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무트 라헨만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고대
메소포타미아 음악
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그리스 음악
세이킬로스의 노래
중세
노트르담 악파
레오냉 · 페로탱
아르스 노바
노바 · 비트리 · 마쇼
기타
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르네상스 음악
부르고뉴 악파
뒤파이 · 뱅슈아
플랑드르 악파
오케겜 · 프레 · 이자크
이탈리아
팔레스트리나 · 카치니 · 가브리엘리 · 라수스
영국
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독일
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바로크 음악
프랑스
샹보니에르 · 륄리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르 · 루아예
이탈리아
몬테베르디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A. 스카를라티 · 토렐리 · 스테파니 · 코렐리 · 로티 · 칼다라 · 보논치니 · 알비노니 · 비발디 · D. 스카를라티 · 포르포라 · 페오 · 타르티니 · 제미니아니 · 빈치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C. 브로스키
중부유럽
비버 · 쉿츠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바흐 · 텔레만 · 파슈 · 마테존 · 젤렌카 · 피젠델
영국
퍼셀 · 헨델 · 애비슨
고전주의
전고전(로코코)
하세 · 마르티니 · 갈루피 · 페르골레지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J. 슈타미츠 · 글루크 · L. 모차르트 ·
초기 고전파
트라에타하이든고세크 · M. 하이든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 클레멘티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
치마로사 · 살리에리 · 모차르트 · 케루비니베토벤 · 훔멜 · 카룰리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낭만주의
전기 낭만주의
초기 낭만파
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메로 · 베를리오즈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쇼팽 · 리스트 · 알캉 · 헨젤트 · 체르니
오페라
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빈 왈츠
J. 슈트라우스 1세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주페 · 치러
후기 낭만주의
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브람스 · 바그너 · 브루크너 · 브루흐 · R. 슈트라우스 · 말러 · 레거 · 로트 · 코른골트 · 라프 · 라이네케 · 모슈코프스키 · 라인베르거 · 이바노비치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프랑스
후기 낭만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러시아
후기 낭만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보르트키에비치
영국
낭만주의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국민악파
러시아
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중부유럽
스메타나 파일:체코 국기.svg · 드보르자크 파일:체코 국기.svg · 야나체크 파일:체코 국기.svg · 에네스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도흐나니 파일:헝가리 국기.svg · 블라디게로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비에니아프스키 파일:폴란드 국기.svg
북유럽
닐센 파일:덴마크 국기.svg · 그리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시벨리우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 알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페인
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로드리고
프랑스, 이탈리아
쇼송 · 당디 · 레스피기
20세기 음악
인상주의
드뷔시 · 라벨 · 고베르이베르
신고전주의
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제2빈악파
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프랑스
근현대음악
사티 ·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졸리베 · 페송
영국
근현대음악
브리튼 · 월튼 · 티펫
미대륙
근현대음악
코플런드 · 피아졸라 · 히나스테라 · 폰세 · 빌라-로부스 · 캐시디조플린 · 거슈윈 · 번스타인 · 바버 · 아이브스 · 바레즈 · 케이지 · 크럼 · 펠드먼 · 볼컴 · 글래스 · 라이히 · 애덤스 · 리버만 · 로사스
소련-러시아
근현대음악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카푸스틴스코릭
헝가리
근현대음악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폴란드
현대음악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구레츠키
독일-오스트리아
현대음악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이탈리아
현대음악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샤리노 · 페델레
한국
현대음악
백병동 · 강석희 · 나인용 · 나운영 · 이만방
기타
크세나키스 · 김순남
윤이상 · 라우타바라 · · 타케미츠 · 진은숙 · 박-파안 영희 · 요시마츠 · · 도이처



