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입력기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한자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자
[ 펼치기 · 닫기 ]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표준자형) · 간체자 · 신자체(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 학년별한자배당표 · 통용규범한자표) ·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인명용 한자표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 한어병음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일본 한자음 · 상고음 · 중고음 · 양안 간의 독음 · 광동어 정음 운동 · 문백이독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나라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한한대사전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가나(히라가나 · 가타카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방언자 · 쯔놈 · 고장자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입력 · 검색
중국어/입력기 · 창힐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한자


1. 개요
2. 역사
3. 국가 및 지역별 주요 입력방식
4. 소리에 기반한 입력방식
4.1. 병음수입법(중국 대륙)
4.1.1. 쌍병수입법(雙拼輸入法/双拼输入法, Double pinyin IME)
4.2. 주음부호수입법
5. 자형을 조합하는 입력 방식
5.2. 속성수입법(速成輸入法) 또는 간이수입법(簡易輸入法
5.3. 오필자형수입법(五筆字形輸入法/五笔字形输入法)
5.3.1. 장점
5.3.2. 단점
5.3.3. 기타
5.4. 대이수입법(大易輸入法/)
5.6. 필획수입법(筆劃輸入法/笔画输入法)
5.7. 뿌리법(한국)
5.8. 일중자판(一中字板, 한국)
6. 기타 입력 방식
6.1. 필기 입력법
6.2. 재춘법(한국)
6.2.1. 자근 목록
6.3. 유니코드 CJK IME



1. 개요[편집]


만 자가 넘는 한자를 글쇠가 기껏해야 100자 정도 밖에 없는 키보드로 어떻게 입력할까 하는 것은 상당한 호기심의 대상이다. 현재 한자 독음을 입력하고 한자로 변환하거나, 한자 자형을 각 글쇠에 할당한 후 이를 입력해 한 한자로 조합하는 방식인 IME를 사용하여 한자를 입력하고 있다.

컴퓨터는 두벌식, 휴대폰은 삼성전자 ‘천지인’, LG전자 ‘나랏글’, 팬택 ‘SKY’ 휴대전화 입력기[1]를 사용하는 한글, QWERTY, 드보락 등이 있는 영어 알파벳 입력기에 비해 상당히 많은 한자 입력기가 있다. 아래에 소개된 입력기 말고도 여러 잡다한 방법들이 있으니 백도백과, [[위키피디아(화문판(영문판)을 참고. 결론적으로는 빠르게 치면 분당 200~250자 정도 나온다. 굉장히 느려 보이지만 잘 보면 입력 단위가 한글 입력기와 달리 '타'가 아니라 '자'이다. 한국어 타자와 '음절'로 비교해도 그렇고 한자 특유 압축성을 고려하면 크게 밀리지 않는다.


2. 역사[편집]


중국어권은 글자수가 많은 한자를 쓰는 특성 때문에 근대 시기 중국어 기계화와 전산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예를 들면 한자 타자기는 2,000자짜리 인쇄 원통이 부착된 소형 인쇄기에 가까웠고(실제 사용 동영상), 차라리 손으로 쓰는 것이 훨씬 빨랐다.

모스 부호를 통한 전신을 사용할 때는 각 한자에 네자리 숫자 코드를 설정하였다. 가령 天安門은 1131(天) 1344(安) 7024(門)으로 하고 이 숫자를 모스 부호로 변환해서 송신한다. 그럼 받는 측에선 해당 코드를 찾아서 한자를 조합한다.(부호표 일부)

컴퓨터 시대에 들어서며 중국어권 컴퓨터공학자들은 수많은 한자를 IME를 통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고자 하였다. 우선 키보드 각 글쇠에 한자 자형을 할당하고 글쇠를 입력해 한자로 조합하는 방식이 시도되어 1970년대에 창힐수입법 개발로 첫 결실을 보았다. 뒤이어 한자음을 표기하는 한어병음주음부호를 통해 한자를 입력하는 입력기가 개발되면서, 단시간에 한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중국어도 기계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이러한 입력기들은 처음에는 한글자씩 입력하는 방식이었지만 시간이 지나며 성능이 향상되어 단어 단위로도 입력이 가능해졌고, 빠른 한자 입력을 가능하게 했다.


3. 국가 및 지역별 주요 입력방식 [편집]


한자를 입력할 때는 다른 글자로 독음을 입력하고 해당 독음인 한자를 선택해 한자로 변환하는 방법이나 정해진 한자 자형을 입력하고 이를 조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이때 중화권, 일본, 한국의 문자 생활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한자를 입력하는 방식에도 나라마다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 중화권: 입력 방법이 굉장히 다양하다.
  • 일본: 중국 한어병음처럼 로마자를 입력한 다음 한자로 변환하는 방법을 쓰거나, 일본 고유 문자인 가나로 입력한 다음 한자로 변환하는 방법을 쓰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키보드 배열휴대전화 입력기참조.
  • 한국: 한글로 입력한 다음 한자로 변환한다. 다만 현대 한국에서는 일상생활에서 한자를 입력할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한자를 필요할 때 따로 입력할 수 있도록 별도로 한자 키가 있다. 즉, 중국·일본어는 변환 키가 없거나 사용할 필요가 없(어졌)고, 단어·문장 단위로 한자 변환이 매끄럽게 이어지지만 한국에서는 한자를 입력하려면 변환 키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고, 그조차 한 번에 한 글자씩밖에 변환하지 못한다. 때문에 빨리 입력하려면 각 한자마다 커맨드를 외우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쉬울 이()를 입력하려면 '이' 입력→한자 키→page down 1회→6을 차례로 입력하는 식. 다만 macOS 기본 한글 입력기(구 파워입력기)는 옵션 조정을 통해 단어 단위 한자 변환이 가능하며, 구름 입력기나 Windows용 새나루 입력기 등 서드파티 IME 소프트웨어인 경우 고유어 뜻을 통한 한자 입력 기능을 지원하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키보드 참조. 스마트폰이 출시되기 전까지 한자 변환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폰이 없었으나, 스마트폰이 출시되고 글자 단위로 한자 변환이 가능해졌다.


4. 소리에 기반한 입력방식[편집]




4.1. 병음수입법(중국 대륙)[편집]


파일:중국어 입력기 병음 입력.png
핸드폰에서의 병음 입력

한어병음을 이용하여 발음을 입력하면 해당 발음의 한자가 뜨고 거기서 해당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이다. 일본어 로마자 입력기와 같이 로마자를 사용하므로 영미권 QWERTY 자판과 같은 것을 사용한다. 아래 설명할 솽핀(雙併/双拼; 쌍병)수입법에 대응하여 취안핀(全拼; 전병)이라고도 부른다. 중국 대륙에서 가장 보편적인 입력 방식이다.

성조까지 칠 수 있지만 그러면 너무 길어지기 때문에 실제로는 거의 치지 않으며, ü는 한어병음에서 사용하지 않는 v로 입력한다. 중국어를 가르칠 때 이걸 안 가르쳐 줘서 중국어를 입력할 때 헤매는 사람들이 좀 있다.

