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우/포켓몬/오리지널 (r23판)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한지우/포켓몬




파일:한지우 관동팟1.jpg
파일:한지우 관동팟2.jpg
파일:한지우 성도팟.jpg
[1]

1. 관동지방 포켓몬
1.1. 캐터피 → 단데기 → 버터플
1.2. 피죤 → 피죤투
1.4. 파이리 → 리자드 → 리자몽
1.6. 크랩 → 킹크랩
1.11. 마임돌이(마임맨)
2. 오렌지제도 포켓몬
3. 성도지방 포켓몬[2]
3.2. 치코리타 → 베이리프
3.3. 브케인 → 마그케인 [3]
3.8. 코코리 → 코리갑[4]
4. 동행한 포켓몬
5. 여담



1. 관동지방 포켓몬[편집]


이미지:플터버.png이미지:투죤피.png이미지:씨해상이.png이미지:몽자리.png
버터플피죤투이상해씨리자몽
이미지:기부꼬.png이미지:랩크킹.png이미지:라트레.png이미지:숭원성.png
꼬부기킹크랩레트라성원숭
파일:0089_000_mf_n.png파일:0128_000_mo_n.png파일:0122_000_mf_n.png
질뻐기켄타로스×30마임맨
지우가 맨 먼저 영입한 그룹이기 때문에 스타팅 포켓몬인 피카츄는 말할 것도 없고 스타팅 3마리의 대우도 피카츄보다는 한참 떨어지지만 상당히 우대받고 있다. 출연 면에서 보면 스타팅 중에서 다음 시리즈에 나온 애들은 관동 3마리, 성도 3마리 호연 1마리[5] 신오부터는 0마리다. 그러나 호연지방에서 나온 나무킹은 순전히 리그용으로 나왔을 뿐이며 성도 3마리인 베이리프, 리아코, 마그케인 모두 리그용으로 잠깐 나온것에 불과하다.[6] 하지만 관동 3마리의 경우 이상해씨는 성도편 중반부에 하차 후 잠깐잠깐 나온것이기는 하지만 AG 3번, DP 1번, BW 1번, SM 1번 총 6번 나왔고 꼬부기는 매우 떨어지긴 하나 AG 1번 출연, 리자몽의 경우 AG에서 2번 그리고 BW에서 에피소드 N, 데코로라제도 부분에서 조연급으로 등장한다. 꼬부기는 현재 갈색시티의 소방대에 배속돼있는걸 보면 이쪽은 분량이 떨어지는게 당연하다. 그걸 감안하고 보면 배틀프런티어 최종보스인 기선과의 대결에 관동 스타팅 3마리를 데려온걸 보면 우대받는쪽에 속한다.[7] 그 외의 다른 포켓몬들의 경우엔 다른 시리즈처럼 개성 강하고 나름 강한 편이라는데서는 동일해 별 차별화가 없긴 하지만 비 스타팅 중에 세개의 시리즈 이상 출연한 지우의 포켓몬은 질뻐기, 켄타로스, 잠만보, 헤라크로스가 있다. 스타팅끼리 친한 모습을 보이는것도 이상해씨-꼬부기가 유일했으나 이후에 차오꿀-리자몽, 차오꿀-수댕이-주리비얀이 에피소드N에서 친한 모습을 보였다.

피카츄, 이상해씨, 리자몽, 꼬부기는 포켓몬 유나이트에서 사용할 수 있다


1.1. 캐터피 → 단데기 → 버터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버터플(한지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 피죤 → 피죤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피죤투(한지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3. 이상해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이상해씨(한지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4. 파이리 → 리자드 → 리자몽[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리자몽(한지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여담으로 지우가 가진 1세대 스타팅 포켓몬 중에 유일하게 진화한 포켓몬이다.

1.5. 꼬부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꼬부기(한지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6. 크랩 → 킹크랩[편집]


킹크랩
キングラー | Kingler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Ash_Kingler.png
첫등장무인편 13화 <マサキのとうだい(이수재의 등대)>
포획 시기
몬스터볼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4815.png 몬스터볼
타입
성별수컷
특성불명
진화 시기크랩

킹크랩
(무인편 76화 <ポケモンリーグかいまく! みずのフィールド!(포켓몬리그 개막! 물의 필드!)>)
성우아이카와 리카코(크랩) → 이시즈카 운쇼(킹크랩)파일:일본 국기.svg
장호비(무인) → 불명(AG) → 불명 (W)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크랩이던 시절 지우가 맨몸으로 맞짱을 떠서 잡게 됐다. 13화. 물론 완전 맨주먹으로 싸운 건 아니고 나뭇가지를 사용하기는 했다. 지우가 자신의 실력으로 포켓몬을 잡은 적이 없다는 걸 지적 받으면서 자신의 소유 포켓몬들까지 모두 동의하는 굴욕을 당한 바람에 꼭지가 돌아서 혼자 해변으로 달려가 싸웠다.[8][9]

어찌어찌 잡고 나서 좋아했지만 갑자기 몬스터볼이 저절로 사라져 당황하는데, 알고보니 소유 포켓몬 6마리를 초과하는 바람에 자동으로 오박사 연구소로 전송된 것. 이 때 오박사와 통화하다가 바람이가 잡은 크랩보다 사이즈가 작다고 비교나 당하는 굴욕을 당했다. 어쩐지 오박사가 매운탕에 넣어서 잡아먹지 않을까 걱정하는 장면[10]도 나왔다(…). 가끔 오박사와 전화할 때 질뻐기와 함께 비쳐지기도 했다.[11]

하지만 이후 놀라운 반전이 드러나는데, 크기가 더 작다는 말을 들은 것과는 달리 사실 무지 강한 개체였다. 석영고원 리그에 첫 배틀 때 조그만 몸집에도 불구하고 굉장한 힘을 가지고 있었고, 진화까지 해서 나시, 시드라, 골뱃을 혼자서 모두 발라버리는 엄청난 활약을 한 것이다. 특히 나시가 초능력으로 만들어 낸 알폭탄 소용돌이를 뚫고 나시에게 다가가 발차기로 나시를 쓰러뜨리고 진화하는 장면과 물보라를 뚫고 순식간에 골뱃에게 접근해 영거리 파괴광선을 먹이는 장면은 압권. 여담으로 그 오박사도 관람석에서 이 크랩을 보고 놀라워했었다.

또한 어느 에피소드에서는 파르셀의 껍질을 부수는 등의 괴랄한 활약도 했었다. 하지만 이 시합 직후에 지친 바람에 상성으로 유리한 윈디에게 패배하는 굴욕도 당했다.[12]

이래저래 연구소에 지내면서 오박사와 꽤나 친해졌다. 오박사 말로는 시도 읊는다고 한다. 오박사 연구소를 방문한 지우 일행에게 차를 대접해주기도 했다.

소용돌이 컵에도 출전했는데 이슬의 슈륙챙이와 대결할 때 바다에 찝게햄머를 내려치자 그 충격으로 소용돌이가 여러개 치고 파도가 일어나 슈륙챙이를 삼켜버렸다. 그러나 고라파덕전에서[13] 고라파덕의 머리를 집게로 조이다보니 고라파덕이 각성하게되어 초능력에 리타이어된다.

하지만 성도리그에서는 물 포켓몬을 멤버로 짤 때 출전하기 전에 일어난 불우한 사고로 참가할 수 없게 된 포켓몬.[14] 결국 이 녀석 대신 돌아온 꼬부기가 활약했다. 분명 큰 부상이 아니었는데도 성도리그 내내 배틀에 나오질 못했다. 공식 전적은 5승 2패로 준수한 편이긴 한데, 신오리그에도 못 나왔고 은근히 대우가 안 좋은 녀석.[15] 켄타로스와 질뻐기는 성도리그에라도 참전했는데 이 녀석은 석영고원 리그 이후로 배틀에 나오질 못하고 있다.

사용기술은 거품/물대포/파괴광선/짓밟기/집게해머/째려보기

전적
무인
13화에서 한지우에게 포획[16]
EP상대트레이너비고결과
77나시코무포켓몬리그 1회전
77화에서 킹크랩으로 진화
77시드라코무포켓몬리그 1회전
77골뱃코무포켓몬리그 1회전
78파르셀세이지포켓몬리그 3회전
78윈디세이지포켓몬리그 3회전
216수륙챙이이슬소용돌이컵
216고라파덕이슬소용돌이컵
최다연승 : 4연승
최다연패 : 1연패
7전 5승 2패 승률 0.714


1.7. 레트라[편집]


레트라
ラッタ | Raticate
파일:레트라(무인편).png
첫등장무인편 15화 <상트안느호에서의 시합!>
교환 시기
몬스터볼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4815.png 몬스터볼
타입
성별불명
특성불명

상트안느호에서 지우와 배틀했던 포켓몬 신사의 포켓몬.
버터플과 싸워 열세에 처한 것을 상대인 신사가 시합을 중단시켰고, 이후 지우의 버터플이 마음에 든 신사의 제안에 교환된다.

그렇지만 지우는 버터플에게 정이 깊게 들었던 터라[17] 상트안느호에서 탈출하기 전 다시 버터플과 교환되어 주인인 포켓몬 신사에게 돌아간다.

지우의 정식 포켓몬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다만 한번 교환해 소유한 적이 있고 꺼낸 적도 있으므로 도감엔 등록되어있다.


1.8. 성원숭[편집]


성원숭
オコリザル | Primeape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800px-Ash_Primeape.png
첫등장무인편 25화 <おこらないでねオコリザル!(화 내지 말아줘 성원숭!)>
포획 시기
몬스터볼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4815.png 몬스터볼
타입
성별수컷
특성불명
진화 시기망키(야생)

성원숭
(무인편 25화 <おこらないでねオコリザル!(화 내지 말아줘 성원숭!)>)
성우오오타케 히로시파일:일본 국기.svg
이선주(망키)
장호비(성원숭,무인) → 남도형(BW)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망키였을 때 무지개 시티로 가던 중 길가에서 점심을 먹던 지우 일행 앞에 나타나 웅이한테서 주먹밥을 받아먹었다. 지우가 망키를 잡으려고 몬스터볼을 던지니 먹고 있던 주먹밥을 던졌고, 갑자기 태도가 돌변하여[18] 초창기에 지우가 쓰고 다니던 포켓몬 리그 모자를 탈취, 나무 위에 올라가 모자를 뒤로 돌려쓰고 지우가 몬스터볼을 던지는 포즈를 흉내냈다. 그러고 있다가 성질을 건드리던 로켓단 3인방 때문에 화가 나서 진화, 가뜩이나 상대하기 힘들던 망키가 성질 더러운 성원숭으로 진화해서 지우 일행을 위협했으나 파이리 분노 기술을 사용해 화염방사에 당하고 지우에게 잡혔다. 성원숭에게 쫓기느라 워낙 뛰어서 그런지 지우 일행은 예정보다 무지개시티에 일찍 도착했을 정도. 성질이 더러워서 나올 때마다 지우를 때리다 보니 겁먹은 지우가 민화와의 싸움에서도 그 이유 때문에 꺼내지 않았다.[19]

결국 성격때문에 별로 안 쓰였지만 시합준비만 하느라 가정을 돌보지 않는 철만 아저씨의 홍수몬을 이겨달라는 철만 아저씨의 딸 한아름의 요청에웅이가 넘어가서 P-1 그랑프리[20]시합에 출전하게 되고, 알통몬에게 맞아 링에게 나가떨어질 때 몸을 던져 자신을 받아준 지우를 보고 눈물을 흘리더니[21] 메가톤킥으로 알통몬을 쓰러뜨린 후로는 지우의 명령을 잘 따른다. '성원숭' 이라는 이름답게 무진장 불같은 성격이지만, 은혜를 입으면 거기에 감동할 줄 알고 반드시 갚는 성격인 듯. 이후 차례차례 우승하다 결국 결승에서 시라소몬을 쓰러뜨린 후 우승한다. 성원숭의 격투기 재능을 알아본 철만 아저씨에게 스카웃됐다.[22] 헤어질 때 눈물을 보이며 지우와 이별했는데, 지우의 포켓몬 중에 꽤나 일찍 헤어지는 편에 속하지만 자기 나름대로 지우와 정이 많이 들었던 듯. 하지만 그 뒤로 안 나온다.

