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우리말 새김

덤프버전 :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자
[ 펼치기 · 닫기 ]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표준자형) · 간체자 · 신자체(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 학년별한자배당표 · 통용규범한자표) ·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인명용 한자표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 한어병음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일본 한자음 · 상고음 · 중고음 · 양안 간의 독음 · 광동어 정음 운동 · 문백이독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나라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한한대사전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가나(히라가나 · 가타카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방언자 · 쯔놈 · 고장자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입력 · 검색
중국어/입력기 · 창힐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한자

1. 개요
1.1. ㄱ
1.2. ㄴ
1.3. ㄷ
1.4. ㄹ
1.5. ㅁ
1.6. ㅂ
1.7. ㅅ
1.8. ㅇ
1.9. ㅈ
1.10. ㅊ
1.11. ㅋ
1.12. ㅌ
1.13. ㅍ
1.14. ㅎ


1. 개요[편집]


  • 옛한글(첫가끝) 지원 나무위키 기본 글꼴[1]: 맑은 고딕, 본고딕.[2]

1.1. ㄱ[편집]


  • (가지 가): 柯 가지 가 - 훈몽자회(1527)
  • (거리 가): 街 거리 개 - 훈몽자회(1527)
  • (노래 가): 歌 놀애 가 - 신증유합(1576)
  • (술잔 가): 斝 잔 가 - 훈몽자회(1527)
  • (시렁 가): 【傍架齊書帙】 실에ᄅᆞᆯ 바라 書帙을 ᄀᆞᄌᆞ기 ᄒᆞ고 - 두시언해 초간본(7)(1481), 架 실에 가 - 훈몽자회(1527), 架 실에 가 - 신증유합(1576), 架 실에 가 - 유합 송광사판(1730)
  • (집 가): 家 집 가 - 훈몽자회(1527)
  • (깨달을 각): 覺 ᄭᆡᄃᆞᄅᆞᆯ 각 - 신증유합(1576)
  • (물리칠 각): 却 므르 ᄃᆞᄅᆞᆯ 각 - 신증유합(1576)
  • (서까래 각): 桷 셔 각 - 훈몽자회(1527)
  • (집 각): 閣 집 각 - 훈몽자회(1527)
  • 竿(낚시대 간): 竿 댓줄기 간 - 훈몽자회(1527)
  • (물 간): 齦 너흘 근 - 훈몽자회(1527)
  • (볏짚 간): 稈 줄기 간 - 훈몽자회(1527)
  • (사이 간): 間 슷 간 - 훈몽자회(1527), 間 ᄉᆞ이 간 - 신증유합(1576)
  • (줄기 간): 幹 읏듬 간 - 훈몽자회(1527)
  • (해질 간): 旰 느즐 한 - 훈몽자회(1527)
  • (다할 갈): 竭 보쇨 갈 - 신증유합(1576)
  • (감히/구태여 감): 敢 구ᄐᆡᆯ 감 - 광주천자문(1575)
  • (거울 감): 鑑ᄋᆞᆫ 이드며 골 업스닐 ᄀᆞᆯᄒᆡᄂᆞᆫ 거시니 - 금강경삼가해(1), 鑑 거우로 감 - 훈몽자회(1527)
  • (느낄 감): 感 늗길 감 - 백련초해(1500?)
  • (섭섭할 감): 憾 애ᄃᆞᆯ올 감 - 신증유합(1576)
  • (갑 갑): 匣 집 갑 - 훈몽자회(1527)
  • (강 강): 江 ᄀᆞᄅᆞᆷ 가ᇰ - 훈몽자회(1527), 江 ᄀᆞᄅᆞᆷ 강 - 백련초해(1500?)
  • (강할 강): 強 힘셀 가ᇰ - 훈몽자회(1527)
  • 𤭛(독 강): 𤭛 독 가ᇰ - 훈몽자회(1527)
  • (미음 강): 糨 ᄡᆞᆯ플 가ᇰ - 훈몽자회(1527)
  • (벼리 강): 綱ᄋᆞᆫ 그믌 벼리라 - 반야심경언해, 綱 벼리 가ᇰ - 훈몽자회(1527), 綱 벼리 강 - 신증유합(1576)
  • 綱紀: 綱紀ᄂᆞᆫ 그믌 벼리니 크닐 닐오ᄃᆡ 綱이오 져그닐 닐오ᄃᆡ 紀라 - 능엄경언해(5)(1461)
  • (산등성이 강): 岡 묏브리 강 - 광주천자문(1575)
  • (오랑캐 강): 羗 되 가ᇰ - 훈몽자회(1527)
  • (징검다리 강): 矼 ᄃᆞ리 가ᇰ - 훈몽자회(1527)
  • (낄 개): 介 다ᇰ아리 개 - 훈몽자회(1527)
  • (덮을 개): 蓋 갯 개 - 훈몽자회(1527)
  • (열 개): 開 열 ᄀᆡ - 훈몽자회(1527)
  • (짚고갱이 개): 稭 줄기 ᄀᆡ - 훈몽자회(1527)
  • (평미레 개): 槩 펴ᇰ목 개 - 훈몽자회(1527)
  • (손 객): 客 손 ᄀᆡᆨ - 훈몽자회(1527)
  • (구덩이 갱): 【以水滿坑中熟絞】 믈로 구데 ᄀᆞᄃᆞ기 븟고 니기 후ᇰ두ᅌᅧ - 구급방언해(상)(1466), 【又方掘地作坑】 ᄯᅩ ᄯᅡ 파 굳 ᄆᆡᇰᄀᆞᆯ오 - 구급방언해(상)(1466), 坑 굳 ᄀᆡᇰ 坎 굳 감 - 훈몽자회(1527)
  • (개천 거): 渠 쉬구ᇰ 거 - 훈몽자회(1527), 渠 돌 거 - 신증유합(1576)
  • (둥구미 거): 筥 광조리 게 - 훈몽자회(1527)
  • (막을 거): 拒 벋디ᄅᆞᆯ 거 - 신증유합(1576)
  • (공경할 건): 虔 고마 건 - 신증유합(1576)
  • (굳셀 건): 健 세츨 건 - 신증유합(1576)
  • (겁탈할 겁): 刦 후릴 겁 - 훈몽자회(1527)
  • (박수 격): 覡 화라ᇰ이 혁 - 훈몽자회(1527)
  • (칠 격): 震은 ᄠᅥᆯ씨오 擊은 다이즐씨라 - 능엄경언해(5)(1461)
  • (고치 견): 고티為繭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꾸짖을 견): 譴 허믈ᄒᆞᆯ 견 - 훈몽자회(1527)
  • (거울 경): 鏡 거우로 겨ᇰ - 훈몽자회(1527)
  • (경영할 경): 營 바오달 여ᇰ - 훈몽자회(1527), 營 ᄆᆡᆼᄀᆞᆯ 영 - 신증유합(1576)
  • (공경 경): 敬 고마 경 일심 경 - 신증유합(1576)
  • (문빗장 경): 扃 쟈ᇰ군목 겨ᇰ - 훈몽자회(1527)
  • (밭갈 경): 耕 갈 겨ᇰ - 훈몽자회(1527)
  • (벼슬 경): 卿 벼슬 겨ᇰ - 훈몽자회(1527)
  • (볕 경): 景 볃 겨ᇰ - 훈몽자회(1527)
  • (서울 경): 京 셔울 겨ᇰ - 훈몽자회(1527), 京 셔울 경 - 백련초해(1500?)
  • (이랑/잠깐 경): 頃 져근덛 경 - 신증유합(1576)
  • (줄기 경): 莖 줄기 ᄀᆡᇰ - 훈몽자회(1527)
  • (줄기/막힐 경): 莖 줄기 겨ᇰ - 훈몽자회(1527)
  • (섬돌 계): 階 섬 계 - 훈몽자회(1527)
  • (시내 계): 溪 시내 계 - 훈몽자회(1527)
  • (열 계): 啓 여틀 계 - 광주천자문(1575)
  • (이을 계): 繼는 니ᅀᅳᆯ씨라 - 월인석보(1)(1459)
  • (지경 계): 界 ᄀᆞᆺ 계 - 훈몽자회(1527)
  • (곳집 고): 庫 곳 고 - 훈몽자회(1527)
  • (마를 고): 枯 이울 고 - 훈몽자회(1527)
  • (마를 고): 槁 이울 고 - 훈몽자회(1527)
  • (바지 고): 袴 고의 고 - 훈몽자회(1527)
  • (소경 고): 瞽 쇼겨ᇰ 고 - 훈몽자회(1527)
  • (옛 고): 古 녜 고 - 훈몽자회(1527)
  • (외로울 고): 孤 외로올 고 - 신증유합(1576)
  • (품 팔 고): 雇 삭바ᄃᆞᆯ 고 - 훈몽자회(1527)
  • (곤할 곤): 困 잇ᄲᅳᆯ 곤 - 광주천자문(1575)
  • (곡식 곡): 낟為穀 - 훈민정음 해례본(1446), 穀 낟 곡 - 훈몽자회(1527)
  • (골 곡): 谿ᄂᆞᆫ 믈 잇ᄂᆞᆫ 묏고리오 谷ᄋᆞᆫ 고리라 - 월인석보(13), 【如谷響等이오】 고랫 뫼ᅀᅡ리 ᄀᆞᆮᄒᆞ샴 等이오 - 원각경언해, 谷 골 곡 - 신증유합(1576), 谷 골 곡 - 광주천자문(1575)
  • (휘 곡): 斛 고 곡 - 훈몽자회(1527)
  • (문지방 곤): 閫 문젼 곤 - 훈몽자회(1527)
  • (벌레 곤): 蜫 벌에 곤 - 훈몽자회(1527)
  • (잠방이 곤): 裩 고의 군 - 훈몽자회(1527)
  • (공손할 공): 恭 존ᄒᆞᆯ 공 - 신증유합(1576)
  • (공평할 공): 公 구의 고ᇰ - 훈몽자회(1527)
  • (구멍 공): 孔 구무 공 - 신증유합(1576)
  • (두려울 공): 恐 저흘 공 - 광주천자문(1575)
  • (이바지할 공): 供 겻기 공 - 신증유합(1576)
  • (장인 공): 工 고ᇰ쟈ᇰ바치 고ᇰ - 훈몽자회(1527), 工 바치 공 - 신증유합(1576)
  • (공부할 과): 課 혤 과 - 훈몽자회(1527)
  • (과자/실과 과): 菓 여름 과 - 훈몽자회(1527)
  • (노구솥 과): 鍋 가마 과 - 훈몽자회(1527)
  • (자랑할 과): 誇 쟈랑 과 - 신증유합(1576)
  • (창 과): 戈ᄂᆞᆫ 슬히라 - 금강경삼가해(1482)
  • (둘레/외성 곽): 郭 밧 잣 곽 - 훈몽자회(1527)
  • (관계할 관): 關 모개 관 - 훈몽자회(1527)
  • (너그러울 관): 寬 어윌 관 - 신증유합(1576)
  • (두레박 관): 罐 단디 관 - 훈몽자회(1527)
  • (벼슬 관): 官 구의 관 - 훈몽자회(1527), 官 귀 관 - 광주천자문(1575)
  • (볼 관): 觀 집 관 - 훈몽자회(1527)
  • (집 관): 舘 집 관 - 훈몽자회(1527)
  • (광주리 광): 筐 과ᇰ조리 과ᇰ - 훈몽자회(1527)
  • (넓을 광): 廣 너블 광 - 광주천자문(1575)
  • (미칠 광): 狂ᄋᆞᆫ 미칠씨오 - 능엄경언해(1)(1464)
  • (바를 광): 匡 고틸 광 - 신증유합(1576)
  • (빌 광)
  • 曠野: 曠野 너른 들 - 몽어유해보(1790)
  • (빛 광): 光 빗 과ᇰ - 훈몽자회(1527)
  • (허수아비 괴): 傀 광대 괴 - 훈몽자회(1527)
  • (후릴 괴): 拐 건디쥘 괘 - 훈몽자회(1527)
  • (끈 굉): 紘 벼리 괴ᇰ - 훈몽자회(1527)
  • (뿔잔 굉): 觥 가탁 괴ᇰ - 훈몽자회(1527)
  • (가르칠 교): 敎 ᄀᆞᄅᆞ칠 교 - 훈몽자회(1527)
  • (교만할 교): 驕 갸ᄅᆞᆨ 교 - 신증유합(1576)
  • (다리 교): 橋 ᄃᆞ리 교 - 훈몽자회(1527)
  • (들 교): 郊 들 교 - 신증유합(1576)
  • (아교 교): 膠 갓ᄲᅳᆯ 교 - 훈몽자회(1527)
  • (아리따울 교): 嬌 얼울 교 - 훈몽자회(1527)
  • (움 교): 窖 굳 교 - 훈몽자회(1527)
  • (갖출 구): 具 ᄀᆞᄌᆞᆫ 구 - 광주천자문(1575), 具 ᄀᆞᄌᆞᆯ 구 - 신증유합(1576)
  • (네거리 구): 衢 거리 구 - 훈몽자회(1527)
  • (도랑 구): 溝 쉬구ᇰ 구 - 훈몽자회(1527)
  • (도적 구): 寇 도ᄌᆞᆨ 구 - 훈몽자회(1527)
  • (사발 구): 甌 보ᅀᆞ 구 - 훈몽자회(1527)
  • (언덕 구): 丘 두던 구 - 신증유합(1576)
  • (연구할 구): 究ᄂᆞᆫ ᄀᆞ장ᄒᆞᆯ씨라 - 월인석보(1권:서문)(1459), 究 다ᄎᆞᆯ 구 - 신증유합(1576)
  • (오랠 구): 久는 오랄씨오 - 월인석보(1)(1459)
  • (절구 구): 臼 호왁 구 - 훈몽자회(1527)
  • (나라 국): 國 나라 국 - 훈몽자회(1527)
  • (판 국): 局 마ᅀᆞᆯ 국 - 훈몽자회(1527)
  • (고을 군): 郡 고을 군 - 훈몽자회(1527)
  • (군사 군): 軍 군ᄉᆞᆺ 군 - 훈몽자회(1527)
  • (무리 군): 群은 무리라 - 월인석보(1459), 群 물 군 - 광주천자문(1575)
  • (임금 군): 君 님굼 ᄭᅮᆫ - 훈몽자회(1527)
  • (굴 굴): 窟ᄋᆞᆫ 굼기라 - 월인석보(1권:서문)(1459)
  • (집 궁): 宮 집 구ᇰ - 훈몽자회(1527)
  • (하늘 궁): 穹 구븓ᄒᆞᆯ 구ᇰ - 훈몽자회(1527)
  • (권세/저울추 권): 權 ᄃᆞ림 권 - 훈몽자회(1527)
  • (우리 권): 圈 어리 권 - 훈몽자회(1527)
  • (대궐 궐): 闕 집 궐 - 훈몽자회(1527)
  • (말채나무 궤): 樻 궷 궤 - 훈몽자회(1527)
  • (바퀴 자국 궤): 軌 술윗 ᄀᆞᄆᆞᆺ 궤 - 신증유합(1576)
  • (책상 궤): 机 도마 궤 - 훈몽자회(1527)
  • (귀신 귀): 鬼 귓것 귀 - 훈몽자회(1527)
  • (구멍 규): 竅 구무 규 - 신증유합(1576)
  • (법 규): 規 여을 규 - 광주천자문(1575)
  • (안방 규): 閨 도자ᇰ 규 - 훈몽자회(1527)
  • (곳집 균): 囷 노젹 균 - 훈몽자회(1527)
  • (극진할/다할 극): 極 막다ᄃᆞᄅᆞᆯ 극 - 신증유합(1576)
  • (이길 극): 克 이긜 극 - 신증유합(1576)
  • (가까울 근): 近 갓가올 근 - 신증유합(1576)
  • (부지런할 근): 勤 브즈런 근 - 신증유합(1576)
  • (뿌리 근): 根은 불휘라 - 월인석보(1권:서문)(1459), 根 불휘 근 - 훈몽자회(1527)
  • (삼갈 근): 謹 조심 근 - 신증유합(1576)
  • (힘줄 근): 筋 힘 근 - 훈몽자회(1527)
  • (새 금): 禽 새 금 - 훈몽자회(1527)
  • (이제 금): 今 엳 금 - 훈몽자회(1527)
  • (길을 급): 汲 기를 급 - 백련초해(1500?)
  • 汲器: 드레為汲器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등급 급): 級 서흐레 급 - 훈몽자회(1527)
  • (줄 급): 給 ᄌᆞ랄 급 - 신증유합(1576)
  • (가마솥 기): 錡 가마 긔 - 훈몽자회(1527)
  • (경기 기): 畿 겨ᇰ긧 긔 - 훈몽자회(1527)
  • (굴레/나그네 기): 覊 나ᄀᆞ내 긔 - 훈몽자회(1527)
  • (기생 기): 妓 녀계 기 - 훈몽자회(1527)
  • (꺼릴 기): 忌ᄂᆞᆫ 저플씨라 - 월인석보(1권:서문)(1459)
  • (비웃을 기): 譏 우ᅀᅳᆯ 긔 - 광주천자문(1575)
  • (시렁 기): 庋 자ᇰ 기 - 훈몽자회(1527)
  • (징검다리 기): 徛 ᄃᆞ리 긔 - 훈몽자회(1527)
  • (키 기): 箕 키 긔 - 훈몽자회(1527)
  • (먹을 끽): 喫 머글 긱 - 훈몽자회(1527)


