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58-1 (r1판)

편집일시 :

>
부산광역시
{{{#fff,#1f2023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white 급행
ㆍ[[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ㆍ[[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ㆍ[[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ㆍ[[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ㆍ[[틀:기장군버스|

기장
]]
58-1203
모든 노선 환승 대기 시간 60분 적용



>
부산광역시
{{{#fff,#1f2023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white 급행
ㆍ[[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ㆍ[[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ㆍ[[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ㆍ[[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ㆍ[[틀:기장군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16px"
기장
]]
[ 펼치기 · 접기 ]
153051
58-1[a]
58-2106
141[a]
182
183[a]
508
1000[a]
1001
1002[a]
1003[a]
1004[a]
1008
[a] 주간노선과 심야노선의 경로에 차이가 있는 노선



파일:부산58-1.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2015년 노선단축 논란
4.2. 디젤차량 투입
4.3. 공차회송
4.4. 시간표
4.5. 연간 일평균 승차량
4.6.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굵게 밑줄 처리 된 구간은 주간 운영과 심야 운영 시에 노선 상에서 차이가 나는 구간이다.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좌석버스 58-1번
기점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청안동(해인로즈빌아파트)종점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하단역)
종점
첫차04:30기점
첫차05:30
막차22:20막차23:10
배차간격30분
운수사명태영버스인가대수5대
노선해인로즈빌아파트 - 안골포초등학교 - 웅동농협하나로마트 - 용원동주민센터[1] - 용원사거리 - 강서삼성병원 - 영도산업 - 송정다리 - _경제자유구역청_ - DSR - 삼성전기기숙사[단독]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 신호하수처리장 - 의창수협 - 신호초등학교 - 르노코리아자동차남문 - 퀸덤1·2차아파트 - 롯데캐슬아파트 - 남명초등학교 - 낙동강철새도래지 - 명지새동네 - (← 명지시장 ←) - 을숙도 - 하단역
가늘게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58-1 노선도.jpg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58-1번
기점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청안동(해인로즈빌아파트)종점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하단역)
종점
첫차23:50기점
첫차00:40
막차23:50막차00:40
배차간격1일 1회
운수사명태영버스인가대수1대
노선해인로즈빌아파트 - 안골포초등학교 - 웅동농협하나로마트 - 용원동주민센터 - 용원사거리 - 강서삼성병원 - 영도산업 - 송정다리 - _경제자유구역청_ - DSR - 삼성전기기숙사[단독]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 신호하수처리장 - 의창수협 - 신호초등학교 - 르노코리아자동차남문 - 퀸덤1·2차아파트 - 명지롯데캐슬아파트 - 남명초등학교 - 법원·검찰청사거리 - 금강펜테리움/에일린의뜰 - 명지국제신도시입구 - 명지새동네 - (← 명지시장 ←) - 을숙도 - 하단역


2.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 시내(좌석/심야)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42.6km다.[2]

3. 역사[편집]


  • 300번대 좌석버스와 공항버스를 제외한 좌석버스 노선 중 가장 먼저 신설되었다.[3]

  • 이전의 58-1번은 1988년 9월 1일에 명지 - 하단교차로 - 충무동 간 노선으로 개통되었으나, 수요가 저조해 배차간격이 길었고, 결국 4년만에 유령화되어 폐선되었다. 후에 용원 - 하단역 - 충무동 간 노선으로 재운행하나 이 역시 58번과의 중복으로 다시 유령화되어 결국 폐선되었다.

  • 1999년에 녹산공단에 기업들의 입주가 시작되면서 신규수요가 발생해 용원 - 녹산공단 - 하단역 - 충무동 간 노선으로 운행을 재개하였다. 이 58-1번 노선은 당시 시내버스 노선이 적었던 녹산공단 근로자들의 발이 되어준 노선이며 실제로 운송수입금까지 상당히 좋았으므로 126번과 함께 태화교통을 이끌어가는 노선이었다. 나중에 태화교통이 태영버스로 바뀐 다음에 2003년에 58-1번은 대량 증차를 통해 배차간격을 약 10분까지 줄이게 된다.