파일:95B1EEBD-1796-46AD-A8B5-83CEA287B596.png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5px;margin-bottom:-5px"
||<table 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rowbgcolor=#A82132><width=10%> '''[[1974년|{{{#white 1974년}}}]]''' ||<width=10%> '''[[1975년|{{{#white 1975년}}}]]''' ||<width=10%> '''[[1976년|{{{#white 1976년}}}]]''' ||<width=10%> '''[[1977년|{{{#white 1977년}}}]]''' ||<width=10%> '''[[1978년|{{{#white 1978년}}}]]''' ||
|| [[벤저민 브리튼]] [br] (작곡) || [[올리비에 메시앙]] [br] (작곡) ||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br] (첼로)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br] (지휘) || [[루돌프 제르킨]] [br] (피아노) ||
||<rowbgcolor=#A82132> '''[[1979년|{{{#white 1979년}}}]]''' || '''[[1980년|{{{#white 1980년}}}]]''' || '''[[1981년|{{{#white 1981년}}}]]''' || '''[[1982년|{{{#white 1982년}}}]]''' || '''[[1983년|{{{#white 1983년}}}]]''' ||
||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 [br] (바리톤) || [[엘리엇 카터]] [br] (작곡) || [[기돈 크레머]] [br] (바이올린) ||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 [br] (작곡) || [[피에르 불레즈]] [br] (지휘) ||
||<rowbgcolor=#A82132> '''[[1984년|{{{#white 1984년}}}]]''' || '''[[1985년|{{{#white 1985년}}}]]''' || '''[[1986년|{{{#white 1986년}}}]]''' || '''[[1987년|{{{#white 1987년}}}]]''' || '''[[1988년|{{{#white 1988년}}}]]''' ||
|| [[예후딘 메뉴인]] [br] (바이올린) || [[안드레스 세고비아]] [br] (기타) ||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 [br] (작곡) || [[레너드 번스타인]] [br] (지휘) || [[페터 슈라이어]] [br] (테너) ||
||<rowbgcolor=#A82132> '''[[1989년|{{{#white 1989년}}}]]''' || '''[[1990년|{{{#white 1990년}}}]]''' || '''[[1991년|{{{#white 1991년}}}]]''' || '''[[1992년|{{{#white 1992년}}}]]''' || '''[[1993년|{{{#white 1993년}}}]]''' ||
|| [[루치아노 베리오]] [br] (작곡) || [[한스 베르너 헨체]] [br] (작곡) || [[하인츠 홀리거]] [br] (오보에) || [[H.C.로빈스 랜던]] [br] (음악학) || [[리게티 죄르지]] [br] (작곡) ||
||<rowbgcolor=#A82132> '''[[1994년|{{{#white 1994년}}}]]''' || '''[[1995년|{{{#white 1995년}}}]]''' || '''[[1996년|{{{#white 1996년}}}]]''' || '''[[1997년|{{{#white 1997년}}}]]''' || '''[[1998년|{{{#white 1998년}}}]]''' ||
|| [[클라우디오 아바도]] [br] (지휘) || [[해리슨 버트위슬]] [br] (작곡) || [[마우리치오 폴리니]] [br] (피아노) || [[헬무트 라헨만]] [br] (작곡) || [[죄르지 쿠르탁]] [br] (작곡) ||
||<rowbgcolor=#A82132> '''[[1999년|{{{#white 1999년}}}]]''' || '''[[2000년|{{{#white 2000년}}}]]''' || '''[[2001년|{{{#white 2001년}}}]]''' || '''[[2002년|{{{#white 2002년}}}]]''' || '''[[2003년|{{{#white 2003년}}}]]''' ||
|| [[아르디티]] [[현악 4중주]] [br] (현악 4중주) || [[마우리치오 카겔]] [br] (작곡) || [[라인홀트 브링크만]] [br] (음악학) ||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br] (지휘) || [[볼프강 림]] [br] (작곡) ||
||<rowbgcolor=#A82132> '''[[2004년|{{{#white 2004년}}}]]''' || '''[[2005년|{{{#white 2005년}}}]]''' || '''[[2006년|{{{#white 2006년}}}]]''' || '''[[2007년|{{{#white 2007년}}}]]''' || '''[[2008년|{{{#white 2008년}}}]]''' ||
|| [[알프레드 브렌델]] [br] (피아노) || [[마우리치오 카겔]] [br] (작곡) || [[앙리 뒤티외]] [br] (작곡) || [[다니엘 바렌보임]] [br] (피아노, 지휘) || [[안네 소피 무터]] [br] (바이올린) ||
||<rowbgcolor=#A82132> '''[[2009년|{{{#white 2009년}}}]]''' || '''[[2010년|{{{#white 2010년}}}]]''' || '''[[2011년|{{{#white 2011년}}}]]''' || '''[[2012년|{{{#white 2012년}}}]]''' || '''[[2013년|{{{#white 2013년}}}]]''' ||
|| [[클라우스 후버]] [br] (작곡) || [[미하엘 길렌]] [br] (지휘) || [[아리베르트 라이만]] [br] (작곡) || [[프리드리히 체르하]] [br] (작곡) || [[마리스 얀손스]] [br] (지휘) ||
||<rowbgcolor=#A82132> '''[[2014년|{{{#white 2014년}}}]]''' || '''[[2015년|{{{#white 2015년}}}]]''' || '''[[2016년|{{{#white 2016년}}}]]''' || '''[[2017년|{{{#white 2017년}}}]]''' || '''[[2018년|{{{#white 2018년}}}]]''' ||
|| [[피터 구르크]] [br] (음악학) || [[크리스토프 에셴바흐]] [br] (지휘) || [[페르 뇌고르]] [br] (작곡) || [[피에르 로랑 아이마르]] [br] (피아노) || [[베아트 푸러]] [br] (작곡) ||
||<rowbgcolor=#A82132> '''[[2019년|{{{#white 2019년}}}]]''' || '''[[2020년|{{{#white 2020년}}}]]''' || '''[[2021년|{{{#white 2021년}}}]]''' || '''[[2022년|{{{#white 2022년}}}]]''' || '''[[2023년|{{{#white 2023년}}}]]''' ||
|| [[레베카 손더스]] [br] (작곡) || [[타베아 침머만]] [br] (비올라) || [[죠르주 아페르기스]] [br] (작곡) || [[올가 노이비르트]] [br] (작곡) || [[]] [br] ||
}}}



