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오자

덤프버전 :

분류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자
[ 펼치기 · 닫기 ]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표준자형) · 간체자 · 신자체(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 학년별한자배당표 · 통용규범한자표) ·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인명용 한자표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 한어병음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일본 한자음 · 상고음 · 중고음 · 양안 간의 독음 · 광동어 정음 운동 · 문백이독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나라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한한대사전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가나(히라가나 · 가타카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방언자 · 쯔놈 · 고장자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입력 · 검색
중국어/입력기 · 창힐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한자

1. 개요
2. 목록
2.1. 인명



1. 개요[편집]


말 그대로 한자잘못 작성하는 것으로, 한자 사용지역(한국, 중화권, 일본)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이다. 보통 한자를 잘못 쓰거나 활자를 쓰던 시절에 신문제작 과정에서 글자 모양이 비슷한 활자를 잘못 집어내어 인쇄한 것이 원인. 한자를 잘못 찍어낸 경우가 한자를 잘못 작성한 것이다. 현재는 신문을 컴퓨터 입력 방식으로 작성하고 인쇄하기 때문에, 활자를 박아 인쇄하던 옛날에 비해선 오자가 많이 줄어 들었다. 아래의 예시도 옛날 신문이 대부분이다. 다만 오늘날에도 인명과 같은 고유명사에서는 자주 발생하는 편이다. 혹은 한자에 대한 무지, 변환 실수로 음만 같은 다른 한자어로 변환되는 오류가 간혹 나오는 편이다. 주로 지하철 역사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또한 tv 프로그램에서도 한자를 써서 더 멋지게 표현하려다 勝(승)을 承으로 잘못 쓰는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언론사에서도 이런 실수가 자주 발생하는데, 예로 SBS에서는 질병관리청을 廳이라고 적어야 할 것을 이라고 잘못 적은 적이 있다. 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

그렇다고 컴퓨터 입력 방식이 신뢰성이 높은 것만은 아니다. 비슷한 글자가 많아 OCR에서는 인식률이 그야말로 바닥을 기는 수준이다.

2. 목록[편집]


  • 統領, 統領(견통령[1], 태통령): 統領(대통령)
  • 韓民國, 韓民國(견한민국, 태한민국): 韓民國(대한민국)[2]
  • 動車(백동차): 動車(자동차)[3]
  • 轉車(백전거, 백전차): 轉車(자전거)[4]
  • 紙化(자지화): 紙化(백지화)
  • 帝, 帝(견제, 태제): 帝(대제)[5]
  • 会(견회): 会(대회)[6]
  • 本(왈본): 本(일본)[7]
  • (한자): 漢(한자)[8]

2.1. 인명[편집]


  • 斗煥(김두환): 斗煥(전두환)[9]
  • 金在(김재전): 金在(김재박)
  • 溫家(온가실): 溫家(온가보)
  • 民(강괴민): 江民(강택민)
  • 承晩(계승만): 承晩(이승만)[10]
  • 撥光(침[11]발광): 沈揆先(심규선)[12]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5:27:28에 나무위키 한자오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승만 정권 시절 국민일보나 대구매일신문 등에서 잘못 썼다가 관계자들이 구속되고 신문사가 정간까지 될 정도로 큰 사건으로 비화됐었다. 해당 문서 참조.[2] 견한민국으로 표기된 기사태한민국으로 표기된 기사가 있지만 이것은 신문제작과정에서 한자를 잘못 찍어낸 것이다. 지금은 대한민국 내부의 문제점을 비판이나 비난하기 위해서 그렇게 쓰는 경우가 있다. 또 지금은 없어진 모 친일카페의 제목이 견한민국(犬韓民國)이기도 했는데, 그 카페주소명이 RepublicDogKorea 이다.[3] 신문사가 잘못 작성하다보니 화물자동차가 화물백동차(貨物白動車)로 나왔으며, 현대자동차와 쌍용자동차는 현대백동차(現代白動車)와 쌍용백동차(雙龍白動車)로 나오기도 했다. 1967년 기사, 1988년 기사1, 1988년 기사2[4] 1974년 기사[5] 1980년대의 일본 요미우리신문이 기사 작성중 메이지대제를 메이지견제라고 잘못 작성했다.[6] 1990년대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가 공산당 전국인민대회 관련기사를 작성중 "대회"부분을 잘못 쓴 게 그대로 나가는 바람에 피의 숙청이 불가피했었다.[7] 모르는 사람은 구분이 안갈것이다.[8] 한컴오피스 한글의 글꼴 설정 창에 존재했던 오타이다. 2014 VP와 NEO, 2018에서는 업데이트로 올바르게 수정되었다.[9] #[10] #[11] 한자는 같은데 발음이 틀렸다.[12] 동아일보에 심규선(沈揆先)이라는 이름의 언론인이 사회부 기자로 재직하고 있을 당시 한 독자가 심규선 기자의 기사를 읽고 동아일보로 항의전화를 걸었는데 한자로 적힌 기자 이름을 잘못 읽은 나머지 "침발광(沈撥光) 기자 바꾸라"고 했다는 일화가 있다. 이 일화는 교열기자의 오답노트라는 책에도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