  • 2003년에는 시계외 지역인 진해 청안동에 해인로즈빌아파트 등 아파트단지가 여럿 생기면서 7월경 58-1번이 청안동 해인로즈빌으로 연장되었고 지역 주민들에게 호응을 얻으면서 신규 수요가 발생하였다. 하지만 원래 이 일대를 다니던 시외노선의 수요가 줄자, 시외버스 운영업체인 동아여객은 부산 노선의 청안동 경유 금지에 대한 가처분신청을 법원에 내게 된다. 이에 법원은 58-1번이 진해와 시외버스업체에 피해를 주는 노선연장을 했다고 인정하면서 10월경, 58-1번이 결국 용원사거리로 단축되었다.

  • 2004년에 태영버스와 부산시는 동아여객도 하단역에서 승객을 받고 있기 때문에 부산 지역의 시내버스 운행에 방해가 되고 수요에 차질이 생긴다고 주장하며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했고, 하단역 시외버스 정류장을 폐지하는 조치까지 취하자 2005년 말에 태영버스동아여객이 제한적으로나마 58-1번이 다시 청안동까지 운행하고 하단역 시외버스 정류장을 재사용하는 내용으로 서로 합의하여 소송을 취하하기로 했다.[4] 이에 따라 2006년에 노선을 2개로 분리하여 운행하게 된다.
    • A노선: 청안동~하단역~충무동 / 배차간격: 약 30분
    • B노선: 용원사거리~하단역~충무동 / 배차간격: 약 10분

  • 2007년 5월 15일 부산시 시내버스 노선 대개편으로 B노선(용원사거리 시종착)은 일반버스로의 형간전환과 함께 58-2번으로 번호가 변경되고, 노선을 용원사거리 - 녹산공단 - 사하구청으로 단축하면서 58-1번에서 아예 분리되었다. 58-1번은 기존의 A노선인 청안동 - 하단역 - 충무동 단일노선으로만 운행하게 되었고 배차간격도 기존 A노선과 같은 30분으로 설정되었다.

  • 명지오션시티 입주민들이 교통불편을 호소해서 2009년 8월 28일부터, 520번과 함께 명지오션시티를 추가 경유하게 되었다.[5]

  • 2014년 2월 22일부터 심야버스가 투입되었는데 주간 막차 1대가 심야버스 변경된 것 뿐이다.


  • 2015년 11월 28일 개편으로 충무동에서 하단역까지 노선이 대폭 단축되었고, 심야 노선 한정으로 명지국제신도시 내 금강펜테리움아파트를 경유하게 되었다.

  • 2016년 4월 9일 개편으로 심야 노선 한정으로 명지국제신도시 내부를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4. 특징[편집]


  • 환승대기시간이 60분으로 적용된다.

  • 원래 막차는 청안동 23:20 출발이었으나, 2014년 2월 22일부터 이 막차가 심야버스로 지정되면서 주간 막차시간이 바로 앞 순서 출발시간이 되었다. 이 막차의 경우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막차와 연계가 불가능하지만 심야1001번 막차와는 연계되니 참고할 것.[6] 다만 심야1000번의 경우 다대포행 노선으로만 연계된다.[7] 때문에 심야 노선치고는 수요가 제법 많은 편이다. 또한 1호선 신평행 막차를 타고 하단역에 내려 환승센터에서 조금만 기다리면 이 노선으로 여유롭게 환승이 가능하기에 심야 시간대에 명지로 가려는 수요도 많다. 때문에 막차 시각을 10분 정도 앞당겨달라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8]

  • 형제노선으로 58번58-2번이 있고 친척노선으로 부산 버스 520이 있다. 그런데 58번의 지선번호지만 정작 58번과는 거리가 좀 있어보이고 오히려 520번이 이 노선과 더 비슷하다.