그런데 오랫만에 포켓몬스터 베스트위시 시즌 2의 오프닝에서 등장했다!

사용 기술은 난동부리기/할퀴기/메가톤킥/지구던지기.

원래는 놓아준 포켓몬 항목에 서술되었으나, 꼬부기처럼 놓아준 게 아니고 단지 스카웃 됐을 뿐이라[23] 여기로 옮겨졌다. 이후 W 132화에서 피카츄의 회상에서도 나오는 등, 고우스트같은 경우와 달리 명백히 포획한 포켓몬으로 취급된다.

전적
무인
25화에서 한지우에게 포획[24]
EP상대트레이너비고결과
29알통몬엑스트라P-1 그랑프리
29괴력몬엑스트라P-1 그랑프리
29시라소몬로켓단P-1 그랑프리


1.9. 질뻐기[편집]


질뻐기
ベトベトン | Muk
파일:썬문 질뻐기.jpg
첫등장무인편 30화 <コイルはでんきネズミのユメをみるか!?(코일은 전기쥐의 꿈을 보는가!?)>
포획 시기
몬스터볼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4815.png 몬스터볼
타입
성별수컷
특성불명
성우이시즈카 운쇼 → ???파일:일본 국기.svg
장호비(무인) → 불명(AG) → 신용우(DP~)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제임스 카터 카스카트[25]파일:미국 국기.svg

블루 네이비시티라는 이름을 가진 환경이 오염된 도시에서 부하인 질퍽이들을 이끌고 다니면서 도시를 침식하고 다녔다. 결국은 지우에게 잡혔지만 몬스터볼 속에 들어갔는데도 냄새가 날 만큼 악취가 심했고 오박사에게 보내지고 나서 오박사도 질뻐기의 냄새를 맡고 기겁했다.[26] 사람에게 들러붙어 껴안는 것을 매우 좋아하기 때문에 날이면 날마다 오박사를 침식시킨다(…). 나중에 오박사와 친해진 이후로는 냄새가 사라졌다고 하는 듯.[27][28] 지우보다는 오박사를 더 잘 따르는것 같다.[29] 하지만, 지우한테도 상당히 달라붙는다. 관철이는 질뻐기가 오박사를 덮치는걸 보고 이렇게나 포켓몬을 사랑한다며 감동먹었다. 기본적으로 붙임성이 있고 애교가 많은 성격인 듯. XY&Z 기준으로 지우의 포켓몬 중에서 유일한 단일 독 타입이었지만 이후 알로라에서 베베놈을 영입하였다.물론 베베놈이 아고용으로 진화하면서 다시 유일한 단일 독 타입 포켓몬이 되었다.

오박사의 포켓몬 강의 질뻐기 편에서도 등장한다. 오박사가 포켓몬에 대한 연설을 한 후 직접 포켓몬을 대면하다가 굴욕을 맞이하는 기본 구성과는 달리 오박사가 연설을 하기도 전에 천장에서 떨어져서 오박사를 깔아 뭉개버렸다. 오박사가 이 때문에 짜증을 내기도 했지만 "끔찍해도 친해지면 그렇게 나쁜 녀석은 아니다"라고 말하면서 훈훈하게 마무리.

모습이 다소 독특한 포켓몬이지만 그래도 지우를 닮아 한 넉살과 오지랖 한다고, 지우한테 잡혔을 때 모습이 전혀 생각나지 않을 정도로 사람을 무지 좋아한다. 오박사의 말에 의하면 이상한 사람을 좋아한다고 한다. 대표적으로 로사.[30]

하도 냄새도 나고 더러운 느낌이 나는지 우츠보트가 집어 삼킬려다가 우엑했다.

내루미의 핥기를 좋아한다.[31]

하여간 역시 포켓몬 리그용 포켓몬으로 석영고원 리그에서 격투술을 쓰는 모다피[32] 를 쓰러뜨리는 활약을 했으나 이 배틀 자체가 개그 분위기였다. 질뻐기가 진흙이기 대문에 모다피의 발차기 등등 물리공격을 받아도 '출렁' 거리기만 하고 대미지는 전혀 입지 않았다.[33] 그러나 연출은 굉장히 무서웠다. 긴장되는 BGM과 더불어 공격을 날리면서 당황하는 모다피와 그리고 천천히 음영을 띄며 클로즈업되며 다가오는 질뻐기의 연출 때문에 개그물 같은 동시에 괴물 영화같은 느낌도 났다.[34] 성도리그에서 오바람을 상대로도 사용했으나 거북왕의 파워에 밀려 거의 활약을 못하고[35] 교체했다가 핫삼의 스피드에 대항하기 위해 내보냈다가 스피드스타에 리타이어.[36]

참고로 AG 배틀 프론티어 시작 때 털보 박사에게 달라붙기도 했다.

DP에서도 오랜만에 나와줬지만 오박사와 지우를 덮치는 모습만 나오고 경기에서 뛰는 건 나오지 않았다.

BW 데코로라제도편, XY에는 질뻐기 대신 로토무가 화상통화로 오박사 등장했을 때 항상 같이 따라 나왔다.

SM 42화에서 알로라의 질뻐기와 비교하는 차원으로 오랜만에 등장. 간만에 지우를 보고 반가운지 누르기를 시전한다(…).[37] SM 111화에서 멜탄이라는 신종 포켓몬 보고를 화상통화로 오박사에게 전할 때도 등장했지만 덮치진 않았다.

W 68화에서는 켄타로스 무리에 의해 날려간 지우와 피카츄를 받아내고 바로 환영인사로 누르기를 시전한다. W 114화에서도 재등장했고 다른 포켓몬들과 함께 지우한테 인사하는데 이 때는 지우를 덮치진 않았다. 여담으로 어째서인지 이때는 색채가 무인편 시절로 돌아가 있다.

여담으로 무인편 30화에서 잡았는데 200화가 넘는 에피소드중에서 단 두 번 배틀했다(…).[38]
이후 시즌에서도 가끔씩 나오는 감초(?)같은 느낌이라 배틀은 안하기에 사실상 개그담당. 최종편인 노려라 포켓몬 마스터에서도 배틀 전적이 추가될 지는 불명.

사용기술은 독가스/오물폭탄/누르기.

전적
무인
30화에서 한지우에게 포획[39]
EP상대트레이너비고결과
79모다피카오루코포켓몬리그 4회전
272핫삼오바람성도리그 16강
최다연승: 1연승
최다연패: 1연패
2전 1승 1패 승률 0.500


1.10. 켄타로스[편집]


켄타로스
ケンタロス | Tauros
파일:external/static1.wikia.nocookie.net/%EC%A7%80%EC%9A%B0%EC%9D%98_%EC%BC%84%ED%83%80%EB%A1%9C%EC%8A%A4.png
첫등장무인편 35화 <ミニリュウのでんせつ(미뇽의 전설)>
포획 시기
몬스터볼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3805.png 사파리볼×30[40]
타입
성별수컷
특성불명
성우코니시 카츠유키파일:일본 국기.svg
[41]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지우가 사파리 존을 방문했을 때 무려 30마리나 잡혔다.[42][43] 물론 이 많은 켄타로스를 들고 다닐 방법 따위는 없기에 포켓몬 리그를 비롯한 특별한 시합이 있을 때면 한 마리를 불러온다. 등장횟수에 비해서 활약하는 양은 굉장히 크며 사실상 그야말로 포켓몬 리그용 포켓몬이다. 특히 아슬아슬한 상황까지 몰리면서도 결국은 상대 포켓몬 여러 마리를 혼자서 쓰러트려버리는 기염을 토하곤 한다. 참고로 보통 저 30마리를 다 쓰는게 아니라 땅가르기를 사용하는 대장 켄타로스(추정)만 사용하는 듯 하다.[44]

중요한 사실은 켄타로스를 대량으로 잡은 이후 포켓몬 리그를 제외하면 사실상 같이 트레이닝을 한 적이 없는데,[45] 리그 등 큰 시합에선 대부분 준수한 수준의 맹활약을 펼친다는 것이다.[46] 오렌지 리그에선 이상해꽃을 쓰러트리기도 했다. 하지만 오바람과의 배틀에서는 니드퀸의 파괴광선 한 방에 KO당하는 굴욕을 겪기도 했다. 배틀 타워에서는 히든카드로 나와서 메타그로스를 돌진으로 쓰러트린다.

참고로 켄타로스를 잡은 사파리존 에피소드는 조연 캐릭터의 총기사용 때문에 총기범죄에 민감한 대부분의 서양국가에서 방영이 되지 않았다. 그래서 많은 서양 아이들은 갑툭튀한 켄타로스 무리에 어리둥절하기도 했다고.[47]

오박사의 말에 의하면 뛰는걸 좋아하니 계속 뛰게만 해주면 된다고 한다.[48] 오박사의 포켓몬 강좌 콘팡 편에서도 나온듯하다.

지우가 실수로 많이 잡은 포켓몬이긴 하지만 지우는 싫어하는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49]

썬&문 1화에서 지우가 트레이너 스쿨에서 켄타로스한테 치었을 때도 켄타로스를 잡았다는 언급과 동시에 익숙하다는 말을 한다.


썬&문 42화에서 관동으로 일시적으로 돌아가는 스토리인 만큼, 등장이 확정되었는데, 지우가 오박사의 연구소에 올 때 켄타로스들을 반가워하며 켄타로스들이 반가운 얼굴로 얼굴을 붉히고 단체로 달려와 지우를 로켓단처럼 날려버린다.

W 68화에서 간만에 오박사 연구소에 방문한 지우와 피카츄를 환영의 의미로 로켓단처럼 날려버린다. 이때 로켓단처럼 날아간 지우와 피카츄는 질뻐기가 받는다.

사용 기술은 그림자분신/뿔찌르기/마구찌르기/돌진/땅가르기.

전적
무인
31화에서 한지우에게 포획
EP상대트레이너비고결과
114이상해꽃강산오렌지리그
114망나뇽강산오렌지리그
148켄타로스미즈시-
271니드퀸오바람성도리그 16강
AG
169후딘리라배틀타워
170메타그로스리라배틀타워
최다연승 : 1연승
최다연패 : 2연패
6전 2승 3패 1무 승률 0.4


1.11. 마임돌이(마임맨)[편집]


마임맨
バリヤード | Mr. Mime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405129a2.jpg
첫등장오리지널편 64화 <ポケモンサーカスのバリヤード (포켓몬서커스의 마임맨)>
포획 확인W 7화 <격투의 호연지방! 도전 배틀프런티어!!>
몬스터볼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4815.png 몬스터볼
타입

성별불명[50]
특성불명
성우우에다 유지파일:일본 국기.svg
이선주(무인)→ 채의진(AG)→ 남도형(BW)→ 김율(SM)→ 불명(W)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지우의 집에 같이 있던 시기는 1998년 9월 24일부터지만 공식 배틀에 출전하는 시기는 2019년 12월 29일로 무려 21년 3개월, 홧수로 따지면 무려 1,028화가 지난 뒤다. 또한 정식 포켓몬인 것이 확정되면서 처음으로 지우가 소지한 에스퍼 포켓몬이자 페어리 포켓몬이다.

