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광주광역시)

덤프버전 :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자치구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광주광역시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f4123; font-size: .8em"
시청
]] 서구
파일:남구(광주광역시) CI.svg
남구

파일:북구(광주광역시) CI.svg
북구

파일:광산구 CI.svg
광산구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행정동
법정동
양동, 양3동
양동
농성1, 2동

구청
농성동
광천동
광천동
유덕동
덕흥동

쌍촌동

유촌동

치평동


치평동
치평동
상무동


상무1, 2동
화정1동
내방동
화정동
화정2~4동
서창동
마륵동
매월동
벽진동
서창동
세하동
용두동
금호1, 2동
금호동
풍암동
풍암동
동천동
동천동




광주광역시자치구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서구
西區
Seo District





구청 소재지
경열로 33 (농성동)
광역자치단체
광주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18[1]
면적
47.75㎢
인구
284,355명[2]
인구 밀도
5,988.94명/㎢[3]
구청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이강 (초선)
구의회

[ 펼치기 · 접기 ]

11석[1]

1석[2]

1석[3]

시의원

[ 펼치기 · 접기 ]

4석[1]

국회
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송갑석 (재선)



양향자 (초선)
상징
구화
목련
구목
느티나무
구조
해오라기
지역번호
062
홈페이지
seogu.gwangju.kr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attachment/00403686101_20110906_1.jpg

광주광역시 서구청
1. 개요
1.1. 인구
2. 교통
3. 경제
3.1. 금융
4. 교육
5. 의료기관
8. 출신 인물



1. 개요[편집]


파일:광주행정구역.jpg

광주광역시중심부에 위치한 자치구.
지도를 놓고 봤을때 광주광역시의 중남부지역을 차지하고 있다. 서쪽의 송정시광산군이 광주직할시(현 광주광역시)로 편입되어 광산구가 되면서, 옛 광주시의 서쪽이었던 서구가 광주광역시 중심부에 위치하게 되었다. 그래서 광주광역시의 다른 구와는 달리 유일하게 전라남도 타 시/군과 맞닿아 있지 않다. 그리고 반대로 광주광역시의 모든 구와 직접 맞닿아 있다.

1973년에 구제 실시로 개청되었고 1979년에 농성동으로 이전한다. 1980년에 북구가 개청되어 일부 지역을 북구로 넘긴다. 1995년에 일부 지역이 남구로 분리되었으나, 한 달 후에 광산구에 있던 서창동을 편입하였다.[4] 그리고 2011년에 북구 동림동 일부 지역을 분리, 편입하면서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상무지구, 금호지구, 풍암지구 등 광주광역시의 대규모 주거지역들을 관할하고 있다. 또한 광주광역시의 관문이라고 할 수 있는 유스퀘어가 있기 때문에 주요 고속도로로 나가는 길이 있는 북구와 더불어 교통의 요지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운천저수지, 풍암저수지 등은 호수공원으로 단장되어 주민들의 좋은 휴식처가 되고 있다. 광주광역시 광 엑스포를 기념해 운천저수지에 설치된 레이저쇼 공연은 새로운 명물이 되어 가고 있다.

광주광역시청상무지구[5]로 옮겨오면서 사실상 광주광역시의 새로운 중심지가 되었다.

양동에는 양동시장이 있는데 이곳이 광주광역시의 지리적인 중심점이다. 광산구를 제외한 광주광역시 4개 구의 모든 주요 시설 및 장소가 이 곳에서 자가용으로 30분 안에 도착할 수 있다. 광산구라고 해도 차가 막히지 않으면 이 곳에서 길어야 30분, 대개 20분 내로 끊을 수 있다. 지금은 양동시장 근처가 몰락해서 태는 안 나지만 이 근처에서 살다 보면 왜 이곳에 시장이 생겼는지 바로 알 수 있다. 차 한 대만 있으면 광주광역시 어디를 가더라도 서두를 이유가 없다.



1.1. 인구[편집]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광주광역시 서구 인구 추이
(1975년~현재)
1973년 광주시 서구 설치
1975년 253,518명}}}
1980년 서구 일부 지역 + 동구 일부 지역 → 북구 승격 분리
1980년 289,877명}}}
1985년 383,109명}}}
1986년 광주시 → 광주직할시 승격 분리
1990년 472,266명}}}
1995년 서구 일부 지역 → 남구 승격 분리
1995년 232,213명}}}
2000년 287,867명}}}
2005년 311,511명}}}
2010년 303,219명}}}
2015년 305,028명}}}
2020년 296,576명}}}
2023년 11월 284,355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0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행정동별 인구 통계

[ 펼치기 · 접기 ]
풍암동 35,357명}}}
치평동 29,389명}}}
금호2동 27,364명}}}
상무1동 24,226명}}}
상무2동 22,951명}}}
화정2동 19,941명}}}
금호1동 19,856명}}}
화정4동 19,319명}}}
동천동 15,728명}}}
화정1동 15,664명}}}
농성1동 11,411명}}}
유덕동 10,606명}}}
화정3동 9,459명}}}
광천동 7,511명}}}
서창동 5,688명}}}
농성2동 4,592명}}}
양3동 4,368명}}}
양동 3,396명}}}
2023년 3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2. 교통[편집]






노후 주택가가 있는 양동, 농성동과 아예 개발이 되지않은 마륵동, 서창동 쪽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택지개발로 정비된 신시가지라서 도로상황은 상당히 좋은 편이다. 동서로 하남대로, 무진대로, 상무대로가 관통하고, 남북으로는 빛고을대로-운천로, 화운로, 죽봉대로[6] 등이 관통하며, 남서쪽으로 광주제2순환도로가 지나간다. 고속도로는 접속해있지 않지만 빛고을대로, 제2순환도로 등을 이용하면 빠르게 고속도로로 진입할 수 있다.