한어병음과 QWERTY 사용법만 알면 바로 입력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나, 단점이라면 동음이의자/어가 많다면 일일이 찾아야하는 불편함과 타수가 늘어난다는 점이 있다. 가령 西安(Xi'an)이나 预案(yu'an) 같은 단어는 그냥 xian과 yuan이라고 치면 한 음절짜리 xian과 yuan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xi'an, yu'an과 같이 사이에 어포스트로피(')를 입력해 줘야 하는데, 요즘 나오는 입력기들은 그냥 xian이라고만 쳐도 한 음절짜리 xian에 해당되는 후보와 두 음절짜리 xi'an에 해당되는 후보를 한꺼번에 제시해 주기도 한다.

입력기가 발전해서 자주 쓰는 단어나 국가 이름, 고사성어, 심지어 문장(!) 같은 건 그냥 성모만 쳐도 바로 후보 단어가 떠서 입력 속도가 조금 더 빨라졌다. 예를 들어 cc만 쳐서 曹操를 입력하거나, mshshj로 魔兽世界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타자법을 중국에서는 젠핀(简拼; 간병)이라고 부른다.

파일:attachment/입력기/중국어/pinyin1.png
피처폰 시절 키패드도 같은 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버튼 하나에 서너 개의 글자를 배당해, T9 방식과 유사하게 버튼을 입력하면 해당되는 병음들의 조합으로 쓰고자 하는 글자와 단어를 유추하는 방식이다. 첨부한 스크린샷에서는 542643을 눌렀고, 따라서 542643에 해당하는 알파벳으로 조합 가능한 모든 병음과 단어 목록이 떴다. 이 방식은 단어의 경우, 경우의 수가 많아 일일이 원하는 병음이나 한자 단어를 찾아야 하지만, 단문장을 한번에 입력할 경우 경우의 수가 점점 줄어들어 그런 수고가 조금 줄어든다. 그리고 눌러야 하는 버튼의 수도 많지 않아 어느 글자가 어느 번호에 배당되어 있는가만 외우면 오타의 위험도 적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때문에 대화면 스마트폰이 보급된 현재도 두벌식보다 천지인을 선호하는 한국인들이 있듯이, 중국인들 중에서도 쿼티 대신 이러한 입력 방식을 선호하는 사용자들이 존재한다.

이 방법은 원래 표준중국어를 기준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방언 화자는 이용하기 불편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n/l, f/h, n/ng, j|q|x/zh|ch|sh/z|c|s 등 일부 방언 화자들이 헷갈리기 쉬운 발음을 구분 없이 같이 표기해주는 소위 퍼지 병음(模糊拼音; 모호병음, Fuzzy pinyin)이라는 기능이 예전부터 대부분 입력기에 존재해왔으며, 요즘은 방언 병음을 기준으로 한 입력기도 개발되고 있다. 광동어 입력기는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데, 월병에 근거하며 삼성 키보드에서 지원한다. 아이폰은 iOS 16부터 지원한다.

중국 대륙에서 주로 쓰이는 입력 방식인 만큼 간체자 위주로 사용되지만, IME 설정에서 정체자를 입력하게 설정할수도 있다.

Microsoft Windows에서 지원하는 중국어 간체 IME의 기본 입력 방식이지만, 중국인들은 마이크로소프트 IME보다 써우거우(搜购/So(u)gou; 수구)병음수입법을을 비롯한 서드파티 IME를 따로 설치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4.1.1. 쌍병수입법(雙拼輸入法/双拼输入法, Double pinyin IME)[편집]


병음수입법에서 파생된 입력 방식으로, 병음의 성모를 한 타로만 입력하고 운모를 한 타로만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撞을 일반적인 병음 입력법으로 입력하려면 z-h-u-a-n-g 여섯 타로 입력해야 하지만, 솽핀 방식에서는 zh-uang 두 타로 해결된다. 자판 배열이 굉장히 다양한데 여기서 볼 수 있다.

주음부호 자판과 비슷하게 타자 수가 현저히 줄어들어 익숙해진다면 타자가 빨라진다는 장점이 있지만, 병음만 알면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병음 입력과 달리 자판 배열을 외워야해서 학습 장벽이 높은 편이다. 또한 성모만 쳐도 어지간한 자주 쓰는 단어 내지 문장들은 나올 정도로 입력기가 발전한 현재, "타수가 줄어든다"는 장점 역시 예전만큼 뚜렷하지 않다.


4.2. 주음부호수입법[편집]


파일:attachment/uploadfile/Bopomofo.jpg
파일:967px-Keyboard_layout_Zhuyin.svg.png
출처
표준중국어 발음을 표기하는 중국의 독자 문자인 주음부호를 통해 입력하는 방식. 기본 원리는 병음 입력기와 똑같다. 이전에는 키보드로 성조를 반드시 입력해야만 했지만, 요즘은 굳이 성조를 입력하지 않아도 단어를 유추하여 추천해준다.

대만에서 많이 쓰이는 방법으로, 로마자와 주음부호를 동일한 속도로 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주음부호 입력법이 확실히 좀 더 편하다. 병음보다 타자 수가 현저히 줄어들어 더 빠르다.

배열은 맨 위에 소개된 대천식(大千式)이 가장 보편적이며, 그 외에도 몇 가지 배열이 있다. 한국어 위키백과 참조

한국어 초성체처럼 주음부호를 이용한 통신체도 있다. 자세한 사항은 주음부호 문서 참고.


5. 자형을 조합하는 입력 방식[편집]



5.1. 창힐수입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창힐수입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76년에 대만에서 개발된 한자 입력기다. 중국어 키보드 입력기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되었다.


5.2. 속성수입법(速成輸入法) 또는 간이수입법(簡易輸入法[편집]


창힐수입법 입력 코드의 처음과 끝만 타이핑 하기 때문에 숙련 시 가장 빠른 속도를 내는 방법이다.

중국어 정체자 Windows의 기본 자판으로 설정되어 있다.


5.3. 오필자형수입법(五筆字形輸入法/五笔字形输入法)[편집]


파일:중국어 입력기 오필획수입법.gif

중국 발명가 왕융민(王永民)이 1983년에 고안한 입력 방식이다. 그의 성을 따서 왕마오필(王码五笔)이라고도 불린다. 이후 최초 창제자를 포함한 여러 사람들이 개량판을 개발했다.

로마자 25자(z 제외)에 한자를 배당했다.


5.3.1. 장점[편집]


한어병음이나 주음부호 같은 발음기호에 의존하는 입력방식보다 단연 빠르다. 한 글자가 최대 4타를 넘어가지 않고, 중복자 수가 적어 나열된 중복자의 위치를 암기하여 숫자키로 입력할 수 있어 속도로 압도할 수 있다. 드보락과 마찬가지로, 속도가 중시되는 작업 환경이라면 익혀둘 만하다.