헬무트 라헨만
Helmut Lachenmann


파일:Lachenmann.jpg

이름
헬무트 라헨만(Helmut Lachenmann)
국적
[[독일|

독일
display: none; display: 독일"
행정구
]]

출생
1935년 11월 27일 (88세)
나치 독일 슈투트가르트
학력
슈투트가르트 국립 음악대학(Musikhochschule Stuttgart)
직업
작곡가, 작가
장르
현대음악
수상
1992년 바흐 음악상
1997년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

1. 개요
2. 생애
3. 작품 성향
4. 작품 목록



1. 개요[편집]


독일의 클래식 현대음악 작곡가. 자신의 음악을 기악적 구체음악(musique concrète instrumentale)라고 정의한다.


2. 생애[편집]


헬무트 라헨만은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태어나,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지역 교회 합창단에 들어가 노래를 부르면서 음악을 시작하였다. 21세에 슈투트가르트 음악대학에 입학하여, 위르겐 우더(Jürgen Uhde)에게 피아노를, 요한 네포무크 데이비드(Johann Nepomuk David)에게 작곡과 음악 이론을 사사했으며, 24세부터 26세까지 이탈리아의 작곡가 루이지 노노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그는 1978년 '다름슈타트 국제 하계 현대음악강좌' (Internationale Ferienkurse für Neue Musik Darmstadt)에서 정기적으로 강의를 하기 시작했고, 1976년부터 1981년까지는 하노버 음악연극미디어 대학교에서 음악 이론, 청음 및 작곡을 가르쳤고, 1981년부터 1999년까지는 슈투트가르트 음악원 작곡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그의 제자로는, 마크 앙드레, 프랑크 베드로시앙, 피에를루이지 빌로네, 클레멘스 가덴슈테터, 박준영[1] 등이 있다.


