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묘

덤프버전 :



1. 개요[편집]


칠묘(七廟, Seven Temple)는 제정 중국 시기, 천자의 1 ~ 6대조와 태조(太祖) 또는 시조(始祖)[1]가 모셔진 종묘 및 봉안된 위패를 말한다. 종묘라고도 하며 정중앙을 제외한 왼쪽과 오른쪽에 따라 삼소(三昭)와 삼목(三穆)으로 구분한다. 칠묘 자체는 주나라 때부터 시작되었다.

원칙은 자신의 황고(皇考) ~ 열조부(烈祖父, 6대조)와 태조를 모시는 것이나, 나머지 한 자리는 삼촌, 형(兄), 황후를 배향하는 경우가 많았다. 단 직계 조상이나 전임 황제가 아닌 여성, 비속(卑屬)의 경우 예법에 어긋난 것으로 간주하며 금상이 봉안되기 전 임시로 자리를 맡는 역할에 불과한 경우도 있었다. 또한 주신(主神)으로 모시지 않는다.

전임 황제들이 형제 사이인 경우, 두 존령을 한 묘에 같이 모신다. 그리고 후임 황제가 선대 황제보다 항렬이 높으면 선황 시기 철거한 조상의 묘역을 복구하여 다시 종묘에 배향한다.


2. 상세[편집]


제후의 경우 5묘로 제한되며[2] 대부(大夫)의 경우 일소일목과 중앙 총 3묘로 제한된다.

봉안되는 조상의 경우 가까운 조상까진 황제추존하며 황제로 추존하지 않더라도 부군(府君)으로 높여 부른다. 황제의 부친은 황고, 황제의 조부는 황조, 황제의 증조부는 황증조, 황제의 고조부는 황고조, 황제의 현조부 이상은 전부 황조로 부른다.


3. 역대 칠묘 배향 목록[편집]



3.1. [편집]


군주황태조
(皇太祖)
황열조
(皇烈祖)
황고조
(皇高祖)
황증조
(皇曾祖)
황조
(皇祖)
황고
(皇考)
왕망
(王莽)
태초조시조통조세조왕조제남백왕원성유왕양평경왕신도현왕


3.2. 후한[편집]


군주태조
(太祖)
황열조
(皇烈祖)
황천조
(皇天祖)
황고조
(皇高祖)
황증조
(皇曾祖)
황조
(皇祖)
황고
(皇考)
광무제
(光武帝)
공석미배치(경제)미배치(장사정왕)용릉절부군울림부군거록부군남돈군


3.3. 조위[편집]


군주태조
(太祖)
황열조
(皇烈祖)
황천조
(皇天祖)
황고조
(皇高祖)
황증조
(皇曾祖)
황조
(皇祖)
황고
(皇考)
문제
(文帝)
공석--미배치(조절)고왕태왕무제
명제
(明帝)
공석-처사군고황태제무제문제
소릉여공 ~
폐제
공석처사군고황태제무제문제명제
원제
(元帝)
공석-처사군고황태제무제문제


3.4. 서진, 동진[편집]


군주태조
(太祖)
7세6세5세4세3세2세1세기타(전임)철거
무제
(武帝)
공석정서부군예장부군영천부군경조부군선제경제문제--
혜제
(惠帝)
공석예장부군영천부군경조부군선제경제문제무제-정서부군
회제
(懷帝)
공석영천부군경조부군선제경제문제무제혜제-예장부군
민제
(愍帝)
공석혜제
회제
--
원제
(元帝)
공석예장부군 (복위)영천부군경조부군선제경제문제무제혜제, 회제
민제
-
명제
(明帝)
공석영천부군경조부군선제경제문제무제혜제
회제
민제
원제
예장부군
성제
(成帝)
공석경조부군선제경제문제무제혜제
회제
민제원제
명제
영천부군
강제
(康帝)
공석원제
명제
무도황후
성제
-
목제
(穆帝)
공석원제
명제
무도황후
성제, 강제
-
애제
(哀帝)
공석선제경제문제무제혜제
민제
원제명제
무도황후
성제, 강제
목제경조부군
간문제
(簡文帝)
공석영천부군 (복위)경조부군 (복위)선제경제문제무제혜제, 민제원제
명제
무도황후
성제, 강제
-
효무제
(孝武帝)
공석경조부군선제경제문제무제혜제
민제
원제명제
무도황후
성제, 강제
간문제
영천부군
안제
(安帝)
공석선제경제문제무제혜제, 민제원제명제무도황후
성제, 강제
간문제
효무제
경조부군
공제
(恭帝)
공석선제경제문제무제혜제, 민제원제명제무도황후
성제, 강제
간문제
효무제
안제
-


3.5. 환초[편집]


군주태조
(太祖)
황열조
(皇烈祖)
황천조
(皇天祖)
황고조
(皇高祖)
황증조
(皇曾祖)
황조
(皇祖)
황고
(皇考)
무도제선무제-미배치(환범)미배치(환해, 桓楷)미배치(환호)미배치(만녕간남)선무제


3.6. 유송[편집]