다만 발음을 위주로 하는 중국어 입력기가 자체 학습과 빅데이터를 결합하는 식으로 발전했기 때문에 현재에도 이 방법이 여전히 빠른지는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옛날에 中国를 입력할 때 한어병음을 이용한 경우 zhong, \[1성\],中자 고르기, guo, \[2성\], 国자 고르기 식이나 (성조를 입력하는 몇종류 입력기로) zhong, 中자 고르기, guo, 国자 고르기 식으로 했으니 당연히 느렸다. 그렇지만 지금은 zg만 쳐도 바로 후보로 中国이 뜰 정도다. 한어병음보다 중국어 표기에 더 일찍 도입된 주음부호도 마찬가지였다. 臺灣(정자), 台灣(속자)을 입력하기 위해 ㄊㄞˊ 입력, 글자 고르기, ㄨㄢ 입력, 글자 고르기를 그대로 진행해야 했으며, 요즘은 ㄊㄨ만 입력 해도 추천 단어 상위에 臺灣(정자)와 台灣(속자)이 표시된다. 자주 쓰지 않는 단어는 이 방법이 어렵겠으나, 말 그대로 자주 쓰지 않기 때문에 이런 일은 중국어 타자에서 잘 안 일어난다. 또한 이런 방식 때문에 已經이라는 두 글자를 입력하는 것이 已 한 글자만 입력하는 것보다 빠른, 붓으로 글을 쓰던 시기엔 있을 수 없는 일도 일어난다. 한어병음이라면 전자는 yj를 치면 바로 추천 단어가 나오나 후자는 yi를 치고 음 똑같은 많은 글자들 중에서 已를 찾아서 골라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도 자주 쓰이지 않는 글자는 오필자형수입법으로 더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中国이라는 자주 쓰이는 단어를 입력할 때에는 zg만으로도 입력할 수 있는 병음수입법이 단연 편하다. 하지만 자주 쓰이지 않는 단어, 예를 들어 유명하지 않은 일반인 인명을 입력할 때에는 오필자형수입법이 훨씬 더 빠르다. 만약 수백 명 중국인 인명 목록을 작성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해 보자. 그걸 다 병음이나 주음부호 입력기로 올바른 글자를 하나하나 골라가며 입력하려면 상당한 고역이겠으나 오필자형수입법으로는 일반 문장을 입력하는 속도와 다를 바 없다.

또한 현대 중국어가 아닌 한문을 입력할 때에는 병음/주음부호와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빠르다. 병음/주음부호수입법은는 어디까지나 다음절 어휘 위주인 현대 중국어에 맞춰 최적화된 것이기 때문에 단음절 어휘 위주인 한문을 쓰려면 앞서 말한 已 한 글자를 입력하는 것처럼 상당한 글자 고르기가 요구된다. 그러나 오필자형수입법으로 입력하면 현대 중국어를 입력하는 것과 동일한 속도를 낼 수 있다.

한자는 잘 알지만 그 중국어 발음법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 익히기가 편하다는 것이다. 발음에 상관없이 그냥 한자를 '써서' 입력하는 것이니까. 어떻게 보면 진정 필담이나 파자 놀이라고 해도 될 듯하다. 마찬가지로 한자를 많이 입력해야 하는 작업 환경인데 중국어는 잘 모르는 한국인도 사용할 수 있다. 대만 정체자는 한국 정체자와 몇 개 빼고 거의 같으니까.

컴퓨터 성능이 딸렸던 과거에는 한어병음수입법이나 주음부호수입법에 비해 소프트웨어적으로도 이점이 있었다. 한어병음수입법이나 주음부호수입법은 일단 독음을 입력하고 그 독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후보군으로 띄운 뒤에 선택하는 방식인데, 컴퓨터 성능이 딸렸던 과거에는 수많은 한자 후보군을 띄우고 선택하는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그에 비하면 자형수입법은 로마자, 숫자, 기호 몇 가지 가운데 몇 글자만 입력하면 바로 한자 하나에 대응되니 소프트웨어적 처리가 훨씬 간편했다. 물론 오늘날에는 한어병음수입법이나 주음부호수입법 프로세스가 크게 빨라져서 눈에 띄는 장점이 아니다.

이 때문에 대륙에서 제일 보편적인 입력 방식이었고 학교 컴퓨터 시간에서도 오필자형수입법을 필수로 가르쳤다. 하지만 2000년대부터 컴퓨터 용량이 커지고 입력기에 온라인 데이터베이스까지 활용되면서 병음수입법의 정확성과 속도가 빠르게 발전하며, 오필자형수입법을 사용하는 비중이 크게 줄어들었고, 현재는 병음으로 입력이 어려운 벽자나 전문용어가 많이 쓰이는 전문 분야에서나 쓰이게 되었다. 과거에 흥행했던 중국어 오필 입력기, 왜 사라졌나?


5.3.2. 단점[편집]


그 많은 한자들을 발음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파자하며 조자법을 익혀야 하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매우 높다. 병음수입법이나 주음부호수입법을 쓰던 사람이 오필자형수입법으로 평소 자주 쓰는 你 같은 글자마저 못 치게 되어 당혹스러워 한다.

마이너해져서 교재를 구하기 어려운 점도 있다.


5.3.3. 기타[편집]


한국 카시오 엑스워드 전자사전에서도 잠깐 사용했다.


5.4. 대이수입법(大易輸入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이수입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87년에 대만인 왕찬걸(王贊傑; 왕짠제)이 개발한 한자 입력기다.


5.5. 사각호마검자법(중국)[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사각호마검자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본래 옥편에서 글자를 찾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했지만 입력용으로도 간간히 쓰인다.


5.6. 필획수입법(筆劃輸入法/笔画输入法)[편집]


파일:중국어 입력기 오필획수입법.png
휴대폰에서의 오필획
과거 피처폰 시절 휴대전화에서 병음 입력법과 함께 널리 사용됐으며, 한자를 필순에 따라 一, 丨, 丿, 丶, 乛의 다섯 가지 구성 요소로 분해하여, 이 키를 조합해서 해당 한자를 입력하는 방식.

1
一과 亠,氵의 마지막 획
2
丨、亅
3
丿
4
丶、㇏
5
乙、乛、乚、𠃌、乀、乁 등 꺾인 획
6
通配(획순을 모를 경우 건너뛰는 키)

병음수입법에 비견될 만치 진입장벽이 낮고 입력 속도가 느리다. 八、人、入,刀、力,己、已、巳 등 입력 코드가 똑같은 글자들을 제외하면 입력 후 한자를 일일이 찾아서 선택해야하는 번거로움이 거의 없다.


5.7. 뿌리법(한국)[편집]


1995년#에 서울시스템에서 이웅근이 주도해 개발했다. 대이수입법(大易輸入法)과 비슷하게 35개 또는 40개 글쇠에 할당된 240가지 자형을 최대 4번 눌러 입력한다.

조선왕조실록를 전산화할 때 사용한 입력 방식이다.

유니코드한자 검색시스템 -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에서 입력 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페이지스타(유료, 고가)의 옵션으로만 접할 수 있다.


5.8. 일중자판(一中字板, 한국)[편집]


소개 페이지

2018년에 일일디지털인쇄(대표 황보 영)에서 개발하여 2020년까지 무료 배포하다가 유료로 판매 중이다.

로마자 26자에 한자 자형과 획을 할당했다.

자형부터 획순으로 입력한다.


