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익세라믹

덤프버전 :




1. 개요[편집]


삼익세라믹은 2000년에 파산한 삼익주택의 아파트 브랜드로, 삼익이 지은 유명 아파트로는 용산구 이촌동 타워/빌라/렉스[1]/왕궁/반도, 부산 삼익비치 등이 있다.

특히 삼익아파트 계열에서 두 층 사이에 엘리베이터가 격층으로 서는 요상한 구조가 많으며[2] 이는 각종 재건축 추진 사유 중 상위권을 달리고 있다.

펫네임을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사용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삼익파크, 그린, 가든, 비치, 타워 등 다양한 펫네임을 사용했다.

1990년대에 들어서는 "세라믹"이라는 이름을 아파트에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그 이유는 삼익이 건축 자재로 세라믹 패널을 직접 생산하고[3] 사용하면서 홍보 효과를 노리고 세라믹이라는 브랜드 아닌 브랜드를 사용한 것이다.

여담이지만 "삼익소월"은 삼익주택이 아닌 삼익건설에서 지은 아파트이다. 한자 표기도 같고 심지어 부도난 해도 1998년으로 같아 매우 헷갈린다. 다만 폐업한 시기는 차이가 있는데 삼익주택은 2000년 10월 폐업한 이후에도 2006년 10월 장위 삼익아파트와 부산 삼익 퓨처타워를 마지막으로 아파트 건설업을 영구 철수한 반면 삼익건설은 1998년 부도 이후에도 2005년 안중 삼익아파트, 2007년 서산 삼익참드림아파트를 마지막으로 2008년 회생절차를 밟았으나 2009년 완전 폐업했다. 로고로 구분하는 방법은 삼익/삼익주택의 아파트에는 삼익(三益) 한문이 적힌 방패형 로고가 그려져 있고, 삼익건설은 삼각형 형태의 로고가 그려져 있다. 참고로 이 삼익/삼익주택과 삼익건설이 공동으로 지은 아파트가 고양시 덕양구에 존재한다. 화정지구 은빛마을 5단지[4]인데, 여기의 경우 삼익(三益) 한문이 적힌 방패형 로고가 그려져 있는 아파트와 삼각형 형태의 로고가 그려져 있는 아파트가 공존중이라서 이걸로 삼익/삼익주택의 아파트와 삼익건설의 아파트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은빛마을 5단지 역시 이름이 서로 같은 삼익에서 공동 시공하다 보니 삼익세라믹에서만 지은줄로 칙각하고 있는데 엄연히 삼익주택과 삼익건설이 같이 지었다. 건설대장부를 봐도 두 이름이 공존함을 알수 있다.


2. 지역별 단지 현황[편집]



2.1. 서울특별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이촌 골든맨션[5]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50세대1971년
이촌 타워맨션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60세대1973년 9월 21일
이촌 점보맨션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144세대1974년 7월 8일
여의도 삼익아파트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360세대1974년 10월 19일
이촌 렉스아파트[6]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460세대[7]1974년 11월
이촌 왕궁맨션[8]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250세대1974년 12월 23일
여의도 대교아파트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576세대1975년 9월 29일
여의도 서울아파트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192세대1976년 9월 18일
이촌 반도맨션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192세대1977년 1월 12일
여의도 목화아파트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312세대1977년 10월 18일
여의도 화랑아파트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160세대1977년 12월 16일
여의도 광장아파트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744세대1978년 5월 26일
당산 삼익아파트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동3가176세대1979년 5월 4일
이촌 삼익아파트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252세대1979년 12월 17일
방배 삼익아파트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408세대1981년 12월 16일
길동 삼익파크맨션서울특별시 강동구 길동1,092세대1982년 9월 4일
도곡 삼익아파트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247세대1983년 6월 11일
안암 삼익아파트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3가204세대1983년 6월 14일
개포주공7단지[LH]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900세대1983년 10월 26일
삼익그린맨션2차서울특별시 강동구 명일동2,400세대1983년 12월 17일
명일 삼익가든맨션서울특별시 강동구 명일동768세대1984년 11월 30일
삼익그린11차서울특별시 강동구 명일동152세대1986년 6월 30일
목동 신시가지 9단지[9]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2,030세대1987년 7월
쌍문 삼익세라믹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2동1,514세대1988년 12월 19일
방학 삼익세라믹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3동476세대1988년 7월 19일
불광 삼익아파트서울특별시 은평구 불광동103세대1992년 3월 28일
길동 삼익세라믹서울특별시 강동구 길동83세대1992년 6월 29일
수서 삼익아파트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645세대1992년 10월 28일
중화 삼익아파트서울특별시 중랑구 중화동99세대1995년 2월 28일
상도 삼익아파트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4동61세대1997년 2월 28일
신촌 삼익아파트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수동391세대1997년 4월 8일
목동 삼익아파트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277세대1997년 6월 28일
공릉 삼익아파트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158세대1997년 10월 28일
천호 삼익아파트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2동150세대1997년 12월 3일
가산 삼익아파트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210세대1998년 7월 21일
독산 삼익아파트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124세대1998년 9월 2일
시흥 삼익아파트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786세대1999년 9월 20일
노량진 삼익아파트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1동175세대2001년 7월 11일
장위 삼익아파트서울특별시 성북구 장위동68세대2006년 10월 13일


