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문진항 해전

덤프버전 :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6.25 전쟁의 전투 및 작전 목록 파일:북한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1950년
북한군의 남침
6월
폭풍 작전

· 옹진반도 전투

· 개성-문산 전투

· 고랑포 전투

· 춘천-홍천 전투

· 강릉 전투

· 대한해협 해전

· 옥계 전투

· 봉일천 전투

· 김포반도 전투

· 동두천 전투

· 포천 전투

· 의정부 전투

· 내촌-태릉 전투

· 수원 비행장 전투

· 한강 인도교 폭파 · 한강 방어선 전투


7월
주문진항 해전

· 동락리 전투

· 오산 전투

· 평택 전투

· 진천 전투

· 천안 전투

· 전의-조치원 전투

· 청주 전투

· 금강 방어선 전투(공주-대평리 전투)

· 장항-군산-이리 전투

· 대전 전투


8월
청송 전투

· 낙동강 방어선 전투

(안동·의성전투

· 마산 전투

·다부동 전투

· 창녕·영산전투

· 안강·기계 ~ 영천·신녕 전투

· 포항 전투

· 포항 철수작전

· 통영상륙작전

)
유엔군의 반격
9월
장사 상륙작전

· 인천 상륙작전

· 9.28 서울 수복


10월
평양 탈환작전

· 초산 전투


중공군 개입
10월
중공군 1차 공세(10/25)


11월
개천-비호산 전투

· 중공군 2차 공세(11/25)

· 청천강 전투

· 장진호 전투


12월
평양 철수

· 흥남 철수작전

· 중공군 3차 공세(12/31)


1951년
1월
1.4 후퇴

· 울프하운드 작전

· 유엔군 1차 반격(1/25)

· 선더볼트 작전

· 원산 포위전

· 금양장리 전투

· 라운드업 작전


2월
중공군 4차 공세(2/11)

· 횡성 전투

· 지평리 전투

· 유엔군 2차 반격(2/20)

· 전략도서 확보 작전

· 원산 포위전

· 킬러 작전


3월
리퍼 작전

· 커리지어스 작전

· 토마호크 작전


4월
러기드 작전

· 중공군 5차 공세(4/22)

· 매봉·한석산 전투

· 사창리 전투

· 설마리 전투

· 파평산 전투

· 가평 전투


5월
설악산 전투

· 중공군 6차 공세(5/16)

· 현리 전투

· 용문산 전투

· 한계 전투

· 유엔군 3차 반격(5/23)

· 평양 대공습


전선 교착
6·7월
도솔산 전투


8월
피의 능선 전투

· 펀치볼 전투


9·10월
가칠봉 전투

· 단장의 능선 전투

· 백석산 전투

· 코만도 작전
11·12월
크리스마스 고지 전투


1952년
1월
승호리 철교 폭파작전


3월
장단-사천강 전투


7월
수도고지-지형능선 전투

351고지 전투


9월
백마고지 전투

· 1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저격능선 전투


1953년
3월
폭찹힐 전투


5월
M-1고지 전투


6월
351고지 전투

· 2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949-973-883고지 전투


7월
중공군 7차 공세(7/13)

· 금성 전투

· 백암산 전투

· 425고지-406고지 전투


첨자 : 공산군의 승리 / 첨자 : 유엔군의 승리
※ 월표기: 전투 개시일 기준, 실제 교전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주문진항 해전
시기
1950년 7월 2일
장소
주문진항 앞바다
교전 세력
파일:UN기.svg 유엔군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지휘관
제시. D. 소웰
김군옥[1]
리학선[2]
리완근[3]
최정수[4]
전력
HMS 자메이카
USS 주노
HMS 블랙 스완
G-5급 어뢰정 4척[5]
포함 2척[6]
수송선 10척
피해
없음
어뢰정 3척 격침
수송선 10척 격침
결과
파일:유엔군사령부 휘장.svg 유엔군의 승리
기타
유엔군과 북한 해군 사이에 벌어진 유일한 해전

1. 개요
2. 의의
3. 전투
4. 결과
5. 북한의 주장
6.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1950년 7월 2일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 소재 주문진항 앞바다에서 유엔 해군북한 해군 제2 어뢰정대G-5급 어뢰정 등 다수 함선을 격침시킨 해전. 북한에서는 '주문진 해상전투' 라고 불린다


2. 의의[편집]


결과적으로 북한 해군이 유엔군 함대를 공격했다가 피해만 입고 패퇴한 전투지만 북한의 선전 측면에서는 중요한 전투다. 북한이 해전에서 볼티모어급 중순양함을 격침시키고 미군을 대파했다는 내부 허위 선전으로 인해 대승으로 각색되었는데 이것이 현대까지 선전으로 써먹히고 있다. 허위 전과보고를 믿고 내부적으로는 잘 써먹었는데 외부적으로는 월미도 승전과 함께 북한의 거짓 신화의 예시 중 하나로 창피당하는 경우라 할 수 있겠다. 조국해방전쟁박물관에 볼티보어 함을 격침했다는 어뢰정까지 전시해놓고 지금도 북한 사람이면 모두 알만큼 크게 선전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전투의 실상을 알면 충격받기 때문에 탈북자들이 고향 사람들 놀려먹는데 써먹는다 한다.