6. 기타 입력 방식[편집]



6.1. 필기 입력법[편집]


파일:한자 필기 입력법.png

손으로 직접 써서 입력하는 방법. 과거에 기술적인 문제로 인식률이나 인식 속도가 낮았으나 현재는 이런 문제는 많이 해결되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같은 터치스크린 환경에 적합하며, 일반적인 키보드와 마우스 환경에선 입력이 어렵다(마우스로 가능하긴 하나 상당히 힘들다). 또 필획이 많은 한자는 손을 많이 움직여야 한다는 점에서 단점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중국어 배우는 외국인이 쓰기는 편하다. 모르는 한자를 보면 발음이 뭔지 몰라도 그대로 모양을 따라 하면 알아서 그 글자를 찾아주므로 사전으로 찾기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원래 한자의 획순을 비슷하게나마 따라가야 인식이 잘 되지, 한자의 모양을 그대로 따라 그리다 보면(...) 제대로 인식이 되지 않거나 생뚱맞은 한자를 후보로 내놓는 경우도 수두룩해서 역시 한자에 대한 이해도가 어느 정도는 필요하다. 중국인 가운데 병음을 배우지 못했거나 배웠어도 익숙하지 않은 노인, 방언 화자 등도 필기 입력법을 사용한다.

macOS에서는 트랙패드로 하는 것을 지원하는데, 아이폰과 굉장히 유사하게 쓸 수 있다.


6.2. 재춘법(한국)[편집]


재춘법()은 한자를 지정된 431자로 파자하여 한자음한글로 입력하는 방식이다.

한국역사정보시스템에서 구성 한자의 목록과 입력법을 확인할 수 있다. 설치: https://cafe.naver.com/eastasianclassics/425


6.2.1. 자근 목록[편집]


획순, 독음순으로

丨(곤), 亅()궐, 丿(별), 乙(을), 乚(을), 一(일), 丶(주), 凵(감), 犭(견), 冂(경),

▼2 염통 【심장】

丂 ■
( 공교할 교 / 숨 내쉴 고 )
丩 ■
( 얽힐 구 / 얽힐 교 )
九 ■
( 아홉 구 / 모을 규 )
几 ■
( 안석 궤 / 책상 궤 )
乃 ■
( 이에 내 / 노 젓는 소리 애 )

▼3 밥통 【위】

刀 ■
( 칼 도 / 조두[구리 징] 조 )
刂 ■
( 선칼도방 도 )
力 ■
( 힘 력 / 역 )
了 ■
( 마칠 료 / 밝을 료, 요 )
冖 ■
( 덟을 멱 )

004▲ 刀刂力了冖 ■ 도도력료멱 4
▼4 작은창자 【소장】

匚 ■
( 상자 방 )
卜 ■
( 점 복/ 무 복, 짐바리 짐 )
匕 ■
( 비수 비 )
冫 ■
( 얼음 빙 )
厶 ■
( 사사 사 / 아무 모 )

005▲ 匚卜匕冫厶 ■ 방복비빙사 5
▼5 목 ●

十 ■
( 열 십 )
乂 ■
( 벨 예 / 징계할 애 )
又 ■
( 또 우 / 용서할 유 )
二 ■
( 두 이 )
人 ■
( 사람 인 )

006▲ 十乂又二人 ■ 십예우이인 6
▼6 쇄골 【쇄골】

亻 ■
( 사람인변 인 )
入 ■
( 들 입 )
左 ■
( 왼 좌 )
卩 ■
( 병부 절 )
㔾 ■
( 병부 절 )

007▲ 亻入左卩㔾 ■ 인입좌절절 7
▼7 갈비 【협】

丁 ■
( 고무래 정/장정 정 --CF* 고무래( 곡식을 그러모으고 펴거나, 밭의 흙을 고르거나 아궁이의 재를 긁어모으는 데에 쓰는 丁 자 모양의 기구) )
七 ■
( 일곱 칠 )
八 ■
( 여덟 팔 )
勹 ■
( 쌀 포 )
厂 ■
( 기슭 한 / 기슭 엄, 공장 창 )

008▲ 丁七八勹厂 ■ 정칠팔포한 8
▼8 큰 창자,【대장】

亠 ■
( 돼지해머리 두 )

○ 3 획
干 ■
( 방패 간 / 줄기 간, 마를 건, 들개 안, 일꾼 한 )
巾 ■
( 수건 건 )
彐 ■
( 돼지 머리 계 / [彐,⺕] 튼가로왈 )
彑 ■
( 돼지 머리 계 )

009▲ 亠干巾彐彑 ■ 두간건계계 9
▼9 맹장 【맹장】

工 ■
( 장인 공 )
口 ■
( 입 구 )
久 ■
( 오랠 구 )
弓 ■
( 활 궁 )
及 ■
( 미칠 급 )

010▲ 工口久弓及 ■ 공구구궁급 10
▼10 손목 WRIST

己 ■
( 몸 기 )
女 ■
( 여자 녀 / 너 여 )
大 ■
( 클 대 / 클 태 )
万 ■
( 일 만 만 )
亡 ■
( 망할 망 / 없을 무 )

011▲ 己女大万亡 ■ 기녀대만망 11
▼11 위팔 upper arm

宀 ■
( 집 면 [사방이 지붕으로 덮어 씌워져 있는 집] 갓머리( 부수( 部首)의 하나) )
凡 ■
( 무릇 범 )
士 ■
( 선비 사 )
巳 ■
( 뱀 사 )
三 ■
( 석 삼 )

012▲ 宀凡士巳三 ■ 면범사사삼 12ㅡ 집에서 평범한 선비가 머물면 뱀과 같은 지혜가 3개나 생겨난다.
▼12 팔꿉 [elbow]

彡 ■
( 터럭 삼 / 성씨 섬 )
上 ■
( 윗 상 )
夕 ■
( 저녁 석 / 사람 이름 역, 한 움큼 샤 )
小 ■
( 작을 소 )
尸 ■
( 주검 시 )

013▲ 彡上夕小尸 ■ 삼상석소시 13ㅡ 털 위의 세계에도 밤이 작게 있고 주검도 있다.
▼13 노뼈 [radius]

卂 ■
( 빨리 날 신 )
也 ■
( 잇기 야/ 어조사 야, 대야 이/이것 이 )
广 ■
( 집 엄 / 넓을 광, 암자 암 )
兀 ■
( 우뚝할 올 )
幺 ■
( 작을 요 )

014▲ 卂也广兀幺 ■ 신야엄올요 14ㅡ 빨리 날라가니 집들이 우뚝하지만 작게 보인다.
▼14 맥박~점(맥박뛰는곳) pulse



乡 ■
( 시골 향 )
于 ■
( 어조사 우 / 어조사 어 )
已 ■
( 이미 이 )
弋 ■
( 주살 익 )
廴 ■
( 길게 걸을 인 )

015▲ 乡于已弋廴 ■ 향우이익인 15
▼15 어깨 (shoulder)

子 ■
( 아들 자 )
丈 ■
( 어른 장 )
才 ■
( 재주 재 )
叉 ■
( 갈래 차 / 작살 차, 비녀 채 )
彳 ■
( 조금 걸을 척 )