2.2. 부산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괴정 삼익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144세대1978년 6월
남천 뉴비치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990세대1986년 5월
남천 삼익비치 타운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3,060세대1979년 10월
대연 삼익그린타운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725세대2001년 2월
동대신 삼익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2가410세대1976년 6월
온천 삼익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432세대1978년 12월
연산 삼익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305세대1979년 7월
센텀 삼익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936세대1981년 7월
동래 삼익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300세대1979년 6월
연지 삼익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연지동144세대1978년 3월
범일 삼익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150세대1978년 9월
삼익퓨처타워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313세대2006년 10월
서면 삼익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1,074세대1978년 12월
신평 삼익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312세대1989년 5월


2.3. 대구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삼익맨션대구광역시 서구 내당동503세대1979년 11월
삼익뉴타운대구광역시 서구 내당동1,776세대1980년 9월
침산 삼주아파트대구광역시 북구 침산동198세대1979년 8월
수성 삼익맨션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동1가100세대1978년 12월


2.4. 인천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용현 삼익아파트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168세대1979년 4월
신흥 삼익아파트인천광역시 중구 신흥동2가434세대1979년 5월
송림 삼익아파트인천광역시 동구 송림동264세대1979년 8월
청천 삼익아파트인천광역시 부평구 청천동375세대1986년 11월
만수 삼익세라믹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동256세대1992년 8월


2.5. 광주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양동 삼익맨션광주광역시 서구 양동216세대1978년 5월
화정동 삼익맨션 1차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276세대1979년 7월
신안동 삼익아파트광주광역시 북구 신안동210세대1980년 1월
화정동 삼익맨션 2차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228세대1981년 1월
농성동 삼익맨션광주광역시 북구 농성동386세대1985년 2월
학동 삼익세라믹광주광역시 동구 학동480세대1989년 4월
삼각동 삼익아파트광주광역시 북구 삼각동198세대1991년 1월
오치동 삼익1차아파트광주광역시 북구 오치동354세대1991년 10월
오치동 삼익2차아파트광주광역시 북구 오치동165세대1992년 6월
매곡동 삼익맨션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395세대1992년 12월
진월 삼익세라믹광주광역시 남구 진월동394세대1994년 5월
송하동 삼익아파트광주광역시 남구 송하동771세대1997년 4월
진월2차 삼익아파트광주광역시 남구 진월동309세대1999년 11월
진월3차 삼익세라믹광주광역시 남구 진월동370세대2000년 12월


