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킬로스의 비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고대
메소포타미아 음악
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그리스 음악
세이킬로스의 노래
중세
노트르담 악파
레오냉 · 페로탱
아르스 노바
노바 · 비트리 · 마쇼
기타
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르네상스 음악
부르고뉴 악파
뒤파이 · 뱅슈아
플랑드르 악파
오케겜 · 프레 · 이자크
이탈리아
팔레스트리나 · 카치니 · 가브리엘리 · 라수스
영국
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독일
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바로크 음악
프랑스
샹보니에르 · 륄리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르 · 루아예
이탈리아
몬테베르디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A. 스카를라티 · 토렐리 · 스테파니 · 코렐리 · 로티 · 칼다라 · 보논치니 · 알비노니 · 비발디 · D. 스카를라티 · 포르포라 · 페오 · 타르티니 · 제미니아니 · 빈치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C. 브로스키
중부유럽
비버 · 쉿츠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바흐 · 텔레만 · 파슈 · 마테존 · 젤렌카 · 피젠델
영국
퍼셀 · 헨델 · 애비슨
고전주의
전고전(로코코)
하세 · 마르티니 · 갈루피 · 페르골레지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J. 슈타미츠 · 글루크 · L. 모차르트 ·
초기 고전파
트라에타하이든고세크 · M. 하이든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 클레멘티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
치마로사 · 살리에리 · 모차르트 · 케루비니베토벤 · 훔멜 · 카룰리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낭만주의
전기 낭만주의
초기 낭만파
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메로 · 베를리오즈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쇼팽 · 리스트 · 알캉 · 헨젤트 · 체르니
오페라
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빈 왈츠
J. 슈트라우스 1세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주페 · 치러
후기 낭만주의
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브람스 · 바그너 · 브루크너 · 브루흐 · R. 슈트라우스 · 말러 · 레거 · 로트 · 코른골트 · 라프 · 라이네케 · 모슈코프스키 · 라인베르거 · 이바노비치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프랑스
후기 낭만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러시아
후기 낭만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보르트키에비치
영국
낭만주의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국민악파
러시아
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중부유럽
스메타나 파일:체코 국기.svg · 드보르자크 파일:체코 국기.svg · 야나체크 파일:체코 국기.svg · 에네스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도흐나니 파일:헝가리 국기.svg · 블라디게로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비에니아프스키 파일:폴란드 국기.svg
북유럽
닐센 파일:덴마크 국기.svg · 그리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시벨리우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 알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페인
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로드리고
프랑스, 이탈리아
쇼송 · 당디 · 레스피기
20세기 음악
인상주의
드뷔시 · 라벨 · 고베르이베르
신고전주의
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제2빈악파
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프랑스
근현대음악
사티 ·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졸리베 · 페송
영국
근현대음악
브리튼 · 월튼 · 티펫
미대륙
근현대음악
코플런드 · 피아졸라 · 히나스테라 · 폰세 · 빌라-로부스 · 캐시디조플린 · 거슈윈 · 번스타인 · 바버 · 아이브스 · 바레즈 · 케이지 · 크럼 · 펠드먼 · 볼컴 · 글래스 · 라이히 · 애덤스 · 리버만 · 로사스
소련-러시아
근현대음악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카푸스틴스코릭
헝가리
근현대음악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폴란드
현대음악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구레츠키
독일-오스트리아
현대음악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이탈리아
현대음악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샤리노 · 페델레
한국
현대음악
백병동 · 강석희 · 나인용 · 나운영 · 이만방
기타
크세나키스 · 김순남
윤이상 · 라우타바라 · · 타케미츠 · 진은숙 · 박-파안 영희 · 요시마츠 · · 도이처



파일:seikilos 2.jpg
비문이 새겨진 석주의 사진
1. 개요
2. 내용
3. 악보
4. 매체



1. 개요[편집]


세이킬로스의 비문(Επιτάφιος του Σείκιλου, Seikilos Epitaph) 또는 세이킬로스의 노래1883년 스코틀랜드고고학자인 윌리엄 램지 경(Sir William M. Ramsay)이 터키 에페소스(Ephesus) 근교 아이든(Aydin) 지역에 위치했던 고대 그리스 도시 트랄레스(Tralles)의 폐허 유적에서 발굴한 원형 기둥에 새겨진 문장으로, 하나의 노래가 가사와 함께 고대 그리스 기보법으로 음각되어 있다. 기원전 1~2세기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비석이 금석학적으로 특별한 것은, 바로 현존하는 악보 중에서 곡이 완성된 것으로는 가장 오래된 음악[1]이 새겨져 있다는 점이다. 작곡가는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비석에 이름이 언급된 세이킬로스(Σείκιλος)가 작곡하지 않았을까 추정되고 있다.
파일:세이킬로스 비문 박물관 전시.png
덴마크국립박물관 고전중동유물관에 전시 중인 모습(가상 투어).
이 비석은 발굴된 후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한 번 실종되었다가, 터키 독립전쟁 와중에 스미르나(현 이즈미르) 항에서 다시 발견되었다. 이후 1966년 덴마크 정부에서 이를 코펜하겐에 있는 덴마크 국립 박물관으로 이송하여 오늘날까지 이 곳에서 전시하고 있다.