016▲ 子丈才叉彳 ■ 자장재차척 16
▼16 겨드랑이 [암핏 armpit]


川 ■
( 내 천 )
巛 ■
( 내 천 )
千 ■
( 일천 천/ 밭두둑 천, 그네 천 )
寸 ■
( 마디 촌 )
夂 ■
( 뒤쳐져 올 치 / 마칠 종 )

017▲ 川巛千寸夂 ■ 천천천촌치 17
▼17 알통 [바이셉쓰biceps ]

乇 ■
( 부탁할 탁/ 풀잎 탁 )
土 ■
( 흙 토 / 뿌리 두, 쓰레기 차 )
下 ■
( 아래 하 )
丸 ■
( 둥글 환 )

○ 4 획
介 ■
( 낄 개 / 낱 개, 갑자기 알 )


018▲ 乇土下丸介 ■ 탁토하환개 18
▼18 아래팔뚝 (forearm)


犬 ■
( 개 견 )
开 ■
( 열 개 / 평평할 견 )
幵 ■
( 평평할 견 )
公 ■
( 공평할 공 )
戈 ■
( 창 과 )

019▲ 犬开幵公戈 ■ 견개견공과 19
▼19 자뼈 (알너 - ULNA)

斤 ■
( 근 근/ 도끼 근 )
今 ■
( 이제 금 )
旡 ■
( 목멜 기 / . 목메다( 기쁨이나 설움 따위의 감정이 북받쳐 솟아올라 그 기운이 목에 엉기어 막히다) )
气 ■
( 기운 기 / 빌 걸 ) )
內 ■
( 안 내, / 들일 납, 장부 예 )

020▲ 斤今旡气內 ■ 근금기기내 20
▼20 가운데(손가락) (MIDDLE)

丹 ■
(붉을 단 / 란, 난 )
斗 ■
(말 두 / 구기 주, 싸울 투 )
屯 ■
(진 칠 둔 / 어려울 준 )
六 ■
( 여섯 륙 / 죽이다 륙, 육 )
丏 ■
( 가릴 면 )


021▲ 丹斗屯六丏 ■ 단두둔륙면 21
▼21 큰 마름 [엄지쪽 큰마름(뼈) ~ 트러피지엄trapezium]

毛 ■
( 터럭 모 )
木 ■
(나무 목 )
朩 ■
( 삼줄기 껍질 빈 )
毋 ■
( 말 무 / 관직 이름 모 )
无 ■
( 없을 무 )


022▲ 毛木朩毋无 ■ 모목빈무무 22
▼22 엄지 첫마디 [ 썸 넉클 THUMB knuckle]

文 ■
( 글월 문 )
勿 ■
( 말 물, / 털 몰 )
反 ■
( 돌이킬 반 / 돌아올 반, 어려울 번, 삼갈 판 )
方 ■
( 모 방 / 본뜰 방, 괴물 망 )
攴 ■
( 칠 복 )


023▲ 文勿反方攴 ■ 문물반방복 23
▼23 엄지 (THUMB)

攵 ■
( 칠 복 / 등 글월문 )
丰 ■
( 예쁠 봉 / 풍채 풍 )
夫 ■
( 지아비 부 )
父 ■
( 아버지 부/ 아비 부, 자 보 )
不 ■
( 아닐 부 / 아닐 불 )


024▲ 攵丰夫父不 ■ 복봉부부부 24
▼24 집게(INDEX finger~검지 식지)

少 ■
( 적을 소/ 젊을 소 )
殳 ■
( 몽둥이 수 )
水 ■
( 물 수 )
氵 ■
(삼수변 수)
氺 ■
( 물 수 )


025▲ 少殳水氵氺 ■ 소수수수수 25
▼25 손바닥( 팜 palm)

氶 ■
( 이을 승 / 건질 증 )
手 ■
( 손 수 )
扌 ■
( 재방변 수)
心 ■
(마음 심 )
忄 ■
( 심방변 심 )


026▲ 氶手扌心忄 ■ 승수수심심 26
▼26 손금 the line of the palm

㣺 ■
(마음 심 )
氏 ■
(각시 씨 / 성씨 씨, 나라 이름 지, 고을 이름 정 )
牙 ■
(어금니 아/ 관아 아 )
歹 ■
( 살 바른 뼈 알 / 몹쓸 대 )
歺 ■
( 살 바른 뼈 알 )


027▲ 㣺氏牙歹歺 ■ 심씨아알알 27
▼27 새끼마디 [little finger-넉클knuckle]

予 ■
( 나 여/ 줄 여, 미리 예 )
五 ■
( 다섯 오 )
午 ■
( 낮 오 / 일곱째 지지( 地支) 오 )
王 ■
(임금 왕 / 구슬 옥 옥 )
夭 ■
( 일찍 죽을 요/ 어릴 요, 어린아이 오, 땅 이름 옥, 예쁠 외 )


028▲ 予五午王夭 ■ 여오오왕요 28
▼28 새끼 ( LITTELE finger)

牛 ■
( 소 우 )
牜 ■
( 소우 우)
尤 ■
( 더욱 우 )
友 ■
( 벗 우 )
云 ■
( 이를 운/ 구름 운 )


029▲ 牛牜尤友云 ■ 우우우우운 29
▼29 약지 (RING finger )

元 ■
( 으뜸 원 )
冘 ■
( 망설일 유 / 나아갈 임)
尹 ■
(성씨 윤/ 다스릴 윤 )
日 ■
( 날 일 )
曰 ■
( 가로 왈 )


030▲ 元冘尹日曰 ■ 원유윤일왈 30
▼30 발목 [ankle]

壬 ■
(북방 임 / 아홉째 천간( 天干) 임 )
爿 ■
(나뭇조각 장 / 나뭇조각 상, 양수사 판 )
井 ■
( 우물 정 )
弔 ■
( 조상할 조, / 이를 적 )
爪 ■
(손톱 조 )


031▲ 壬爿井弔爪 ■ 임장정조조 31
▼31 넓적다리 thigh

爫 ■
( 손톱조 조 )
㕚 ■
(손톱 조 ) cf 갈래 차叉
中 ■
(가운데 중 )
之 ■
( 갈 지 )
止 ■
( 그칠 지 )

032▲ 爫㕚中之止 ■ 조조중지지 32
▼32 무릎 knee

支 ■
( 지탱할 지 )
辶 ■
( 쉬엄쉬엄 갈 착 )
尺 ■
( 자 척 )
天 ■
( 하늘 천 )
艹 ■
( 초두머리 초 )


033▲ 支辶尺天艹 ■ 지착척천초 33
▼33 종아리 [캪]calf

艸 ■
( 풀 초 )
卄 ■
( 스물 입)
丑 ■
( 소 축 / 추할 추, 수갑 추 )
夬 ■
( 터놓을 쾌/ 쾌괘 쾌, 깍지 결 )
巴 ■
( 꼬리 파/ 바랄 파)

034▲ 艸卄丑夬巴 ■ 초입축쾌파 34
▼34 복숭아뼈 [멀리 얼어스 malleolus]