W시즌의 오프닝에서는 마임돌이가 나오고, 2화의 일부 장면에서 마임돌이가 지우, 지우 어머니, 오박사와 함께 채박사 연구소로 가는 장면이 나와, 아예 마임돌이가 지우의 포켓몬으로 옮겨가는거 아닌가 하는 추측이 있었으나, 2화에서 밝혀진 바로는 지우가 채박사 연구소에서 묵게 되자 그 뒷바라지를 위해 지우 어머니가 마임돌이를 맡겨둔 것이었다.

3화 첫 장면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고우와 지우를 깨우기 위해 들어가더니 아무것도 들고 있지 않은 손으로 청소기 흉내를 내서 정말로 지우와 고우의 이불을 빨아들이는 모습이 나왔고, 4화에서는 음식 준비를 마임으로만 하는 기행을 보였다.

6화에서 지우와 고우의 방에 있는 벌레 포켓몬들을 보고 채박사, 하루와 함께 놀란다.

7화 첫 장면에서 고우, 채박사, 하루, 그리고 채박사 연구소 파크의 포켓몬들과 함께 쿵푸 체조를 하는 모습으로 나온다.

이후 호연 지방에 도착한 지우의 몬스터볼 안에서 등장하여 배틀프런티어 비드로컵 싱글배틀 엔트리에 등록되었다. 이로서 마임맨도 지우의 포켓몬임이 확정되었다. 또한 선행 공개된 이미지에서 지우가 사용하는 그 포켓몬의 정체임이 밝혀졌다.

그리고 결승전의 첫 주자로 나서며, 하리뭉을 상대한다. 발경을 모두 여유롭게 회피한 후 힘껏펀치로 유효타를 먹이며, 리플렉터로 손바닥치기를 봉쇄하면서 하리뭉을 포박한 후 사이코키네시스로 마무리를 짓는다. 하리뭉을 쓰러트리고 나서 여유로운 포즈를 취하거나 썩소를 짓는 등 엄청난 여유를 보였으나, 다음 주자로 나온 그라에나를 보자마자 배틀을 시작하기도 전에 포기를 선언하고 피카츄와 교대한다. 그라에나의 특성 위협 때문에 겁을 먹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후 7화 마지막 장면에서 방안에서 비드로컵 상품으로 받았던 비드로들을 유심히 보며 엔딩 전 장면에서 비드로를 부는 모습이 반투명하게 배경과 겹쳐서 나온다. 아무래도 비드로가 마음에 든 모양.

파일:Screenshot_20200204-233457.jpg

11화에서는 팬텀 때문에 봉변을 당하지만 엉망이 된 수건들을 사이코키네시스로 다시 정리한 뒤 받아내서 지우한테 칭찬을 받는다. 이때 마임맨의 기묘하게 웃는 표정이 압권.

16화에서는 팬텀에게 또 당하면서 지우에게 하소연을 한다. 지우는 마임으로만 설명하는걸 또 용케 잘 알아듣는다. 또한 지우가 먹는 모습을 지켜보는 등 지우를 잘 따르는 모습을 보인다.

23화 초반 부분에 등장한다. 리오르의 실력향상을 위해 배틀해준다. 다만 리오르가 아직 어려서 강도가 약한 리오르의 진공파를 여유롭게 리플렉터로 막으며 선전한다.[51] 27화에서도 리오르의 특훈을 도와주고 있다.

예전부터 같이 지낸 포켓몬이라 그런지 첫 배틀인데도 호흡이 잘 맞고, 애니에서 보정을 많이 받는 에스퍼타입 포켓몬이다 보니 배틀 실력도 상당하다. 마임맨이 가정부로 일하는 모습만 봐 왔던 고우는 의외로 강력한 마임맨의 배틀을 보고 경탄하기도.

하지만 비드로컵 이후엔 다시 가정부의 역할로 돌아간다. 잡지에서 배틀 멤버를 소개하는 장면에서 빠져있고, 이후의 정보 공개에서도 포함되지 않아 배틀 엔트리에는 들어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리오르의 특훈을 도와주는 장면이 있어 배틀에는 아예 배제되진 않는 것으로 보인다.

명탐정 피카츄의 마임맨 밈이 애니에도 등장하고 있으며, 뭔가를 한 뒤 썩소를 날리는 카오게이를 자주 보여준다. 전작카오게이 담당과 다르지만 이쪽은 이쪽대로 인상을 남기고 있는 중.

27화 초반에는 리오르의 훈련상대가 되어 준다. 리오르의 진공파와 발경을 리플렉터로 막아낸다.

28화에서 고우가 마임맨이 고글을 쓰고 양파를 자르는 것을 본 것을 토대로 울머기의 눈물 효과[52]에 대응할 수 있었다.

30화에서는 피카츄와 메인으로 출연. 리오르에만 집중하는 지우에게 실망하여 가출한 피카츄를 달래는 역할로 나왔다.[53] 식사시간에 마임을 부려 하루를 황당하게 만드는 것은 덤. 도중에 깨비참 무리의 습격을 받아 피카츄의 도움을 받는데, 영락없는 오리지널 1화 오마주.

59화에서는 자신에게 공격적이게 구는 흥나숭의 공격을 여유롭게 피하거나 손바닥으로 막으면서 간만에 짧지만 강한 존재감을 보여주었다.

수 많은 지우의 포켓몬 중 유일하게 로켓단 삼인방이 가진 포켓몬의 진화트리와 겹치는 포켓몬이다. 로이흉내내와 겹친다.

포켓몬스터 노려라 포켓몬 마스터 1화에서도 등장. 빗자루로 집 앞 길가의 나뭇잎들을 치우던 중 오박사가 오자 안좋은 표정으로 본다.

  • 기술 배치 - 힘껏펀치 / 리플렉터 / 사이코키네시스[54]

전적
7화에서 한지우에게 포획 확인
EP상대트레이너비고결과
7하리뭉봉준배틀프런티어 비드로컵 결승전
최다연승: 1연승
최다연패: 0연패
1전 1승 0패 0무 승률 1


2. 오렌지제도 포켓몬[편집]


이미지:스라프라.png이미지:보만잠.png
라프라스잠만보


2.1. 라프라스[편집]


라프라스
ラプラス | Lapras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Ash_Lapras.png
첫등장무인편 86화 <라프라스를 구하라!>
포획 시기
몬스터볼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4815.png 몬스터볼
타입

성별수컷
특성불명
성우아이카와 리카코파일:일본 국기.svg
지미애(오렌지제도편)
차명화(금은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오렌지 제도에 가서 무리로부터 떨어진 채로 버려진 상태에서 동네 불량배들에게 괴롭힘당하고 있던 어린 라프라스를 지우가 구해주었다. 라프라스 중에서 어린 축에 속하기 때문에 보통의 라프라스보다 초롱초롱한 눈매이다. 이후 오랜지 제도를 여행할 때 그 등을 타고 매우 위험한 항해를 했었다. 오랜지 제도의 헤드 마스터 매치에서 팬텀과 무승부를 기록한게 리그 전적의 전부. 하지만 레이스에서도 이기는 등 나름대로 활약을 했었다. 결국은 무리로 돌아가면서 지우가 놔줬다.[55]

이후 금은편에서 지우가 바닷가에 갔을 때 우연히 이 곳을 지나가다가 지우를 알아보고 달려와 감동의 재회를 나누기도.[56] 이 화에서 이 라프라스는 무리의 대장이 된다. 그 후에는 배틀프런티어 오프닝에서 파도를 타며 등장했다.

라프라스의 엄마는 이로치 라프라스는 아니지만 색깔은 다르므로 일종의 이로치라고도 할 수 있겠다.[57]

이후 포켓몬스터 노려라 포켓몬 마스터 7화에서 재등장이 확정되었다.

주요 기술은 냉동빔, 물대포.

전적
무인
86화에서 한지우가 데려감
EP상대트레이너비고결과
114팬텀강산오렌지리그
115화에서 라프라스를 놓아줌


2.2. 잠만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잠만보(한지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성도지방 포켓몬[58][편집]


파일:3D 스프라이트 마그케인.gif파일:3D 스프라이트 리아코.gif
헤라크로스베이리프마그케인리아코야부엉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beedrill.gif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larvitar.gif
독침붕왕콘치코리갑애버라스


3.1. 헤라크로스[편집]


헤라크로스
ヘラクロス | Heracross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Ash_Heracross.png
첫등장무인편 120화 <げきとつ! ヘラクロスVSカイロス!(격돌! 헤라크로스 VS 쁘사이저!)>
포획 시기
몬스터볼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4815.png 몬스터볼
타입

성별수컷
특성불명
성우코니시 카츠유키파일:일본 국기.svg
차명화(무인) → 불명(AG)
양석정(DP) → 불명 (W)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성도지방에 와서 처음으로 잡은 곤충형 포켓몬으로[59] 상당히 힘이 좋다.[60] 원래 한 숲에서 쁘사이저와 헤라크로스끼리 영역이 나누어져 헤라크로스끼리 살고 있었다. 그런데 로켓단 때문에 영역을 잃은 쁘사이저들이 헤라크로스들의 영역을 침범해 헤라크로스는 항상 쫓기고 있었다. 힘은 쁘사이저만큼이나 대단하지만 너무 착해서 도망만 다닌다는 성격이다.[61] 지우 일행을 마음에 들어해 쫓아다니며 도와준다. 그런데 먹성이 심해 나무를 쓰러뜨려 수액을 빨아먹거나 지우의 이상해씨의 꿀을 빨아먹다 덩굴채찍으로 얻어맞기도 한다. 후에 로켓단의 메카를 쓰러뜨린 후, 지우가 마음에 들어 따라와서는 스스로 잡힌다. 여담으로 이슬이가 우호적인 시선을 보낸 몇 안되는 벌레타입.

뿔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성별은 수컷인데, 무인편 한정으로 한국판과 일본판에서 목소리가 차이난다. 일본판은 성인남성의 목소리가 나고, 한국판은 남자어린이 목소리가 난다. 이후 AG에 다시 등장했을 땐 변성기가 왔는지 날카로운 청년 목소리로 변했다가 DP에선 아예 굵직한 남자 목소리로 바뀌었다.

오리지널 편에서는 보통 정찰용 새 포켓몬이나 스타팅 포켓몬들을 빼면 전부 잡기만 하고 나머지 포켓몬 리그전에서만 썼지만, 이 녀석은 120화에서 포획돼서 146화까지는 지우의 엔트리에 있었다. 그러다가 켄타로스를 쓰기위해 146화에서 켄타로스가 교체되면서 오박사 연구소로 가고, 바로 다음 화에서 켄타로스를 다시 돌려보낸 이후로도 다시 콜업되지 않았다. 보통은 오박사의 연구소에서 살고 있었지만 오바람과의 시합에서 승부를 내기 위해 이 녀석을 끌고왔었다. 타입적인 불리함이 있음에도 불 포켓몬인 마그마를 쓰러트리는 기염을 토했지만[62] 바람의 에이스 거북왕에게 광탈당했다.