1.2. ㄴ[편집]


  • (따뜻할 난): 暖 더울 난 - 훈몽자회(1527)
  • (남녘 남): 南 앏 남 - 훈몽자회(1527), 南 앏 남 - 광주천자문(1575)
  • (주머니 낭): 囊 ᄂᆞᄆᆞᆺ 낭 - 신증유합(1576)
  • (지난번 낭): 曩 아ᄅᆡ 나ᇰ - 훈몽자회(1527)
  • (가마솥 내): 鼐 솓 내 - 훈몽자회(1527)
  • (어찌 내): 奈 멋 내 - 광주천자문(1575)
  • (계집 녀): 女 겨집 녀 - 광주천자문(1575)
  • (맷돌 년): 碾 밀돌 년 - 훈몽자회(1527)
  • (생각 념): 念 ᄉᆡᆼ각 념 - 신증유합(1576)
  • (둔한 말 노): 駑 몯ᄡᅳᆯ ᄆᆞᆯ 로 - 신증유합(1576)
  • (농사 농): 農 녀늠지을 롱 - 광주천자문(1575), 農 녀름지을 롱 - 신증유합(1576)
  • (짙을 농): 濃 믈디틀 롱 - 신증유합(1576)
  • (골 뇌)
  • 腦後: 十九 腦後有核 머릿곡뒤헤 도ᄃᆞᆫ 것 - 구급간이방(1)(1489)
  • (번뇌할 뇌): 惱ᄂᆞᆫ ᄆᆞᅀᆞᆷ 셜ᄫᅳᆯ씨오 - 월인석보(2:23)(1459)
  • (능할 능): 能 어딜 느ᇰ - 훈몽자회(1527)
  • (여승 니): 尼 스ᇰ 니 - 훈몽자회(1527)


1.3. ㄷ[편집]


  • (많을 다): 多 할 다 - 신증유합(1576)
  • (단 단): 壇 졔터 단 - 훈몽자회(1527)
  • (둥글 단): 團ᄋᆞᆫ 무저기라 - 몽산법어언해(1467)
  • (소쿠리 단): 簞 바고니 단 - 훈몽자회(1527)
  • (매질할 달): 韃 다대 달 - 훈몽자회(1527)
  • (문 달): 闥 문 달 - 훈몽자회(1527)
  • (맑을 담): 淡은 맛 업슬씨라 - 능엄경언해(3)(1464), 淡 슴거울 담 - 훈몽자회(1527)
  • (못 담): 潭 소 담 - 훈몽자회(1527)
  • (쇠사슬 당, 솥 쟁): 鐺 쟈ᇰᄌᆞ ᄐᆡᇰ - 훈몽자회(1527)
  • (집 당): 堂 집 다ᇰ - 훈몽자회(1527)
  • (항아리 담): 壜 하ᇰ아리 담 - 훈몽자회(1527)
  • (기 당): 幢 버ᇇ 다ᇰ - 훈몽자회(1527)
  • (오이씨 당): 㼕 ᄡᅵ 다ᇰ - 훈몽자회(1527)
  • (대 대): 臺 ᄃᆡᆺ ᄃᆡ - 훈몽자회(1527)
  • (대신할 대): 代 ᄀᆞᄅᆞᄎᆞᆯ ᄃᆡ - 훈몽자회(1527), 代 ᄀᆞᄅᆞᆷ ᄃᆡ - 신증유합(1576)
  • (방아 대): 碓 바ᇰ하 ᄃᆡ - 훈몽자회(1527)
  • (자루 대): 袋 쟈ᄅᆞ ᄃᆡ - 훈몽자회(1527)
  • (클/덕 덕): 德 어딜 덕 - 신증유합(1576)
  • (그림 도): 圖 그림 도 - 광주천자문(1575)
  • (길 도): 道 도ᄉᆞᆺ 도 - 훈몽자회(1527)
  • (내기 도): 賭 더늘 도 - 신증유합(1576)
  • (넘어질 도): 倒 가ᄭᅮᆯ 도 - 백련초해(1500?)
  • (도둑 도): 盜 도ᄌᆞᆨ 도 - 훈몽자회(1527)
  • (도읍 도): 都 도읍 도 - 훈몽자회(1527)
  • (쌀 일 도): 淘 일 도 - 훈몽자회(1527)
  • (죽일 도): 屠ᄂᆞᆫ 주길씨오 - 능엄경언해(1)(1464)
  • (질그릇 도): 陶 딜구을 도 - 훈몽자회(1527)
  • 禿(대머리 독): 禿 믤 독 - 신증유합(1576)
  • (더러울 독): 黷 더러울 독 - 신증유합(1576)
  • (도랑 독): 瀆 쉬구ᇰ 독 - 훈몽자회(1527)
  • (도타울 독): 篤 도타올 독 - 광주천자문(1575)
  • (함 독): 櫝 골 독 - 훈몽자회(1527)
  • (홀로 독): 獨 호을 독 - 훈몽자회(1527), 獨 홀 독 - 신증유합(1576)
  • (곳집 돈): 囤 노젹 돈 - 훈몽자회(1527)
  • (돈대 돈): 墩 ᄒᆞᆰ무디 돈 - 훈몽자회(1527)
  • (엉길 돈): 沌 얼읠 돈 - 훈몽자회(1527)
  • (해돋을 돈): 暾 ᄒᆡᆺ귀 돈 - 훈몽자회(1527)
  • (굴똑 돌): 堗 굴 돌 - 훈몽자회(1527)
  • (골 동): 洞 골 동 - 백련초해(1500?)
  • (동녘 동): 東 도ᇰ녁 도ᇰ - 훈몽자회(1527), 東 동녁 동 - 신증유합(1576)
  • (마룻대 동): 棟 ᄆᆞᄅᆞ 도ᇰ - 훈몽자회(1527)
  • (얼 동): 凍 얼 도ᇰ - 훈몽자회(1527)
  • (오동나무 동): 桐 머귀 동 - 백련초해(1500?)
  • (움직일 동): 動은 뮐씨라 - 월인석보(1권:서문)(1459), 動 뮐 도ᇰ - 훈몽자회(1527), 動 뮐 동 - 광주천자문(1575), 動 뮐 도ᇰ - 신증유합(1576)
  • (한가지 동): 同 ᄒᆞᆫ가지 동 - 신증유합(1576)
  • (말 두): 升은 되오 斗는 마리라 - 월인석보(9)(1459), 斗 말 두 - 훈몽자회(1527)
  • (머뭇거릴 둔): 迍 굿길 둔 - 신증유합(1576)
  • (둔할 둔): 鈍 무뒬 둔 - 신증유합(1576)
  • (진칠 둔): 屯 군모들 둔 - 훈몽자회(1527)
  • (걸상 등): 凳 사오리 드ᇰ - 훈몽자회(1527)
  • (등나무 등): 藤 너출 드ᇰ - 훈몽자회(1527)
  • (등 등): 燈 현블 등 - 백련초해(1500?)


1.4. ㄹ[편집]


  • (열매 라): 蓏 여름 라 - 훈몽자회(1527)
  • (키 라): 籮 체 라 - 훈몽자회(1527)
  • (떨어질 락): 落 딜 락 - 훈몽자회(1527)
  • (난간 란): 欄 란간 란 - 훈몽자회(1527)
  • (남기 람): 嵐 연애 남 - 훈몽자회(1527)
  • (대바구니 람): 籃 ᄃᆞ라치 람 - 훈몽자회(1527)
  • (밀 랍): 蠟 밀 랍 - 훈몽자회(1527)
  • (물결 랑): 浪 믈결 랑 - 신증유합(1576), 浪 믓결 랑 - 백련초해(1500?)
  • (사랑채/행랑 랑): 廊 ᄒᆡᇰ라ᇰ 라ᇰ - 훈몽자회(1527)
  • (찰 랭): 冷 ᄎᆞᆯ ᄅᆡᇰ - 훈몽자회(1527)
  • (들보 량): 梁 들보 량 - 신증유합(1576)
  • (들보 량): 樑 보 랴ᇰ - 훈몽자회(1527)
  • (서늘할 량): 凉 ᄎᆞᆯ 랴ᇰ - 훈몽자회(1527), 凉 간다올 량 - 광주천자문(1575), 凉 긴더올 량 - 백련초해(1500?)
  • (헤아릴 량): 量ᄋᆞᆫ 하며 져구믈 되ᄂᆞᆫ 거시라 - 월인석보(9)(1459)
  • (고울 려): 麗 나오머글 려 - 광주천자문(1575), 麗 빗날 려 - 신증유합(1576)
  • (나그네 려): 旅 나ᄀᆞ내 려 - 훈몽자회(1527)
  • (농막집 려): 廬 집 려 - 훈몽자회(1527)
  • (마을 려): 閭 ᄆᆞᅀᆞᆯ 려 - 훈몽자회(1527)
  • (숫돌 려): 礪ᄂᆞᆫ ᄡᅮᆺ돌히니 - 능엄경언해(1)(1464)
  • (어그러질 려): 戾 어긜 려 - 신증유합(1576)
  • (짝 려): 侶 벋 려 - 훈몽자회(1527)
  • (힘 력): 力은 히미라 - 월인석보(1권:서문)(1459)
  • (그리워할 련): 戀 그릴 련 - 신증유합(1576)
  • (연이을 련): 聯 ᄀᆞᆲ니을 련 - 신증유합(1576)
  • (불쌍히여길 련): 憐 에엿블 련 - 훈몽자회(1527), 憐 怜 에엿비 너길 년 - 신증유합(1576), 어엿ᄲᅳᆯ 련 憐 - 백련초해 동경대본(16세기 중엽 이후)
  • (연이을 련): 聯 ᄢᅵᆯ 련 - 백련초해(1500?)
  • (발 렴): 帘 주머니 렴 - 훈몽자회(1527)
  • (발 렴): 簾 발 렴 - 훈몽자회(1527)
  • (화장 상자 렴): 奩 집 렴 - 훈몽자회(1527)
  • (사냥 렵): 獵 산ᄒᆡᇰᄒᆞᆯ 렵 - 훈몽자회(1527)
  • (거느릴 령): 領 ᄃᆞ릴 령 - 신증유합(1576)
  • (격자창 령): 欞 듀ᇰ긷 려ᇰ - 훈몽자회(1527)
  • (고개 령): 【猿啼嶺上】 나ᄇᆞᆫ 수늙 우희셔 울오 - 금강경삼가해(1482), 嶺 재 려ᇰ - 훈몽자회(1527), 嶺 재 령 - 백련초해(1500?)
  • (떨어질 령): 零 ᄠᅳᆮ드를 려ᇰ - 훈몽자회(1527)
  • (영리할 령): 伶 노ᄅᆞᆺ바치 려ᇰ - 훈몽자회(1527)
  • (옥 령): 囹 옥 려ᇰ - 훈몽자회(1527)
  • (종 례): 隷 거러치 예 - 훈몽자회(1527)
  • (갈대 로): ᄀᆞᆯ為蘆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길 로): 路 길 로 - 훈몽자회(1527)
  • (늙을 로)
  • 老實: 老實價錢四兩 고든 갑슨 넉 랴ᇰ이니 - 번역노걸대(1517)
  • (사로잡을 로): 虜 되 로 - 훈몽자회(1527)
  • (산기슭 로): 麓 묏기슭 록 - 훈몽자회(1527)
  • (소금 로): 鹵ᄂᆞᆫ 사오나온 ᄒᆞᆯ기오 - 능엄경언해(2)(1464)
  • (이슬 로): 霜ᄋᆞᆫ 서리오 露ᄂᆞᆫ 이스리라 - 월인석보(1)(1459)
  • (난간 롱): 櫳 차ᇰ살 로ᇰ - 훈몽자회(1527)
  • (대바구니 롱): 籠 로ᇰ 로ᇰ - 훈몽자회(1527)
  • (비 올 롱): 瀧 뉘누리 사ᇰ - 훈몽자회(1527)
  • (꼭두각시 뢰): 儡 광대 뢰 - 훈몽자회(1527)
  • (우레 뢰): 雷 울에 뢰 - 훈몽자회(1527), 雷 울에 뢰 - 신증유합(1576)
  • (우리 뢰): 牢 옥 뢰 - 훈몽자회(1527)
  • (의뢰할 뢰): 賴 힘니블 뢰 - 광주천자문(1575)
  • (동료 료): 僚 도ᇰ관 료 - 훈몽자회(1527)
  • (용 룡): 龍 미ᄅᆞ 룡 - 광주천자문(1575), 龍 미르 룡 - 백련초해(1500?)
  • 窿(활꼴 룡): 窿 구븓ᄒᆞᆯ 류ᇰ - 훈몽자회(1527)
  • (다락 루): 樓 다락 루 - 훈몽자회(1527)
  • (대 채롱 루): 簍 두ᇰ주리 루 - 훈몽자회(1527)
  • (보루 루): 壘 무ᅀᅳᆯ 류 - 훈몽자회(1527)
  • (덩쿨 류): 虆 너출 류 - 훈몽자회(1527)
  • (흐를 류): 流 흐를 류 - 훈몽자회(1527)
  • (높을 륭): 隆 디틀 륭 - 신증유합(1576)
  • (곳집 름): 廩 고 름 - 훈몽자회(1527)
  • (도리 름): 檁 납 름 - 훈몽자회(1527)
  • (떠날 리): 離 여흴 리 - 광주천자문(1575)
  • (마을 리): 里 ᄆᆞᅀᆞᆯ 리 - 훈몽자회(1527)
  • (벼슬아치 리): 吏 셔릿 리 - 훈몽자회(1527)
  • (울타리 리): 籬 바조 리 - 훈몽자회(1527)
  • 𤗷(모서리 린): 𤗷 ᄧᅩᆨ 린 - 훈몽자회(1527)
  • (비늘 린): 鱗 비늘 린 - 훈몽자회(1527)
  • (아낄 린): 吝 직브드드 린 - 신증유합(1576)
  • (아낄 린): 悋 앗길 린 - 훈몽자회(1527)
  • (이웃 린): 鄰 ᄆᆞᅀᆞᆯ 린 - 훈몽자회(1527)
  • (수풀 림)
  • 森森: 森森ᄋᆞᆫ 나모 기ᅀᅳᆫ 야ᇰᄌᆡ라 - 남명천계송언해(1482)
  • (장마 림): 霖 오란비 림 - 훈몽자회(1527), 霖 댱마 림 - 신증유합(1576)
  • (삿갓 립): 갇為笠 - 훈민정음 해례본(1446)