片 ■
( 조각 편, 절반 반 )
戶 ■
( 집 호/ 지게 호 )
互 ■
( 서로 호 )
火 ■
(불 화 )
灬 ■
( 연화발 화 )


035▲ 片戶互火灬 ■ 편호호화화 35
▼35 허벅다리 upper thigh

爻 ■
(사귈 효/ 가로그을 효 )
欠 ■
( 하품 흠 / 이지러질 결 )


○ 5획
可 ■
( 옳을 가 / 오랑캐 임금 이름 극 )
甘 ■
( 달 감 )
甲 ■
( 갑옷 갑/ 친압할 갑)

036▲ 爻欠可甘甲 ■ 효흠가감갑 36
▼36 가랑이 ( crotch / 사타구니, groin )

去 ■
( 갈 거 )
巨 ■
( 클 거/ 어찌 거 )
古 ■
( 옛 고 )
瓜 ■
( 오이 과 )
丱 ■
( 쌍상투 관 / 쇳돌 광 )


037▲ 去巨古瓜丱 ■ 거거고과관 37
▼37 종지뼈 ( the kneecap, / the patella무릎 종지뼈)

句 ■
( 글귀 구/ 올가미 구, 글귀 귀 )
丘 ■
( 언덕 구 )
冬 ■
( 겨울 동 / 북소리 동)
令 ■
( 하여금 령 / 영)
立 ■
(설 립 / 입, 자리 위 )


038▲ 句丘冬令立 ■ 구구동령립 38
▼38 정강이[Shin]

末 ■
( 끝 말 )
皿 ■
(그릇 명 )
矛 ■
( 창 모 )
母 ■
(어머니 모 / 없을 무 )
目 ■
(눈 목 )


039▲ 末皿矛母目 ■ 말명모모목 39
▼39 아킬래스건 Achilles tendon

卯 ■
( 토끼 묘 /넷째 지지 묘 )
卬 ■
( 나, 자신( 自身) 앙 / 위풍당당( 威風堂堂)한 모양 앙)
戊 ■
( 다섯째)천간( 天干) 무 / 무성하다( 茂盛--) 무 )
民 ■
( 백성 민 / 잠잘 면 )
半 ■
( 반 반 )


040▲ 卯卬戊民半 ■ 묘앙무민반 40
▼40 중앙 발가락 [신조어 ] center part (middle) toe

犮 ■
( 달릴 발 )
发 ■
(터럭 발 / 필 발 )
白 ■
( 흰 백/ 아뢸 백 )
丙 ■
( 남녘 병/ 셋째 천간 병 )
本 ■
( 근본 본, / 달릴 분 )


041▲ 犮发白丙本 ■ 발발백병본 41
▼41 발뒤꿈치 (발굽) the heel

北 ■
( 북녘 북 / 달아날 배 )
弗 ■
( 아닐 불/ 근심할 불 )
比 ■
( 견줄 비 )
匕 ■
( 비수 비 )
氷 ■
( 얼음 빙 / 엉길 응 )


042▲ 北弗比匕氷 ■ 북불비비빙 42
▼42 발 옆면 foot side

冫 ■
(얼음 빙 )
乍 ■
(잠깐 사 / 일어날 작 )
四 ■
(넉 사 )
罒 ■
( 넉사 / 그물망)
罒 ■
网,㓁罓?,?] ( 그물망머리)


043▲ 冫乍四罒罒 ■ 빙사사망망 43
▼43 꼬마(새끼)발가락 the little toe

司 ■
( 맡을 사 )
史 ■
(사기 사 )
疒 ■
( 병들어 기댈 상 / 병들어 기댈 녁 / 역 )
生 ■
( 날 생 )
石 ■
( 돌 석/ 섬 석 )


044▲ 司史疒生石 ■ 사사상생석 44
▼44 네째발가락 the fourth toe

世 ■
( 인간 세/ 대 세 )
示 ■
( 보일 시 / 땅귀신 기, 둘 치 )
礻 ■
( 보일시변 시 )
矢 ■
( 화살 시 )
市 ■
( 저자 시/ 상품을 팔고 사는 시장, 장사 시 )


045▲ 世示礻矢市 ■ 세시시시시 45
▼45 발등 instep / top (side) of the foot

申 ■
( 거듭 신/ 아홉째 지지 신 )
失 ■
( 잃을 실 / 놓을 일 )
央 ■
( 가운데 앙 / 선명한 모양 영 )
业 ■
( 업 업 / 일, 직업 업 )
永 ■
(길 영/ 읊을 영 )


046▲ 申失央业永 ■ 신실앙업영 46
▼46 발 곡면 [신조어] 곡면( Arch)

玉 ■
( 구슬 옥 )
瓦 ■
( 기와 와 )
凹 ■
( 오목할 요, / 오목할 압 )
用 ■
( 쓸 용 )
右 ■
( 오른쪽 우/ 도울 우 )


047▲ 玉瓦凹用右 ■ 옥와요용우 47
▼47 발 돌출부 [신조어] 엄지발가락 위 돌출부분 ( Ball )

由 ■
( 말미암을 유, / 여자의 웃는 모양 요 )
? ■
( 써 이 / 를 가지고, ~를 근거( 根據)로 이 )CF= 吕 ( 성씨 려 ,)
以 ■
( 써이 / ? )
田 ■
( 밭 전)
占 ■
(점령할 점/점칠 점 )


048▲ 由?以田占 ■ 유이이전점 48
▼48 왕(엄지)발가락 a big[great] toe

正 ■
( 바를 정/ 정월 정 )
左 ■
( 왼 좌 / 증명( 證明) 낮은 자리 )
主 ■
(임금 주/ 주인 주/심지 주 )
且 ■
( 또 차, / 공경스러울 저, 도마 조 )
冊 ■
( 책 책 )


049▲ 正左主且冊 ■ 정좌주차책 49
▼49 두째발가락 second toe

凸 ■
( 볼록할 철 )
出 ■
( 날 출/ 단락 척 )
平 ■
( 평평할 평 / 다스릴 편 )
包 ■
( 쌀 포/ 꾸러미 포 )
勹 ■
( 쌀 포 )


050▲ 凸出平包勹 ■ 철출평포포 50
▼50 턱 chin, 【악골】顎

皮 ■
(가죽 피 )
疋 ■
(짝 필/ 발 소, 바를 아 )
必 ■
( 반드시 필 )
玄 ■
(검을 현 / 오묘하다( 奧妙) 심오하다( 深奧), )
穴 ■
(구멍 혈 / 굴 휼 )


051▲ 皮疋必玄穴 ■ 피필필현혈 51
▼51 눈썹 아이부러워eyebrow 眉 【미】


兄 ■
( 형 형 / 두려워할 황 )
乎 ■
( 어조사 호 / ~느냐? ~랴! )
禾 ■
( 벼 화 / 말 이빨의 수효 수 )

○ 6획
各 ■
( 각각 각 )
艮 ■
( 괘 이름 간 / 그칠 간, 은 은 )

052▲ 兄乎禾各艮 ■ 형호화각간 52
▼52 눈 eye 眼 【안】


曲 ■
( 굽을 곡/ 잠박 곡, 누룩 국 )
共 ■
( 한가지 공 )
光 ■
( 빛 광 )
交 ■
( 사귈 교 )
臼 ■
( 절구 구 )