꿀, 특히 이상해씨 계열의 꿀을 좋아하는 탓에 배틀프론티어에서 프론티어 브레인 우근의 이상해꽃을 보고 시합중에 꿀을 빨아먹으려고 한 적도 있었다. 물론 본인은 헤라크로스의 여유를 배워야 겠다고 감탄한다. 덕분에 이상해씨는 얘만 나오면 체면을 구긴다.[63]

DP에서 오랜만에 오박사 연구소에서의 모습이 나올때도 이상해씨의 꿀을 빨아먹다가 아예 오박사의 머리까지 핥는다. 신오리그 첫번째 배틀에서 다시 등장, 잠꼬대를 익혀둔 덕분에 시호귀뚤톡크와 치열한 접전 끝에 승리를 거뒀다. 상대 전법에 완벽히 대응하기 위해 내보내서 대 활약한 경우. 택트 전에도 다크라이의 다크홀 콤보에 잠꼬대 전술로 대응하기 위해 투입됐고, 다크홀에 당하고도 잠꼬대로 메가폰까지 나왔지만, 결국 메가폰을 정통으로 맞고도 버틴 다크라이의 다크홀-꿈먹기 한방에 KO. 그래도 지우의 올드 멤버 중에는 유일하게 신오리그에 두 번이나 참가했으니 나름대로 대우가 좋은 편일지도 모른다.

6세대에서 헤라크로스가 리자몽처럼 메가진화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팬들에게 잊혀졌고, 비슷한 포지션의 루차불이 지우의 멤버로 편입되어 확률이 낮다. 하지만 포켓몬 타입이 겹치는 건 연구소에서 교환하면 해결되기 때문에 재등장 가능성은 분명히 있...었으나 끝내 안 나왔다.

DP에서 사용한 기술은 잠꼬대/뿔찌르기[64]/메가혼/파괴광선/힘껏펀치[66]

전적
무인
120화에서 한지우가 데려감
EP상대트레이너비고결과
122코리갑히라-
142핫삼-
271마그마오바람성도리그 16강
271거북왕오바람성도리그 16강
AG
164이상해꽃우근배틀팰리스
DP
183귀뚤톡크시호신오리그 1회전
189다크라이택트신오리그 준결승
최다연승: 2연승
최다연패: 2연패
7전 3승 4패 0무 승률 0.429


3.2. 치코리타 → 베이리프[편집]


베이리프
ベイリーフ | Bayleef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Ash_Bayleef.png
첫등장무인편 128화 <いじっぱりのチコリータ(고집불통 치코리타)>
포획 시기
몬스터볼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4815.png 몬스터볼
타입
성별암컷[67]
특성심록
진화 시기치코리타

베이리프
무인편 201화 <さよならチコリータ!? でんきのラビリンス! (잘 가 치코리타!? 전기의 미궁!)>
성우카나이 미카파일:일본 국기.svg
차명화 (치코리타, 무인편)
이선 (베이리프, 무인편) → 불명(AG) → 정미숙 (DP) → 불명 (W)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성도에서 잡은 치코리타가 진화했다. 첫 등장 시에는 야생 포켓몬으로, 지는 걸 싫어하는 자존심 센 성격으로,[68][69] 바위에 부딪혀 지우가 포켓몬 센터로 데려가지만 지우에게 계속 적대적이었다. 그러다 로켓단에게 피카츄와 함께 잡혀갔을 때 지우가 뒤쫓아가서 구해내지만 여전히 지우에게 적대적이었고, 혼자 떠나버렸다. 그러나 눈밭에서 추위에 떨던 도중 지우가 치코리타를 찾아내고 자신의 품 속에서 몸을 따뜻하게 해주자 호감을 가지며, 지우 일행과 헤어질 때는 애절한 표정으로 지우에게 따라붙으며 지우에게 잡힌다.

그 다음화에서 누오가 지우에게 들러붙자 아무라도 나와서 도와달라고 꺼낸게 치코리타였다. 그런데 지우에게 들러붙는건 자신만이어야한다는 생각을 가졌는지 누오를 떼네려고 갖은 짓을 다했다. 심지어 지우에게 들러붙어 당당히(?) 쟁취의 모습을 보여주기까지 한다. 웅이조차 "포켓몬이 주인을 따르는건 좋은 일이지만 이건 좀 심한거 같은데..." 라고 했을 정도

무인편 201화에서 지우와 치코리타 둘이서만 발전소에 갇히는 위기를 맞이했는데, 숱한 위기를 겪으며 간신히 탈출했으나 로켓단에게 붙잡혔고, 지우가 필사적으로 자신을 구하려는 모습에 슬퍼하며사랑하는 남자를 구하기 위해 베이리프로 진화해버렸다. 베이리프로 진화했을 때는 너무 커진 바람에 지우에게 안기려다가 깔아뭉개는 모습도 보여줬는데, 이것도 처음엔 몸통박치기였다가 누르기로 변한 거다.

성도지방에서 여행을 다닐때 쭈욱 활약했으며 리그전이 끝날때까지 중요멤버로 남아있었다. 변칙적인 공격이 상당한 특기로 누르기를 주력으로 쓰는 나름 무게있는 포켓몬임에도 덩굴채찍으로 땅을 쳐서 점프를 하는 모습도 보여줬다[70]]. 성도리그 16강에선 오바람의 에이스 포켓몬인 거북왕의 전투력측정기 역할로 허무하게 광탈했지만[71] 이후 8강에선 상성상 불리한 헬가덩굴채찍으로 입을 막아버려 화염방사를 봉쇄해서 이겨내는 대활약을 한다. 치코리타 시절엔 질투심에 피카츄를 적대했으나, 진화한 이후론 그런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배틀 프론티어편 시작 시점에서 켄타로스 무리에게 휩쓸려간 지우를 건져내기도 했다.

소용돌이컵때 오박사에게 맡겨졌는데 오박사의 영 좋지 않은 곳을 맞추면서 연구소를 휘저었다. 이후 이슬이에게 패배한 지우가 베이리프를 돌려받을 때 화면을 보며 울음을 터뜨리는 모습이 귀엽다.

파일:external/i1.ruliweb.com/158e1c0070f148aed.jpg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Ash_Bayleef_affection.png
위에서 보다시피 지우를 이성으로서 매우 좋아한다. 질투심도 심해서 지우와 항상 붙어다니는 피카츄를 견제했지만. 202화 가출 에피소드 이후로는 적개심을 거두고 피카츄와 친해졌다. 지우를 좋아한 최초의 포켓몬으로 이 기믹은 이후 극장판 라티아스, DP 에이팜[72], BW 메로엣타, W 망나뇽에게 이어진다. 그래서 그런지 작중 히로인스러운 모습을 많이 보여준다. 지우가 하도 날아가니까 베이리프한테 심하게 대해 베이리프가 상처받아 가출한 뒤, 나중에 지우가 베이리프를 구해주고 다시 사이가 좋아지는 에피소드가 있는데 누가봐도 연인끼리 싸우다가 화해하는 느낌이며, 은 아예 베이리프를 여자 취급을 한다.

신오리그를 앞두고 지우의 옛 포켓몬들이 등장했을 때 지우를 깔아뭉갠다. 그런 베이리프를 몬스터볼에 집어넣을려고 했지만, 가볍게 몬스터볼을 입으로 잡아 그걸 막았다(…). 원래 지우가 전송 받을 포켓몬이 아니었는데 몰래 끼어 들어온 듯 하다.[73]

사실 진화 전 치코리타시절 지우에게 키스한 적이 있다![74] 극장판의 라티아스가 한 행위가 논란감인것과 비교하면 대단한 수준. 포켓몬 상태로 해서 그런가.. 진짜로 짝사랑한 사람이 이걸 보면 질투심 폭발할 듯... 우스갯소리로 세레나보다 훨씬 적극적인 메가데레라 히로인의 모습을 보이기도.

현재는 오박사 연구소에서 포켓몬 먹이차를 밀고있다.

파일:지우의 베이리프(W 회상).png
파일:포켓몬W 지우의 연구소 포켓몬들.png
포켓몬스터W 39화 지우와 사도의 재회에서 회상장면으로 잠깐이나마 오랜만에 모습을 비추었으며, 이후 68화에서 본격적으로 재등장.

그리고 114화에서 오박사 연구소에 온 지우에게 하트를 날리며 달려온다. 그것도 다른애들을 제치고 제일 선두로.

사용 기술은 달콤한향기/박치기/누르기/잎날가르기/덩굴채찍[75]/리프스톰[76]

전적
무인
128화에서 한지우가 포획
EP상대트레이너비고결과
133부우부비상체육관전
138레트라트레이너-
146페이검호일체육관전
146단데기호일체육관전
153별가사리이슬리아코 주인 결정전
180두코미노루-
201화에서 베이리프로 진화
211강챙이사도체육관전
211근육몬사도체육관전
249강챙이야스시-
272거북왕오바람성도리그 16강
273헬가한웅성도리그 8강
273번치코한웅성도리그 8강
최다연승: 4연승
최다연패: 1연패
12전 6승 4패 2무 승률 0.6


3.3. 브케인 → 마그케인 [77][편집]


마그케인
マグマラシ | Quilava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Ash_Quilava.png
첫등장무인편 143화 <ヒノアラシ! ゲットだぜ!! (브케인! GET이다!!)>
포획 시기
몬스터볼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4815.png 몬스터볼
타입
성별수컷
특성맹화
진화 시기브케인

마그케인
DP 180화 <熱戦前夜! サトシのポケモン大集合!! (열전 전야! 사토시의 포켓몬 대 집합!)>
성우우에다 유지파일:일본 국기.svg
차명화[78]&이선주&우정신(무인)[79]불명(AG)
문남숙(DP) → 불명 (W)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성도에서 잡은 스타터 중 하나. 불 포켓몬인 주제에 성격이 너무나도 느긋해서 시합중에 졸린듯한 태도에 의욕에 불이 붙기 전까지는[80] 불꽃기술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었고 그 덕분에 고생을 좀 하지만[81] 상성 상 불리함에도 강철날개로 자신을 죽음 직전까지 몰아넣은[82] 한 트레이너의 무장조와 싸우기 위해 특훈을 하거나 지우에게 몸통박치기를 반복하는 훈련도 하면서 그 약점을 극복하고 체육관 전에서 강철톤을 정면에서 상대할 정도로 성장한다.[83] 오박사 연구소에 남겨진 이후로는 탱자탱자 놀고 먹고 있는듯.

계속 브케인으로 남다가 신오리그를 위해 지우가 브케인을 데려온 DP 180화에서 로켓단과 싸우다가 드디어 진화했다.[84] 진화하면서 익힌 기술은 분화.[85] 그외에도 화염자동차라든가 제비반환 등 신기술을 선보이며 신오리그 첫 시합에서 찌르호크를 쓰러뜨린 아말도와 무승부를 내는 활약을 보여주었다.[86]

이상해씨나 꼬부기가 봄이의 이상해씨, 꼬부기와 만난 적이 있고 특히 이상해씨 쪽은 아예 콤비를 이루어 활약하기까지 했으나, 이쪽은 빛나의 마그케인(신오리그 당시 브케인)과 접점이 전혀 없다.