1.5. ㅁ[편집]


  • (갈 마): 磨 매 마 - 훈몽자회(1527)
  • (마귀 마): 魔 귓것 마 - 훈몽자회(1527)
  • (장막 막): 幕 쟈ᅀᅵᆯ 막 - 훈몽자회(1527)
  • (거만할 만): 慢ᄋᆞᆫ ᄂᆞᆷ 므더니 너길씨니 - 석보상절(9)(1447), 慢 교만 만 ᄯᅳᆯ 만 - 신증유합(1576)
  • (덩굴 만): 蔓 너출 만 - 신증유합(1576), 너출 만 蔓 - 왜어유해(1781)
  • (막 만): 幔 댜ᇰ 만 - 훈몽자회(1527)
  • (오랑캐 만): 蠻 되 만 - 훈몽자회(1527)
  • (망령될 망): 妄心ᄋᆞᆫ 거츤 ᄆᆞᅀᆞ미라 - 월인석보(2권:21ㄴ)(1459)
  • (바랄/보름 망): 望 보롬 마ᇰ - 훈몽자회(1527)
  • (우거질 망): 莽ᄂᆞᆫ 기ᅀᅳᆯ씨라 - 능엄경언해(2)(1464)
  • (어두울 매): 眛 아ᄃᆞᆨᄒᆞᆯ ᄆᆡ - 훈몽자회(1527)
  • (중매 매): 媒 듀ᇰᅀᅵᆫ ᄆᆡ - 훈몽자회(1527)
  • (흙비 매): 霾 ᄒᆞᆰ비 ᄆᆡ - 훈몽자회(1527)
  • (백성 맹): 氓 ᄇᆡᆨ셔ᇰ ᄆᆡᆼ - 훈몽자회(1527)
  • (사나울 맹): 猛 ᄆᆡ올 ᄆᆡᆼ - 훈몽자회(1527)
  • (소경/눈 멀 맹): 盲 쇼겨ᇰ ᄆᆡᇰ - 훈몽자회(1527)
  • (용마루 맹): 甍 기슭 ᄆᆡᇰ - 훈몽자회(1527)
  • (움 맹): 萌 움 ᄆᆡᆼ - 훈몽자회(1527)
  • (꺼질/멸할 멸): 減ᄋᆞᆫ 덜씨라 滅은 업슬씨라 - 월인석보(1권:서문)(1459), 滅 ᄢᅳᆯ 멸 - 광주천자문(1575), 滅 블 ᄢᅥ딜 멸 - 신증유합(1576)
  • (밝을 명): 明 ᄇᆞᆯᄀᆞᆯ 명 - 훈몽자회(1527)
  • (저물 명): 暝 아ᄃᆞᆨᄒᆞᆯ 며ᇰ - 훈몽자회(1527)
  • (그릴 모): 慕ᄂᆞᆫ 그릴씨라 - 능엄경언해(2)(1464)
  • (띠 모): 뒤為茅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모양 모): 貌 즛 모 - 광주천자문(1575), 貌 즛 모 - 신증유합(1576)
  • (본뜰 모): 模 얼굴 모 - 훈몽자회(1527)
  • (소모할 모): 耗ᄂᆞᆫ ᄒᆞ야딜씨라 - 능엄경언해(6)(1464), 耗 업서갈 모 - 신증유합(하)(1576)
  • (업신여길 모): 侮 업슈읠 모 - 신증유합(1576)
  • (터럭 모): 毛 터럭 모 - 훈몽자회(1527)
  • (나무 목): 木 나모 목 - 훈몽자회(1527)
  • (머리 감을 목): 沐 머리 ᄀᆞᄆᆞᆯ 목 - 신증유합(1576)
  • (칠 목): 牧 모ᅀᅵᆯ 목 - 훈몽자회(1527)
  • (꿈 몽): 夢 ᄭᅮᆷ 몽 - 신증유합(1576)
  • (청맹과니 몽): 矇 쇼겨ᇰ 모ᇰ - 훈몽자회(1527)
  • (모 묘): 苗 이삭 묘 - 훈몽자회(1527)
  • (사당 묘): 廟 조ᇰ묫 묘 - 훈몽자회(1527)
  • (무당 무): 巫 무다ᇰ 무 - 훈몽자회(1527)
  • (무성할 무): 【林茂鳥有歸】 수프리 기ᅀᅳ면 새 가미 잇고 - 두시언해 초간본(3)(1481), 茂 덤ᄭᅥ츨 무 - 백련초해(1500?)
  • (안개 무): 霧 안개 무 - 훈몽자회(1527)
  • (집 무): 廡 집 무 - 훈몽자회(1527)
  • (힘쓸 무): 務 힘ᄡᅳᆯ 무 - 신증유합(1576)
  • (들을 문): 聞은 드를씨라 - 월인석보(1권:서문)(1459)
  • (무늬 문): 紋 어르누글 문 - 훈몽자회(1527)
  • (문 문): 門 문 문 - 훈몽자회(1527), 門 오래 문 - 백련초해(1500?)
  • (어두울 문): 暪 아ᄃᆞᆨᄒᆞᆯ 만 - 훈몽자회(1527)
  • (물건 물): 物 갓 믈 - 훈몽자회(1527)
  • (미혹할 미): 迷 길 일흘 미 - 신증유합(1576), 迷 아ᄃᆞᆨᄒᆞᆯ 미 - 백련초해(1500?)
  • (아닐 미): 未 아ᄐᆞᆯ 미 - 백련초해(1500?)
  • (아름다울 미): 美 아ᄅᆞᆷ다올 미 - 광주천자문(1575)
  • (아첨할/예쁠 미): 媚 얼울 미 - 신증유합(1576)
  • (자맥질할 미): 㴹 므ᄌᆞ밋 미 - 훈몽자회(1527)
  • (민망할 민): 憫 에엿비 너길 민 - 신증유합(1576)
  • (민첩할 민): 敏 ᄲᆞᆯ리 잘ᄒᆞᆯ 민 - 신증유합(1576)
  • (백성 민): 民 ᄇᆡᆨ셔ᇰ 민 - 훈몽자회(1527)
  • (하늘 민): 旻 하ᄂᆞᆯ 민 - 훈몽자회(1527)


1.6. ㅂ[편집]


  • (물가/녹을 반): 冸 노글 반 - 훈몽자회(1527)
  • (소반 반): 盤 반 ᄲᅡᆫ - 훈몽자회(1527)
  • (논박할 박): 駁ᄋᆞᆫ 어르누글시오 - 금강경삼가해(1)(1482)
  • (박공 박): 牔 박고ᇰ 박 - 훈몽자회(1527)
  • (발 박): 箔 발 박 - 훈몽자회(1527)
  • (우박 박): 雹 무뤼 박 - 신증유합(1576)
  • (돌이킬 반): 反 뒤혈 반 - 신증유합(1576)
  • (소반 반): 盤 서릴 반 - 광주천자문(1575)
  • (짝 반): 伴 벋 반 - 훈몽자회(1527)
  • (나라 방): 邦 나라 바ᇰ - 훈몽자회(1527)
  • (방 방): 房 집 바ᇰ - 훈몽자회(1527), 房 구돌 방 - 광주천자문(1575), 房 방 방 - 신증유합(1576)
  • (아롱질 반): 斑ᄋᆞᆫ 어르누글씨라 - 월인석보(25)(1459),
  • (헐뜯을 방): 謗 헐 방 - 신증유합(1576)
  • (배우/어정거릴 배): 俳 두루 거를 ᄇᆡ - 신증유합(1576)
  • (북돋울 배): 培 붓도돌 ᄇᆡ - 훈몽자회(1527)
  • (잔 배): 杯 잔 ᄇᆡ - 훈몽자회(1527)
  • (일백 백): 百ᄋᆞᆫ 오니라 - 월인석보(1권:6ㄱ)(1459)
  • (기 번): 旛 버ᇇ 번 - 훈몽자회(1527)
  • (울타리 번): 藩 울 번 - 훈몽자회(1527)
  • (벽 벽): 壁 ᄇᆞᄅᆞᆷ 벽 - 훈몽자회(1527), 壁 ᄇᆞ람 벽 - 신증유합(1576), 壁 ᄇᆞᄅᆞᆷ 벽 - 백련초해(1500?)
  • (열 벽): 闢 열 벽 - 훈몽자회(1527)
  • (임금 벽): 辟 님굼 벽 - 훈몽자회(1527)
  • (가 변): 邊 ᄀᆞᆺ 변 - 훈몽자회(1527)
  • (변화 변): 變 고틸 변 - 신증유합(1576)
  • (분별할 변): 辨 ᄀᆞᆯᄒᆡᆯ 변 - 신증유합(1576)
  • (깜짝할 별): 瞥은 누네 어른 디날 ᄊᆞᅀᅵ오 - 월인석보(1권:서문)(1459)
  • (나란히 병): 並 ᄀᆞᆯ올 병 - 신증유합(1576)
  • (병 병): 甁 벼ᇱ 벼ᇰ - 훈몽자회(1527)
  • (병풍 병): 屛 편푸ᇰ 벼ᇰ - 훈몽자회(1527)
  • (아우를 병): 幷 아올 병 - 신증유합(1576)
  • (자루 병): 柄 ᄌᆞᄅᆞ 벼ᇰ - 훈몽자회(1527)
  • (걸음 보): 步 거름 보 - 훈몽자회(1527), 步 거ᄅᆞᆷ 보 - 신증유합(1576)
  • (기울 보): 補ᄂᆞᆫ 보탈씨오 - 월인석보(2권:8ㄴ)(1459), 補 옷기울 보 - 신증유합(1576)
  • (작은 성 보): 堡 쟈근 잣 보 - 훈몽자회(1527)
  • (복 복): 福 복 복 - 신증유합(1576)
  • (점 복): 卜 졈복 복 - 훈몽자회(1527)
  • (봉화 봉): 烽 보ᇰ호 보ᇰ - 훈몽자회(1527)
  • (가마 부): 釜 가마 부 - 훈몽자회(1527)
  • (곁마 부): 駙 부맛 부 - 훈몽자회(1527)
  • (구부릴 부): 俯 구블 부 - 신증유합(1576)
  • 𣑿(떡갈나무 부): 𣑿 붑마치 부 - 훈몽자회(1527)
  • (떼 부): 八部는 여듧 주비니 - 월인석보(1권:14ㄱ)(1459), 部 거느릴 부 - 훈몽자회(1527)
  • (마을 부): 府 마ᅀᅳᆯ 부 - 훈몽자회(1527), 府 마ᄋᆞᆯ 부 - 신증유합(1576)
  • (버금 부): 副 버글 부 - 훈몽자회(1527), 副 버글 부 - 신증유합(1576)
  • (부두 부): 埠 져제 부 - 훈몽자회(1527)
  • (부세 부): 賦 ᄐᆡ올 부 - 훈몽자회(1527)
  • (부유할 부): 富 가ᅀᆞ멸 부 - 신증유합(1576)
  • (썩을 부): 腐 서글 부 - 훈몽자회(1527)
  • (언덕 부): 阜 두던 부 - 광주천자문(1575)
  • (외성 부): 郛 밧 잣 부 - 훈몽자회(1527)
  • (꾸밀 분): 扮 비ᅀᅳᆯ 반 - 훈몽자회(1527)
  • (동이 분): 盆 딜도ᇰᄒᆡ 분 - 훈몽자회(1527)
  • 忿(성낼 분): 忿 노ᄒᆞᆯ 분 - 신증유합(1576)
  • (부처 불): 佛 부텨 불 - 훈몽자회(1527)
  • (벗 붕): 朋 벋 부ᇰ - 훈몽자회(1527)
  • (사다리 붕): 棚 가개 부ᇰ - 훈몽자회(1527)
  • (갖출 비): 備 ᄀᆞᄌᆞᆯ 비 - 신증유합(1576)
  • (계집종 비): 婢 겨집죵 비 - 신증유합(1576)
  • (날 비): 飛 ᄂᆞᆯ 비 - 훈몽자회(1527)
  • (더러울 비): 鄙 ᄀᆞᆺ 비 - 훈몽자회(1527)
  • (비수 비): 匕 술 비 - 훈몽자회(1527)
  • (비적 비): 匪 이즐 비 - 광주천자문(1575)
  • (빗치개 비): 篦 ᄎᆞᆷ빗 비 - 훈몽자회(1527)
  • (사립문 비): 扉 문ᄧᅡᆨ 비 - 훈몽자회(1527)
  • (살찔 비): 肥 ᄉᆞᆯ질 비 - 훈몽자회(1527), 肥 ᄉᆞᆯ질 비 - 신증유합(1576)
  • (슬플 비): 悲 슬흘 비 - 신증유합(1576)
  • (왕비 비): 妃 듀ᇰ구ᇰ 비 - 훈몽자회(1527)
  • (자루 비/필): 柲 ᄌᆞᄅᆞ 필 - 훈몽자회(1527)
  • (궁녀 벼슬 이름 빈): 嬪 비ᇱ 비ᇰ - 훈몽자회(1527)
  • (손 빈): 賓 손 비ᇰ - 훈몽자회(1527), 賓 손 빙 - 광주천자문(1575)
  • (얼음 빙): 氷 어름 비ᇰ - 훈몽자회(1527)