053▲ 曲共光交臼 ■ 곡공광교구 53
▼53 (귀)코 nose 鼻 【비】


年 ■
( 해 년( 연), / 아첨할 녕( 영) )
老 ■
( 늙을 로 / 노 )
耂 ■
( 늙을로엄 로 / 노)
耒 ■
(가래 뢰 /뇌 )
吏 ■
( 벼슬아치 리 / 이, 관리 리. 이 )


054▲ 年老耂耒吏 ■ 년로로뢰리 54
▼54 입 mouth 口脣 【구순】

卍 ■
( 만자 만 )
米 ■
( 쌀 미 )
百 ■
(일백 백/ 힘쓸 맥 )
缶 ■
(장군 부 / 두레박 관 )CF 장군( =배가 불룩하고 목 좁은 아가리가 있는 질그릇)
糸 ■
(실 사 / 가는 실 멱, )


055▲ 卍米百缶糸 ■ 만미백부사 55
▼55 이마 forehead, 額上 【액상】 이마의 위

色 ■
( 빛 색 )
西 ■
( 서녘 서 )
覀 ■
( 덮을 아 )
舌 ■
(혀 설 )
成 ■
(이룰 성 )


056▲ 色西覀舌成 ■ 색서아설성 56
▼56 눈거풀 瞼 【검】 eye lid

戌 ■
( 개 술 / 열한째 지지 술) CF 戍 수자리 수
囟 ■
( 정수리 신 ) CF 囱 창 창, 바쁠 총
臣 ■
(신하 신 )
羊 ■
( 양 양 / 상서( 祥瑞)롭다 배회( 徘徊)하다 양 )
亦 ■
(또 역 / 클 혁 )


057▲ 戌囟臣羊亦 ■ 술신신양역 57
▼57 眼球 【안구】 동공 eye ball

曳 ■
( 끌 예 / 끌리다, 이끌리다 )
羽 ■
(깃 우 / 늦출 호 )
有 ■
( 있을 유 )
肉 ■
( 고기 육 / 둘레 유 )
聿 ■
( 붓 율 / 어조사( 語助辭) 마침내, 드디어 율 )


058▲ 曳羽有肉聿 ■ 예우유육율 58
▼58 (이)비 鼻孔 【비공】 콧구멍

衣 ■
( 옷 의 )
衤 ■
( 옷의변 의 )
耳 ■
( 귀 이 / 잉손 잉 )
而 ■
( 말 이을 이 / 능히 능 )
印 ■
(도장 인 / 벼슬 인 )


059▲ 衣衤耳而印 ■ 의의이이인 59
▼59 순[입술] 치아[아] 설 口脣 【구순】 齒牙 【치아】

朿 ■
( 가시 자 / 가시나무 극 )
自 ■
( 스스로 자 )
在 ■
( 있을 재 )
舟 ■
( 배 주 )
朱 ■
( 붉을 주 )

060▲ 朿自在舟朱 ■ 자자재주주 60
▼60 완수[腕首] - 손목

州 ■
( 고을 주 )
竹 ■
( 대 죽 )
至 ■
( 이를 지, / 덜렁대는 모양 질 )
舛 ■
( 어그러질 천 )
虫 ■
( 벌레 충, / 벌레 훼, 찔 동)


061▲ 州竹至舛虫 ■ 주죽지천충 61
▼61 액와(腋窩) ~ 겨드랑이

亥 ■
( 돼지 해,/ 장 이름 개 )丄
行 ■
(다닐 행 / 항렬 항 )
向 ■
( 향할 향 / 성씨 상 )
血 ■
( 피 혈)
回 ■
( 돌아올 회 )


062▲ 亥行向血回 ■ 해행향혈회 62
▼62 이두박근(二頭膊筋) ~알통






○ 7획

角 ■
(뿔 각 / 사람 이름 록( 녹), 꿩 우는 소리 곡 )
見 ■
( 볼 견 / 뵈올 현, 관의 천 )
更 ■
( 고칠 경 / 다시 갱 )
系 ■
( 맬 계 )
求 ■
(구할 구 )


063▲ 角見更系求 ■ 각견경계구 63
▼63 전박 (前膊) ~ 아래팔뚝

豆 ■
( 콩 두 )
卵 ■
(알 란 / 난 )
良 ■
( 어질 량 / 양)
呂 ■
( 성씨 려 / 법칙 려, 여)
免 ■
(면할 면 / 해산할 문 )


064▲ 豆卵良呂免 ■ 두란량려면 64
▼64 척골(尺骨)[자뼈]

釆 ■
( 분별할 변 )
夆 ■
( 끌 봉 / 두터울 방)
束 ■
(묶을 속/ 약속할 속 )
豕 ■
( 돼지 시 )
辛 ■
( 매울 신 )


065▲ 釆夆束豕辛 ■ 변봉속시신 65
▼65 견상(肩 =

身 ■
(몸 신 / 나라 이름 건 )
我 ■
(나 아 )
言 ■
(말씀 언, / 화기애애할 은 )
余 ■
( 나 여/ 남을 여 )
吳 ■
( 성씨 오/ 큰소리칠 화, 땅 이름 우 )


066▲ 身我言余吳 ■ 신아언여오 66
▼66 상완(上腕)

酉 ■
( 닭 유/ 열째 지지 유 )
邑 ■
( 고을 읍/ 아첨할 압 )
⻏ ■
( 우부방 읍 )
赤 ■
( 붉을 적 )
足 ■
( 발 족 / 지나칠 주 )


067▲ 酉邑⻏赤足 ■ 유읍방적족 67
▼67 주관절(肘關節) 팔꿈치

走 ■
( 달릴 주 )
辰 ■
( 별 진/ 때 신 )
車 ■
(수레 차 / 수레 거 )
车 ■
( 수레 차 / 수레 거)
豸 ■
( 벌레 치 / 해태 채, 해태 태 ) CF 笏 홀 홀


068▲ 走辰車车豸 ■ 주진차차치 68
▼68 요골 ~ 노뼈

兎 ■
( 토끼 토, / 별 참 )
貝 ■
( 조개 패 / 성씨 배 )
甫 ■
( 채마밭 포 / 클 보 ) ○ 8획

岡 ■
( 산등성이 강)
京 ■
( 서울 경 )

069▲ 兎貝甫岡京 ■ 토패포강경 69
▼69 요골동맥-손-맥박(脈搏)재는곳

金 ■
( 쇠 금, 성씨 김)
其 ■
( 그 기 / 만약( 萬若) 아마도, 혹은 기)
東 ■
(동녘 동)
來 ■
( 올 래 / 내 )
門 ■
( 문 문 / 집안 문 )


070▲ 金其東來門 ■ 금기동래문 70
▼70 장지

幷 ■
(아우를 병 )
并 ■
( 아우를 병)
並 ■
( 나란히 병 / 곁 방, 땅 이름 반 )
奉 ■
( 받들 봉 )
阜 ■
( 언덕 부 / 백성 부 )