현재 지우의 불꽃 스타팅 중 유일하게 안 좋은 과거를 가지지 않은 포켓몬이다. 다만 인성 나쁜 트레이너에게 잡힐 뻔 해서 좀 안 좋은 대우를 받기는 했다. 또한 현 시점에서 중요 인물이 포획한 뒤 진화까지 가장 오랜 시간(508화)이 걸린 스타팅 포켓몬이다. 꼬부기나 리아코, 수댕이, 주리비안이 진화하지 않는 한 쉽게 깨지지 않을 기록 그리고 이렇게 시간이 오래 걸려서 진화한 기믹은 빛나의 마그케인도 물려받는다.[87]

사용 기술은 연막/스피드스타/제비반환/화염자동차/화염방사/분화.

전적
무인
131화에서 한지우가 포획
EP상대트레이너비고결과
143고지엑스트라-
146스라크호일체육관전
154무장조미키-
154무장조미키-
160니드리나꼭두체육관전
160삐삐꼭두체육관전
160밀탱크꼭두체육관전
161밀탱크꼭두-
184고오스유빈체육관전
184고우스트유빈체육관전
226강철톤규리체육관전
240쥬레곤류옹체육관전
240메꾸리류옹체육관전
250이상해꽃로이시합공원
264마그비센이치-
268나시엑스트라성도리그 예선 3회전
270레어코일쥰이치성도리그 2회전
DP
180화에서 마그케인으로 진화
183아말도시호신오리그 1회전
최다연승: 5연승
최다연패: 3연패
18전 9승 7패 2무 승률 .562


3.4. 리아코[편집]


리아코
ワニノコ | Totodile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Ash_and_Totodile.png
첫등장무인편 152화 <ワニノコはだれのもの!?サトシVSカスミ! (리아코는 누구 포켓몬!? 사토시 VS 카스미!)>
포획 시기
몬스터볼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Bag_Lure_Ball_Sprite.png 루어볼[88]
타입
성별수컷
특성급류
성우니시무라 치나미파일:일본 국기.svg
차명화이영주(극장판 3기 한정) → 불명(AG) → 불명(DP) → 불명 (W)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성도에서 잡은 스타팅 포켓몬. 이슬이와 서로 먼저 잡기 위해서 루어볼을 던졌지만 누구 볼이 잡은건지 확실하지 않았기에 결국은 둘이서 오랜만에 리매치를 가져서 주인을 정해야 됐다. 걱정이 없는 밝은 성격으로 춤을 추기도 한다. 이 춤이 어쩐 노릇인지는 모르지만 전투에서 상당히 도움이 되지만 그 지나치게 밝은 성격과 까불기 때문에 여러 포켓몬들이 귀찮아 하기도 한다. 나름대로 지우와 꽤 죽이 잘 맞았던 편이고 성도리그가 끝난 이후에는 오박사의 연구소에 남겨졌다. 가벼운 이미지에다가 번외시합 외엔 체육관전에선 제대로 쓰인적이 없지만 리자몽이라던가 소용돌이 컵에선 킹드라를 이긴 적도 있을 정도의 강자.[89] 머리카락도 가끔 문다.[90]

사실 체육관전에서 쓰인적이 있기는 하지만, 하필이면 상대가 충격과 공포의 꼭두밀탱크였다. 구르기 공격에 순식간에 아웃당하는 모습을 보였다.

상당히 마이페이스라 사이드스토리에선 로미&로젠이 딱구리,니드퀸으로 변장하고 오박사연구소에 잠입했는데 이때 보자마자 물부터 뿜더니 춤을 출 정도.[91]

DP에서도 나왔는데 주인하고 떨어졌다는 애가 분수대에서 놀다가 이름 부르니까 튀어나온다. 그리고 이 에피소드에서 브케인이 마그케인으로 진화하면서, 지우의 성도 스타팅 멤버 중 유일하게 비진화체로 남게 되었다.[92]

그래서 그런지 무인편 전체 최약체란 평이 많은편. 그렇지만 극장판 엔테이 편 오프닝 배틀에서는 진화체인 그랑블루를 상대로 연신 여유부리며 피하다가 물대포 한방에 다운시켜버리기도 했다.

사용기술은 박치기/겁나는얼굴/물대포/베어가르기/물기

여담으로 수컷이다. 암컷 마릴리와 암컷 누오에게 반해서 찝적대기도 했다. 이 에피소드에 해당하는 무인편 155화에서 웅이의 말을 들어보면 사내대장부라는 언급이 있었다.

한가지 대단한 사실은 이 리아코, 가끔씩 다음화 예고의 나레이션을 맡았다 그것도 사람말로! 본인왈 포켓몬이라도 의사전달이 안돼서 답답할때면 사람말을 하게된다고.

북미판이나 유럽권 더빙판을 보면 도날드덕이랑 비슷한 소리를 낸다고 한다

썬&문 42화에서 이슬과 수련이 뛰어든 호수에서 가재군과 함께 아주 잠깐 등장. 팔베게를 하고 누워 여유롭게 헤엄치는 의외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W 68화에서도 리자몽, 악비아르와 함께 나온다.W 129화 부터 지우의 다른 포켓몬들과 함께 지우의 경기를 보고 130화에서는 지우의 망나뇽단델드래펄트를 쓰러뜨리자 브이젤과 함께 좋아한다.

노려라 포켓몬 마스터 2화에서도 모아머, 가재군, 나몰빼미와 함께 등장한다.

국내 더빙판 한정으로 188화 깜지곰 편에서 깜지곰이 먹은 햄을 자기가 먹었다고 오해를 받자, "아니야!"라고 한 적이 있다.분노해서 화를 못참고 비밀을 말한건가

전적
무인
153화에서 한지우가 포획
EP상대트레이너비고결과
160밀탱크꼭두체육관전
161밀탱크꼭두-
176메타몽미미-
210롱스톤미나체육관전(짐리더 사칭)
217쥬쥬엑스트라소용돌이컵
217셀러엑스트라소용돌이컵
218킹드라츠리오소용돌이컵
219수륙챙이이슬소용돌이컵
250리자몽로사시합공원[93]
258랜턴류지-
269에레브모에이성도리그 1회전
273포푸니한웅성도리그 8강
273슬리퍼한웅성도리그 8강
최다연승 : 3연승
최다연패 : 3연패
13전 5승 7패 1무 승률 .417


3.5. 야부엉[편집]


야부엉
ヨルノズク | Noctowl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Ash_Noctowl.png
첫등장무인편 155화 <いろちがいのヨルノズク! ゲットだぜ!! (색이 다른 야부엉! GET이다!)>
포획 시기
몬스터볼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4815.png 몬스터볼
타입
성별수컷
특성불명
성우우에다 유지파일:일본 국기.svg
이선주(무인) → 불명(AG) → 불명(DP) → 불명 (W)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보통 야부엉이 아니라 색이 다른 포켓몬이다.[94] 별명은 별난 야부엉. 흔히들 말하는 이로치. 덕분에 희소가치가 상당히 높았고 노리는 사람이 하나 정도 있었으나 결국 지우에게 잡힌다. 현재 지우의 유일한 이로치 포켓몬. 지우에게 있어선 희귀한 에스퍼 타입 기술을 가지고 있기에[95] 고스트 타입의 포켓몬을 상대로 유일하게 활약할 수 있는 멤버.[96][97] 거기다 특유의 예지능력으로 머리까지 좋아서 지우의 포켓몬 중에선 상당히 하이레벨에 속한다. 현재는 오박사와 지내는 중.

그냥 초능력을 써서 체육관 전에서 큰 활약을 했고 이후에는 공기화.[98][99] 하지만 신오 리그에서 강평과의 일전에서 첫번째 순서로 배틀에 나간다. 상대는 단단지. 신기술인 신통력, 비행기술인 에어슬래시를 익혀와 단단지를 상대로 꽤나 선전하며 내룸벨트에게 일격을 먹여 기절시키기도 했다. 다만, 이후엔 야느와르몽트릭룸으로 인해 속도가 뒤바뀌어 패배.

파일:야부엉 비교.png
여담으로 일반 야부엉은 키가 약 1.6미터로 보통 사람과 비슷한데, 얘는 지우가 바닥에 앉은 키와 비슷할 정도로 작다. 첫 등장했을 때부터 같이 있던 일반 야부엉과 비교되면서 몸집이 작게 묘사되긴 했다. 그런데 포켓몬스터 W 115화에서 지우와 동급의 크기로 나타나 갑자기 일반 크기로 확 커졌다.

사용 기술은 최면술/불새/염동력/꿰뚫어보기/신통력/에어슬래시/힘껏치기.

전적
무인
156화에서 한지우가 포획[100]
EP상대트레이너비고결과
184고우스트유빈체육관전
184팬텀유빈체육관전
254킹드라이향체육관전
273강철톤한웅성도리그 8강
DP
185내룸벨트강평신오리그 3회전
185야느와르몽강평신오리그 3회전


3.6. 독침붕[편집]


독침붕
スピアー | Beedrill
파일:Casey_Beedrill.png
첫등장무인편 163화 <곤충채집 대회! 자연공원에서 GET다!!>
포획 시기
몬스터볼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4815.png[101] 파크볼
타입
성별불명
특성벌레의알림

성도의 자연공원 곤충채집 대회에서 포획한 포켓몬으로 지우는 이녀석으로 대회에서 우승했다. 게임에서처럼 대회종료 후 지우의 소유 포켓몬이 되었지만 나진에게 이를 양도했다.

지우의 정식 포켓몬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물론 포획한 건 지우이고 시상식에도 꺼냈었기 때문에 도감에는 등록되어있다.


3.7. 왕콘치[편집]


왕콘치
アズマオウ | Seaking
파일:지우가 잡은 왕콘치.png
첫등장무인편 170화 <아즈마오우! 피싱배틀!!>
포획 시기
몬스터볼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4815.png[102] 레이크볼
타입
성별불명
특성불명

왕콘치 낚시 대회에서 지우가 잡은 왕콘치. 작중에서 보면 꽤 큰 사이즈로 나온다. 다만 이후 재등장이나 언급이 없는걸보아 이 대회에서 잡은 왕콘치는 다시 호수에 풀어놓는듯.

지우의 정식 포켓몬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물론 잡긴 잡았으니 도감 등록은 되었다.


3.8. 코코리 → 코리갑[103][편집]


코리갑
ドンファン | Donphan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Ash_Donphan.png
첫등장무인편 229화 <ポケモンライドでつっぱしれ!! (포켓몬 라이드로 달려라!!)>
알을 받은 시기
알이 부화한 시기무인편 231화 <タマゴ、かえる (알, 깨어나다)>
몬스터볼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4815.png 몬스터볼
타입
성별수컷
특성옹골참
진화 시기코코리

코리갑
(AG 154화 <ドッキリ! ビックリ! エレキッド!! (두근! 깜짝! 에레키드!)>)
성우하야시바라 메구미[104](코코리) → 미야케 켄타(코리갑)파일:일본 국기.svg
차명화(코코리) → 이영란(AG)
불명(코리갑) → 불명 (W)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켓몬 썰매타기 대회에서 우승한 지우가 받은 알에서 태어난 코코리가 진화했다. 아직 어린 탓에 전투경험이 없어서 전투에선 좀 힘들어 보이지만 그걸 커버할 충분한 파워가 있었고 성도리그에서도 사용됐다. 이후 오박사의 연구소에다 남겨두지만 호연지방을 여행하고 돌아왔을때는 사실상 부모나 마찬가지인 지우가 없어서 너무 외로웠던 탓에 계속 지우의 파티멤버로 남을려고 한다. 결국 로켓단의 기계와 싸운 이후로 코리갑으로 진화했으며 배틀 프런티어에서 수많은 주요배틀을 소화했다. 하지만 진화해서 덩치가 무진장 커져 버렸음에도 여전히 어린아이와 같은 성격으로 자신보다 더 작은 포켓몬들과 어울려서 노는 모습을 보여주곤 한다.[105] 결국 신오로 떠날때 다시 한 번 오박사의 연구소에 남겨진다.