1.7. ㅅ[편집]


  • (맡을 사): 司 마ᅀᆞᆯ ᄉᆞ - 훈몽자회(1527)
  • (비낄 사): 斜 빗글 샤 - 훈몽자회(1527)
  • (사당 사): 祠 ᄉᆞ다ᇰ ᄉᆞ - 훈몽자회(1527)
  • (사사 사): 私 아ᄅᆞᆷ ᄉᆞ - 신증유합(1576)
  • (상자 사): 笥 섥 ᄉᆞ - 훈몽자회(1527)
  • (생각 사): 思ᄂᆞᆫ ᄉᆞ랑ᄒᆞᆯ씨라 - 월인석보(1)(1459)
  • (선비 사): 士 됴ᄉᆞᆺ ᄉᆞ - 훈몽자회(1527)
  • (엿볼 사): 伺ᄂᆞᆫ 여ᅀᅥ ᄉᆞᆯ필씨라 - 법화경언해(7)(1463), 伺 여ᅀᅳᆯ ᄉᆞ - 신증유합(1576)
  • (절 사): 寺 뎔 ᄉᆞ - 훈몽자회(1527)
  • (집 사): 舍 집 샤 - 훈몽자회(1527)
  • (체 사): 簁 체 싀 - 훈몽자회(1527)
  • (메 산): 山 묏 산 - 훈몽자회(1527), 山 뫼 산 - 신증유합(1576), 山 묏 산 - 백련초해(1500?)
  • (셈 산): 筭 혤 산 - 훈몽자회(1527)
  • (싸라기눈 산): 霰 ᄡᆞ눈 션 - 훈몽자회(1527), 霰 ᄡᆞᆯ눈 션 - 신증유합(1576)
  • (우산 산): 傘 우산 산 - 훈몽자회(1527)
  • (헐뜯을 산): 訕 헐ᄲᅳ릴 산 - 훈몽자회(1527)
  • (가랑비 삽)
  • 霎時: 霎時 아니ᄒᆞᆫ ᄉᆞ이 - 어록해 초간본(1657)
  • (꽂을 삽): 揷 고즐 삽 - 훈몽자회(1527)
  • (다칠 상): 傷 헐 샹 - 광주천자문(1575)
  • (상자 상): 箱 샤ᇰᄌᆞᆺ 샤ᇰ - 훈몽자회(1527)
  • (생각 상): 想 녀길 샹 - 신증유합(1576)
  • (서로 상): 相 ᄌᆡ샤ᇰ 샤ᇰ - 훈몽자회(1527)
  • (서리 상): 霜ᄋᆞᆫ 서리오 露ᄂᆞᆫ 이스리라 - 월인석보(1)(1459), 霜 서리 사ᇰ - 훈몽자회(1527)
  • (윗 상): 上 웃 샹 - 신증유합(1576)
  • (잔 상): 觴 잔 샤ᇰ - 훈몽자회(1527)
  • (장사 상): 商 흐ᇰ져ᇰ홀 샤ᇰ - 훈몽자회(1527)
  • (주춧돌 상): 磉 쥬츄 사ᇰ - 훈몽자회(1527)
  • (평상 상): 牀 펴ᇰ사ᇱ 사ᇰ - 훈몽자회(1527)
  • (행랑 상): 廂 집 샤ᇰ - 훈몽자회(1527)
  • (빛 색): 色ᄋᆞᆫ 비치오 - 월인석보(1권:서문)(1459), 色 빗 ᄉᆡᆨ - 백련초해(1500?)
  • (찾을 색/노 삭): 索 노 삭 - 훈몽자회(1527)
  • (글 서): 書는 글와리라 - 월인석보(1)(1459)
  • (깃들일 서): 棲 기ᅀᅳᆯ 셔 - 훈몽자회(1527)
  • (농막 서): 墅 노ᇰ솟 셔 - 훈몽자회(1527)
  • (마을 서): 署 마ᅀᆞᆯ 셔 - 훈몽자회(1527)
  • 西(서녘 서): 西 션녁 셔 - 신증유합(1576)
  • (실마리 서): 緖 실귿 셔 - 신증유합(1576)
  • (예 석): 昔 녜 셕 - 훈몽자회(1527)
  • (자리 석): 席은 돗기라 - 능엄경언해(1)(1464), 席 돗 셕 - 훈몽자회(1527)
  • (저녁 석): 夕 나죄 셕 - 훈몽자회(1527), 夕 나죄 셕 - 광주천자문(1575)
  • (주춧돌 석): 磶 쥬츄 셕 - 훈몽자회(1527)
  • (돌 선): 旋 두를 션 - 훈몽자회(1527)
  • (맨발 선): 跣 발바ᄉᆞᆯ 션 - 훈몽자회(1527)
  • (부러워할 선): 羨 블울 션 - 신증유합(1576)
  • (신선 선): 仙 션ᅀᅵᆫ 션 - 훈몽자회(1527)
  • (착할 선): 善 어딜 션 - 신증유합(1576)
  • (다 죽일 섬): 殲 다 주길 셤 - 신증유합(1576)
  • (두꺼비 섬)
  • 蟾蜍: 두텁為蟾蜍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건널 섭): 涉은 버믈씨오 - 월인석보(2권:21ㄷ)(1459)
  • (다스릴/잡을 섭): 攝은 모도 디닐씨라 - 월인석보(1)(1459), 攝 잡쥘 셥 - 훈몽자회(1527)
  • (족집게 섭): 鑷 죡졉개 녑 - 훈몽자회(1527)
  • (별 성): 星 별 셔ᇰ - 훈몽자회(1527)
  • (성할 성): 盛 다ᄆᆞᆯ 셔ᇰ - 훈몽자회(1527)
  • (소리 성): 聲 소ᄅᆡ 셩 - 신증유합(1576)
  • (이룰 성): 成은 일울씨라 - 월인석보(1)(1459)
  • (재 성): 城은 자시라 - 월인석보(1권:6ㄱ)(1459), 城 잣 셔ᇰ - 훈몽자회(1527)
  • (인간/대 세): 世 누리 셰 - 훈몽자회(1527)
  • (나물 소): 蔬 ᄂᆞᄆᆞᆯ 소 - 훈몽자회(1527)
  • (바 소): 所 바 소 - 훈몽자회(1527)
  • (사라질 소): 消ᄂᆞᆫ 스러딜씨라 - 월인석보(1권:서문)(1459)
  • (새집 소): 깃為巢 - 훈민정음 해례본(1446), 巢 깃 소 - 훈몽자회(1527), 巢 깃 소 - 신증유합(1576)
  • (얼레빗 소): 梳 얼에빗 소 - 훈몽자회(1527)
  • (흙 빚을 소): 塑 ᄒᆞᆰ 비즐 소 - 훈몽자회(1527)
  • (묶을 속): 束 뭇 속 - 신증유합(1576)
  • (거느릴 솔/비율 률): 率 ᄃᆞ릴 솔 - 신증유합(1576)
  • (두려울 송): 悚 숫그러 숑 - 신증유합(1576)
  • (외울 송): 誦은 외올씨라 - 월인석보(1권:서문)(1459)
  • (칭송할 송): 頌은 놀애라 - 월인석보(1)(1459)
  • (인쇄할 쇄): 刷 솨ᄌᆞ 솨 - 훈몽자회(1527)
  • (나무 수): 樹 나모 슈 - 훈몽자회(1527)
  • (늪 수): 藪ᄂᆞᆫ 믈 여윈 모시라 - 법화경언해(4)(1463), 藪 눕 수 - 유합 칠장사판(1664)
  • (다를 수)
  • 殊絶: 【三十二相이 勝妙ㅣ 殊絶ᄒᆞ샤】 三十二相이 ᄀᆞ자ᇰ 微妙ᄒᆞ샤미 ᄠᆞ로 다ᄅᆞ샤 - 능엄경언해(1)(1461)
  • (드리울 수): 垂 드릴 슈 - 백련초해(1500?)
  • (모름지기 수)
  • 須臾: 【心懷大歡喜ᄒᆞ야 須臾에 還本國ᄒᆞ리니】 ᄆᆞᅀᆞ매 큰 歡喜ᄅᆞᆯ 머거 아니한 더데 本國에 도라오리니 - 법화경언해(4)(1463)
  • (받을 수): 受 바ᄃᆞᆯ 슈 - 훈몽자회(1527)
  • (부싯돌 수): 燧 보ᇰ호 슈 - 훈몽자회(1527)
  • (산골 수): 岫 묏부리 슈 - 백련초해(1500?)
  • (소경 수): 瞍 쇼겨ᇰ 수 - 훈몽자회(1527)
  • (이삭 수): 穗 이삭 슈 - 훈몽자회(1527)
  • (장수 수): 帥 쟈ᇰ슛 슈 - 훈몽자회(1527)
  • (짐승 수): 獸 즘ᄉᆡᇰ 슈 - 훈몽자회(1527)
  • (팔 수): 售 발뵐 슈 - 훈몽자회(1527)
  • (헤엄칠 수): 泅 헤욤 슈 - 훈몽자회(1527)
  • (이를 숙): 夙 이를 슉 - 훈몽자회(1527)
  • (돌/순행할 순): 巡 므르 거를 슌 두루 ᄃᆞ닐 슌 - 신증유합(1576)
  • (엄숙할 숙): 肅 싁싁 슉 - 신증유합(1576)
  • (난간 순): 楯 쳐ᇰ널 슌 - 훈몽자회(1527)
  • (펼 술): 述 니어 지을 슐 - 신증유합(1576)
  • (높을 숭): 崇은 노ᄑᆞᆯ씨오 - 월인석보(1권:서문)(1459)
  • (익힐 습): 習 니길 습 - 신증유합(1576)
  • (노끈 승): 繩 노 스ᇰ - 훈몽자회(1527)
  • (되 승): 升은 되오 斗는 마리라 - 월인석보(9)(1459), 升 되 스ᇰ - 훈몽자회(1527)
  • (중 승): 僧 쥬ᇰ 스ᇰ - 훈몽자회(1527)
  • (감나무 시): 감為柿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관청 시): 䦙 고쟈 시 - 훈몽자회(1527)
  • (때 시): 時 ᄢᅵ니 시 - 훈몽자회(1527), 時 시졀 시 - 신증유합(1576)
  • (모종낼 시): 蒔 옴겨 시믈 시 - 훈몽자회(1527)
  • (비로소 시): 始ᄂᆞᆫ 처ᅀᅥ미라 - 월인석보(1)(1459), 【一劫ᄋᆞᆫ 言修行之始ᄒᆞ시고 後身ᄋᆞᆫ 言修行之成ᄒᆞ시니라】 一劫은 修行ᄋᆡ 비르소ᄆᆞᆯ 니ᄅᆞ시고 後身ᄋᆞᆫ 修行ᄋᆡ 이로ᄆᆞᆯ 니ᄅᆞ시니라 - 능엄경언해(7)(1461), 【禮義之始ᄂᆞᆫ 在於正容體ᄒᆞ며 齊顔色ᄒᆞ며 順辭令이니】 禮義의 비르소ᄆᆞᆫ 모ᄆᆞᆯ 正히 ᄒᆞ며 ᄂᆞᆺ비ᄎᆞᆯ ᄀᆞᄌᆞ기 ᄒᆞ며 말ᄉᆞᆷ 順히 호매 잇ᄂᆞ니. - 내훈(1)(1573), 始 비르슬 시 - 광주천자문(1575), 始 비르슬 시 - 신증유합(1576)
  • (섶 시): 柴 섭 싀 - 훈몽자회(1527)
  • (숟가락 시): 匙 술 시 - 훈몽자회(1527)
  • (시기할 시): 猜 게움 싀 - 신증유합(1576)
  • (시험 시): 試 ᄒᆞ야볼 시 - 신증유합(1576)
  • (저자 시): 市 져제 시 - 훈몽자회(1527)
  • (주검 시): 屍 주검 시 - 훈몽자회(1527)
  • (불릴 식): 殖 부를 식 - 훈몽자회(1527)
  • (심을 식): 植 시믈 식 - 훈몽자회(1527)
  • (귀신 신): 神 신려ᇰ 신 - 훈몽자회(1527), 神 신령 신 - 신증유합(1576)
  • (대궐 신): 宸 집 신 - 훈몽자회(1527)
  • (믿을 신): 信 미들 신 - 훈몽자회(1527), 信 미더울 신 미들 신 - 신증유합(1576)
  • (삼갈 신): 愼 삼갈 신 - 광주천자문(1575), 愼 삼갈 신 - 신증유합(1576)
  • (섶 신): 薪 섭 신 - 훈몽자회(1527)
  • (신하 신): 臣 신하 신 - 훈몽자회(1527)
  • (열매 실): 實 여믈 실 - 신증유합(1576)
  • (집 실): 室 집 실 - 훈몽자회(1527)
  • (마음 심): 心 ᄆᆞᄋᆞᆷ 심 령통 심 - 신증유합(1576)
  • (즙낼 심): 瀋 ᄯᅳ믈 심 - 훈몽자회(1527)


1.8. ㅇ[편집]