3. 작품 성향[편집]


여러 악기에서의 독창적이고 기상천외한 주법을 발굴 및 집대성하여 전위 음악의 대가로 알려져 있다. 그의 작업들을 통틀어 기악적 구체 음악이라고도 부른다. [2]


4. 작품 목록[편집]



4.1. 극음악[편집]


  • 대관현악단과 독주자들을 위한 극음악 '성냥팔이 소녀' (1988-96, 2007)


4.2. 합창[편집]


  • 12명의 인성과 4대의 타악기를 위한 '위로 I' (1967)

12명의 인성과 4대의 타악기를 위한 '위로 I' (1967)

  • 16명의 인성을 위한 '위로 II' (1968)

16명의 인성을 위한 '위로 II' (1968)

  • 16명의 인성과 관현악을 위한 '위로' (1967/68, 1977/78)

16명의 인성과 관현악을 위한 '위로' (1967/68, 1977/78)


4.3. 오케스트라[편집]


  • 41명의 연주자들을 위한 '기념 (Souvenir)' (1959)

  • 대관현악을 위한 '모순 (Kontrakadenz)' (1970/71)

대관현악을 위한 '모순 (Kontrakadenz)' (1970/71)

  • 세 대의 피아노와 48명의 현악주자를 위한 '소리의 그림자 (Klangschatten - mein Saitenspiel)' (1972)

세 대의 피아노와 48명의 현악주자를 위한 '소리의 그림자 (Klangschatten - mein Saitenspiel)' (1972)

  • 대관현악을 위한 '정면 (Fassade)' (1973)

대관현악을 위한 '정면 (Fassade)' (1973)

  • 메탈시트와 현악합주를 위한 '경계의 흔들림 (Schwankungen am Rand)' (1974/75)

메탈시트와 현악합주를 위한 '경계의 흔들림 (Schwankungen am Rand)' (1974/75)

  • 관현악을 위한 '분진 (Staub)' (1985/87)[3]

관현악을 위한 '분진 (Staub)' (1985/87)

  • 관현악을 위한 '회화 (Tableau)' (1988/89)

  • 관현악을 위한 '기록 (Schreiben)' (2003/04)

관현악을 위한 '기록 (Schreiben)' (2003/04)

  • 현악 합주를 위한 '더블 그리도 II (Double Grido II)' (2004)

현악 합주를 위한 '더블 그리도 II (Double Grido II)' (2004)

  • 대관현악을 위한 '치명적인 행진곡 (Marche fatale)' (2016)

대관현악을 위한 '치명적인 행진곡 (Marche fatale)' (2016)


4.4. 협주곡[편집]


  • 첼로 독주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야상곡' (1966/68)

첼로 독주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야상곡' (1966/68)

  • 타악 독주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에어 (Air)' (1968/69, 1994, 2015)

타악 독주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에어 (Air)' (1968/69, 1994, 2015)

  • 클라리넷 독주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아칸토 (Accanto)> (1975/76, 2005)

  • 현악사중주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독일노래 춤모음곡 (Tanzsuite mit Deutschlandlied)> (1979/80)

  • 튜바 독주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하모니카> (1981/83)

  • 피아노 독주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피날레 (Ausklang)> (1984/85)

  • 플룻, 트롬본, 8명의 인성 그리고 오케스트라를 위한 (1999, 2002)

  • 8명의 호른 주자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나의 선율들 (My Melodies)> (2016-19)

8명의 호른 주자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나의 선율들 (My Melodies)> (2016-19)


4.5. 앙상블[편집]


  • 앙상블을 위한 '무브망트 (-응고 전) (Mouvement (-vor der Erstarrung))' (1983/84)

앙상블을 위한 '무브망트 (-응고 전) (Mouvement (-vor der Erstarrung))' (1983/84)

