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묘

덤프버전 :



1. 개요[편집]


칠묘(七廟, Seven Temple)는 제정 중국 시기, 천자의 1 ~ 6대조와 태조(太祖) 또는 시조(始祖)[1]가 모셔진 종묘 및 봉안된 위패를 말한다. 종묘라고도 하며 정중앙을 제외한 왼쪽과 오른쪽에 따라 삼소(三昭)와 삼목(三穆)으로 구분한다. 칠묘 자체는 주나라 때부터 시작되었다.

원칙은 자신의 황고(皇考) ~ 열조부(烈祖父, 6대조)와 태조를 모시는 것이나, 나머지 한 자리는 삼촌, 형(兄), 황후를 배향하는 경우가 많았다. 단 직계 조상이나 전임 황제가 아닌 여성, 비속(卑屬)의 경우 예법에 어긋난 것으로 간주하며 금상이 봉안되기 전 임시로 자리를 맡는 역할에 불과한 경우도 있었다. 또한 주신(主神)으로 모시지 않는다.

전임 황제들이 형제 사이인 경우, 두 존령을 한 묘에 같이 모신다. 그리고 후임 황제가 선대 황제보다 항렬이 높으면 선황 시기 철거한 조상의 묘역을 복구하여 다시 종묘에 배향한다.


2. 상세[편집]


제후의 경우 5묘로 제한되며[2] 대부(大夫)의 경우 일소일목과 중앙 총 3묘로 제한된다.

봉안되는 조상의 경우 가까운 조상까진 황제추존하며 황제로 추존하지 않더라도 부군(府君)으로 높여 부른다. 황제의 부친은 황고, 황제의 조부는 황조, 황제의 증조부는 황증조, 황제의 고조부는 황고조, 황제의 현조부 이상은 전부 황조로 부른다.


3. 역대 칠묘 배향 목록[편집]



3.1. [편집]


군주



황태조
(皇太祖)
황열조
(皇烈祖)
황고조
(皇高祖)
황증조
(皇曾祖)
황조
(皇祖)
황고
(皇考)
왕망
(王莽)
태초조
시조
통조
세조
왕조
제남백왕
원성유왕
양평경왕
신도현왕


3.2. 후한[편집]


군주
태조
(太祖)
황열조
(皇烈祖)
황천조
(皇天祖)
황고조
(皇高祖)
황증조
(皇曾祖)
황조
(皇祖)
황고
(皇考)
광무제
(光武帝)
공석
미배치(경제)
미배치(장사정왕)
용릉절부군
울림부군
거록부군
남돈군


3.3. 조위[편집]


군주
태조
(太祖)
황열조
(皇烈祖)
황천조
(皇天祖)
황고조
(皇高祖)
황증조
(皇曾祖)
황조
(皇祖)
황고
(皇考)
문제
(文帝)
공석
-
-
미배치(조절)
고왕
태왕
무제
명제
(明帝)
공석
-
처사군
고황
태제
무제
문제
소릉여공 ~
폐제
공석
처사군
고황
태제
무제
문제
명제
원제
(元帝)
공석
-
처사군
고황
태제
무제
문제


3.4. 서진, 동진[편집]