  • (갈 아): 砑 밀돌 아 - 훈몽자회(1527)
  • (마을 아): 衙 마ᅀᆞᆯ 아 - 훈몽자회(1527)
  • (싹 아): 芽 엄 아 - 훈몽자회(1527)
  • (언덕 아): 阿 ᄭᅳᆷ 아 - 훈몽자회(1527), 阿 ᄭᅳᆷ 아 - 광주천자문(1575)
  • (곧은 말할 악): 諤 고ᄃᆞᆫ 말 악 - 신증유합(1576)
  • (악할 악): 惡 모딜 악 - 훈몽자회(1527), 惡 모딜 악 - 광주천자문(1575)
  • 惡夢: 【又於其夜得五大惡夢】 그 낤 바ᄆᆡ 다ᄉᆞᆺ 가짓 머즌 ᄭᅮ믈 ᄭᅮ시니 - 석보상절(23)(1447)
  • (큰 산 악): 嶽 묏부리 악 - 훈몽자회(1527)
  • (휘장 악): 幄 쟈ᅀᅵᆯ 악 - 훈몽자회(1527)
  • (낯 안): 顔 ᄂᆞᆺ 안 - 신증유합(1576)
  • (누를 안): 按 져줄 안 - 신증유합(1576)
  • (늦을 안): 晏 느즐 안 - 훈몽자회(1527)
  • (언덕 안): 岸 믈언덕 안 - 신증유합(1576), 넝ᄯᅥ러지 岸 - 한불자전(1880)
  • (돌 알): 斡 두를 알 - 훈몽자회(1527)
  • (들추어낼 알): 訐 허믈니ᄅᆞᆯ 알 - 훈몽자회(1527)
  • (암자 암): 庵 뎔 암 - 훈몽자회(1527)
  • (어두울 암): 暗 아ᄃᆞᆨᄒᆞᆯ 암 - 훈몽자회(1527)
  • (외울 암): 諳 니기알 암 - 신증유합(1576)
  • (누를 압): 壓 지즐울 압 - 훈몽자회(1527)
  • (동이 앙): 盎 딜도ᇰᄒᆡ 아ᇰ- 훈몽자회(1527)
  • (모 앙): 秧 움 아ᇰ - 훈몽자회(1527)
  • (우러를 앙): 仰ᄋᆞᆫ 울월씨라 - 월인석보(1권:서문)(1459), 仰 울얼 앙 - 신증유합(1576)
  • (약할 약): 【籬弱門何向】 울히 여리니 門을 어드러 向ᄒᆞ리오 - 두시언해 초간본(15)(1481)
  • (맷돌 애): 磑 매 의 - 훈몽자회(1527)
  • (사랑 애): 愛 ᄉᆞ랑 ᄋᆡ - 신증유합(1576), 愛 ᄉᆞ랑ᄒᆞᆯ ᄋᆡ - 백련초해(1500?)
  • (슬플 애): 哀 슬흘 ᄋᆡ - 신증유합(1576)
  • (좁을 애): 隘 모개 ᄋᆡᆨ - 훈몽자회(1527)
  • (겨드랑이/낄 액): 掖 ᄢᅵ들 ᄋᆡᆨ - 신증유합(1576)
  • (술 단지 앵): 甖 대하ᇰ 여ᇰ - 훈몽자회(1527)
  • (들 야): 【山花ㅣ 笑ᄒᆞ며 野鳥ㅣ 歌ᄒᆞᄂᆞ다】 뫼헷 고지 우ᅀᅳ며 ᄆᆡ햇 새 놀애 브르ᄂᆞ다 - 금강경삼가해(3), 野 ᄆᆡ 야 - 훈몽자회(1527)
  • (뛸 약): 躍 봄놀 약 - 훈몽자회(1527)
  • (기를 양): 養 칠 야ᇰ - 훈몽자회(1527)
  • (박속 양): 瓤 어월 야ᇰ - 훈몽자회(1527)
  • (볕 양): 陽 볃 양 - 신증유합(1576)
  • (큰 바다 양): 洋 바다 야ᇰ - 훈몽자회(1527)
  • (사양할 양): 讓 ᄉᆞ양 양 - 신증유합(1576)
  • (고기/물고기 어): 魚 고기 어 - 훈몽자회(1527)
  • (고기잡을 어): 漁 고기 자블 어 - 훈몽자회(1527)
  • (옥 어): 圄 옥 어 - 훈몽자회(1527)
  • (생각할 억): 憶 ᄉᆡᆼ각 억 - 신증유합(1576)
  • (그루터기 얼): 枿 그르 알 - 훈몽자회(1527)
  • (문지방 얼): 闑 무ᇇ돌 얼 - 훈몽자회(1527)
  • (고자 엄): 閹 고쟈 엄 - 훈몽자회(1527)
  • (음산할 에): 曀 흐릴 예 - 훈몽자회(1527)
  • (더불 여): 與 다ᄆᆞᆺ 여 더브러 여 - 신증유합(1576)
  • (문지방 역): 閾 문젼 역 - 훈몽자회(1527)
  • (부릴 역): 役 브릴 역 - 훈몽자회(1527)
  • (역 역): 驛 역 역 - 훈몽자회(1527)
  • (지경 역): 域 에ᇰ엇 역 - 훈몽자회(1527)
  • (고울 연): 姸 고을 연 - 훈몽자회(1527), 姸 나머글 연 - 광주천자문(1575)
  • (넓을 연): 衍 부러날 연 - 신증유합(1576)
  • (대자리 연): 筵 돗 연 - 훈몽자회(1527)
  • (서까래 연): 椽 셔 연 - 훈몽자회(1527)
  • (인연 연): 緣 말믜 연 - 광주천자문(1575)
  • (잔치 연): 宴 이바디 연 - 신증유합(1576)
  • (기쁠 열): 悅 깃글 열 - 신증유합(1576)
  • (못할 열): 劣ᄋᆞᆫ 져글씨라 - 능엄경언해(4)(1464)
  • (마을 염): 閻 ᄆᆞᅀᆞᆯ 염 - 훈몽자회(1527)
  • (문빗장 염): 扊 쟈ᇰ군목 염 - 훈몽자회(1527)
  • (물들 염): 染 므드릴 ᅀᅧᆷ - 훈몽자회(1527), 染 므들 염 - 광주천자문(1575)
  • (불꽃 염): 炎 더울 염 - 훈몽자회(1527)
  • (싫어할 염): 厭 아쳘 염 - 광주천자문(1575), 厭 슬믤 염 - 신증유합(1576)
  • (잎 엽): 葉 닙 엽 - 훈몽자회(1527)
  • (경영할 영): 營 바오달 여ᇰ - 훈몽자회(1527)
  • (고욤나무 영): 고욤為梬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그림자 영): 影 그르메 영 - 신증유합(1576)
  • (기둥 영): 楹 기도ᇰ 여ᇰ - 훈몽자회(1527)
  • (꽃부리 영): 英 곳부리 여ᇰ - 훈몽자회(1527), 英 ᄲᅡ여날 영 - 신증유합(1576)
  • (맞을 영): 迎 마ᄌᆞᆯ 영 - 신증유합(1576)
  • (비칠 영): 暎 ᄇᆞᅀᆡᆯ 여ᇰ - 훈몽자회(1527)
  • (영화 영): 榮 비ᅀᅳᆯ 여ᇰ - 훈몽자회(1527)
  • (이삭 영): 穎 이삭 여ᇰ - 훈몽자회(1527)
  • (헤엄칠 영): 泳 므ᄌᆞ미 여ᇰ - 훈몽자회(1527), 泳 므ᄌᆞᄆᆞᆯ 영 - 신증유합(1576)
  • (꽃술 예): 蘂 여희 예 - 훈몽자회(1527)
  • (벨 예): 乂 다ᄉᆞᆯ 예 - 훈몽자회(1527), 乂 어딜 애 - 광주천자문(1575)
  • (수고로울 예): 勩 잇블 예 - 훈몽자회(1527)
  • (거만할 오): 傲 갸ᄅᆞᆨ 오 - 신증유합(1576)
  • (곳간 오): 厫 채 오 - 훈몽자회(1527)
  • (그르칠 오): 誤 그를 오 - 신증유합(1576)
  • (다섯 사람 오): 伍 군ᄉᆞ 오 - 훈몽자회(1527)
  • (더러울 오): 汚 더러울 오 - 신증유합(1576)
  • (깊을 오): 奧 기픈 ᄃᆡ 오 - 신증유합(1576)
  • (번철 오): 鏊 노고 오 - 훈몽자회(1527)
  • (즐길 오): 娛 즐겨놀 오 - 신증유합(1576)
  • (구슬 옥): 玉 구슬 옥 - 광주천자문(1575)
  • (옥 옥): 獄 옥 옥 - 훈몽자회(1527)
  • (집 옥): 屋 집 옥 - 훈몽자회(1527)
  • (따뜻할 온): 溫 ᄃᆞᄉᆞᆯ 온 - 광주천자문(1575)
  • (우뚝할 올): 兀 바ᇰ사오리 올 - 훈몽자회(1527)
  • (독 옹): 독為甕 - 훈민정음 해례본(1446), 瓮 독 오ᇰ - 훈몽자회(1527)
  • (막을 옹): 壅 붓도돌 오ᇰ - 훈몽자회(1527)
  • (움집 와): 窩 산막 와 - 훈몽자회(1527)
  • (완고할 완): 頑ᄋᆞᆫ ᄆᆞᅀᆞᆷ 사오나올씨오 - 능엄경언해(8)(1464)
  • (완전할 완): 完 ᄀᆞᆺ고 구들 완 - 신증유합(1576)
  • (주발 완): 盌 사발 원 - 훈몽자회(1527)
  • (가로 왈): 曰은 ᄀᆞ로ᄃᆡ ᄒᆞ논 ᄠᅳ디라 - 월인석보(1)(1459)
  • (임금 왕): 王 님굼 와ᇰ - 훈몽자회(1527)
  • (왜나라 왜): 倭 예 와 - 훈몽자회(1527)
  • (두려워할 외): 畏 저흘 외 - 신증유합(1576), 畏 저흘 외 - 백련초해(1500?)
  • (지도리 외): 椳 지도리 외 - 훈몽자회(1527)
  • (땔나무 요): 蕘 섭나모 요 - 훈몽자회(1527)
  • (빛날 요): 曜 ᄇᆞᅀᆡᆯ 요 - 훈몽자회(1527)
  • (우길 요): 拗 에구들 료 - 신증유합(1576)
  • (일찍 죽을 요): 夭 일 주글 요 - 신증유합(1576)
  • (요긴할 요): 要ᄂᆞᆫ 조ᅀᆞᄅᆞᄫᆡᆯ씨라 - 월인석보(15)(1459), 要 종요 요 - 신증유합(1576)
  • (목욕할 욕): 浴 몸 시슬 욕 - 신증유합(1576)
  • (요 욕): 褥 요 ᅀᅭᆨ - 훈몽자회(1527)
  • (길 돋울 용): 埇 듕계 요ᇰ - 훈몽자회(1527)
  • (날랠 용): 勇 ᄂᆞᆯ날 요ᇰ - 훈몽자회(1527)
  • (담 용): 墉 담 요ᇰ - 훈몽자회(1527)
  • (얼굴 용): 容 즛 용 - 신증유합(1576)
  • (품 팔 용): 傭 삭바ᄃᆞᆯ 요ᇰ - 훈몽자회(1527)
  • (곰방메 우): 耰 ᄡᅵ두플 우 - 훈몽자회(1527)
  • (근심 우): 憂는 시름ᄒᆞᆯ씨오 - 월인석보(2)(1459)
  • 憂心: 【百鳥相娛樂,亦無愁憂心。】 온 가짓 새와 서르 즐기고 ᄯᅩ 시름 ᄆᆞᅀᆞ미 업더ᅌᅵ다 - 월인석보(20)
  • (깃 우): 羽 짓 우 - 훈몽자회(1527)
  • (넉넉할/뛰어날 우): 優ᄂᆞᆫ 할씨오 - 능엄경언해(4)(1464), 優 노ᄅᆞᆺ바치 우 - 훈몽자회(1527), 優 디투 우 유여 우 - 신증유합(1576)
  • (모퉁이 우): 隅 모 우 - 신증유합(1576)
  • (벗 우): 友 벋 우 - 훈몽자회(1527)
  • (어리석을 우): 愚 어릴 우 - 훈몽자회(1527), 愚 어릴 우 - 신증유합(1576)
  • (오른쪽 우): 右 올ᄒᆞᆫ녁 우 - 신증유합(1576)
  • (따뜻할 욱): 燠 더울 욱 - 훈몽자회(1527)
  • (아침해 욱): 旭 ᄒᆡᆺ귀 욱 - 훈몽자회(1527)
  • (구름 운): 雲 구룸 운 - 훈몽자회(1527)
  • (김맬 운): 耘 기ᅀᅳᆷ ᄆᆡᆯ 운 - 훈몽자회(1527)
  • (옮길 운): 運은 뮈울씨라 - 월인석보(1권:서문)(1459)
  • (수컷 웅): 雄 수 우ᇰ - 훈몽자회(1527), 雄 수 웅 - 신증유합(1576)
  • (담 원): 垣 담 원 - 훈몽자회(1527)
  • (동산 원): 園 위안 원 - 훈몽자회(1527), 園 뒤안 원 - 신증유합(1576)
  • (둥글 원): 圓 두리 원 - 광주천자문(1575), 圓 두려울 원 - 신증유합(1576)
  • (언덕 원): 原 두던 원 - 훈몽자회(1527), 原 두던 원 - 신증유합(1576)
  • (인원 원): 員 관원 원 - 훈몽자회(1527)
  • (즐거울 원): 衏 녀계 원 - 훈몽자회(1527)
  • (집 원): 院 집 원 - 훈몽자회(1527)
  • (문 위): 闈 문 위 - 훈몽자회(1527)
  • (지킬 위): 衛 ᄢᅳ릴 위 - 훈몽자회(1527)
  • (남길 유): 遺 기틸 유 - 신증유합(1576)
  • (너그러울 유): 宥 누길 유 - 신증유합(1576)
  • (들창 유): 牖 차ᇰ 유 - 훈몽자회(1527)
  • (말미암을 유): 由 말ᄆᆡ 유 - 신증유합(1576)
  • (생각할 유): 惟ᄂᆞᆫ ᄉᆞ랑ᄒᆞᆯ씨라 - 월인석보(1)(1459)
  • (있을 유): 有는 이실씨라 - 월인석보(1권:서문)(1459)
  • 有限: 【智惠有限ᄒᆞ야】 智惠과 그슴 이셔 - 몽산화상육도보설언해(1567)
  • (제단의 담 유): 壝 졔터 유 - 훈몽자회(1527)
  • (헤엄칠 유): 游 헤욤 유 - 훈몽자회(1527), 游 노닐 유 - 신증유합(1576)
  • (휘장 유): 帷 댜ᇰ 유 - 훈몽자회(1527)
  • (기를 육): 育 칠 휵 - 광주천자문(1575)
  • (병장기/오랑캐 융): 戎 되 융 - 훈몽자회(1527)
  • (다리미 위/다릴 우): 熨 다리우리 울 - 훈몽자회(1527)
  • (에워쌀 위): 圍 에울 위 - 신증유합(1576)
  • (위로할 위): 慰 눅자칠 위 - 신증유합(1576)
  • (자리 위): 位 벼슬 위 - 훈몽자회(1527)
  • (클 위): 偉 거륵 위 - 신증유합(1576)
  • (휘장 위): 幃 댜ᇰ 위 - 훈몽자회(1527)
  • (어리석을 은): 嚚은 입 더러울씨라 - 능엄경언해(8)(1464)
  • (고을 읍): 邑 고을 읍 - 훈몽자회(1527)
  • (뜰 읍): 挹 믈ᄯᅳᆯ 읍 - 신증유합(1576)
  • (응할 응): 應은 맛ᄀᆞᆯᄆᆞᆯ씨니 - 월인석보(9:10)(1459)
  • (굳셀 의): 毅 세츨 의 - 신증유합(1576)
  • (뜻 의): 意 ᄠᅳᆮ 의 - 신증유합(1576)
  • (병풍 의): 扆 편푸ᇰ 의 - 훈몽자회(1527)
  • (옳을 의): 義 ᄆᆞᄅᆞ 의 - 신증유합(1576)
  • (의원 의): 醫 의원 의 - 훈몽자회(1527)
  • (의자 의): 椅 교의 의 - 훈몽자회(1527)
  • (기쁠 이): 怡 깃글 이 - 신증유합(1576)
  • (늦출 이): 弛ᄂᆞᆫ 누길씨라 - 월인석보(1)(1459)
  • (문빗장 이): 扅 쟈ᇰ군목 이 - 훈몽자회(1527)
  • (오랑캐 이): 夷 되 이 - 훈몽자회(1527)
  • (엿 이)
  • 飴餹: 믈엿為飴餹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주전자 이): 匜 귀대야 이 - 훈몽자회(1527)
  • (횃대 이): 椸 홰 이 - 훈몽자회(1527)
  • (날개 익): 翼 ᄂᆞᆯ애 익 - 신증유합(1576)
  • (다음날 익): 翌 ᄂᆡ일 익 - 훈몽자회(1527)
  • (말 더듬을 인): 訒 말 구들 ᅀᅵᆫ - 훈몽자회(1527)
  • (사람 인): 人ᄋᆞᆫ 사ᄅᆞ미라 - 월인석보(1)(1459), 人 사ᄅᆞᆷ ᅀᅵᆫ - 훈몽자회(1527)
  • (수레 깔개 인): 茵 지즑 인 - 훈몽자회(1527)
  • (인할 인): 因 지즐 인 - 광주천자문(1575), 因 인ᄒᆞᆯ 인 - 신증유합(1576)
  • (아이 밸 잉): 孕 ᄇᆡᆯ 잉 - 신증유합(1576)