광천동에 광주의 관문이라 할수 있는 광주종합버스터미널이 있다.[7] 개발이 전혀 안된 서창동 일대를 제외하면 대부분 택지개발이 이뤄져서 버스교통은 훌륭한 편이다.

철도 교통으로는 남서쪽으로 경전선이 지나가며, 매월동서광주역이 있다. 다만 이용률이 매우 낮고, 하루 몇 차례만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상무대로를 따라 쌍촌동, 화정동, 농성동, 양동을 지나간다.

이후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되고 나면 그간 지하철 사각지대였던 서구 택지지구의 중심(상무, 금호, 풍암지구)과 시청, 월드컵경기장을 지나가게 되어서 대중교통체계가 크게 바뀔 것으로 예상된다.


3. 경제[편집]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오토랜드 광주)의 영향으로 광주에서 가장 잘 사는 동네. 광주의 중심지이자 광주광역시청이 위치한 상무지구를 필두로 광주의 행정, 경제를 책임지는 곳이다. 당연히 광주에서 제일 가는 부촌이다.[8]

다만 최근 들어 광산구에게 부촌 타이틀을 빼앗길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는 광주가 광산구 일대도 본격적으로 개발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과거 대전의 경우도 서구가 굉장히 잘 살았지만 유성구에게 타이틀을 빼앗긴 사례가 있듯이 광주 역시 그러한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대전 중심지인 둔산신도시의 경우 행정와 금융 등 대부분을 총괄하는 지역이지만, 광주 중심지인 상무지구의 경우 행정만 총괄하고 금융은 금남로(구 전남도청 일대) 일대가 총괄하고 있기 때문이다.


3.1. 금융[편집]


광주 서구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제1금융권 [괄호]
중앙은행
한국은행 (1)
국가기관
서광주우체국 (13)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4)
특수은행
수협은행 (2)
농협은행(중앙회) (8)
시중은행
신한은행 (3)
우리은행 (2)
SC제일은행 (1)
하나은행 (3)
국민은행 (5)
지방은행
광주은행 (15)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서창농협 (9)
서광주농협 (11)
광주원예농협 (2)
남광주농협 (1)
광주축협 (2)
수산업협동조합
장흥군수협 (1)
새마을금고
광주새마을금고(2)
양동새마을금고 (3)
온누리새마을금고 (2)
푸른새마을금고 (1)
무등새마을금고(2)
화정새마을금고 (2)
상무새마을금고 (3)
염주새마을금고 (1)
신흥새마을금고(3)
동광새마을금고 (1)
기아자동차광주공장새마을금고 (1)
광주광역시청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광주웨슬리신용협동조합
광주우리신용협동조합
광주원광신용협동조합
광주와이신용협동조합
광주향림신용협동조합
광주치과의사신용협동조합
양동행복신용협동조합
광주미래신용협동조합
광주중부신용협동조합
북동신용협동조합
삼애신용협동조합
화정신용협동조합
광주신우신용협동조합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페퍼저축은행 (1)
한국투자저축은행 (1)
대한상호저축은행 (1)
OK저축은행 (1)


4. 교육[편집]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광주광역시 서구 고등학교

[ 펼치기 · 접기 ]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고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5. 의료기관[편집]


광주광역시의 경우 지역 내 최대 병원이 모두 동구에 몰려 있어 다른 자치구들은 중형 종합병원들이 굉장히 발달했다는 특징이 있다. 서구도 마찬가지여서 광주한국병원(쌍촌동, 249병상), 상무병원(치평동, 202병상), 서광병원(금호동, 198병상), 선한병원(광천동, 196병상), 미래로21병원(화정동, 192병상), 광주동림병원(동천동, 124병상) 등 중형 종합병원들이 산재해 있다.


6. 정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구(광주광역시)/정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하위 행정구역[편집]


파일:서구.jpg

서구 행정구역 변천사
전라남도 광주시
(全羅南道 光州市, 1949)

광주시
(光州市, 1955)

광주시
(光州市, 1957)

광주시
(光州市, 1963)

광주시 서구
(光州市 西區, 1973)

광주직할시 서구
(光州直割市 西區, 1986)

광주광역시 서구
(光州廣域市 西區, 1995)
광산군 극락면
(光山郡 極樂面, 1935)
광산군 서창면
(光山郡 西倉面, 1935)
광산군 서창면
(光山郡 西倉面, 1963)

광주직할시 광산구
(光州直割市 光山區, 1988)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구(광주)/행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출신 인물[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1:12:42에 나무위키 서구(광주광역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법정동과 행정동이 모두 일치한다.[2] 2023년 1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3] 2023년 7월 기준.[4] 서창동은 같은 시기에 남구로 편입된 대촌동과 함께 1957년부터 1963년까지 잠시 광산군에서 광주시로 편입되었다가 환원된 적이 있다.[5] 원래 육군부대와 보병학교 등이 있었던 상무대가 있었지만 장성군으로 이전하였고 그 자리에 상무지구를 개발하였다.[6] 1번 국도[7] 터미널 앞의 무진대로무려 왕복 16차로이지만, 신세계백화점+유스퀘어문화관+터미널 조합으로 언제나 헬게이트(...)다.[8] 참고로 남구 역시 서구와 광산구에 버금가는 부촌이다. 의사들이 많이 살고 있는 지역이기 때문. 판사, 검사, 변호사 등 법조계 종사자들은 고법, 지법, 고검, 지검 등이 있는 법조단지동구 지산동에 있기 때문에 주로 동구에 많이 살고 있다.[괄호] A B C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