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 제6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의회선거구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양산시 제6선거구>
평산동, 덕계동
梁山市 第六選擧區
Yangsan District 6
파일:양산시_제6선거구8.png
선거인 수41,236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경상남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양산시 일부
평산동, 덕계동
도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허용복 (초선)




1. 개요[편집]


경상남도의회의 선거구로 양산시웅상 지역의 남부 지역을 관할한다.

옆 지역구와 유의미한 차이는 없고, 양산시의 평균 지지율을 따라가는 편이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양산군 제2선거구
제5대성홍룡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1]
양산시 제1선거구
제6대성홍룡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2]
제7대이장권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제8대성계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양산시 제3선거구
제9대성계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3][4]
제10대박인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4년 7월 1일 ~ 2016년 1월 14일[5]
이태춘2016년 1월 15일 ~ 2018년 6월 30일
양산시 제4선거구
제11대성동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3]
양산시 제6선거구
제12대허용복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6]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양산군 제2선거구
웅상읍, 동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성홍룡(成洪龍)12,628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52.27%당선
2이미애(李美愛)5,3303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22.06%낙선
3신흥식(申興植)6,1972위

[[무소속|
무소속
]]
25.95%낙선
선거인 수37,986투표율
65.92%
투표 수25,044
무효표 수889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양산시 제1선거구
웅상읍, 동면, 상북면, 하북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성홍룡(成洪龍)19,287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9.88%당선
4신흥식(申興植)12,9192위

[[무소속|
무소속
]]
40.11%낙선
선거인 수62,636투표율
53.83%
투표 수33,722
무효표 수1,516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양산시 제1선거구
웅상읍, 동면, 상북면, 하북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장권(李章權)17,508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49.94%당선
3박인(朴仁)9,1552위

[[무소속|
무소속
]]
26.11%낙선
4한정우(韓正愚)8,3923위

[[무소속|
무소속
]]
23.93%낙선
선거인 수76,121투표율
47.67%
투표 수36,287
무효표 수1,232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양산시 제1선거구
웅상읍, 동면, 상북면, 하북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경열(李京烈)8,1043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19.00%낙선
2성계관(成季冠)24,989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58.60%당선
6성홍룡(成洪龍)9,5462위

[[무소속|
무소속
]]
22.38%낙선
선거인 수83,872투표율
51.98%
투표 수43,599
무효표 수960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양산시 제3선거구
서창동, 소주동, 평산동, 덕계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성계관(成季冠)13,3961위
43.38%당선
2허용복(許容福)8,3403위
27.00%낙선
7박일배(朴日杯)9,1432위
29.60%낙선
선거인 수63,743투표율
49.32%
투표 수31,440
무효표 수561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양산시 제3선거구
서창동, 소주동, 평산동, 덕계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인(朴仁)23,1281위
65.58%당선
2허용복(許容福)12,1352위
34.41%낙선
선거인 수72,155투표율
56.56%
투표 수36,439
무효표 수755

2.7. 2016년 재보궐선거[편집]


양산시 제3선거구
서창동, 소주동, 평산동, 덕계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태춘(李泰春)20,5831위
52.96%당선
2임재춘(林在春)18,2752위
47.03%낙선
선거인 수74,994투표율
53.13%
투표 수39,849
무효표 수991

2.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양산시 제4선거구
서창동, 소주동, 평산동, 덕계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성동은(成東恩)20,7451위
47.58%당선
2김판조(金判祚)13,7872위
31.62%낙선
6박인(朴仁)9,0633위
20.78%낙선
선거인 수77,255투표율
58.01%
투표 수44,815
무효표 수1,220

2.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양산시 제6선거구
평산동, 덕계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성동은(成東恩)8,3292위
43.67%낙선
2허용복(許容福)10,7431위
56.32%'당선
선거인 수41,236투표율
46.93%
투표 수19,354
무효표 수282
경상남도의회 정원이 증원됨에 따라 양산시 의석을 2석을 늘리게 되었다. 양산시 갑 지역과 양산시 을 지역 각각 1석씩 늘리게 되었는데 을 지역에서는 인구가 포화 상태인 웅상 지역을 관할하는 기존의 양산시 제4선거구를 분리하여 북쪽인 서창동과 소주동을 양산시 제5선거구, 남쪽인 평산동덕계동을 양산시 제6선거구로 신설하였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기존 양산시 제4선거구 현역 성동은 도의원이 단수공천 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

국민의힘에서는 최연화 양산가족상담센터 센터장과 주류 민주당계 정당 소속으로 이 지역에 도전하다가 국민의당, 바른미래당, 새로운보수당을 거쳐 주류 보수정당까지 합류하는 그라데이션 우경화를 한 허용복 신라대학교 강사가 경선을 치러 허용복 후보가 승리하며 공천을 받았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가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 구도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허용복 후보가 56% 정도의 득표율을 확보하며 정치에 입문한지 18년 만에 첫 당선되는 기쁨을 맞이했다. 허용복 후보는 덕계동에서 56.2%, 평산동에서 56.9%을 얻었으며 큰 의미있는 지역 차이는 없었다. 다만 성동은 후보도 현직 프리미엄으로 적지 않은 득표율을 얻었다. 양산시에서 가장 격차가 적었던 양산시 제1선거구와 불과 ±2%p 미만의 차이밖에 나지 않는다.


[1] 웅상읍, 동면[2] 웅상읍, 동면, 상북면, 하북면[3] A B 서창동, 소주동, 평산동, 덕계동[4] 2007년 4월 1일에 웅상읍이 여기 네 동으로 분동되었다.[5] 20대 총선 양산시 을 출마를 위해 사직.[6] 평산동, 덕계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