신오리그에서 각 포켓몬들과 재회하는 장면에서 잠시 재등장 했으나, 사실상 비중이 없었다. 믿음직하게 구르기를 하는 장면이 살짝 등장했던 것뿐. 강평과의 시합에도 참가했으나 거의 활약을 못 하고 야느와르몽에게 패배. 시합이 끝난 뒤 함께 출전한 야부엉, 딥상어동과 함께 사료를 먹었다.

한때 봄이의 꼬부기를 독침붕으로부터 지켜주기도 했다. 참고로 이 에피소드가 꼬부기 짤방의 원조.

포켓몬스터 노려라 포켓몬 마스터 1화에서 재등장. 마자용의 미러코트로 인해 반사된 폭음파를 구르기로 무효화시켰다.

주요 사용기술은 웅크리기/잠재파워/파괴광선/구르기/돌진이며 코코리때는 성도리그에서 지진을 사용했지만 이후엔 나오지 않는다.[106]

AG에서 보건대 지우의 피카츄와 친한 듯 하며, 최종장에서도 피카츄에게 친근하게 구는 모습이 짤막하게 나온다.


3.9. 애버라스[편집]


애버라스
ヨーギラス | Larvitar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Ash_Larvitar.png
첫등장무인편 259화 <ラプラスのうた! (라프라스의 노래!)>
알을 받은 시기
알이 부화한 시기무인편 260화 <タマゴをまもれ! あらしのなかでうまれたいのち! (알을 지켜라! 폭풍우 속에서 태어난 생명!)>
몬스터볼없음
타입
성별불명
특성근성
성우이토 미야코파일:일본 국기.svg
불명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타라 제인 샌즈파일:미국 국기.svg

알속에 있었을 때의 트라우마로 타인과의 접촉을 무서워하는 아기포켓몬. 알 속에 있었을 때 떨어져 나와 트럭에 치일 뻔도 하고, [107] 마음이 차갑고 약하며, 인간을 아주 무서워하지만, 유일하게 애버라스를 항상 응원해주고 용기를 북돋아주었던 지우에게만 마음을 연다. 그 외에는 공박사에게도 호의적인 듯 하지만 이슬과 웅이는 여전히 무서워한다. 본래의 고향인 은빛산에 데려다줄 때까지 같이 여행했다. 몬스터볼에 넣은 적이 없기 때문에 잡은 수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참고로 애버라스의 체중은 72kg(...)인데 이녀석을 작중 내내 가방에 넣어 다니거나 안고 다닌 한지우는 초인 확정.

무인편 265화, 동료들에게서 떨어져버린 g 모양의 안농에 의해 지우 일행이 애버라스의 마음 속으로 들어가게 되었다.[108] 그곳에서는 애버라스와 함께 여행했을 때 만난 에레키드 머리와 에레브즈 응원가, 마그비의 불꽃, 야도킹의 머리가 스쳐 지나갔다. 그 다음으로 지우 일행은 애버라스의 알을 보았고, 조금씩 깨진 부분에 애버라스 눈에 비친 세상이 보였다. 애버라스가 인간들을 무서워하게 되면서, 이슬이와 웅이는 애버라스의 눈에 흑백으로 비쳐 있었지만, 지우만은 원래 색으로 비쳐져 있었다. 애버라스가 지우만큼은 신뢰하며 따르고 있다는 증거. 그리고 지우가 애버라스의 알에 박힌 검은 가시 부분을 만지자, 순식간에 빨려 들어갔다. 검은 가시 덤불로 지우 일행을 둘러싸고 엄마 마기라스가 포켓몬 밀렵꾼들에게 공격받는 그 과거를 그 덤불 속에서 보게 되었다. [109] 마지막엔 갑자기 산이 솟아나며 정상에 애버라스가 차가운 얼음 속에 갇혀 고통스러운 소리를 내고 있었다. 결국 지우가 얼음을 맨손으로 깨뜨리고 애버라스를 구해 내며 애버라스의 마음 속에서 지우 일행은 빠져나온다. 그로 인해 더욱 지우를 따르게 되었다. 그리고 이때부터 이슬이와 웅이와도 친해지게 되었다.

나중에 엄마 마기라스와 만나고[110] 막판에 엄마랑 은빛산에서 살게 된다.[111]

그 후에는 AG의 마지막 오프닝인 "스퍼트"에서 자기 엄마인 마기라스와 함께 등장했다. 또, 썬&문에서 회상장면으로도 등장했다.[112]

활약했던 기간이 은근히 길었던 만큼 친해진 포켓몬 목록에 있는 포켓몬 중 유일하게 1000화 기념 지우가 소지한 포켓몬 상품에 포함되었다.

지우가 몬스터볼로 포획한 포켓몬은 아니나 간간히 회상장면이나 오프닝에 헤어진 동료들 사이로 나오는 것을 보면 1화만 같이 여행한 고우스트와는 달리 애버라스는 지우의 포켓몬 중 하나로 치는 듯 하였고, 25주년 기념 특별영상, W 132화, 그리고 노려라 포켓몬 마스터 포스터 및 오프닝으로 통하여 애버라스도 지우의 정식 포켓몬으로 인정 되었다.

사용기술은 싫은소리/잠재파워

4. 동행한 포켓몬[편집]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haunter.gif
고우스트


4.1. 고우스트[편집]


고우스트
ゴースト | Haunter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Sabrina_Haunter.png
첫등장무인편 23화 <유령 포켓몬 우리 친구하자>
타입
성별불명
특성부유
성우모리카와 토시유키파일:일본 국기.svg
장호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랑시티에서 만난 노랑체육관 관장 초련에게서 지우가 패배했다가 초련이 지우 일행을 인형으로 만들어버리려고 하다가, 초련의 아버지에 의해 지우 일행이 구출되고, 초련의 아버지가 지우에게 '에스퍼는 고스트에 약하다'[113] 라는 사실을 알려주며 초련을 이기기 위해선 유령 포켓몬을 잡아오라고 조언하며 지우 일행이 보라타운으로 향한다.
원래는 보라타운의 포켓몬타워에서 고오스, 팬텀과 함께 살고 있었지만 셋이 놀기 너무나외로워 같이 놀 사람을 찾고 있었다. 지우와 피카츄가 오자 팬텀과 함께 그들에게 개그를 보여주지만 썰렁하다는 핀잔을 받고 주눅드는 모습이 압권. 그러다 지우와 피카츄가 샹들리에에 깔리자[114] 둘을 유체이탈 시키며 다섯이서 놀러 다니지만, 지우는 포켓몬 마스터가 되어야 한다는 꿈이 있다며 영원히 놀아줄 수 없다고 말한다. 셋은 울음을 터뜨리지만 결국 지우와 피카츄를 위해 다시 육체로 돌아가게 보내주었다. 지우는 결국 고스트 포켓몬을 손에 넣지 못해 아쉬워했지만, 유독 장난을 좋아하던 무리 중에서 이 녀석이 지우를 도와주기로 하며 지우를 따라와서 기뻐했다. 그리고 남은 고오스와 팬텀은 로켓단 3인방을 잡아와 억지로 같이 놀이 상대로 삼아 놀고 있었다... 따라와서 잠시만 도와주기로 했을 뿐 지우에게 잡힌 건 아니었다. 지우 일행에게 기뻐하며 핥기 기술을 쓰다가 이슬이를 마비시켜버려 지우에게 혼나기도 한다.

그러나 산만한 성격 때문에 막상 초련과의 리턴 매치를 시작하게 되자 자꾸만 딴 짓을 하며 어디론가 사라져서 웅이와 이슬이가 초련에게 납치당해버리고 지우는 초련의 아버지에게 간신히 구출된다. 간신히 고우스트를 노랑시티에서 찾아내(고우스트는 산만하게 놀다가 지우를 도와 초련과 싸워주러 왔다는 걸 까먹어버린 상태였다.) 다시 데려와서 3차전을 치르지만, 또 사라져 버린다. 결국 피카츄가 압도적으로 강한 윤겔라를 상대로 싸워야 했다.

허나 피카츄가 상당히 고전하던 순간 마이페이스 성격이 발휘되어 갑자기 초련 앞에 나타나서는 폭탄을 터뜨리며 초련을 웃겨서 그 얼어있던 마음을 풀어버림으로서 전투의지를 상실시켰고, 초련과 텔레파시가 통하는 파트너포켓몬 윤겔라 또한 전의를 상실하여 승리를 거머쥐게 해줬다. 이후로는 노랑체육관에 남기로 하여 초련과 함께 살아가게 된다. 이로서 초련은 무인편에 출연한 인물 중 유일하게 에스퍼 포켓몬과 유령 포켓몬을 동시에 소유한 인물이 되었다.

5. 여담[편집]


무인편의 포켓몬들. 즉, 1세대, 2세대 게임으로 보면 지우가 가진 포켓몬은 사기 포켓몬이 상당히 많다.

사실 게임상에서 뿐만 아니라 세대를 거칠수록 1세대 포켓몬은 특히나 더 관록과 경험이라는 보이지 않는 스텟이 추가되고 있다. 상성이나 진화 세대같은 게임적 특성을 따지지 않았던 1세대의 흔적이라 그런지 몰라도 초반에는 이들의 전술 대부분은 애니메이션 연출로 인해서 임기응변이나 지우의 황당한 작전수행 능력에 힘입은 경우도 많았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경험과 관록이 붙게되자 불리한 상황에서 기지로 역전하는 장면이나, 혹은 경험을 앞세워 승리를 하는 모습을 종종 보여주고 있다.

포켓몬을 많이 잡긴 했으나 결과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고 여행을 다닌 멤버는 저 중에서 스타팅 포켓몬에 해당되는 포켓몬들과 피죤투, 야부엉 정도였고, 나머지는 리그 전에서나 겨우 모습을 드러냈다. 이마저도 피죤투와 야부엉도 정찰용으로나 쓰이고 비중이 그리 많지는 않아서 일상 에피소드에서는 스타팅 포켓몬이나 피카츄가 주로 나왔다. 그 외에는 버터플[115], 라프라스, 잠만보 정도가 비중이 높은 편이다. 그렇지만 비중이 적어도 리그 전에 나왔다하면 상당히 임팩트 있는 모습을 보인 포켓몬들이 많긴 하다.