1.9. ㅈ[편집]


  • (까끄라기 자): 莿 가ᄉᆡ ᄌᆞ - 훈몽자회(1527)
  • (마음대로 자): 恣 ᄂᆞ디ᄅᆞᆯ ᄌᆞ - 신증유합(1576)
  • (부지런할 자): 孶 삿기 칠 ᄌᆞ - 훈몽자회(1527)
  • (북돋울 자): 耔 붓도돌 ᄌᆞ - 훈몽자회(1527)
  • (불을 자): 滋 부를 ᄌᆞ - 훈몽자회(1527)
  • (사랑 자): 慈 어엿비 너길 ᄌᆞ - 신증유합(1576)
  • (술주자 자): 榨 고조 자 - 훈몽자회(1527)
  • (스스로 자): 自 스스로 ᄌᆞ - 훈몽자회(1527)
  • (암컷 자): 雌 암 ᄌᆞ - 훈몽자회(1527)
  • (옹달솥 자): 鼒 솓 ᄌᆞ - 훈몽자회(1527)
  • (재물 자): 資 ᄀᆞᅀᆞᆷ ᄌᆞ - 신증유합(1576)
  • (구기 작): 勺 구기 쟉 - 훈몽자회(1527)
  • (중매 작): 妁 듀ᇰᅀᅵᆫ 쟉 - 훈몽자회(1527)
  • (어제 작): 昨 어제 작 - 훈몽자회(1527)
  • (잔 잔): 盞 잔 잔 - 훈몽자회(1527)
  • (잠길 잠): 潛 ᄌᆞᆷᄀᆞᆯ ᄌᆞᆷ - 훈몽자회(1527)
  • (감출 장): 藏 갈ᄆᆞᆯ 장 - 광주천자문(1575), 藏 갈ᄆᆞᆯ 장 - 신증유합(1576)
  • (궁녀 장): 嬙 시녓 쟈ᇰ - 훈몽자회(1527)
  • (담 장): 墻 담 쟈ᇰ - 훈몽자회(1527)
  • (마당 장): 【築場憐穴蟻】 마ᄐᆞᆯ 다오매 굼긧 개야밀 어엿비 너기고 - 두시언해(7), 場 맏 댜ᇰ - 훈몽자회(1527)
  • (베풀 장): 張 활 지흘 댜ᇰ - 훈몽자회(1527)
  • (씩씩할 장): 莊 ᄎᆞᆷ다올 쟝 - 신증유합(1576)
  • (장막 장): 帳 댜ᇱ 댜ᇰ - 훈몽자회(1527)
  • (장수 장): 將 쟈ᇰ슈 쟈ᇰ - 훈몽자회(1527)
  • (장인 장): 匠 쟈ᇰᅀᅵᆫ 쟈ᇰ - 훈몽자회(1527), 匠 쥬위 쟝 - 신증유합(1576)
  • (창자 장): 腸 ᅀᅢ 댱 - 광주천자문(1575)
  • (마를 재): 裁 옷 ᄆᆞᄅᆞᆯ ᄌᆡ - 신증유합(1576)
  • (심을 재): 栽 시믈 ᄌᆡ - 훈몽자회(1527)
  • (재상 재): 宰 ᄌᆡ샤ᇰ ᄌᆡ - 훈몽자회(1527), 宰 사ᄒᆞᆯ ᄌᆡ - 광주천자문(1575), 宰 ᄆᆞᄅᆞ서흘 ᄌᆡ - 신증유합(1576)
  • (재앙 재)
  • 災禍: 災禍ᄂᆞᆫ 머즌 이리라 - 석보상절(11)
  • (공이 저): 杵 고 져 - 훈몽자회(1527)
  • (닥나무 저): 닥為楮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막을 저): 沮 그치 누를 져 - 신증유합(1576)
  • (쌓을 저): 儲 여툴 뎌 又 ᄆᆞ딜 뎌 - 훈몽자회(1527)
  • 儲積: 【秋冬 撙節儲積爲也 深藏不費爲也 以備農粮爲羅】 ᄀᆞᄋᆞᆯ과 겨ᄋᆞ레 존졀ᄒᆞ야 ᄆᆞ뎌 기피 간ᄉᆞᄒᆞ고 허비티 말라 녀름 지을 냐ᇰ시게 예비ᄒᆞ라 - 경민편 중간본(1579)
  • (젓가락 저): 筯 져 뎌 - 훈몽자회(1527)
  • (집 저): 邸 집 뎨 - 훈몽자회(1527)
  • (고요할 적): 寂은 괴외ᄒᆞᆯ씨라 - 월인석보(1권:서문)(1459)
  • (대적할 적): 敵 ᄀᆞᆯ올 뎍 - 훈몽자회(1527)
  • (붉을 적): 赤 블글 젹 - 신증유합(1576)
  • (가게 전): 廛 져제 뎐 - 훈몽자회(1527)
  • (돈 전): 錢 돈 젼 - 훈몽자회(1527)
  • (밭 전): 田 받 뎐 - 훈몽자회(1527)
  • (번개 전): 電 번게 뎐 - 훈몽자회(1527)
  • (자를 전): 剪 ᄀᆞᅀᅢ 젼 - 훈몽자회(1527)
  • 殿(전각 전): 殿 집 뎐 - 훈몽자회(1527)
  • (정할/제사 정): 奠 노ᄒᆞᆯ 뎐 - 훈몽자회(1527)
  • (도둑 적): 賊 도ᄌᆞᆨ 적 - 훈몽자회(1527)
  • (오랑캐 적): 狄 되 뎍 - 훈몽자회(1527)
  • (구를 전): 轉 올믈 뎐 - 훈몽자회(1527)
  • (앞 전)
  • 前日: 前日 그제 - 역어유해(1690)
  • (마디 절): 節 ᄆᆞᄃᆡ 졀 - 훈몽자회(1527)
  • (가게 점): 店 져제 뎜 - 훈몽자회(1527)
  • (대자리 점): 簟 삳 뎜 - 훈몽자회(1527)
  • (마루 접): 楪 뎝시 뎝 - 훈몽자회(1527)
  • (접붙일 접): 椄 졉ᄒᆞᆯ 졉 - 훈몽자회(1527)
  • (가지런할 정): 整 ᄎᆞᆯ올 졍 - 신증유합(1576)
  • (고무래/장정 정): 丁 ᄉᆞᆫ 뎌ᇰ - 훈몽자회(1527)
  • (고요할 정): 靜 괴오 졍 - 광주천자문(1575), 靜 ᄀᆞ마니 졍 - 신증유합(1576)
  • (깨끗할 정)
  • (뜰 정): 庭 ᄠᅳᆯ 뎌ᇰ - 훈몽자회(1527)
  • (뜻 정): 情 ᄠᅳᆮ 졍 - 신증유합(1576)
  • (솥 정): 鼎 솓 뎌ᇰ - 훈몽자회(1527)
  • (우물 정): 井 우믈 져ᇰ - 훈몽자회(1527)
  • (정자 정): 亭 뎌ᇰᄌᆞᆺ 뎌ᇰ - 훈몽자회(1527)
  • (정할 정)
  • 精氣: 精氣ᄂᆞᆫ 넉시라 ᄒᆞᄃᆞᆺ ᄒᆞᆫ ᄠᅳ디라 - 석보상절(9)(1447)
  • (조정 정): 廷 터 뎌ᇰ - 훈몽자회(1527)
  • (함정 정): 穽 함져ᇰ 져ᇰ - 훈몽자회(1527)
  • (갤 제): 霽 갤 졔 - 훈몽자회(1527)
  • (건널 제): 濟 거느릴 졔 - 훈몽자회(1527)
  • (굽 제): 굽為蹄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모두 제): 諸는 여러 가지라 - 월인석보(1)(1459), 諸 모ᄃᆞᆯ 졔 - 광주천자문(1575)
  • (사다리 제): 梯 ᄃᆞ리 뎨 - 훈몽자회(1527)
  • (임금 제): 帝 님굼 뎨 - 훈몽자회(1527)
  • (절제할 제): 制 ᄆᆞᄅᆞᆯ 졔 - 광주천자문(1575)
  • (지을 제): 製 지을 제 - 신증유합(1576)
  • (가래 조): 銚 쥬젼ᄌᆞ 됴 - 훈몽자회(1527)
  • (가지 조): 條 올 됴 - 광주천자문(1575)
  • (구유 조): 槽 고조 조 - 훈몽자회(1527)
  • (낚을 조): 釣 나ᄭᅳᆯ 됴 - 훈몽자회(1527)
  • (누릴 조): 臊 누릴 조 - 훈몽자회(1527)
  • (만날 조): 遭 만날 조 - 신증유합(1576)
  • (무리 조): 曹 마ᅀᆞᆯ 조 - 훈몽자회(1527)
  • (부엌 조): 竈 브ᅀᅥᆨ 조 - 훈몽자회(1527)
  • (비칠 조): 照 ᄇᆞᅀᆡᆯ 죠 - 훈몽자회(1527)
  • (새 조): 鳥 새 됴 - 훈몽자회(1527)
  • (아침 조): 朝 됴횟 됴 - 훈몽자회(1527)
  • (조리 조): 笊 죠ᄅᆡ 조 - 훈몽자회(1527)
  • (지을 조): 造 지ᅀᅳᆯ 조 - 훈몽자회(1527)
  • (겨레 족): 族 결에 족 - 신증유합(1576)
  • (높을 존): 尊 노ᄑᆞᆯ 존 - 신증유합(1576)
  • (마칠 졸): 卒 군ᄉᆞ 졸 - 훈몽자회(1527)
  • (마칠 종): 終 ᄆᆞᄎᆞᆷ 죵 - 광주천자문(1575)
  • (쇠북 종): 鍾 죠ᇰ 죠ᇰ - 훈몽자회(1527)
  • (씨 종): 種 시믈 죠ᇰ - 훈몽자회(1527)
  • (왼 좌): 左 욀 좌 - 훈몽자회(1527), 左 왼녁 좌 - 신증유합(1576)
  • (허물 죄): 罪 허믈 죄 - 훈몽자회(1527)
  • (고을 주): 州 고을 쥬 - 훈몽자회(1527)
  • (그루 주): 【粳米漸生糠糩 刈已不生有枯株】 그 粳米 거플도 나며 이운 그르히 잇거늘 - 월인석보(1), 株 읏듬 듀 - 훈몽자회(1527), 株 나모 믿 듀 - 신증유합(하)(1576)
  • (기둥 주): 柱 기도ᇰ 듀 - 훈몽자회(1527)
  • (달릴 주): 走 ᄃᆞᄅᆞᆯ 주 - 신증유합(1576)
  • (물가 주): 洲 믓ᄀᆞᆺ 쥬 - 훈몽자회(1527), 洲 쟈근셤 쥬 - 신증유합(1576)
  • (버틸 주): 拄 바퇼 듀 - 훈몽자회(1527)
  • (부엌 주): 廚 브ᅀᅥᆨ 듀 - 훈몽자회(1527)
  • (불릴 주): 鑄 쇠디울 주 - 신증유합(1576)
  • (빌 주): 呪 굴 츅 - 훈몽자회(1527)
  • (아뢸 주): 奏 ᄉᆞ올 주 - 광주천자문(1575)
  • (임금/주인 주): 主 님 쥬 - 훈몽자회(1527)
  • (장막 주): 㡡 댜ᇰ 듀 - 훈몽자회(1527)
  • (꾸물거릴 준): 蠢 구믈어릴 쥰 - 훈몽자회(1527)
  • (마칠 준): 竣 일 ᄆᆞᄎᆞᆯ 쥰 - 신증유합(1576)
  • (술통 준): 樽 주ᇇ 준 - 훈몽자회(1527)
  • (가운데 중): 中 가온ᄃᆡᆺ 듕 - 백련초해(1500?)
  • (벌레 먹을 중): 蚛 좀머글 듀ᇰ - 훈몽자회(1527)
  • (곧 즉): 旣ᄂᆞᆫ ᄒᆞ마 ᄒᆞ논 ᄠᅳ디라 - 월인석보(1)(1459)
  • (빗 즐): 櫛 얼에빗 즐 - 훈몽자회(1527)
  • (무리 중): 衆 물 즁 - 신증유합(1576)
  • (비단 증): 깁為繒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시루 증): 甑 시르 즈ᇰ - 훈몽자회(1527)
  • (증거 증): 證은 마긔와 알 씨라 - 월인석보(1권:서문)(1459), 證 마초ᄧᅳᆯ 즈ᇰ - 훈몽자회(1527)
  • (가짓 지): 枝 가짓 지 - 훈몽자회(1527)
  • (그칠 지): 止ᄂᆞᆫ 그치 누를씨라 - 능엄경언해(1)(1464)
  • (땅 지): ᄯᅡ為地 - 훈민정음 해례본(1446), 地 ᄯᅡ 디 - 훈몽자회(1527)
  • (뜻 지): 志 큰 ᄠᅳᆮ 지 - 신증유합(1576)
  • (못 지): 池 못 디 - 훈몽자회(1527), 池 못 디 - 백련초해(1500?)
  • (슬기/지혜 지): 【人有愚智언뎌ᇰ】 사ᄅᆞ미 슬거오니 어리니 이실 ᄲᅮᆫ뎌ᇰ - 초발심자경문(1577)
  • (지대뜰 지): 墀 ᄠᅳᆯ 디 - 훈몽자회(1527)
  • (지탱할 지): 支ᄂᆞᆫ 갈아 날씨니 - 법화경언해(1463)
  • (직분 직): 職 벼술 직 - 훈몽자회(1527)
  • (짤 직): 織 ᄧᆞᆯ 직 - 훈몽자회(1527), 織 뵈ᄧᆞᆯ 직 - 신증유합(1576)
  • (구휼할 진): 賑 쥐칠 진 - 훈몽자회(1527)
  • (나루 진): 津 ᄂᆞᄅᆞ 진 - 훈몽자회(1527), 津 진 진 ᄂᆞᄅᆞ 진 - 신증유합(1576)
  • (나아갈 진): 進 나ᄋᆞᆯ 진 - 신증유합(1576)
  • (우레 진): 震은 ᄠᅥᆯ씨오 擊은 다이즐씨라 - 능엄경언해(5)(1461)
  • (베풀/묵을 진): 陳 무글 딘 - 광주천자문(1575)
  • (티끌 진): 塵 듣글 딘 - 훈몽자회(1527)
  • (모을 집): 集 모ᄃᆞᆯ 집 - 훈몽자회(1527), 集 모ᄃᆞᆯ 집- 신증유합(1576)
  • (거꾸러질 질): 跌 거텨딜 딜 - 훈몽자회(1527)
  • (꾸짖을 질): 叱 ᄭᅮ지즐 즐 - 신증유합(1576)
  • (미워할 질): 嫉 새옴 질 - 신증유합(1576)
  • (번갈아들 질): 迭 벅디글 딜 - 신증유합(1576)
  • (주춧돌 질): 礩 쥬츄 질 - 훈몽자회(1527)
  • 斟酌: 어림 斟酌 - 한불자전(1880), 어림ᄒᆞ다 斟酌 - 한불자전(1880)
  • (맑을 징): 澄 ᄆᆞᆯ길 드ᇰ - 훈몽자회(1527)
  • (부를 징): 徵 물일 디ᇰ - 훈몽자회(1527)