  • 최근 강서구 신호동명지동 일대 대규모 주거단지가 조성됨에 따라 예전에 비해 노선 굴곡이 매우 심해졌다. 명지오션시티 입주가 시작된 후 58-1번이 이곳을 경유하게 되었고 가장 최근에는 신호동 내 부영아파트 1~5차 아파트단지 입주가 시작되어, 신호동 안동네를 경유하는 바람에 편도 2.1km 증가되었다. 참고로 신호하수처리장~르노코리아자동차남문을 직선으로 달릴 경우 편도 800m 거리인데, 이 때문에 녹산공단~하단역 소요시간이 종전보다 배로 더 늘어나는 바람에 승객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는 얘기가 있다. 문제는 이쪽에서도 쩌리 취급을 받고 있다. 물론 충무동 종점시절엔 남포동 롯데백화점꺼지 지하철 환승없이 한번에 꽃아줬으니 메리트가 상당히 컸었다. 메리트가 사라진건 하단역 종착 이후이다. 하단역에서 끊겨버리니 다른 노선에 비해 메리트가 없는데 배차간격까지 너무 긴데다가 평시에 국제신도시를 경유안한다지만 그건 해당구간을 지나는 마을버스들도 똑같기 때문에 대부분의 주민들은 배차가 훨씬 짧은 마을버스를 이용한다.

  • 2015년 11월 28일 개편으로 인해 시간이 어이없게 변하였는데, 22:20의 주간버스 막차 이후 1시간 30분의 공백을 가지고 23:50에 청안동에서 심야버스가 나온다. 22:27경 58-2번의 막차가 끊긴 이후로도 무려 1시간 30분 이상을 기다려야 한다.[9] 용원사거리 정류장에는 23:54경 도착하나 1~2분 정도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수차례 낚시를 당하고 나서 승무원께 물어보고 나온 답이다. 하단역에서 도시철도로 환승할 생각이라면 반드시 용원사거리에서 22:27경 출발하는 58-2번 막차나 58-1번 주간노선 막차를 타야만 한다. 때문에 막차시각을 10~20분 정도 앞당길 필요가 있어 보인다.[10]

  • 용원사거리 이후부터 청안동 해인로즈빌아파트까지는 안내방송은 송출되지만, 정류장에는 58-1번이 표시되어 있지 않다.[11] 그냥 용원로 상의 창원시 시내버스가 정차하는 거의 모든 정류장에 정차한다고 보면 된다.

  • 58-1번과 58-2번 막차는 용원사거리에 22:27경에 거의 동시에 도착하는데 입석노선인 58-2로 수요가 몰리기때문에 58-1은 거의 텅텅 비어가는 편이다. 그나마 명지오션시티에서 빠르게 하단역으로 가기 위해서 타려는 수요가 있지만 하단역에서 노선이 끊겨버려 낙동대로에서 버스 환승을 하려는 승객들은 거의 이용하지 않는다.

  • 심야노선의 경우 운행경로 상의 모든 정류장에 정차한다. 또한 네이버 지도카카오맵에 심야노선 정보와 경로가 반영되어 있지 않았으나, 현재는 반영되어있다.

  • 좌석버스 예비 부족으로 최근들어 일반버스 예비가 나오거나 58-2번 정규차량이 이 노선에 임시투입되는 경우가 있다. 입석차량임에도 불구하고, 요금은 좌석버스 요금 그대로 받는다! 여기선 그게 일상인데? 창원땅을 밝으니까 똑같이 물들어졌다.

4.1. 2015년 노선단축 논란[편집]


2015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
[ 보기 · 닫기 ]
신설1241681851871005
1011
폐지130135
연장66128-1189190
단축2404658-163
148-1200
변경36100107123184
333520
단순변경88115-1155189-1
형간 전환1007 10758-1 (좌석 → 입석)
번호 변경5-1 → 5128-1 → 128129-1 → 129통합9 + 9-1 → 9
청록색 바탕은 개편이 단행되지 않은 노선


  • 2015년 제3차 시내버스 개편으로 더이상 남포동, 자갈치로 가지 않고 하단역 환승센터까지 단축되었다. 인가대수도 6대에서 5대로 감차되었으며, 심야버스마저 하단으로 단축되었다. 그리고 심야 1회 한정으로 명지국제신도시를 경유하게 되었다. 본래 입석버스로 형간전환될 예정이었으나 마지막 논의에서 좌석버스 유지로 결정이 났다. 그러나 이게 결과적으로는 엄청난 실수를 범한 셈이 되었다.