3. 전투[편집]


7월 2일 영국 해군크라운 콜로니급 경순양함 HMS 자메이카, 블랙 스완급 초계함 HMS 블랙 스완과 미 해군주노급 경순양함[7] USS 주노(CL-119) 총 3척으로 구성된 함대가 주문진항 앞바다를 항해 중이던 북한 해군 수송선과 북한 해군 2어뢰정대 소속 G-5급 어뢰정 등 16척을 발견하였다. 북한 어뢰정대도 유엔군 함대를 발견하고 어뢰정대장 겸 21호 어뢰정장 김군옥의 지휘 하에 돌격하며 어뢰공격을 시도하였으나, 기함인 21호 어뢰정을 제외한 전부가 HMS 자메이카와 HMS 블랙 스완의 포격으로 격침되었다. 이후 살아남은 북한 수송선들은 모두 도망쳤으나, 도망친 수송선들은 USS 주노가 계속 추격해 모두 격침시킨다.

영국 해군은 꽤나 시시하게 끝나서 그런지 이걸 본격적인 전투라곤 생각하지 않은 모양이다. 자메이카의 활약 기록을 보면 '한국전쟁에 참전해서 지상지원중 북한군 어뢰정이 접근하자 포격을 해서 쫓아냄' 정도로 적어놓았다.


4. 결과[편집]


유엔군의 피해는 전무하였지만, 북한 해군은 어뢰정대 전력의 60%에 해당하는 3척의 어뢰정과[8] 수송함 10척 전부를 잃으면서 보급 및 작전에 차질이 생겼고, 격침된 어뢰정 23호의 어뢰정장 최정수는 UN군에 의해 '4호 포로'로 잡히게 되는 상황도 벌어졌다.

그러나 이 전투 이후, 북한 해군 2어뢰정대는 아래에 후술할 주작으로 인해 근위 칭호를 수여받고 '근위 제2어뢰정대'로 승격되었으며, 2어뢰정대 정대장 겸 21호 어뢰정장 김군옥과 격침된 22호 어뢰정의 어뢰정장 리완근[9]은 북한 최초로 공화국영웅칭호를 수여받았다. 이후 2어뢰정대장이었던 김군옥은 조선인민군 해군 장령(소장)까지 진급하였으며, 2009년 사망한 이후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 또한 김군옥이 탑승하였던 어뢰정이자 주문진항 해전에서 생존한 어뢰정인 21호 어뢰정은 현재 평양의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에 정태보존 형태로 전시되고 있다.

또한, 이 주문진항 해전이 발발한지 62년이 되는 2012년에는 북한에서 최고인민회의 정령으로 당시의 생존함인 21호 어뢰정에 공화국영웅(...)칭호를 수여하는 기행을 선보였다.

2023년 9월 6일, 근위제2어뢰정대의 후신인 근위제2수상함전대가 소속된 조선인민군 해군 동해함대는 주문진항 해전 당시 지휘관이었던 김군옥의 이름을 딴 김군옥영웅급 잠수함을 진수하였다.

5. 북한의 주장[편집]


파일:주문진항해전축하전신1.jpg
파일:주문진항해전축하전신2.jpg
전선사령관 김책이 2어뢰정대에 하달한 축하 전신
조선인민군 사령부 문화처가 2어뢰정대에 하달한 축하 전신
한편 북한에서는 단 4척의 어뢰정으로 미 해군의 중순양함 USS 볼티모어(문화어 표기로는 발찌모르)[10] 함을 격침시켰다며 '세계해전사에 유일무이한 기적' '세계해전사에 수수께끼를 남긴 주문진 앞바다에서의 기적'이라는 식으로 거짓 선전중이며, 그 중순양함을 격침시킨 북한 해군 2어뢰정대는 근위 칭호를 수여받고 근위대가 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당시 볼티모어 함을 격침시켰다고 조작된 제 2어뢰정대에서 생존한 21호 어뢰정이 현재 평양의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의 야외장비전시관에 전시되어 있다. 북한의 선전이 왜 거짓인지는 볼티모어급 중순양함 항목 참조. 애초에 이 해전엔 볼티모어는 커녕 유엔군 중순양함이 참가조차 하지 않았다. 생존한 어뢰정의 승조원들이 발찌모르를 격침시켰다고 허위로 주장한 것을 북한이 그대로 받아들인 것이다. 이들은 해전 당일 아침 주문진항에서 자신들이 대승을 거두었다고 주장하였기 때문에 주문진 출신들과 종북주의자들 중에서는 이 해전의 북한 해군의 주장을 그대로 믿고 침몰한 발찌모르를 찾으려는 이들이 있었다.


6. 같이 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10:19:26에 나무위키 주문진항 해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어뢰정대 정대장 겸 21호 어뢰정장. 후일 북한의 선전용 인물로 쓰기 위해 공화국 영웅 훈장을 수여받았다.[2] 2어뢰정대 문화부정대장[3] 22호 어뢰정장[4] 23호 어뢰정장[5] 21, 22, 23, 24호[6] 소련 od-200급[7] 애틀랜타급 경순양함의 개량및 후속함급이다. 5인치 양용포 12문으로 무장했다.[8] 왜 75%가 아니라 60%냐면, 본래 2어뢰정대가 보유한 어뢰정은 4척이 아닌 5척이었으나 한 척이 기지 정박으로 인해 출항하지 않아 4척만이 해전에 투입되었기 때문이다.[9] 격침된 22호 어뢰정장은 주문진항 해전 당시가 아니라 그보다 훨씬 나중인 2001년에 사망한 인물인데, 아마 격침 직후 21호 어뢰정에 구조되어 생존하였던 것으로 보인다.[10] '볼티모어'의 러시아식 표기 발티모르(Балтимор)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표기가 이렇다. 김정은 집권 이후에는 볼티모라고도 부르는 듯.[11] 주문진항 해전과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모두 근위 2어뢰정대가 관여된 사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