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평원루

덤프버전 :

분류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창덕궁 평원루
昌德宮 平遠樓

위치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2-71번지)
건축시기1830년 ~ 1849년 사이 (창건)

파일:상량정.png
파일:상량정.jpg
평원루[1]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영상
1. 개요
2. 이름과 현판
3. 역사
4. 구조
5. 여담
6. 매체에서



1. 개요[편집]


창덕궁 낙선재 구역에 있는 정자이다. 낙선재의 서북쪽, 승화루의 동쪽에 있다. 한정당, 취운정과 더불어 낙선재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다.


2. 이름과 현판[편집]


파일:평원루 현판1.png
파일:상량정 현판.png
평원루 현판[2]상량정 현판[3]
현재 이름은 '상량정(上凉亭)'이다. '상량(上凉)' 뜻은 '시원한 곳(凉)에 오르다(上)'이다. 높은 지대에 있어 붙은 이름인 듯 하다. 순종 시기에 만든 《동궐도형》에 평원루로 나온 것을 보아 일제강점기에 지금 이름으로 바꾼 듯하다. 일단 이 문서에서는 원래 이름인 '평원루'로 표기했다.

평원루 현판청나라의 서예가, 문인이었던 옹방강의 아들 옹수곤(翁樹崑, 1786 ~ 1815)의 글씨를 모아 만들었으며,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보관 중이다. 지금 평원루에 걸어 둔 상량정 현판 글씨전통 방식과 다르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여있다.


3. 역사[편집]


파일:조선고적도보 상량정.png
일제강점기에 만든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평원루
언제 지었는지 모른다. 1828년 ~ 1830년 사이에 그린 《동궐도》에는 보이지 않으나, 1849년(헌종 15년)에 낙선재를 방문한 화가 소치 허련이 남긴 기록에는 나오므로, 그 사이에 지은 듯 하다.

이후 큰 변화 없이 몇 번의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른다.


4. 구조[편집]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상량정 서고.png}}} ||
평원루 서고[4]
건물 북쪽에는 단청을 칠하지 않은 11칸 짜리 창고[5]가 있고 동, 서, 남쪽에 이 있다. 은 동남쪽과 서쪽에 각각 하나씩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만월문과 꽃담.jpg}}} ||
파일:창덕궁_낙선재_꽃담.jpg}}} ||
만월문과 꽃담[6]
그 중 벽돌로 만든 서쪽의 만월문(滿月門)이 유명하다. 다른 궁궐 문과 다른 점이 많기 때문이다. 출입구가 보름달처럼 둥글며 문짝은 미닫이 형식이다. 이런 모습은 현재 궁궐 문 중에서는 유일하다. 또한 양 옆 에 벽돌 문양을 넣어 아름답게 만들어놓았다. 특히 만월문에서 바라본 상량정 풍광은 마치 한 폭의 그림같은 모습이다. 만월문을 지나면 승화루 뒤뜰이 바로 나온다.


5. 여담[편집]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통일정.png}}} ||
통일정[7]
2015년 11월에 독일 베를린 포츠담광장에 세웠던 정자 통일정은 평원루를 본따 만든 것이다. 분단되었던 독일이 통일한 것처럼 한국통일하길 바라는 뜻에서 지은 것이라고 한다.#꽃보다 할배 리턴즈 - 감독판》에서도 나왔다.# 2020년 11월에 설치 기한 만료로 주독일 대한민국 대사관 경내로 옮겼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락문에서 본 평원루.png}}} ||
장락문에서 본 평원루
낙선재 정문 장락문에서 바로 보인다. 장락문 틀을 액자 틀로 생각하고 보면 그야말로 한 폭의 그림이 따로 없다.

}}} ||
〈창덕궁 달빛기행〉 영상
〈창덕궁 달빛기행〉 코스 중 한 곳이다. 상량정에서 대금 연주를 들으며 밤하늘의 달빛을 감상하는 낭만을 즐길 수 있다.


6. 매체에서[편집]


파일:만월문 세트.png
용인대장금파크에 있는 만월문 세트
평원루가 나온 적은 없지만, 위에 언급한 만월문은 세트로 재현한 모습으로 여러 사극에 등장했다. MBC에서 만든 사극 촬영장 용인대장금파크에 있다. 그런데 벽돌 색이 경복궁 교태전 꽃담 색인 황토색이며 무늬도 다르다.

[1] 첫번째 사진 출처 - 카카오맵.
두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창덕궁 낙선재.
[2] 사진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3]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창덕궁_낙선재 권역 2》. [4] 사진 출처 - 카카오맵.[5] 《동궐도형》에 따르면, 원래는 동남쪽에 3칸이 더있어 14칸이었다.[6] 첫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창덕궁관리소: 사진 자료실 〈창덕궁의 가을〉.
두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창덕궁 낙선재.
[7] 사진 출처 - 〈뉴시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창덕궁 낙선재 문서의 r11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창덕궁 낙선재 문서의 r11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10:16:23에 나무위키 창덕궁 평원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