  • 진해구 청안동 및 강서구 녹산동, 신호동, 명지동 일대에서 환승없이 남포동, 자갈치로 갈 수 있는 노선이 사실상 사라져버린 것이기 때문에 창원시 진해구 청안동, 강서구 신호동과 명지동 주민들로부터 엄청난 원성을 들어야했다. 도시철도 중복 노선 조정이라고는 하나 환승이 번거로운 사람들은 이 노선을 이용해서 남포동을 편하게 가는데 하단으로 단축되면 명지오션시티에서는 마을버스인 강서20번이랑 별반 다를게 없는 노선이되고 신호동이나 경제자유구역청 인근지역 마찬가지로 비록 국제신도시로 돌아가지만 배차간격이 훨씬 짧은 58-2번을 이용하는게 훨씬 나은 상황이다. 청안동 및 공단 일부 구간을 제외하면 58-2번이랑 중복이 심하다. 거기에 노선이 단축되었는데도 감차까지 당하면서 30분에 육박하는 긴 배차간격조차 줄어들지 않았다.[12] 다만 58-2번은 명지국제신도시를 투어하므로 녹산산업중로, 신호주거단지, 명지오션시티에서는 비싸더라도 이 노선을 이용하는게 이동소요시간이 절약되고 좋다.[13]

  • 대안도 없이 무턱대고 잘라서 문제이기도 하며[14] 이와는 별개로 명색이 좌석버스인데 명지오션시티의 모든 정류장을 정차하기 문제로 소요시간을 많이 잡아먹는다고 청안동 주민들과 녹산공단 노동자들로부터 수많은 항의를 받아와 이 부분도 조정이 시급하다.[15] 예전에는 구덕운동장과 국제시장을 거쳐 남포동까지 가줬기에 청안동이나 용원동, 명지오션시티에서 전체적으로 수요가 절대 적은 편은 아니었는데 하단역 단축 이후에는 약 17만원이 감소하고 말았다. 때문에 남포동으로 노선 환원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적잖게 있는 편. 차라리 배차간격이 1시간 가량으로 늘어나더라도 기존처럼 남포동까지 운행하였다면 시간표에 맞춰서 버스를 이용하면 이용불편은 없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아니며 수요가 유지될 수도 있었다.[16]

  • 좌석버스임에도 하단역에서 끊기는 데다가 그렇다고 을숙도대교로 우회해서 낙동강하구둑의 정체를 피해가는것도 아니니, 현재는 청안동 주민들이 아니고서는 먼저 오지 않는 이상 이 노선을 이용할 이유가 크게 상실되었다.[17] 다만 명지국제신도시로 돌아가지 않는 점에서 신호주거단지, 명지오션시티 주민들에게는 먼저 오면 탈 수도 있는 와일드 카드 노선으로 인식되고 있긴 하지만 그마저도 배차간격이 길어 먼저 올 일이 별로 없으니 해당 노선 이용을 고려하지 않는 승객들이 여럿 보인다.[18]

  • 윤 모씨 답변에 따르면 명지.신호에 입석버스노선이 추가로 들어오면, 이 노선의 직선화를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19] 실제로 녹산공단과 진해구 청안동용원동 연선 주민들이 노선을 직선화시켜달라고 계속 건의하고 있으나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 2017년 4월 22일 버스노선개편으로 명지국제신도시에 3번이 신설되고, 강서21번도 아예 명지신도시 셔틀노선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58-1번의 노선을 변경한다는 소식은 없고 사실상 방치되고 있다.[20]


4.2. 디젤차량 투입[편집]


  • 부산광역시는 신차 출고시 천연가스버스 출고를 의무적으로 하고 있고, 2010년식 이전의 차량을 제외하면[21] 모든 차량이 천연가스버스로 운행중이다.