1.10. ㅊ[편집]


  • (가지 차): 杈 거릴 차 - 훈몽자회(1527)
  • (나무벨 차): 槎 들궐 사 - 훈몽자회(1527)
  • (기릴 찬): 讚ᄋᆞᆫ 기릴씨라 - 월인석보(1)(1459), 讚 기릴 찬 - 광주천자문(1575)
  • (뚫을 찬): 鑽 비븨 찬 - 훈몽자회(1527)
  • (절 찰): 刹 뎔 찰 - 훈몽자회(1527)
  • (역마을 참): 站 역 참 - 훈몽자회(1527)
  • (참혹할 참): 慘 셜울 참 - 신증유합(1576)
  • (곳집 창): 倉ᄋᆞᆫ 갈ᄆᆞᆯ씨니 나ᄃᆞᆯ 갈ᄆᆞᆯ씨라 - 석보상절(9)(1447), 倉 차ᇰ 차ᇰ - 훈몽자회(1527)
  • (공장 창): 廠 허간 챠ᇰ - 훈몽자회(1527)
  • (창 창): 囱 굴 초ᇰ - 훈몽자회(1527)
  • (창 창): 䆫 차ᇰ 차ᇰ - 훈몽자회(1527)
  • (창녀 창): 娼 녀계 챠ᇰ - 훈몽자회(1527)
  • (나물 채): 菜 ᄂᆞᄆᆞᆯ ᄎᆡ - 훈몽자회(1527)
  • (목책 채): 寨 목ᄎᆡᆨ 채 - 훈몽자회(1527)
  • (풍채 채): 采ᄂᆞᆫ ᄀᆞᆯᄒᆡᆯ씨라 - 월인석보(1)(1459)
  • (꾀/채찍 책): 策ᄋᆞᆫ ᄆᆞᆯ채오 - 능엄경언해(1)(1464)
  • (꾸짖을 책): 責ᄋᆞᆫ 외다 ᄒᆞᆯ씨라 - 능엄경언해(1)(1464)
  • (울타리 책): 柵 세댜ᇰ ᄎᆡᆨ - 훈몽자회(1527)
  • (곳 처): 處는 고디라 - 월인석보(1권:서문)(1459)
  • (아내 처): 妻는 가시라 - 월인석보(1권:12ㄱ)(1459)
  • (자 척): 尺 자 쳑 - 훈몽자회(1527)
  • (내 천): 【源逺之水 早亦不竭 流斯爲川 于海必達】 ᄉᆡ미 기픈 므른 ᄀᆞᄆᆞ래 아니 그츨ᄊᆡ 내히 이러 바ᄅᆞ래 가ᄂᆞ니 - 용비어천가(2장)(1447), 川 내 쳔 - 훈몽자회(1527)
  • (대그릇 천): 篅 노젹 쳔 - 훈몽자회(1527)
  • (샘 천): 泉 ᄉᆡᆷ 쳔 - 훈몽자회(1527)
  • (천할 천): 賤 쳔ᄒᆞᆯ 쳔 - 신증유합(1576)
  • (등마루 척): 脊 등ᄆᆞᄅᆞ 쳑 - 신증유합(1576)
  • (외짝 척): 隻 외ᄧᅡᆨ 쳑 - 훈몽자회(1527)
  • (친척 척): 戚 아ᅀᆞᆷ 쳑 - 광주천자문(1575)
  • (얕을 천): 淺 여ᄐᆞᆯ 쳔 - 신증유합(1576)
  • (일천 천): 千 즈믄 쳔 - 백련초해(1500?)
  • 𢳍(찌를 천): 𢳍 것고즐 쳔 - 훈몽자회(1527)
  • (천거할 천): 薦은 올일씨오 - 월인석보(1)(1459), 薦 지즑 쳔 - 훈몽자회(1527), 薦 올일 쳔 - 신증유합(하)(1576)
  • (밝을 철): 哲 ᄉᆞᄆᆞᆺ 알 텰 - 훈몽자회(1527)
  • (달 첨):
  • 甛霜: 甛霜 므서리 - 역어유해(상)(1690)
  • (뾰족할 첨): 尖 귿ᄲᆞᆯ 쳠 - 신증유합(1576)
  • (처마 첨): 簷 기슭 쳠 - 훈몽자회(1527)
  • (갤 청): 晴 갤 쳐ᇰ - 훈몽자회(1527)
  • (관청 청): 廳 집 텨ᇰ - 훈몽자회(1527)
  • (뒷간 청): 圊 뒷간 쳐ᇰ - 훈몽자회(1527)
  • (맑을 청): 淸 ᄆᆞᆯᄀᆞᆯ 쳐ᇰ - 훈몽자회(1527), 淸 ᄆᆞᆯᄀᆞᆯ 쳥 - 신증유합(1576)
  • 淸淨: 淸淨은 ᄆᆞᆰ고 조ᄒᆞᆯ씨라 - 월인석보(2권:12ㄱ)(1459)
  • (꼭지 체): 蔕 고고리 톄 - 훈몽자회(1527)
  • (몸 체): 體ᄂᆞᆫ 모미라 - 월인석보(1권:서문)(1459), 體 얼굴 톄 - 신증유합(1576)
  • (나무끝 초): 梢 귿 쵸 - 훈몽자회(1527)
  • (나무할 초): 樵 나모 뷜 쵸 - 훈몽자회(1527)
  • (주춧돌 초): 礎 쥬츄 초 - 훈몽자회(1527)
  • (풀 초): 草 플 초 - 훈몽자회(1527)
  • (닿을 촉): 觸 다틸 쵹 - 신증유합(1576)
  • (마을 촌): 村 ᄆᆞᅀᆞᆯ 촌 - 훈몽자회(1527), 村 ᄆᆞᅀᆞᆯ 촌 - 백련초해(1500?)
  • (떨기 총): 叢 ᄠᅥᆯ기 초ᇰ - 훈몽자회(1527)
  • 叢林: 叢林ᄋᆞᆫ 얼근 수프리라 - 석보상절(19)
  • (사랑할 총): 寵 괴일 툥 - 광주천자문(1575), 寵 괼 툥 - 신증유합(1576)
  • (서까래 최): 榱 셔 최 - 훈몽자회(1527)
  • (가래나무 추): ᄀᆞ래為楸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꼴 추): 蒭 ᄭᅩᆯ 추 - 훈몽자회(1527)
  • (벽돌 추): 甃 무ᅀᅳᆯ 츄 - 훈몽자회(1527)
  • (병아리 추): 雛 삿기 추 - 훈몽자회(1527)
  • (송곳 추): 錐 솔옷 쵸 - 훈몽자회(1527)
  • (용수 추): 篘 로ᇰᄉᆞ 추 - 훈몽자회(1527)
  • (저울추 추): 錘 ᄃᆞ림 튜 - 훈몽자회(1527)
  • (지도리 추): 樞 지도리 츄 - 훈몽자회(1527)
  • (쌓을 축): 築 ᄉᆞᆯ 튝 - 훈몽자회(1527)
  • (굴대 축): 軸은 글월ᄆᆞ로니라 - 월인석보(1)(1459)
  • (쫓을 축): 逐 ᄧᅩᄎᆞᆯ 튝 - 신증유합(1576)
  • (날 출): 出은 나아 ᄒᆞ닐씨라 - 월인석보(1)(1459)
  • (높이 날 충): 翀 ᄂᆞ라 오ᄅᆞᆯ 튜ᇰ - 훈몽자회(1527)
  • (벌레 충): 蟲 벌에 튜ᇰ - 훈몽자회(1527)
  • (가질 취): 取ᄂᆞᆫ 가질씨오 - 월인석보(1권:서문)(1459)
  • (냄새 취): 臭 내 ᄎᆔ - 훈몽자회(1527)
  • (뒷간 측): 厠 뒷간 ᄎᆞ - 훈몽자회(1527)
  • (슬퍼할 측): 惻 에엿비 너길 측 - 신증유합(1576)
  • (해기울 측): 昃 기울 ᄎᆡᆨ - 훈몽자회(1527)
  • (빽빽할 치): 緻 ᄭᅳᆷ 업슬 티 - 신증유합(1576)
  • (어리석을 치): 癡 어릴 티 - 신증유합(1576)
  • (잔 치): 巵 대야 치 - 훈몽자회(1527)
  • (칙서 칙): 勅 저릴 틱 - 광주천자문(1575)
  • (친할 친): 親 어버이 친 - 광주천자문(1575)
  • (다듬잇돌 침): 砧 버터ᇰ 팀 - 훈몽자회(1527)
  • (베개 침): 枕 벼개 침 - 훈몽자회(1527)
  • (잘 침): 寢 몸채 침 - 훈몽자회(1527)
  • (침 침): 鍼 바ᄂᆞᆯ 침 - 훈몽자회(1527)
  • (일컬을 칭): 稱 잇ᄀᆞᄅᆞ 친 - 광주천자문(1575)
  • (저울 칭): 秤 저울 치ᇰ - 훈몽자회(1527)


1.11. ㅋ[편집]


  • (거간 쾌): 儈 즈름 회 - 훈몽자회(1527)


1.12. ㅌ[편집]


  • (높을 탁): 卓 고죡사ᇰ 탁 - 훈몽자회(1527)
  • (전대 탁): 橐 주머니 탁 - 훈몽자회(1527)
  • (흐릴 탁): 濁 흐릴 탁 - 훈몽자회(1527)
  • (숯 탄): 숫為炭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여울 탄): 灘 여흘 탄 - 훈몽자회(1527)
  • (벗을 탈): 梲 대고ᇰ 졀 - 훈몽자회(1527)
  • (빼앗을 탈): 奪 아ᅀᆞᆯ 탈 - 훈몽자회(1527), 奪 아ᄋᆞᆯ 탈 - 신증유합(1576)
  • (걸상 탑): 榻 펴ᇰ사ᇰ 탑 - 훈몽자회(1527)
  • (금고 탕): 帑 금으ᇇ고 타ᇰ - 훈몽자회(1527)
  • (방탕할 탕): 蕩ᄋᆞᆫ 헤퍼딜씨라 - 능엄경언해(1)(1464)
  • (거의/위태할 태): 殆 바ᄃᆞ라올 ᄐᆡ - 광주천자문(1575)
  • (못 택): 澤 못 ᄐᆡᆨ - 훈몽자회(1527), 澤 웅덩이 ᄐᆡᆨ - 신증유합(1576)
  • (집 택): 宅 집 ᄐᆡᆨ - 훈몽자회(1527)
  • (토할 토): 吐 비와ᄐᆞᆯ 토 - 신증유합(1576)
  • (거느릴 통): 統ᄋᆞᆫ 모도자ᄇᆞᆯ씨오 - 월인석보(1459), 統 거느릴 토ᇰ - 훈몽자회(1527), 統 실머리 통 - 신증유합(1576)
  • 統領: 統領은 모도 거느릴씨라 - 월인석보(19)(1459)
  • (아플 통): 痛 셜울 통 - 신증유합(1576)
  • 退(물러날 퇴): 退 므를 퇴 - 훈몽자회(1527), 退 므를 퇴 - 신증유합(1576)
  • (변기 투): 㢏 매유토ᇰ 투 - 훈몽자회(1527)
  • (샘낼 투): 妬 새옴 투 - 신증유합(1576)
  • (특별할 특): 奇ᄂᆞᆫ 神奇ᄒᆞᆯ씨오 特은 ᄂᆞᄆᆡ 므리예 ᄠᆞ로 다ᄅᆞᆯ씨라 - 석보상절(6)(1447)