오렌지제도 편 멤버는 피카츄, 이상해씨, 리자몽, 꼬부기, 라프라스, 잠만보였는데 이상해씨와 꼬부기만 최종진화하면 레드의 하트골드/소울실버, 블랙 2/화이트 2, 썬/문, 울트라썬/울트라문 엔트리와 같다. 사실 지우가 레드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니 파티가 비슷한 것도 무리는 아닌 듯.
[1] 포켓몬스터 W 132화 피카츄의 회상으로 나온 장면[2] 독침붕과 왕콘치는 관동지방 포켓몬이지만 성도에서도 서식하고 있었다.[3] 오리지널편이 끝날 때까지는 브케인이었다.[4] 오리지널편이 끝날 때까지는 코코리였다.[5] 호연에서는 스타팅 셋 중 하나만 잡았기 때문.[6] 그나마 태초마을로 돌아간 AG 배틀프런티어 도전 직전에서 셋 다 등장했긴 했다.[7] 게다가 썬문에서 지나가는 장면 격이긴 했지만 등장했다![8] 근데 이건 좀 지우 입장에서 좀 억울한게, 당시 지우 소유의 포켓몬 중 지우의 실력으로 잡히지 않은 건 피카츄와 파이리 둘 뿐이다.(게다가 피카츄는 애초에 스타팅 포켓몬이니 실력으로 잡지 않았다는 것은 매우 부당한 평가다.) 버터플, 피죤, 이상해씨, 꼬부기를 잡은 건 분명 지우의 실력이었고,(특히 버터플은 배틀없이 지우가 던진 몬스터볼 맞고 잡혔다) 실제 저들이 지우의 명령을 거역하거나 무시하는 모습은 보인 적이 없다.[9] 반대로 지우가 자기 실력으로 잡지않은 피카츄와 파이리는 다른 포켓몬들과 달리 지우에게 반항적인 모습을 보인다. 피카츄는 처음이야 말할 것도 없고 친해진 뒤에도 지우의 말을 무시하거나 따르지않는 경우가 적지않으며, 파이리는 성격이 좋아서 이런 모습을 보이지 않았지만 진화하면서부터는 피카츄를 능가하는 반항아가 되었다.[10] 한국은 매운탕이고, 일본은 라면이다. 전화를 걸었을 때 라면 봉지를 뜯는 모습이 나와서 지우가 기겁하기도 했다.[11] 지우를 매일 쫓아다니는 로켓단도 크랩이 리그에서 싸우는 모습을 보고 크랩을 가지고 있는지 알게되었다.[12] 킹크랩이 힘겨워하는 것을 보던 지우가 교체를 고려했지만, 코치로 뒤에 나와 있던 이슬과 웅이 '파르셀도 많이 지쳐있을 것'이라며 교체를 막았다.[13] 이때 킹크랩이 헤엄치는 모습이 잠시 나오는데, 집게 크기가 서로 다른데도 불구하고 무려 자유형으로 헤엄친다.[14] 언덕길에서 굴러내려가던 다른 트레이너의 찌리리공을 받아주었다가 그만…[15] 사실 신오리그는 피카츄를 제외하면 성도편 포켓몬부터 참전해서 관동 포켓몬들이 짤렸다.[16] 상대는 한지우[17] 교환도 포켓몬 신사의 제안에 얼떨결에 한 느낌이었던데다 로켓단에 맞서 승객들이 버터플들을 꺼내는 모습을 본 지우도 가세하려고 했는데 레트라가 나오자 침울해하는 모습을 보인다.[18] 사실 이는 망키의 습성상 당연한 일이다. 원래 망키는 평소엔 얌전해도 작은 일에도 화를 내고 한 번 화가 나면 머리 끝까지 화나는 스타일이다.[19] 다만 성원숭을 잡은 직후 성원숭을 찾던 로켓단에게 꺼냈을때는 지우를 때리진 않았고 대신 로켓단을 두들겨 팼다 이후 P-1에서도 딱히 지우에게 반항적이진 않았다.[20] 이름으로 보나 포스터로 보나 경기장 분위기로 보나 K-1이 모티브.[21] 크게 감동했는지 성원숭의 트레이드 마크인 혈관 마크도 사라졌다.[22] 철만 아저씨도 홍수몬으로 시합에 출전하였는데 상대인 시라소몬을 원래 주인으로부터 탈취한 로켓단의 비겁한 방해공작(바닥에 본드칠을 해서 홍수몬이 움직이지 못하게 했다.)에 의해 결국 시라소몬에게 패배하고 만다.[23] 빛나겟핸보숭과 비슷한 케이스. 이쪽도 놓아준 건 아니다.[24] 상대는 파이리[25] 로이, 나옹의 전담 성우다.[26] 개그성 대사겠지만 질뻐기의 악취에 무려 나는 질뻐기가 싫어요~라고 말했다. 오박사의 이미지를 감안하면 개그대사라고 해도 보통 대사가 아니다(...)[27] 그리고 이는 알로라 리전 폼 질뻐기 계열로 오마쥬된다.[28] 비슷한 경우로 하나지방의 깨봉이의 경우 사람과 친해지면 악취를 풍기지 않는다고 한다.[29] 오박사는 포켓몬은 주인을 닮기 때문에 주인이 포켓몬을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았을 시 생기는 현상이라고 한다.[30] 다만 썬문에 오면서 세균을 먹지못하면 죽어버린다는 설정이 추가되었는데 오박사나 털보박사의 경우 포켓몬 박사, 그것도 몸으로 직접 부딪히며 연구하는 타입의 박사들이라 수많은 독 포켓몬이나 야생에서 구른 포켓몬들에게 묻은 균을 먹기 위한 생존의 몸부림일 가능성도 있다. 이는 로사도 마찬가지인게 무인~배틀프론티어 기준 독 포켓몬들(아보크, 세비퍼, 독케일)과 오랜시간을 보냈으며 이 시절까지만 해도 제대로 씻지도 못했을 가능성이 높아서 질뻐기의 좋은 먹이이다.[31] 슬라임마냥 흘러내리는 몸이다 보니 내루미의 핥기는 전혀 통하지 않았고 되려 마음에 들었는지 더 핥으라고 협박했다...[32] 우습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혼자서 지우의 간판 포켓몬인 이상해씨와 피카츄를 손쉽게 쓰러뜨렸을 정도로 매우 강했다.[33] 잎날가르기공격도 썼지만 질뻐기는 몸이 진흙인데다가 독타입이라서 풀타입기술이 통하지 않았다.[34] 이 에피소드는 모다피를 사용하는 트레이너가 기모노를 입고 있어 왜색 문제로 국내 방영이 불발되었다.[35] 아예 밀린 건 아니었고 거북왕의 고속스핀 공격을 받아내고 누르기 공격으로 거북왕을 꼼짝 못하게 했으나 바람이의 거북왕이 쓰는 하이드로펌프가 보통 하이드로펌프와는 차원이 다른 위력이라 웬만한 공격에 큰 데미지를 입지 않는 지우의 질뻐기한테 예상 외의 데미지가 들어간 것도 있다.[36] 핫삼에게 바로 한번에 K.O패 당한 것은 아니고, 바로 직전 전투에서 핫삼에게 지우의 잠만보가 맞고 쓰러졌던 전광석화와 메탈크로우를 진흙 몸체로 어느 정도 받아내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핫삼은 강철 타입이라 독타입인 질뻐기에게는 극상성인데다가 거북왕과의 시합에서 데미지도 입었던 것을 생각하면 잘 싸운 편.[37] 위의 사진이 바로 그 장면이다.[38] 굳이 더 있다면 무인편 117화에서 로켓단 삼인방과 대결한 게 있긴 하다.[39] 상대는 피카츄와 코일[40] 위장색인 3세대와 달리 무인편 당시엔 그냥 윗부분이 녹색인 몬스터볼로 나온다. 단, 켄타로스를 시합에 내보낼때는 일반 몬스터볼을 사용한다.[41] 진짜 동물 소리를 썼다. 켄타로스라고 울지 않고 실제 소 울음 소리가 난다.[42] 물론 지우가 의도한 건 아니다. 처음에 웅이랑 같이 한 마리씩 잡고 난 다음엔 뿔카노를 잡으려했는데 갑자기 켄타로스 무리들이 끼어들어서 뿔카노 대신 켄타로스를 또 잡았다. 한 번 정도는 그럴 수 있지하면서 넘어갔지만 계속 이런 일이 일어났는지 결국 사파리볼 30개가 전부 켄타로스로 차버렸다.[43] 참고로 원작 게임에서는 켄타로스가 사파리존에서 가장 잡기 힘든 포켓몬이었으며 이때 당시 게임내에서 최고의 사기 포켓몬이였기 때문에 많은 게임 유저들이 지우를 부러워 하였다. 이후 발매된 피카츄 버전에서는 애니메이션을 반영했는지 켄타로스의 포획 난이도가 확 줄었다.[44] 켄타로스들은 대체로 무리로 몰려다니고 지우가 켄타로스를 받아올때도 특정 개체를 지칭하는 것도 아니라서 확정된 건 아니다. 물론 땅가르기 같은 기술을 쓰는게 일개 무리원일리는 없겠지만. 사실 제작진이 조금만 정성을 넣으면 구분할 방법이 있는데 바로 골드, 하트골드 도감설정에 나오는 대장은 뿔에 상처가 많다는 걸 반영하는 것. 그것이 아니더라도 덩치가 일반적인 켄타로스보다 크다는 식으로 차별화를 할 수 있지만 30마리나 되는 켄타로스를 그리기도 어려운건지 개체 하나하나를 구분하지않는 모양.[45] 딱 한 번 배틀 타워에서 패배하고 리벤지를 위해서 마음을 합치는 훈련한 적이 있다.[46] 성도지방에서 포켓몬교환대회에서 켄타로스들의 시합이 있었는데 10연승을 거둔 켄타로스를 쓰러뜨리고 우승하기도 했다. 이후에 트레이너 3명이 지우의 켄타로스와 교환하자며 했는데 지우는 자기 포켓몬을 바꿀 생각이 없어서 거절했다. 참고로 이 3명이 교환하자고 한 포켓몬은 롱스톤, 니드킹, 뿔카노였다. 어느쪽도 지우에겐 없는 녀석들이네[47] 참고로 꼬부기가 처음 나왔을때도 총이 나왔다. 사용은 안했지만.[48] 그래서 오박사의 연구소에 있는 넓은 들판같은곳에 항상 풀어놓는듯 하다.[49] 심지어 아직 켄타로스만 잡았다는 게 밝혀지기 전 로켓단에게 뭘 잡았는지 보여줄까?라는 자랑하려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50] 브라질 더빙에서는 암컷으로 언급되나, 원판과는 무관하다.[51] 참고로 원작에서는 진공파는 특수기라 빛의장막을 써야 하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필드가 전개되는 묘사로 나오는 빛의장막과 특정 장소에 설치하는 묘사로 나오는 리플렉터가 모두 물리적인 간섭력을 지니고 있는 터라 큰 문제는 없다.[52] 울머기가 울면 근처의 다른 사람과 포켓몬들도 덩달아 눈물을 펑펑 쏟게 된다. 고우의 울머기만 이런 능력을 지닌 것이 아닌 울머기들의 종족 특성이다.[53] 마임돌이는 지우와 피카츄의 관계를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둘의 관계에 중재하려 한것으로 보인다.[54] 오리지널편에서는 배리어, 빛의장막, 연속뺨치기도 사용했었다.[55] 그러나 오렌지 제도를 여행하는 동안 너무 지우 일행과 함께 다녔기 때문에 무리로 돌아갈 때 애를 좀 먹었다. 하필이면 얘네들 잡는 해적이 판쳤기 때문.[56] 이때는 많이 성장해서 지우도 못 알아 볼뻔 했다. 