  • 하지만 2013년에 58-1번에 특별히 디젤 버스 투입을 허용한 이유는 열악한 가스충전 여건 때문이었다. 진해구 용원영업소와 당시 종점이었던 남포동 인근에 가스 충전소가 전무하여 부산시에서 디젤버스 출고를 허용한 것이다. 부산의 신차 출고 정책이 천연가스버스 투입이지만 없는 충전소가 그리 쉽게 만들어지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노후된 차량을 대책없이 내구연한을 연장해서 굴릴 수도 없고 멀쩡한 노선을 되도 않게 변경하거나 공차거리를 늘어나면 또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5412번같은 일은 일어나지 않았으니 다행이다.[22]

  • 진해구 덕산동에 가스충전소가 있지만 용원에서 충전소까지 편도로만 약 30분이 걸린다(...). 본디 회차지였던 충무동 근처에는 영도구에 태종대CNG충전소가 있지만 최단거리인 절영로 쪽으로 해서 가더라도 덕산동CNG충전소와 마찬가지로 편도로만 약 20분이 넘게 걸린다. 이마저도 여름철 등 여행 성수기가 되면 교통체증으로 인해 40~50분이 넘을 것이다.
  • 참고로 58-2번은 대낮에 사하구청까지 운행하고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영신여객 차고지에 가서 충전한다.[23] 디젤차에 대해 그런 거 없다는 입장인 대구광역시청과 비교되는 모습을 보여줬다.[24]

  • 2015년 11월 28일에 윤 모씨의 개편안으로 시행한 노선조정으로 하단역까지 단축되어서 신형 디젤버스를 출고한 것이 사실상 무의미해진듯 했으나 2016년 1월 부로 형제노선인 58번에 2016년 11월 부로 58-2번에까지 디젤버스가 신차로 투입되었다.[25]


4.3. 공차회송[편집]


  • 이 노선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청안동 해인로즈빌아파트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지만 차고지는 청안동에서 좀 더 북서쪽으로 가면 나오는 용원 휴요양병원 건너편인 두동에 있다. 그렇기 때문에 청안동에서 운행을 마친 후 두동차고지까지 공차회송하게 되는데, 이 회송 구간을 일반 승객이 이용할 경우 불법승차로 간주되어 지자체나 회사로부터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26]
  • 안내방송에서 다음 정류장은 두동차고지라고 나오지만 정식 기점인 해인로즈빌아파트에서 모두 내려야 한다. 차고지 쪽으로 가야 한다면 해인로즈빌아파트에서 내려서 305번, 315번, 757번, 860번을 타면 된다. 이들은 모두 창원시내버스라 환승이 안 되니 유의할 것.[27]
  • 이 외에도 동일 차고지 소속으로 용원사거리를 기점으로 운행하는 58-2번과 송정공원을 기점으로 운행하는 55번, 520번 등이 이런 공차회송을 실시하고 있다.[28] 또한 가덕도선창이 기종점인 58번도 두동차고지에서 가덕도선창까지 공차회송을 하므로 버스가 지나간다 한들 절대 탈 수 없다.

4.4. 시간표[편집]


기점 및 종점 운행 시간표.
2021년 01월 04일 시행

다음은 하단역 환승센터에 부착된 버전이다.
(2022년 07월 28일 직접 촬영)
파일:부산버스58-1시간표(하단역부착기준).jpg


4.5. 연간 일평균 승차량[편집]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58-1번 심야노선의 경우 일부 연도의 수치에 오류가 있어 생략했다.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1898.57
2015년1916.43△ 17.86
2016년1337.29▽ 579.14
2017년1518.43△ 181.14
2018년1341.85▽ 176.58
2019년1454.57△ 112.72