군주
태조
(太祖)
7세
6세
5세
4세
3세
2세
1세
기타(전임)
철거
무제
(武帝)
공석
정서부군
예장부군
영천부군
경조부군
선제
경제
문제
-
-
혜제
(惠帝)
공석
예장부군
영천부군
경조부군
선제
경제
문제
무제
-
정서부군
회제
(懷帝)
공석
영천부군
경조부군
선제
경제
문제
무제
혜제
-
예장부군
민제
(愍帝)
공석
혜제
회제
-
-
원제
(元帝)
공석
예장부군 (복위)
영천부군
경조부군
선제
경제
문제
무제
혜제, 회제
민제
-
명제
(明帝)
공석
영천부군
경조부군
선제
경제
문제
무제
혜제
회제
민제
원제
예장부군
성제
(成帝)
공석
경조부군
선제
경제
문제
무제
혜제
회제
민제
원제
명제
영천부군
강제
(康帝)
공석
원제
명제
무도황후
성제
-
목제
(穆帝)
공석
원제
명제
무도황후
성제, 강제
-
애제
(哀帝)
공석
선제
경제
문제
무제
혜제
민제
원제
명제
무도황후
성제, 강제
목제
경조부군
간문제
(簡文帝)
공석
영천부군 (복위)
경조부군 (복위)
선제
경제
문제
무제
혜제, 민제
원제
명제
무도황후
성제, 강제
-
효무제
(孝武帝)
공석
경조부군
선제
경제
문제
무제
혜제
민제
원제
명제
무도황후
성제, 강제
간문제
영천부군
안제
(安帝)
공석
선제
경제
문제
무제
혜제, 민제
원제
명제
무도황후
성제, 강제
간문제
효무제
경조부군
공제
(恭帝)
공석
선제
경제
문제
무제
혜제, 민제
원제
명제
무도황후
성제, 강제
간문제
효무제
안제
-


3.5. 환초[편집]


군주
태조
(太祖)
황열조
(皇烈祖)
황천조
(皇天祖)
황고조
(皇高祖)
황증조
(皇曾祖)
황조
(皇祖)
황고
(皇考)
무도제
선무제
-
미배치(환범)
미배치(환해, 桓楷)
미배치(환호)
미배치(만녕간남)
선무제


3.6. 유송[편집]


현 군주
왕고조
(王高祖)
왕증조
(王曾祖)
왕조(王祖)
왕고(王考)
왕비
송왕 유유
개봉부군
무원부군
동안부군
처사부군
-

군주
태조
(太祖)
황열조
(皇烈祖)
황천조
(皇天祖)
황고조
(皇高祖)
황증조
(皇曾祖)
황조
(皇祖)
황고
(皇考)
전임/황비
철거
무제
(武帝)
공석
우북평부군
상국연부군
개봉부군
무원부군
동안부군
효목제
무경황후
-
소제
~ 문제
공석
상국연부군
개봉부군
무원부군
동안부군
효목제
무제
-
우북평부군
무경황후
효무제
(孝武帝)
공석
개봉부군
무원부군
동안부군
효목제
무제
문제
-
상국연부군
전폐제
(前廢帝)
공석
무원부군
동안부군
효목제
무제
문제
효무제
-
개봉부군
명제
(明帝)
공석
개봉부군(복위)
무원부군
동안부군
효목제
무제
문제
효무제
-
후폐제
~ 순제
공석
무원부군
동안부군
효목제
무제
문제
효무제 (황백)
명제 (황고)
-
개봉부군


3.7. 남제[편집]


군주
태조
(太祖)
황열조
(皇烈祖)
황천조
(皇天祖)
황고조
(皇高祖)
황증조
(皇曾祖)
황조
(皇祖)
황고
(皇考)
전임/황비
철거
고제
(高帝)
공석
광릉부군
태중부군
회음부군
즉구부군
태상부군
선제
고소황후
-
무제
(武帝)
공석
태중부군
회음부군
즉구부군
태상부군
선제
고제
-
광릉부군
고소황후
소소업
~ 소소문
공석
즉구부군
태상부군
선제
고제
무제
문제
-
태중부군
회음부군
명제
(明帝)
공석
태중부군(복위)
회음부군(복위)
즉구부군
태상부군
선제
고제 (황백)
경황 (황고)
-
무제
문제
소보권
~ 소보융
공석
회음부군
즉구부군
태상부군
선제
고제 (황백조)
경황 (황조)
명제
-
태중부군


3.8. 소량[편집]


군주
태조
(太祖)
황열조
(皇烈祖)
황천조
(皇天祖)
황고조
(皇高祖)
황증조
(皇曾祖)
황조
(皇祖)
황고
(皇考)
전임/황비
철거
무제
(武帝)
공석
태중부군
회음부군
제음부군
중종사사부군
특진부군
문제
덕황후
-
간문제
(簡文帝)
공석
회음부군
제음부군
중종사사부군
특진부군
문제
무제
-
태중부군
덕황후
원제
(元帝)
공석
회음부군
제음부군
중종사사부군
특진부군
문제
무제
간문제
-
소방지
공석
제음부군
중종사사부군
특진부군
문제
무제
간문제 (황백)
원제 (황고)
-
제음부군