2. 내용[편집]


비문은 서문과 악보, 그리고 글쓴이로 추정되는 인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문에는 다음과 같은 글귀가 적혀져 있다.

ΕἸΚῺΝ Ἤ ΛΊΘΟΣ ΕἸΜΊ. ΤΊΘΗΣΊ ΜΕ ΣΕΙΚΊΛΟΣ ἜΝΘΑ ΜΝΉΜΗΣ ἈΘΑΝΆΤΟΥ ΣΗ͂ΜΑ ΠΟΛΥΧΡΌΝΙΟΝ.

나는 돌이요 형상이라. 세이킬로스가 오래된 불멸의 추억의 상징으로서 나를 이곳에 두노라.

그리고 악곡 아래 가장 마지막 단은 이렇게 되어 있다.

ΣΕΙΚΊΛΟΣ ΕΥ̓ΤΈΡ

세이킬로스, 에우테르(페)에

에우테르페는 그리스의 음악여신이기도 하고, 인명으로 쓰이기도 했으므로 정확히 누구를 뜻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전자라면 이 노래는 신에게 바치는 노래가 되겠으나, 가사가 신에게 바치는 노래라고 보기에는 애매한 면이 있다. 학자들은 에우테르페가 세이킬로스의 아내이거나 어머니일 것이며, 서문과 곡에 나타난 주제 의식으로 말미암아 세이킬로스가 소중한 사람의 죽음을 겪은 후 삶에 대한 고뇌 끝에 창작한 것이라 추정하고 있다.


3. 악보[편집]


짧기는 하지만 하나의 완성된 곡이 쓰여져 있다. 비문이 세워진 것은 기원전 2세기에서 서기 1세기 사이로 추정되고 있으며, 곡 전체가 보존된 악보로서는 현존하는 것들 중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유산이다.
파일:1085px-Seikilos.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eikilos_score.png
▲고대 그리스 기보법(위), 현대 오선지에 재현한 곡(아래)

▲고대 그리스어~현대 그리스어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독음으로 부른 노래.
원문(고대 그리스어)
전기 코이네 그리스어 독음
현대 그리스어
현대식 독음
한국어 번역
ὍΣΟΝΖΗ͂ΙΣΦΑΊΝΟΥ
hóson zêis phaínou
ΜΗΔῈΝὍΛΩΣΣῪΛΥΠΟΥ͂
mēdèn hólōs sù lupoû
ΠΡῸΣῸΛΊΓΟΝἘΣΤῚΤῸΖΗ͂Ν
pròs olígon ésti tò zên
ΤῸΤΈΛΟΣὉXΡΌΝΟΣΑΠΑΙΤΕΙ͂
tò télos ho khrónos apaiteî
Οσον ζης φαινου
oson zis fenu
Μηδεν ολως συ λυπου
midhen olos si lipu
Προς ολιγον εστι το ζην
pros olighon esti to zin
Το τελος ο χρονος απαιτει
to telos o hronos apeti
살아있는 동안, 빛나기를!
결코 슬퍼하지 말기를!
인생은 찰나와도 같으며
시간[2]은 끝을 청할 테니.
당시 고대 그리스에서는 신들에 대한 찬양가나 희곡의 노래 등 다양한 음악들이 사용되었고 그리스 문자를 이용한 기보법이 기원전 3~4세기에 개발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전문적인 작곡가나 연주가들이 아닌 이상에는 이 체계를 익히기보다는 단순히 "귀로 듣고 곡을 익히는" 것에 의지하였기에 악보가 남아 있는 경우는 몹시 드물다. 고대 그리스 기보법을 이용한 곡으로는 기원전 128년에 아테나이오스와 리메니오스가 작곡하여 델포이 신전의 돌에 새겨진 2곡의 델포이 찬가(Delphic Hymns)도 전해지나, 이 곡들의 경우 곡 전체가 보존되어 있지 못하다.(#)


4. 매체[편집]




이 곡은 작곡된 지 대략 2천년이 지난 뒤 게임 문명 5그리스 문명 테마곡으로 편곡되기도 했다.


평화 시의 곡이다. 전시 곡의 OST명도 「Epitaph of Seikilos」이지만, 이쪽은 원곡의 특성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문명 6그리스 문명에서도 테마곡으로 쓰였다. 원자 시대, 정보 시대에서의 배경음. 문명 6은 문명 4와 마찬가지로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음악도 바뀐다.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에 세이킬로스를 주인공으로 하는 만화가 올라온 적 있다. 여기선 에우테르페가 세이킬로스의 연인 혹은 어머니였을 것이라는 가설을 모두 차용해서 어머니와 아내 둘 다의 이름이 에우테르페였던 세이킬로스라는 방랑시인 남자가 아내와 사별한 후 세운 것으로 설정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3:28:16에 나무위키 세이킬로스의 비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보다 앞서서 악보가 남은 경우는 기원전 15세기경 후르리인들이 남긴 닌갈 찬가가 있으나 악보가 완전히 남아있지도 않고 기보법의 해석에 대해 논란이 많다.[2] 또는 시간의 신 크로노스. 고대 그리스에서 시간의 흐름은 시간의 신이 주관하는 일이나 다름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