4.6. 노선[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좌석버스 58-1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낙동남로
명지시장 ▼▲ 부산현대미술관
르노삼성대로
행복마을 ▼▲ 낙동강철새도래지
명지오션시티1로
남명초등학교 ▼▲ 행복마을
명지오션시티11로
▲ 극동스타클래스아파트
명지오션시티2로
퀸덤1.2단지 ▼
명지오션시티10로
신호대교 ▼▲ 퀸덤1.2단지
명지오션시티1로
삼성자동차남문 ▼▲ 신호대교
르노삼성대로
윌아파트 ▼▲ 삼성자동차남문
신호산단2로
신호부영3차.5차아파트 ▼▲ 신호초등학교사거리
신호산단5로
의창수협 ▼▲ 신호부영3차.5차아파트
신호산단1로
신호하수처리장 ▼▲ 부영2차아파트
르노삼성대로
녹산하수처리장 ▼▲ 신호하수처리장
녹산산업대로
갑을녹산병원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녹산산단321로
해덕파워웨이 ▼▲ 삼성전기기숙사
녹산산업중로
풍영산업 ▼▲ DSR
가락대로
▲ 경제자유구역청
녹산산단178로
경제자유구역청 ▼
가락대로
부산프라스틱공업 ▼▲ 풍영산업
녹산산업중로
용원서병원 ▼▲ 영도산업
만금로
용원사거리 ▼▲ 용원서병원
용원로
▲ 웅동농협하나로마트
안골로
코아루아파트 ▼
안청남로
부영3차아파트 ▼▲ 코아루아파트
안청북로
해인로즈빌아파트 ▼
안청로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58-1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낙동남로
명지시장 ▼▲ 부산현대미술관
르노삼성대로
▲ 명지새동네
명지국제12로
금강펜테리움2차아파트.호반베르디움2차아파트 ▼
명지국제5로
중흥1차.부영동문 ▼▲ 대방노블랜드아파트
명지국제7로
법원검찰청사거리 ▼▲ 중흥1차.부영동문
명지국제3로
행복마을 ▼▲ 명원초등학교
명지오션시티1로
남명초등학교 ▼▲ 행복마을
명지오션시티11로
▲ 극동스타클래스아파트
명지오션시티2로
퀸덤1.2단지 ▼
명지오션시티10로
신호대교 ▼▲ 퀸덤1.2단지
명지오션시티1로
삼성자동차남문 ▼▲ 신호대교
르노삼성대로
윌아파트 ▼▲ 삼성자동차남문
신호산단2로
신호부영3차.5차아파트 ▼▲ 신호초등학교사거리
신호산단5로
의창수협 ▼▲ 신호부영3차.5차아파트
신호산단1로
신호하수처리장 ▼▲ 부영2차아파트
르노삼성대로
녹산하수처리장 ▼▲ 신호하수처리장
녹산산업대로
갑을녹산병원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녹산산단321로
해덕파워웨이 ▼▲ 삼성전기기숙사
녹산산업중로
풍영산업 ▼▲ DSR
가락대로
▲ 경제자유구역청
녹산산단178로
경제자유구역청 ▼
가락대로
부산프라스틱공업 ▼▲ 풍영산업
녹산산업중로
용원서병원 ▼▲ 영도산업
만금로
용원사거리 ▼▲ 용원서병원
용원로
▲ 웅동농협하나로마트
안골로
코아루아파트 ▼
안청남로
부영3차아파트 ▼▲ 코아루아파트
안청북로
해인로즈빌아파트 ▼
안청로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명지신도시 경유 버스 노선
[ 펼치기 · 접기 ]
급행100510091011[a]2000[a]
좌석58-1
일반355-155-258
58-261122124
128-1520171161
마을강서 9-2강서 14강서 17강서 20
강서 21
김해 914
음영표기: 국제신도시 경유 노선
[a]르노삼성대로로 운행하는 노선