현 군주왕고조
(王高祖)
왕증조
(王曾祖)
왕조(王祖)왕고(王考)왕비
송왕 유유개봉부군무원부군동안부군처사부군-

군주태조
(太祖)
황열조
(皇烈祖)
황천조
(皇天祖)
황고조
(皇高祖)
황증조
(皇曾祖)
황조
(皇祖)
황고
(皇考)
전임/황비철거
무제
(武帝)
공석우북평부군상국연부군개봉부군무원부군동안부군효목제무경황후-
소제
~ 문제
공석상국연부군개봉부군무원부군동안부군효목제무제-우북평부군
무경황후
효무제
(孝武帝)
공석개봉부군무원부군동안부군효목제무제문제-상국연부군
전폐제
(前廢帝)
공석무원부군동안부군효목제무제문제효무제-개봉부군
명제
(明帝)
공석개봉부군(복위)무원부군동안부군효목제무제문제효무제-
후폐제
~ 순제
공석무원부군동안부군효목제무제문제효무제 (황백)
명제 (황고)
-개봉부군


3.7. 남제[편집]


군주태조
(太祖)
황열조
(皇烈祖)
황천조
(皇天祖)
황고조
(皇高祖)
황증조
(皇曾祖)
황조
(皇祖)
황고
(皇考)
전임/황비철거
고제
(高帝)
공석광릉부군태중부군회음부군즉구부군태상부군선제고소황후-
무제
(武帝)
공석태중부군회음부군즉구부군태상부군선제고제-광릉부군
고소황후
소소업
~ 소소문
공석즉구부군태상부군선제고제무제문제-태중부군
회음부군
명제
(明帝)
공석태중부군(복위)회음부군(복위)즉구부군태상부군선제고제 (황백)
경황 (황고)
-무제
문제
소보권
~ 소보융
공석회음부군즉구부군태상부군선제고제 (황백조)
경황 (황조)
명제-태중부군


3.8. 소량[편집]


군주태조
(太祖)
황열조
(皇烈祖)
황천조
(皇天祖)
황고조
(皇高祖)
황증조
(皇曾祖)
황조
(皇祖)
황고
(皇考)
전임/황비철거
무제
(武帝)
공석태중부군회음부군제음부군중종사사부군특진부군문제덕황후-
간문제
(簡文帝)
공석회음부군제음부군중종사사부군특진부군문제무제-태중부군
덕황후
원제
(元帝)
공석회음부군제음부군중종사사부군특진부군문제무제간문제-
소방지공석제음부군중종사사부군특진부군문제무제간문제 (황백)
원제 (황고)
-제음부군


3.9. 남진[편집]


군주태조
(太祖)
황열조
(皇烈祖)
황천조
(皇天祖)
황고조
(皇高祖)
황증조
(皇曾祖)
황조
(皇祖)
황고
(皇考)
전임/황비철거
무제
(武帝)
공석보병부군정원부군회안부군안성부군효황경제--
문제
(文帝)
공석정원부군회안부군안성부군효황경제무제-보병부군
진백종공석회안부군안성부군효황경제무제문제-정원부군
선제
(宣帝)
공석정원부군 (복위)회안부군안성부군효황경제무제--
진숙보공석회안부군안성부군효황경제무제선제-정원부군


3.10. 후한(육조)[편집]


군주시조
(始祖)
황태조
(皇太祖)
황열조
(皇烈祖)
황천조
(皇天祖)
황고조
(皇高祖)
황증조
(皇曾祖)
황조
(皇祖)
황고
(皇考)
전임/황비철거
후경사도부군진징부군----대승상원제--


3.11. 북제[편집]


현 군주태조열조천조황고조황증조황조황고전임철거불천위
문선제
(文宣帝)
무정부군사공부군이부부군진주사군太祖문목제신무제문양제-신무제
문양제
고은무정부군이부부군진주사군太祖문목제신무제문선제-사공부군
효소제
(孝昭帝)
무정부군사공부군(복위)이부부군진주사군太祖문목제신무제문선제-
무성제
(武成帝)
무정부군사공부군이부부군진주사군太祖문목제신무제문선제
효소제
-
후주
~ 유주
무정부군이부부군진주사군太祖문목제신무제무성제문선제
효소제
사공부군


3.12. 북주[편집]




3.13. [편집]


현 군주태조열조천조황고조황증조황조황고전임철거불천위
문제
(文帝)
공석미배치
(양현, 楊鉉)
미배치
(양원수, 楊元壽)
태원부군강왕헌왕무원제--무원제
양제
(煬帝)
공석-(철거)강왕헌왕무원제문제-태원부군무원제
공제
(恭帝)
공석--헌왕무원제문제양제-강왕무원제


3.14. [편집]


현 군주태조열조천조황고조황증조황조황고전임철거불천위
고조
(高祖)
공석미배치(이흠)미배치(이중이)선간공의왕태조세조---
태종
(太宗)
공석홍농부군선간공의왕태조세조고조---
고종
(高宗)
공석헌조의조태조세조고조태종-홍농부군-
중종
(中宗)
공석의조태조세조고조태종고종-헌조-


3.15. 남당[편집]


누구를 태조(시조)로 지정했는지는 불명이다.

금상태조/시조황14대조
(皇十四代祖)
황13대조
(皇十三代祖)
황고조황증조황조황고불천위
열조
(烈祖)
불명당고조당태종정종성종혜종경종?


3.16. 대한제국[편집]


금상시조황현조
(皇玄祖)
황고조
(皇高祖)
황증조황조황고황형
(皇兄)
황숙
(皇叔)
불천위
고종
(高宗)
태조
(太祖)
영조장조정조순조문조헌종철종전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10:29:22에 나무위키 칠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칠묘의 태조 또는 시조는 다른 여섯 존령(尊靈)을 조율하는 역할을 맡는다.[2] 소 2, 4 목 3,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