2.6. 대전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문화동 삼익아파트[10]대전광역시 중구 문화동456세대1978년 6월(1, 2동)
1978년 12월(3동)
대성 삼익세라믹대전광역시 동구 대성동633세대1991년 8월
삼익 목화1차아파트대전광역시 서구 복수동948세대1993년 12월
삼익 둥지아파트대전광역시 대덕구 비래동425세대1994년 11월
삼익 목화2차아파트대전광역시 서구 복수동478세대1998년 3월
삼익 양지마을아파트대전광역시 대덕구 오정동548세대1999년 5월


2.7. 울산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남외 삼익세라믹울산광역시 중구 남외동124세대1991년 6월
선암 삼익세라믹울산광역시 남구 선암동264세대1990년 7월
야음 삼익세라믹울산광역시 남구 야음동109세대1991년 8월


2.8. 경기도[편집]



2.8.1. 고양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문촌마을 4단지 삼익아파트고양시 일산서구 주엽동540세대1994년 4월
성저마을 4단지 삼익아파트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460세대1994년 11월
탄현마을 2단지 삼익아파트고양시 일산서구 탄현동390세대1994년 12월
은빛마을 5단지[11]고양시 덕양구 화정동2,032세대1995년 11월


2.8.2. 군포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을지마을 삼익.한일아파트[12]군포시 산본동818세대1993년 9월


2.8.3. 남양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덕소강변삼익남양주시 와부읍880세대1996년 4월


2.8.4. 부천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송내 삼익아파트부천시 송내동648세대1979년 5월
괴안 삼익세라믹부천시 괴안동781세대1988년 12월
반달마을 삼익아파트부천시 상동828세대1993년 10월


2.8.5. 성남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금광 삼익아파트성남시 중원구 금광동498세대1991년 12월
상대원 삼익아파트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264세대1991년 12월
파크타운 삼익아파트성남시 분당구 수내동639세대1993년 5월
매화마을 공무원 2단지[13]성남시 분당구 야탑동1,185세대1995년 7월
매화마을 공무원 1단지성남시 분당구 야탑동562세대1995년 10월


2.8.6. 수원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파장 삼익수원시 장안구 파장동220세대1978년 11월
금곡 삼익1차수원시 권선구 금곡동400세대1995년 5월
금곡 삼익2차수원시 권선구 금곡동354세대1998년 6월
금곡 삼익3차수원시 권선구 금곡동712세대1998년 6월
세류 삼익수원시 권선구 세류3동344세대1999년 7월
우만 삼익세라믹수원시 팔달구 우만동110세대1989년 10월
청명마을 벽산삼익[14]수원시 영통구 영통2동1,242세대1997년 12월


2.8.7. 안산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신길 삼익아파트안산시 단원구 신길동980세대1998년 12월


2.8.8. 오산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수청 삼익아파트오산시 수청동220세대1992년 11월


2.8.9. 용인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신갈 신현마을 삼익용인시 기흥구 신갈동296세대1999년 2월
풍덕천 초입마을 동아.삼익.풍림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동1,620세대1994년 12월


2.8.10. 의정부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삼도세라믹[15]의정부시 신곡동480세대1993년 8월
삼익한일[16]의정부시 신곡동386세대1998년 7월
호원동 삼익1차아파트의정부시 호원동666세대1998년 10월


2.8.11. 평택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삼익 사이버 아파트평택시 동삭동672세대2000년 11월


2.9. 강원특별자치도[편집]



2.9.1. 춘천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석사 삼익세라믹 1차춘천시 석사동210세대1990년 9월
석사 삼익세라믹 2차춘천시 석사동256세대1991년 12월


2.9.2. 강릉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내곡 삼익타워맨션강릉시 내곡동212세대1993년 6월
남산 삼익강릉시 내곡동289세대1993년 5월


2.9.3. 원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봉산 삼익원주시 봉산동746세대1995년 7월


2.10. 충청북도[편집]



2.10.1. 제천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화산 삼익제천시 화산동110세대1994년 1월