참고로 웅이도 이 때 지우의 라프라스를 처음 접하게 된다.[57] 참고로 실제 이로치 라프라스는 몸의 파란색 부분이 보라색으로 변한다.[58] 독침붕과 왕콘치는 관동지방 포켓몬이지만 성도에서도 서식하고 있었다.[59] 지방별로 최초로 잡게 되는건 거의 다 비행타입이다. 관동에서 처음으로 여행을 떠날때 벌레타입인 캐터피를 가장 먼저 잡긴 했으나 버터플로 진화 후에는 비행타입이 붙어있다.[60] 원래 헤라크로스들이 힘 좋은 포켓몬이지만...[61] 그나마 얘는 맞서기라도 했지 다른 애들은 오자마자 다 튀었다.[62] 불꽃 타입한테 반감이어야 할 메가폰으로 쓰러뜨렸다. 참고로 해당 경기에서 에이스급인 잠만보(2킬)와 리자몽(3킬)을 제외하면 상대를 쓰러뜨린건 헤라크로스 뿐이다. 모험 경력이 짧은 것과 상성 열세까지 감안하면 굉장히 강한 개체인듯.[63] 다행히 봄이의 이상해씨는 꿀을 빨리지 않았다. 이유는 시합때 나오지 않아서… 만일 빨리기라도 하면, 변태.[64] 초반 육성용 잉여기술 주제에 연출이 쓸데없이 화려하다. 메가혼은 그냥 하얗게 빛나는 정도인데 이쪽은 뿔에서 흡사 러스터캐논 비스무리한 강렬한 은빛이 사방으로 퍼져 나가는 심히 과분한 연출.[65] 무려 충전 턴도 없이 러쉬로 날린다. 이걸로 귀뚤톡크의 연속자르기와 맞다이 떴다.[66] 시호전에서 잠꼬대로 힘껏펀치[65]를 시전한 적이 있으나, 택트전의 선봉장으로 나왔을 땐 그새 힘껏펀치를 지웠는지 초입부터 파괴광선을 발사했다.[67] 지우가 잡은 최초의 암컷 포켓몬이라고 한다.[68] 별명이 '지기 싫어하는 치코리타'[69] 지우의 이상해씨를 쓰러뜨리고 리자몽과 싸우다가(사실 이상해씨와 리자몽 둘 다 방심만 안한다면 고전하지도 않았다.) 리자몽은 제대로 싸우지도 않다가 당하고, 이상해씨는 계속 이기다가, 마지막에 방심하다가 덩쿨채찍에 맞고 리타이어.[70] 이후 이 장면은 BW 하나리그 8강전에서 주리비얀이 덩굴채찍으로 땅을 쳐 반동을 통해 리오르의 진공파를 피하는 것으로 오마주된다.[71] 이건 동기인 리아코, 브케인도 마찬가지로 이전 경기에서 선배인 관동스타팅(이상해씨,꼬부기)을 띄워주기 위한 연출로 별 활약없이 쓰러진다.[72] 특히 얘는 지우가 신오지방으로 떠나자 울상을 짓더니 급기야는 몰래 따라가서 배를 탔다. 어찌보면 베이리프보다 더한 집착. 근데 나중에는 빛나의 브이젤과 교환당했다.[73] 잠만보를 돌려보낸 후 뭔가 이상하다고 발언하며, 그 시간 오박사는 정원에서 헤라크로스가 이상해씨 꿀 빨아먹으려고 하다가 얻어맞는 걸 보고 잘못 보냈다는 걸 직감했다(…).[74] 그것도 등장 첫화에서.[75] 치코리타 시절부터 주력으로 사용하던 기술이지만, 원작에서 치코리타는 덩굴채찍을 못배운다. 교배기로는 습득 가능.교배기로 배웠나보지[76] 포켓몬스터 W 132화에서 지우의 우승을 축하할 때 나오는 장면을 보면 나무킹과 함께 리프스톰을 사용하고 있다.[77] 오리지널편이 끝날 때까지는 브케인이었다.[78] 3기 극장판도 담당[79] 성우진이 이렇게 복잡한 이유는 단역 전담 여자 성우를 차명화, 이선주 달랑 2명만 투입하다보니 캐릭터가 많아졌을 때 도저히 감당이 안되어서 이리저리 메꾸다가 추가 캐스팅으로 우정신을 투입했다. 더불어 우정신은 AG부터 로사 역으로 고정 출연해 유일하게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모든 작품에 출연한 성우가 됐다.[80] 의욕에 불이 붙으면 등에서 불꽃이 치솟는데, 지우의 브케인/마그케인에 한정해서 일명 의욕의 불꽃(やる気の炎)이라는 공식명칭까지 존재한다.[81] 덕분에 등장 첫 화에는 이슬이의 고라파덕과 비교당하는 불쌍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고라파덕과는 달리 일반상황에서도 기술 사용이 가능하고 회피력이 뛰어나다는 점 정도였다.[82] 연출도 당시 기준에선 상당히 무시무시해서 쉐이크는 기본에 아예 화면 색상 반전까지 일어난다.[83] 여담으로 무인편 당시 지우가 트레이너로서 포켓몬과 훈련하는 장면이 제대로 나온 거의 유일한 장면이다. 기존에도 피카츄를 시합 등으로 훈련시키는 모습이 가끔 나오긴하나 브케인처럼 훈련하는 것은 없다고 해도 무방해도 좋을 정도다.[84] 성도출신으로는 동년배들중에 가장 늦다. 진화 시도도 못한 리아코를 제외하면.[85] DP 이후로 많이 쓰이는 주력기다.[86] 하지만 다른 두 마리와 달리 정작 치열하게 싸우는 모습은 나오지도 않고 마지막에 결판을 내는 것만 보여준다.[87] 다만 빛나의 마그케인은 알에서 태어난지 얼마 안된 개체에 비교적 후반에 얻었다.[88] 지우가 몬스터볼 이외의 볼로 잡은 포켓몬이다. 그 외에 사파리볼의 켄타로스, 파크볼의 독침붕, 레이크볼의 왕콘치, 울트라볼의 매시붕, 베베놈, 차곡차곡, 페로코체가 있다. 본가 게임에서는 스타팅 포켓몬이 야생으로 나오는 일이 극히 드물기 때문에, 루어볼에 담긴 리아코를 재현하려면 7세대 썬문에서 섬 스캔을 이용해야한다.[89] 이 때 연출이 좀 웃긴데, 하이드로펌프를 발사하려는 킹드라의 주둥이를 물기로 물어 틀어막아서 킹드라의 뱃속에 도로 차오르게 한 뒤, 그대로 놔 버려서 수압 때문에 공기 빠지는 풍선처럼 날아다니게 했다.[90] 이 버릇은 DP에서 딥상어동이 계승한다. 그래서인지 BW 마지막화의 단체사진에서는 리아코와 딥상어동이 세트로 찍혔다.[91] 극장판의 뮤츠가 봤다면 예의에 버릇없는 포켓몬이라고 깠을 듯.[92] 물론 장크로다일을 처음 보고 지우가 강해지면 장크로다일이 될 수 있다고 얘기해주자 기뻐하는 모습을 보인 걸로 봐서는 진화를 거부할 것 같지는 않다만.[93] 이때의 배틀은 좀 개그스러운데 리자몽이 의외의 기술을 사용한다던지, 서로 겁나는얼굴을 쓰다가 같이 뒤로 넘어지는것은 덤[94] 이 덕분인지 지우의 야부엉이 아름답다는 투로 말하는 단역도 간간히 보였다.[95] 지우가 W 7화에서 배틀프론티어 비드로컵에서 마임맨을 사용하기 전까지는 지우의 포켓몬 중에서 유일하게 에스퍼 타입 기술을 가지고 있는 포켓몬이였다.[96] 게임상에서도 초반에 잡히는 비행타입 포켓몬들과는 다르게 여러 에스퍼 기술을 배우고, 기술머신으로 고위력기인 사이코키네시스도 배울 수 있다.[97] 거기다 사실 이 녀석은 에스퍼 타입이 아니고 노말이라 유령공격은 씹는 게 정상이지만 유빈과 싸울 때는 고스트 공격을 맞기도 했고, 고스트를 몸통박치기로 공격하기도 했다. 몸통박치기야 꿰뚫어보기를 쓴 후에 때렸기에 말이 되지만 전자는… 근데 애니 초기인 무인편에서는 땅 타입인 꼬마돌에게 피카츄의 전기쇼크가 통하는 등 게임의 설정과 어긋나는 장면이 많이 나왔다.[98] 거기에 신오지방 첫 리그전에서 벌레타입을 주로 사용하는 시호를 상대로 지우가 불, 비행, 얼음 타입 등을 사용한다고 했는데 비행 타입 중 피죤투와 함께 언급이 안 되었다. 게다가 켄호로우를 연구소로 보낼 땐 오박사는 찌르호크스왈로만 언급했다.[99] 사이드 스토리에서는 로미와 로젠의 작전을 읽는 활약을 했다. 초능력으로 상대를 꿰뚫어 보아서 로미와 로젠이 각각 딱구리, 니드퀸으로 변장한 사실과 그들이 도망치기 위해 준비해놓은 헬기가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100] 상대는 피카츄[101] 4세대의 팔파크에서 사용하는 파크볼이 아닌 다른 파크볼이라 몬스터볼로 대체[102] 레이크볼은 도트 이미지가 없어 몬스터볼로 대체[103] 오리지널편이 끝날 때까지는 코코리였다.[104] 로사와 동일 성우.[105] 한 에피소드에서는 어느 섬에서 야생 뿔카노들을 발견해 놀려고 다가갔으나, 어린 뿔카노들이 놀라서 울면서 도망가고 열받은 어미 뿔카노들에 의해 자신은 물론 지우 일행까지 쫒기게 된다. 다행히 그 섬의 간호순이 메가니움의 울음소리로 진정시킨다.[106] 사실 2004년에 발발한 니가타 현 지진으로 인해 흔들리는 섬의 싸움! 미꾸리vs메깅 에피소드의 방영이 중지되면서 지진과 땅가르기는 애니메이션에서 더 이상 등장하지 않고 있다.[107] 이 알의 행방을 누구도 몰랐었는데, 지우가 애버라스를 껴안고 잤을 때 애버라스 알 속에 들어가있는 꿈을 꾸었다.[108] 애버라스가 잠재파워로 로켓단한테 공격했는데 마자용의 카운터로 반사된 것을 안농이 막아주려다 우연히 발생한 일이었다. 처음에 만난 안농이 이슬이 머리에 떨어졌었는데, 이슬이는 잠시동안 안농이 살고 있었던 곳이 환상으로 보여졌다고 말했다. [109] 엄마 마기라스가 고통스러워하자, 애버라스가 인간 말로 "엄마, 엄마" 하며 소리쳐서 더욱 슬픔을 고조시킨다.[110] 밀렵꾼들 때문인지 배에 큰 상처가 나있었다. 때문에 성격도 날카로워서 지우 일행을 보더니 다짜고짜 공격부터 날릴 정도.[111] 안타깝게도 무인편 국내판의 조기종영으로 인하여 애버라스가 소리소문없이 사라지는 바람에 그 감동이 옅어진 감이 없잖아 있다.[112] 마침 이 때는 지우가 알로라지방 포켓몬 스쿨에서 견학 수업 차 관동지방으로 돌아와 이슬이와 웅이랑 재회하여 같이 여행했던 순간들을 떠올렸던 때다.[113] 1세대 게임 상에서 그 당시에는 프로그래밍 문제 때문에 고스트의 공격이 에스퍼에 제대로 통하지도 않았고, 무엇보다 고스트 타입 기술 자체가 거의 없다시피 해서 쓸모가 없었다. 유일한 약점이 벌레 타입 뿐이었다. 바로 두 편 전에 버터플이 하차한 진짜 이유[114] 팬텀과 고우스트가 사라지려 하자 지우가 둘을 불잡으려 했는데 땅에 부딪히면서 샹들리에가 떨어졌다.[115] 비록 홧수만 따지면 짧지만 체육관 3개를 돌면서 함께했고, 첫 포획 포켓몬이다보니 절대적인 비중은 높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