:중국 국기.svg
런쯔웨이
1:26.78파일:중국 국기.svg
리원룽
1:29.93파일:헝가리 국기.svg
리우 샤오앙
1:35.71
1500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대헌[3]
2:09.219파일:캐나다 국기.svg
스티븐 뒤부아
2:09.254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2:09.267
5000m 계주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6:41.257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6:41.679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6:43.431
스티븐 뒤부아
샤를 아믈랭
조르당 피에르질
파스칼 디옹
막심 라운
곽윤기
이준서
황대헌
박장혁
김동욱
피에트로 시겔
유리 콘포르톨라
톰마소 도티
안드레아 카시넬리



6. 메달 집계[편집]


파일: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메달 순위
순위국가총합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2305
2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2114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2114
4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1214
5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1124
6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1023
7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ROC0112
8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0011
총합99927


7. 신기록[편집]


올림픽 신기록(OR)과 세계신기록(WR)은 별도로 집계된다.
종목선수국가기록경신일경기신기록
여자 500m쉬자너 스휠팅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42.3792월 5일예선 4조OR
남자 1000m황대헌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23.0422월 5일예선 5조OR
혼성 2000m쉬자너 스휠팅
셀마 파우츠마
싱키 크네흐트
옌스 판트바우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2:36.4372월 5일준준결승 2조OR
남자 1500m리우 샤오린 샨도르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2:09.2132월 9일준준결승 1조OR
여자 1000m쉬자너 스휠팅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1:26.5142월 11일준준결승 1조OR, WR
여자 3000m 계주쉬자너 스휠팅
야라 판케르코프
셀마 파우츠마
크산드라 펠제부르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4:03.4092월 13일결승OR
여자 1500m최민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16.8312월 16일준결승 3조OR


8. 기타[편집]


  • 여자부에서 매우 진기한 기록이 작성되었는데, 개인 종목 금메달리스트가 이전 대회인 평창 때와 완벽하게 똑같다. 500m 아리안나 폰타나, 1000m 쉬자너 스휠팅, 1500m 최민정 모두 2개 대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했다.

  • 혼성 2000m 계주가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러시아지난 올림픽에 이어 베이징 동계올림픽 또한 출전이 금지되었다. 러시아 출신 선수들이 출전을 원할 경우, 개인 자격으로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ROC) 소속으로만 출전이 가능하다.[4]

  • 2018 평창 동계올림픽과 마찬가지로 쇼트트랙 경기가 저녁에 편성됐는데 이는 중국이 피겨 스케이팅에 비해 쇼트트랙이 강세이고, 미국은 피겨 성적이 더 좋은데다가 올림픽 중계권을 갖는 NBC가 미국의 프라임 시간대에 맞추기 위해 이렇게 경기가 편성됐을 것으로 보인다.

  • 2018 평창 동계올림픽과 비교하여 쇼트트랙 경기 일정이 많이 바뀌었다. 토리노 때부터 평창 때까지 스케줄은 남자 1500m, 여자 500m, 남자 1000m, 여자 1500m, 여자 3000m 계주, 남자 500m, 여자 1000m, 남자 5000m 계주 순서로 메달을 결정했으나, 이번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는 순서가 완전히 바뀌었다.


9. 논란[편집]



9.1. 빙질 논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문제점 및 사건 사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2. 혼성 2000m 계주 준결승 중국 편파판정 논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편파판정 논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3. 여자 500m 준준결승 중국 편파판정 논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편파판정 논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4. 남자 1000m 준결승, 결승 중국 편파판정 논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편파판정 논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 개인전 3명 + 계주 멤버 2명[2] UTC+8[3] 대한민국이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획득한 첫 번째 금메달[4] 지난 대회에서는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OAR)로 출전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19:00:46에 나무위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