2.10.2. 청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모충동 삼익세라믹청주시 서원구 모충동229세대1989년 8월
개신동 삼익1차청주시 서원구 개신동744세대1991년 2월
개신동 삼익2차청주시 서원구 개신동390세대1993년 2월
개신동 송학삼익맨션청주시 서원구 개신동330세대1992년 2월
산남주공 2-1[LH]청주시 서원구 수곡동1,210세대1991년 5월
산남주공 2-2[LH]청주시 서원구 수곡동776세대1993년 7월
분평주공3단지[LH]청주시 서원구 분평동520세대[17]1997년 6월


2.11. 경상북도[편집]



2.11.1. 포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창포주공1단지[LH]포항시 북구 창포동1,696세대1994년 4월

2.11.2. 구미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삼익우공아파트구미시 선산읍 선상서로14길 15-2125세대1991년 12월


2.11.3. 경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삼익세라믹경주시 황성동 유림로33번길 10298세대1992년 8월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6:39:42에 나무위키 삼익세라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는 래미안 첼리투스로 재건축되었다.[2] 따지고 보면 7~80년대 아파트의 상징같은 구조로, 엘리베이터 층 수 한 개를 아껴 짓기 위한 극한의 가성비 설계라 신도시가 지어지던 90년대 이후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구조이다.(대구 · 경북의 우방아파트도 90년대까지 이러한 구조를 많이 채용했다.) 삼익아파트가 유독 그런 구조가 많은 이유는 삼익의 전성기가 그 시절이었기 때문.[3] 청주에 있는 SK하이닉스 청주 사업장 제3공장(흥덕구 직지대로 337, 향정동 55번지)이 원래는 (주)삼익 공장이었다.[4] 은빛마을 5단지는 그 외 공동시공사도 존재하는데 각각 삼성물산, GS건설, SG신성건설, 미도파이다.[5] 월드메르디앙으로 리모델링[6] 2015년 래미안 첼리투스로 재건축 완료[7] 세대 수를 키워 일반 분양 하거나 임대 세대 기부채납 없이 1:1 재건축으로 지었기 때문에 첼리투스 역시 460세대 그대로이다.[8] 네이버 부동산에서는 삼성물산에서 건설했다고 나와 있다.[LH] A B C D E [9] 극동건설과 공동 시공[10] 1, 2동 한정으로 복도 난간에 벌집처럼 생긴 특이한 차단벽이 설치되어 있다. 사연인 즉, 원래 이 아파트 부지는 원래 일본군 보병 79연대 제 3대대 본부가 있었던 군부대 토지였다. 1945년 8월 15일 일제 지배에서 해방 후 63국군병원이 있다가 1973년에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現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으로 이전을 하였다. 이후 1977년 삼익주택이 대한민국 국방부로부터 이 토지를 반환 받아 14층짜리 아파트를 건축하였는데 아파트와 300m 가까웠던 국가안전기획부와 군부대(現 센트럴파크 단지)가 있었다. 1, 2동 건축 당시 군부대와 국가안전기획부가 보인다는 이유로 잘 보이지 않도록 가리라고 요구해서 1, 2동 한정으로 복도 난간에 벌집처럼 생긴 벽을 설치하게 되었다고 한다. 단, 3동은 국가안전기획부와 군부대가 이전한 직후인 동년 12월에 준공하면서 복도 난간에 벌집처럼 생긴 차단벽이 없다.[11] 삼익건설, 삼성물산, 엘지건설, 신성건설, (주)미도파 건설사업부문과 공동 시공[12] 한일건설 공동시공, 이 문서에서는 한일건설 건설분량을 제외함[13] 경남기업과 공동 시공[14] 벽산건설과 공동시공.[15] 삼익이 아닌 삼도라는 단지명을 사용했는데 굳이 자사 기업명을 붙이지 않고 생뚱맞은 명칭을 붙였다. 정확히는 삼익주택의 계열사인 삼도건설에서 건설했기에 이 같은 명칭이 붙은 것 같다.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95년 10월 5일 조선일보 참조 [16] 한일건설 공동시공, 이 문서에서는 한일건설 건설분량을 제외함[17] 1330세대 중 520세대(20층 규모) 한정. 810세대(15층 규모)는 한양(기업)이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