  • 2명의 화자와 앙상블을 위한 '레오나르도의 텍스트에 의한 "...두 개의 감정..." (“... zwei Gefühle ...”, Musik mit Leonardo)' (1992)

'레오나르도의 텍스트에 의한 "...두 개의 감정..." (“... zwei Gefühle ...”, Musik mit Leonardo)' (1992)

  • 앙상블을 위한 소협주곡 (2005/06)

앙상블을 위한 소협주곡 (2005/06)

  • 앙상블을 위한 '치명적인 행진곡 (Marche fatale)' (2020)

앙상블을 위한 '치명적인 행진곡 (Marche fatale)' (2020)


4.6. 실내악[편집]


  • 현악삼중주 (1965)

  • 클라리넷, 비올라 그리고 타악기를 위한 <트리오 플루이도 (Trio Fluido)> (1966)

  • 플룻, 메조 소프라노 그리고 첼로를 위한 <테마 (temA)> (1968)

  • 현악사중주 1번 <그랑 토르소 (Gran Torso)> (1971/72, 1978, 1988)

  • 두 대의 기타를 위한 <카드웰에 대한 경의 (Salut für Caudwell)> (1977)

  • '''3성부의 악기를 위한 <바흐의 인벤션 BWV 775에 의한 세 번째 성부 (Dritte Stimme zu J. S. Bachs zweistimmiger Invention d-moll BWV 775)> (198
5)'''

  • 클라리넷, 첼로 그리고 피아노를 위한 <알레그로 소스테누토 (Allegro sostenuto)> (1986-88)

  • 현악사중주 2번 <에우리디체를 잃고 (Reigen seliger Geister)> (1989)

  • 인성, 알토 색소폰, 타악기 그리고 피아노를 위한 <사쿠라-변주곡 (Sakura-Variationen)>[4] (2000)

  • 현악사중주 3번 '그리도 (Grido)' (2001/02)

현악사중주 3번 '그리도 (Grido)' (2001/02)

  • 현악삼중주 2번 '나의 작별인사 (Mes Adieux)' (2021/22)

현악삼중주 2번 '나의 작별인사 (Mes Adieux)' (2021/22)


4.7. 독주곡[편집]


  • 피아노 독주를 위한 <프란츠 슈베르트의 주제에 의한 5개의 변주 (Fünf Variationen über ein Thema von Franz Schubert)> (1956)

  • 피아노 독주를 위한 <에코 안단테 (Echo Andante)> (1962)

  • 피아노 독주를 위한 <요람 음악 (Wiegenmusik)> (1963)

  • 타악 독주를 위한 '내부 I (Intérieur I)' (1966)

타악 독주를 위한 '내부 I (Intérieur I)' (1966)

  • 첼로 독주를 위한 '압력 (Pression)' (1969-70)

첼로를 위한 압력(Pression for cello, 1969~70, 2010 개정)

  • 피아노 독주를 위한 <귀로 (Guero)> (1969, 1988)

  • 클라리넷 독주를 위한 <달 니안테 (Dal niente (Intérieur III))> (1970)

  • 피아노 독주를 위한 <어린이 놀이 (Ein Kinderspiel)> (1980)

  • 바이올린을 위한 <토카티나> (1986)

  • 피아노 독주를 위한 <세레나데> (1997/98)

  • 피아노 독주를 위한 <치명적인 행진곡 (Marche fatale)> (2016)

  • 피아노 독주를 위한 <베를린의 벚꽃나무 (Berliner Kirschblüten)> (2016/17)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2:45:02에 나무위키 헬무트 라헨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 경희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교수. 서울대학교 작곡과 졸업 후 도독하여 슈투트가르트 음악대학에서 라헨만을 사사[2]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노이즈 등의 음향을 작품에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전자 음악의 한 분파인 구체 음악(musique concrète)과도 어느 정도 맥이 닿아 있다.[3] 1987년 12월 19일, 독일의 자르브뤼켄에서 한국의 지휘자 정명훈에 의해 초연됨[4] 라헨만의 아내는 일본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