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호크 작전

최근 편집일시 :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6.25 전쟁의 전투 및 작전 목록 파일:북한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1950년
북한군의 남침
6월
폭풍 작전

· 옹진반도 전투

· 개성-문산 전투

· 고랑포 전투

· 봉일천 전투

· 김포반도 전투

· 옥계 전투

· 강릉 전투

· 춘천-홍천 전투

· 대한해협 해전

· 동두천 전투

· 포천 전투

· 의정부 전투

· 내촌-태릉 전투

· 수원 비행장 전투

· 한강 인도교 폭파 · 한강 방어선 전투


7월
주문진항 해전

· 동락리 전투

· 오산 전투

· 평택 전투

· 진천 전투

· 천안 전투

· 전의-조치원 전투

· 청주 전투

· 금강 방어선 전투(공주-대평리 전투)

· 장항-군산-이리 전투

· 대전 전투


8월
청송 전투

· 낙동강 방어선 전투

(안동·의성전투

· 마산 전투

·다부동 전투

· 창녕·영산전투

· 안강·기계 ~ 영천·신녕 전투

· 포항 전투

· 포항 철수작전

· 통영 상륙작전

)
유엔군의 반격
9월
장사 상륙작전

· 인천 상륙작전

· 9.28 서울 수복


10월
평양 탈환작전

· 초산 전투


중공군 개입
10월
중공군 1차 공세(10/25)


11월
개천-비호산 전투

· 중공군 2차 공세(11/25)

· 청천강 전투

· 장진호 전투


12월
평양 철수

· 흥남 철수작전

· 중공군 3차 공세(12/31)


1951년
1월
1.4 후퇴

· 평양 대공습

· 울프하운드 작전

· 유엔군 1차 반격(1/25)

· 선더볼트 작전

· 원산 포위전

· 금양장리 전투

· 라운드업 작전


2월
중공군 4차 공세(2/11)

· 횡성 전투

· 지평리 전투

· 유엔군 2차 반격(2/20)

· 전략도서 확보 작전

· 원산 포위전

· 킬러 작전


3월
리퍼 작전

· 커리지어스 작전

· 토마호크 작전


4월
러기드 작전

· 중공군 5차 공세(4/22)

· 매봉·한석산 전투

· 사창리 전투

· 설마리 전투

· 파평산 전투

· 가평 전투


5월
설악산 전투

· 중공군 6차 공세(5/16)

· 현리 전투

· 용문산 전투

· 한계 전투

· 유엔군 3차 반격(5/23)


전선 교착
6·7월
도솔산 전투

· 평양 대공습


8월
피의 능선 전투

· 펀치볼 전투


9·10월
가칠봉 전투

· 단장의 능선 전투

· 백석산 전투

· 코만도 작전


11·12월
크리스마스 고지 전투


1952년
1월
승호리 철교 폭파작전


3월
장단-사천강 전투


7월
수도고지-지형능선 전투

351고지 전투


9월
백마고지 전투

· 1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저격능선 전투


1953년
3월
폭찹힐 전투


5월
M-1고지 전투


6월
351고지 전투

· 2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949-973-883고지 전투


7월
중공군 7차 공세(7/13)

· 금성 전투

· 백암산 전투

· 425고지-406고지 전투


첨자 : 공산군의 승리 / 첨자 : 유엔군의 승리
월표기: 전투 개시일 기준, 실제 교전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토마호크 작전은 1951년 3월 23일 문산리에서 제187연대 전투팀(187 RCT)이 한국전쟁 중 용맹 작전의 일환으로 실시한 공수 군사 작전이다. 토마호크 작전은 한국 전쟁 중 미국의 두 번째이자 마지막 공수 작전이다.


2. 상세[편집]


토마호크 작전은 커리지어스 작전의 나머지 절반 계획이었다. 이 작전은 당시 최전선에서 북쪽으로 약 30킬로미터(19마일) 떨어진 곳에 제187 RCT를 낙하시키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들은 120여 대의 C-119 플라잉 박스카 및 C-46 수송기에서 낙하산을 타고 낙하했다. 착륙 후 이들은 미 제24보병사단 제6중전차대대의 기갑 부대와 미 제3보병사단의 보병 부대로 구성된 그로우던 태스크 포스와 합류했다. 이 부대는 목표 지점에 도착하기 전에 PVA/KPA가 후퇴했기 때문에 대부분 지뢰밭 등 약한 저항에 부딪히며 목표를 향해 진격했다. 작전 중 136명이 전사하고 149명이 생포되었다. 187 RCT는 19명의 사망자와 수십 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625 전쟁 중 두 번째로 큰 규모의 공수작전으로 C-119와 C-46 수송기 20대가 187연대 낙하산 병력 3,437명과 인도군 제60 낙하산 야전구급대(PFA) 장교 및 병사 12명을 문산리 인근에 낙하시켰다. 187연대 공수병들은 '낙하산 병'이라는 뜻의 일본어로 '라카산'으로도 알려져 있었는데 이는 105㎜곡사포와 기타 중장비가 성공적으로 투하된 최초의 사례로 기록됐다. 적의 총탄에 맞은 것으로 추정되는 C-119 한 대가 화재가 발생하여 돌아오는 길에 추락했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