071▲ 幷并並奉阜 ■ 병병병봉부 71
▼71 라선[腡선] = 손금선 /또는 갈고리뼈 (=헤이메이트 HAMATE~갈고리뼈]

阝 ■
( 좌부변 부 )
非 ■
( 아닐 비 / 비방할 비 )
卑 ■
( 낮을 비 )
舍 ■
( 집 사/ 버릴 사, 벌여놓을 석 )
亞 ■
( 버금 아 / 누를 압, 흰흙 악 )


072▲ 阝非卑舍亞 ■ 부비비사아 72
▼72 소지첫마디 = 손 허리뼈 / (=-매타카펄 metacarpal )

亚 ■
( 버금 아 / 누를 압 )
夜 ■
( 밤 야 / 고을 이름 액 )
雨 ■
( 비 우 )
長 ■
( 길 장 /어른 장 )
长 ■
( 길 장 /어른 장)


073▲ 亚夜雨長长 ■ 아야우장장 73
▼73 소지 (~새끼)

靑 ■
( 푸를 청 )
隹 ■
(새 추 / 높을 최, 오직 유 )
虎 ■
( 범 호 )
虍 ■
( 호피 무늬 호 )

○ 9획


叚 ■
( 빌릴 가 / 성씨 하 )


074▲ 靑隹虎虍叚 ■ 청추호호가 74
▼74 무명지 (~약지 )


柬 ■
( 가릴 간 / 간략할 간)
葛 ■
(칡 갈 )
咼 ■
( 가를 과 / 입 비뚤어질 괘, 입 비뚤어질 와, 화할 화, )
段 ■
(층계 단/ 포 단/단련할 단/알 깨지 않을 단 )
面 ■
(낯 면/ 밀가루 면 )


075▲ 柬葛咼段面 ■ 간갈과단면 75
▼75 알머리뼈

眉 ■
( 눈썹 미 )
拜 ■
( 절 배 / 뺄 배 )
飛 ■
( 날 비 )
首 ■
( 머리 수 )
食 ■
(밥 식 / 먹을 식, 먹이 사, 사람 이름 이 )


076▲ 眉拜飛首食 ■ 미배비수식 76
▼76 *무지 마름

甚 ■
(심할 심 )
兪 ■
(대답할 유 / 나라 이름 수 )
者 ■
( 놈 자 )
重 ■
(무거울 중 / 늦곡식 동/아이 동 )
品 ■
(물건 품 / 등급( 等級), 차별( 差別) )


077▲ 甚兪者重品 ■ 심유자중품 77
▼77 *무지 첫마디

風 ■
( 바람 풍 )
虐 ■
( 모질 학 )
香 ■
( 향기 향 )
革 ■
(가죽 혁 / 중해질 극 )
頁 ■
(머리 혈 / 책 면 엽 )


078▲ 風虐香革頁 ■ 풍학향혁혈 78
▼78 *무지 (~ 엄지)



○ 10획



兼 ■
( 겸할 겸 )
高 ■
( 높을 고 )
骨 ■
( 뼈 골 )
鬼 ■
( 귀신 귀 )
氣 ■
(기운 기 / 보낼 희 )


079▲ 兼高骨鬼氣 ■ 겸고골귀기 79
▼79 검지 식지 (~집게)

气 ■
( 기운 기 / 빌 걸 )
汽 ■
( 물 끓는 김 기, / 거의 흘, 소금 못 헐 )
馬 ■
( 말 마 )
弱 ■
(약할 약 )
烏 ■
( 까마귀 오 / 나라 이름 아 )


080▲ 气汽馬弱烏 ■ 기기마약오 80
▼80 거골[=발목뼈중 가장 윗뼈]

殷 ■
( 성할 은/ 은나라 은, 검붉은빛 안 )
鬯 ■
( 울창주 창 ) CF 울창주( 鬱鬯酒: 울금향( 鬱金香)을 넣어 빚은 향기( 香氣) 나는 술)
倉 ■
( 곳집 창 )



○ 11획


堇 ■
( 진흙 근/조금 근 )
鹵 ■
( 소금 로 / 노)

081▲ 殷鬯倉堇鹵 ■ 은창창근로 81
▼81 서혜부( 사타구니~ thigh 넓적다리주변)


麥 ■
( 보리 맥 )
常 ■
(떳떳할 상/ 항상 상 )
魚 ■
( 물고기 어 )
鳥 ■
( 새 조 / 땅 이름 작, 섬 도)
悤 ■
( 바쁠 총/ 총명할 총 )


082▲ 麥常魚鳥悤 ■ 맥상어조총 82
▼82 오금


○ 12획

無 ■
( 없을 무 )
發 ■
( 필 발 / 피다. 쏘다. 일어나다 발 )
象 ■
( 코끼리 상 )
爲 ■
( 할 위 / 다스리다 )
曾 ■
( 일찍 증 / 거듭 증 )


083▲ 無發象爲曾 ■ 무발상위증 83
▼83 장딴지근


華 ■
( 빛날 화 / 들쭉날쭉한 모양 과 )
黑 ■
( 검을 흑 )

○ 13획

鼠 ■
( 쥐 서 )
業 ■
( 업 업 / 일 업 )
业 ■
( 업 업)

084▲ 華黑鼠業业 ■ 화흑서업업 84
▼84 가자미근


會 ■
( 모일 회 / 깃발 괴, 거간꾼 쾌, 상투 괄 )

○ 14획

黽 ■
( 맹꽁이 맹 / 힘쓸 민, 고을 이름 면 맹 )


與 ■
( 더불 여/ 줄 여 )
齊 ■
( 가지런할 제 / 재계할 재, 옷자락 자, 자를 전 )
熏 ■
( 불길 훈 )

085▲ 會黽與齊熏 ■ 회맹여제훈 85
▼85 고관절(股關節) 각서(coxa 영어발음)= a hip joint

○ 15획
齒 ■
( 이 치 / 나이 치 )

○ 16획

龜 ■
( 거북 귀 / 땅 이름구 , 터질 균)
龍 ■
(용 룡 /용, 언덕 롱, 농, 얼룩 망, 은총 총 )

○ 17획
聲 ■
(소리 성 )
殸 ■
( 소리 성 / 경쇠 경 )


086▲ 齒龜龍聲殸 ■ 치귀룡성성 86
▼86 대퇴골 [ =넙다리뼈 ]

○ 18획


○19 획
麗 ■
(고울 려/ 여, 나라 이름 리, 이 )

출처: 티스토리 재춘법\_파자\_431자\_고문입력IME - 행복과최상


6.3. 유니코드 CJK IME[편집]


유니코드 한중일(월) 통합 한자 영역 및 한자 확장 영역에 배당된 한자를 입력함을 중점에 두고 남북이 공동으로 (설게는 남에서 개발은 북에서) 개발한 것이다.

[1] 휴대폰, 그중에서도 피처폰의 입력 방식은 모음이나 거센소리 입력부분에서 대부분의 차이가 발생한다. 스마트폰은 다른 방식도 존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8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7.1;"
, 7.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8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7.1;"
, 7.1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09:18:02에 나무위키 한자/입력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