3.9. 남진[편집]


군주
태조
(太祖)
황열조
(皇烈祖)
황천조
(皇天祖)
황고조
(皇高祖)
황증조
(皇曾祖)
황조
(皇祖)
황고
(皇考)
전임/황비
철거
무제
(武帝)
공석
보병부군
정원부군
회안부군
안성부군
효황
경제
-
-
문제
(文帝)
공석
정원부군
회안부군
안성부군
효황
경제
무제
-
보병부군
진백종
공석
회안부군
안성부군
효황
경제
무제
문제
-
정원부군
선제
(宣帝)
공석
정원부군 (복위)
회안부군
안성부군
효황
경제
무제
-
-
진숙보
공석
회안부군
안성부군
효황
경제
무제
선제
-
정원부군


3.10. 후한(육조)[편집]


군주
시조
(始祖)
황태조
(皇太祖)
황열조
(皇烈祖)
황천조
(皇天祖)
황고조
(皇高祖)
황증조
(皇曾祖)
황조
(皇祖)
황고
(皇考)
전임/황비
철거
후경
사도부군
진징부군
-
-
-
-
대승상
원제
-
-


3.11. 북제[편집]


현 군주
태조
열조
천조
황고조
황증조
황조
황고
전임
철거
불천위
문선제
(文宣帝)
무정부군
사공부군
이부부군
진주사군
太祖
문목제
신무제
문양제
-
신무제
문양제
고은
무정부군
이부부군
진주사군
太祖
문목제
신무제
문선제
-
사공부군
효소제
(孝昭帝)
무정부군
사공부군(복위)
이부부군
진주사군
太祖
문목제
신무제
문선제
-
무성제
(武成帝)
무정부군
사공부군
이부부군
진주사군
太祖
문목제
신무제
문선제
효소제
-
후주
~ 유주
무정부군
이부부군
진주사군
太祖
문목제
신무제
무성제
문선제
효소제
사공부군


3.12. 북주[편집]




3.13. [편집]


현 군주
태조
열조
천조
황고조
황증조
황조
황고
전임
철거
불천위
문제
(文帝)
공석
미배치
(양현, 楊鉉)
미배치
(양원수, 楊元壽)
태원부군
강왕
헌왕
무원제
-
-
무원제
양제
(煬帝)
공석
-
(철거)
강왕
헌왕
무원제
문제
-
태원부군
무원제
공제
(恭帝)
공석
-
-
헌왕
무원제
문제
양제
-
강왕
무원제


3.14. [편집]


현 군주
태조
열조
천조
황고조
황증조
황조
황고
전임
철거
불천위
고조
(高祖)
공석
미배치(이흠)
미배치(이중이)
선간공
의왕
태조
세조
-
-
-
태종
(太宗)
공석
홍농부군
선간공
의왕
태조
세조
고조
-
-
-
고종
(高宗)
공석
헌조
의조
태조
세조
고조
태종
-
홍농부군
-
중종
(中宗)
공석
의조
태조
세조
고조
태종
고종
-
헌조
-


3.15. 남당[편집]


누구를 태조(시조)로 지정했는지는 불명이다.

금상
태조/시조
황14대조
(皇十四代祖)
황13대조
(皇十三代祖)
황고조
황증조
황조
황고
불천위
열조
(烈祖)
불명
당고조
당태종
정종
성종
혜종
경종
?


3.16. 대한제국[편집]


금상
시조
황현조
(皇玄祖)
황고조
(皇高祖)
황증조
황조
황고
황형
(皇兄)
황숙
(皇叔)
불천위
고종
(高宗)
태조
(太祖)
영조
장조
정조
순조
문조
헌종
철종
전원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10:29:22에 나무위키 칠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칠묘의 태조 또는 시조는 다른 여섯 존령(尊靈)을 조율하는 역할을 맡는다.[2] 소 2, 4 목 3,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