1.13. ㅍ[편집]


  • (가시대 파): 笆 바조 파 - 훈몽자회(1527)
  • (깨뜨릴 파): 破 헤틸 파 - 신증유합(1576)
  • (꽃 파): 葩 곳 보ᇰ리 파 - 훈몽자회(1527)
  • (물결 파): 波 믓결 파 - 백련초해(1500?)
  • 𣠽(칼자루 파): 𣠽 ᄌᆞᄅᆞ 파 - 훈몽자회(1527)
  • (널빤지 판): 板 널 판 - 훈몽자회(1527)
  • (언덕 판): 阪 두듥 판 - 훈몽자회(1527)
  • (외씨 판): 瓣 ᄧᅩᆨ 판 - 훈몽자회(1527)
  • (방죽 패): 壩 언 패 - 훈몽자회(1527)
  • (조개 패): 貝 쟈개 패 - 훈몽자회(1527)
  • (엮을 편): 編 엿글 편 - 신증유합(1576)
  • (조각 편): 片 이작 편 - 신증유합(1576)
  • (낮출 폄): 貶 외다ᄒᆞᆯ 폄 - 신증유합(1576)
  • (대궐의 섬돌 폐): 陛 버터ᇰ 폐 - 훈몽자회(1527)
  • (시룻밑 폐): 箅 시르 믿 비 - 훈몽자회(1527)
  • (울짱 폐): 梐 살문 폐 - 훈몽자회(1527)
  • (허파 폐): 肺 부화 폐 - 신증유합(1576)
  • (거품 포): 泡 거품 포 - 훈몽자회(1527)
  • (덮을 포): 菢 알아늘 포 - 훈몽자회(1527)
  • (두려워할 포): 怖 두릴 포 - 신증유합(1576)
  • (떨기 포): 苞 ᄠᅥᆯ기 포 - 훈몽자회(1527)
  • (부엌 포): 庖 브ᅀᅥᆨ 포 - 훈몽자회(1527)
  • (사나울 포): 暴 모딜 포 - 훈몽자회(1527)
  • (신시 포): 晡 나죄 포 - 훈몽자회(1527)
  • 𦔩(김맬 표): 𦔩 기ᅀᅳᆷᄆᆡᆯ 표 - 훈몽자회(1527)
  • (펼/가게 포): 鋪 역 푸 - 훈몽자회(1527)
  • (떠다닐 표): 漂 ᄠᅥ갈 표 - 신증유합(1576)
  • (물건 품): 品 ᄎᆞ례 품 - 훈몽자회(1527)
  • (풍년 풍): 豊 녀름 됴ᄒᆞᆯ 푸ᇰ - 훈몽자회(1527), 豊 풍셩 풍 - 신증유합(1576)
  • (가죽 피): 여ᇫ의 갗 爲狐皮 - 훈민정음 해례본(1446), 【治凍瘡皮膚破爛痛不可忍】 凍瘡이 갓과 ᄉᆞᆯ쾌 헤여디여 알포ᄆᆞᆯ ᄎᆞᆷ디 몯ᄒᆞᄂᆞ닐 고툐ᄃᆡ - 구급방언해(상)(1466), 皮 갓 피 - 훈몽자회(1527)
  • (마칠 피): 畢 ᄆᆞᄎᆞᆯ 필 - 신증유합(1576)
  • (방죽 피): 陂 우ᇰ더ᇰ이 피 - 훈몽자회(1527)
  • (피곤할 피): 疲 시드러울 피 - 훈몽자회(1527), 疲 ᄀᆞᆺᄇᆞᆯ 피 - 신증유합(1576)
  • (피할 피): 【陶潜避俗翁】 陶潛ᄋᆞᆫ 世俗ᄋᆞᆯ 에여 ᄃᆞᆫ니ᄂᆞᆫ 한아비니 - 두시언해 초간본(3)(1481), 【避人焚諫草 騎馬欲雞栖】 사ᄅᆞᄆᆞᆯ 에여 가 諫諍ᄒᆞ던 긄 草ᄅᆞᆯ 브레 ᄉᆞᆯ오 ᄆᆞᆯ 타 나오니 -두시언해 초간본(6)(1481)
  • (모자랄 핍): 乏 모ᄌᆞ랄 핍 - 신증유합(1576)
  • (핍박할 핍): 逼 버길 핍 - 광주천자문(1575)


1.14. ㅎ[편집]


  • (노을 하): 霞 노을 하 - 훈몽자회(1527)
  • (문간방 하): 厦 집 하 - 훈몽자회(1527)
  • (물 하): 河 ᄀᆞᄅᆞᆷ 하 - 훈몽자회(1527), 河 ᄀᆞᄅᆞᆷ 하 - 광주천자문(1575)
  • (모질 학): 虐 모딜 학 - 신증유합(1576)
  • (한 한): 恨 애ᄃᆞᆯ ᄒᆞᆫ - 신증유합(1576)
  • (한가할 한): 閑 겨를 한 부질업슬 한 - 신증유합(1576)
  • (한국/나라 한): 韓 나라 한 - 광주천자문(1575)
  • (난간 함): 檻 듸누리 함 - 훈몽자회(1527)
  • (쪽문 합): 閤 도자ᇰ 합 - 훈몽자회(1527)
  • (합할 합): 合은 對ᄒᆞ야 서르 ᄧᅡᆨ 마촐씨니 - 월인석보(1)(1459), 合 모ᄃᆞᆯ 합 - 신증유합(1576)
  • (통 합): 榼 합 합 - 훈몽자회(1527)
  • (거리 항): 巷 굴헝 하ᇰ - 훈몽자회(1527)
  • (마를 항): 炕 구들 가ᇰ - 훈몽자회(1527)
  • (악공 항): 䘕 녀계 하ᇰ - 훈몽자회(1527)
  • (짝 항): 伉 ᄀᆞᆯ올 하ᇰ - 훈몽자회(1527)
  • (차꼬 항): 桁 도리 ᄒᆡᇰ - 훈몽자회(1527)
  • (항아리 항): 缸 하ᇰ 하ᇰ - 훈몽자회(1527)
  • (공해 해): 廨 집 ᄒᆡ - 훈몽자회(1527)
  • (어린아이 해): 孩 ᄌᆞᆫ아기 ᄒᆡ - 신증유합(1576)
  • (풀뿌리 해): 荄 불휘 ᄒᆡ - 훈몽자회(1527)
  • (함께 해): 偕 ᄒᆞᆷᄭᅴ ᄒᆡ - 신증유합(1576)
  • (다닐 행): 行 져제 하ᇰ - 훈몽자회(1527)
  • (향기 향): 香 곳다을 향 - 백련초해(1500?)
  • (건량 향): 餉 이바ᄃᆞᆯ 향 - 신증유합(1576)
  • (시골 향): 鄕 스굴 햐ᇰ - 훈몽자회(1527)
  • (씨 핵): 核 ᄡᅵ ᄒᆡᆨ - 훈몽자회(1527)
  • (불 허): 噓 굴 허 - 신증유합(1576)
  • (허락할 허): 許 허ᄒᆞᆯ 허 - 신증유합(1576)
  • (집 헌): 軒 듸누리 헌 - 훈몽자회(1527)
  • (험할 험): 險 머흘 험 - 신증유합(1576)
  • (가죽 혁): 革 갓 혁 - 훈몽자회(1527)
  • (검을 현): 玄은 머러 그지업슬씨오 - 월인석보(1권:서문)(1459), 玄 가ᄆᆞᆯ 현 - 신증유합(1576)
  • (고개 현): 峴 고개 현 - 훈몽자회(1527)
  • (나타날 현): 現은 나톨씨라 - 월인석보(1권:서문)(1459)
  • (매달 현): 縣 고을 현 - 훈몽자회(1527)
  • (어질 현): 賢 어딜 현 - 광주천자문(1575)
  • (줄 현): 絃 시울 현 - 광주천자문(1575)
  • (구멍 혈): 穴 구무 혈 - 훈몽자회(1527), 穴 구무 혈 - 신증유합(1576)
  • (싫어할 혐): 嫌 믤 혐 - 신증유합(1576)
  • (낄 협): 筴 져 협 - 훈몽자회(1527)
  • (위협할/겨드랑이 협): 脅 저릴 헙 녑 헙 - 신증유합(1576)
  • (상자 협): 篋 섥 협 - 훈몽자회(1527)
  • (저울대 형): 衡 저욼대 혀ᇰ - 훈몽자회(1527)
  • (은혜 혜): 惠 은혜 혜 - 광주천자문(1575)
  • (가로막이 호): 枑 살문 호 - 훈몽자회(1527)
  • (김맬 호): 薅 기ᅀᅳᆷᄆᆡᆯ 호 - 훈몽자회(1527)
  • (넓을 호): 浩ᄂᆞᆫ 넙고 클씨라 - 월인석보(1)(1459)
  • (범 호): 帍 ᄒᆡᇰᄌᆞ쵸마 호 - 훈몽자회(1527)
  • (병 호): 壺 호벼ᇰ 호 - 훈몽자회(1527)
  • (집/지게 호): 【赤爵御書 止室之戶】 블근 새 그를 므러 寢室 이페 안ᄌᆞ니 - 용비어천가(1447), 戶 입 호 - 훈몽자회(1527), 戶 ᄧᅡᆨ문 호 - 신증유합(1576), 戶 입 호 - 백련초해(1500?)
  • (풀칠할 호): 糊 밀플 호 - 훈몽자회(1527)
  • (하늘 호): 昊 하ᄂᆞᆯ 호 - 훈몽자회(1527)
  • (해자 호): 壕 ᄒᆡᄌᆞ 호 - 훈몽자회(1527)
  • (넋 혼): 魂 넉 혼 - 훈몽자회(1527)
  • (뒷간 혼): 圂 뒷간 혼 - 훈몽자회(1527)
  • (문지기 혼): 閽 고쟈 혼 - 훈몽자회(1527)
  • (섞을 혼): 混 흐릴 혼 - 훈몽자회(1527)
  • (어두울 혼): 昏 어ᅀᅳ름 혼 - 훈몽자회(1527)
  • (갑자기 홀): 忽 업시울 홀 믄득 홀 - 신증유합(1576)
  • (그림 화): 畵 그릴 화 - 훈몽자회(1527)
  • (꽃 화): 花 곳 화 - 훈몽자회(1527), 花 곳 화 - 백련초해(1500?)
  • (될 화): 化 도읠 화 - 훈몽자회(1527)
  • (벼 화): 禾 쉬 화 - 훈몽자회(1527), 禾 쉬 화 - 신증유합(1576)
  • (빛날 화): 華 빗날 화 - 훈몽자회(1527)
  • (화할 화): 和 고ᄅᆞᆯ 화 - 신증유합(1576)
  • (가마솥 확): 鑊 솓 확 - 훈몽자회(1527)
  • (경기 고을 환): 寰 고을 환 - 훈몽자회(1527)
  • (고리 환): 環 골ᄒᆡ 환 - 광주천자문(1575)
  • (바꿀 환): 換 밧골 환 - 훈몽자회(1527)
  • (벼슬 환): 宦 고쟈 환 - 훈몽자회(1527)
  • (헛보일 환)
  • 幻質: 幻質ᄋᆞᆫ 곡도 ᄀᆞᆮᄒᆞᆫ 얼구리오 - 월인석보(2)
  • (거칠 황): 荒 거츨 황 - 광주천자문(1575)
  • (두려울 황): 惶 저흘 황 - 광주천자문(1575)
  • (임금 황): 皇 님굼 화ᇰ - 훈몽자회(1527)
  • (해자 황): 隍ᄋᆞᆫ 城 밧 모시라 - 능엄경언해(1)(1464), 隍 ᄒᆡᄌᆞ 화ᇰ - 훈몽자회(1527)
  • (휘장 황): 幌 댜ᇰ 화ᇰ - 훈몽자회(1527)
  • (그믐 회): 晦 그믐 회 - 훈몽자회(1527), 晦 그믐 회 - 광주천자문(1575)
  • (뉘우칠 회): 悔 뉘우츨 회 - 신증유합(1576)
  • (회 회): 膾ᄂᆞᆫ ᄇᆞ릴씨라 - 능엄경언해(1)(1464)
  • (가로 횡): 橫 빗글 회ᇰ - 훈몽자회(1527)
  • (돈대 후): 堠 댜ᇰ수ᇰ 후 - 훈몽자회(1527)
  • (울부짖을 후): 吼 우를 후 - 훈몽자회(1527)
  • (임금/왕후 후): 后 듀ᇰ구ᇰ 후 - 훈몽자회(1527)
  • (제후 후): 侯 님굼 후 - 훈몽자회(1527)
  • (무리 훈): 暈 모로 운 - 훈몽자회(1527)
  • (훈채 훈): 葷 누릴 훈 - 훈몽자회(1527)
  • (온난할 훤): 暄 더울 훤 - 훈몽자회(1527), 暄 ᄃᆞᄉᆞᆯ 훤 - 신증유합(1576)
  • (풀 훼): 卉 플 훼 - 훈몽자회(1527)
  • (헐 훼): 毁 헐ᄲᅳ릴 훼 - 훈몽자회(1527)
  • (숨길/꺼릴 휘): 諱 그일 휘 - 신증유합(1576)
  • (옷걸이 휘): 楎 걸말 휘 - 훈몽자회(1527)
  • (무리 휘): 彙 물 휘 - 훈몽자회(1527)
  • (빛날 휘): 輝 빗날 휘 - 신증유합(1576)
  • (햇빛 휘): 暉 비췰 휘 - 훈몽자회(1527)
  • 觿(뿔송곳 휴): 觿 쇠약 휴 - 훈몽자회(1527)
  • (불쌍할 휼): 恤 어엿블 휼 - 훈몽자회(1527)
  • (흉할 흉): 凶 구즐 흉 - 신증유합(1576)
  • (해돋을 흔): 昕 아ᄎᆞᆷ 흔 - 훈몽자회(1527)
  • (말 더듬을 흘): 吃 혀 더틀 걸 - 훈몽자회(1527)
  • (공경할 흠): 欽 고마 흠 - 신증유합(1576)
  • (마실 흡): 吸 드리ᄲᆞᆯ 흡 - 신증유합(1576)
  • (기쁠 희): 喜 깃글 희 - 신증유합(1576)
  • (드물 희): 稀 드믈 희 - 신증유합(1576)
  • (희롱할 희): 戱 노ᄅᆞᆺ 희 - 훈몽자회(1527)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4:30:58에 나무위키 한자/우리말 새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