파일:창원시 CI_White.svg 용원 경유 버스 노선
[ 펼치기 · 접기 ]
급행좌석30023006
지선305315
마을352[b]353
부산좌석58-1[b]1009[a]
부산마을강서1[a]강서9-1[ab]강서17[ab]
[a]청안동 미경유 노선
[b]신항 미경유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하단역환승센터 경유 버스 노선
[ 펼치기 · 접기 ]
급행10052000
좌석58-1221
일반3555858-268[a]168
520
강서구
마을
3799-19-212
131415161720
21
김해시220
음영표기 : 하단역이 시•종착이 아닌 노선.
[a] 강서구 미경유 노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08 06:08:32에 나무위키 부산 버스 58-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창원시내버스 정류장은 반짓골이다.[단독] A B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2] 두동차고지까지의 공차회송거리를 합치면 약 46km.[3] 당시 노선 체계대로라면 58-1번이 아니라 358번이 되었어야 했다.[4] 동아여객의 시외버스 노선은 하단역을 거친 뒤 사상에 있는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까지 운행하지만 거기까지 가는 승객은 매우 적고 대부분의 승객은 하단역에서 하차하기 때문에 하단역 정차를 하지 못하면 회사가 망할수도 있어 태영버스와 합의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태영버스는 고작 노선 한 개 단축되면 그만이지만 동아여객은 자사 이용객의 대부분이 사라지는거나 마찬가지라 사실상 회사의 운명이 걸리니 어차피 결과는 예정되있던 셈.[5] 이후 520번은 을숙도대교를 경유하는 것으로 노선이 조정되면서 명지오션시티로 들어가지 않게 되었다가 자동차전용도로 입석 금지 조항으로 인하여 낙동강하굿둑을 경유하게 되면서 명지오션시티를 4년여만에 재경유하게 되었다.[6] 해당 노선은 00:40경 하단역 환승센터에 도착하고 1001번 막차가 00:45경 을숙도초등학교에서 회차하여 되돌아오고 다시 낙동초등학교 정류장까지 돌아오면 00:48경 정도라 환승연계가 가능하다. 다만 기상상황이나 명지에서 탑승하는 승객 수요에 따라 00:40경 맞춰서 도착하지 않고 3~5분 가량 늦게 도착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낙동초등학교 정류장까지 전속력으로 달려야 한다(..) 두 정류장의 거리는 약 570m 정도로 성인 남성의 빠른 걸음으로 5~6분 정도 소요된다. 특히 신호동이나 명지예서 탑승한 대리운전 기사들이 하단역 정류장에 하차하자마자 1001번으로 환승하려고 100m 달리기 선수마냥 냅다 달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7] 간혹 심야1000번 서면행 막차가 연착이 되어서 하단에 늦게 도착할때가 있는데 전력질주하여 하신중앙로 연선에 위치한 하단역 정류장까지 달려가면 아슬아슬하게 환승이 가능하긴 하다. 다만 이런 경우는 흔치 않다[8] 심야 노선은 명지국제신도시 굴곡 구간이 있는데 교통 체증이 없어도 편도 운행시간 50분은 상당히 빡빡한 편이다.[9] 청안동에서 용원사거리까지는 10분 정도 걸리니 정확히는 1시간 10분이다. 물론 심야 시간대에는 7분만에 도착하며 58-2번 막차와 거의 동시에 용원사거리에 도착한다.[10] 막차를 앞당기면 심야 1000번 서면행 노선과도 환승 연계가 가능해진다.[11] 반면에 58번, 1009번은 창원시 정류장에도 노선번호가 적혀있다. 심지어 창원시 스타일과 부산시 스타일로 2개가 적혀있다.[12] 다만 배차간격이 줄어들면 틀림없이 동아여객이 반발을 할 것이다.[13] 그마저도 강서 20번, 9-2번이 쓸어가는 경우가 대다수이다.[14] 환승해서 가거나 특정 노선을 이용한 뒤 걸어가야한다. 1011번을 타고 영선2동주민센터에서 내린 뒤 영선아랫교차로나 영선윗교차로까지 걸어가서 남포동으로 가는 버스 아무거나 잡아타는 방법, 그리고 1011번 이용 후 해동병원에서 내려서 남포동까지 걸어가는 방법과 58-2번를 타고 하단역에서 도시철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15] 입석노선인 58-2번이랑 운행 소요시간 차이가 거의 없을 정도다. 1009번처럼 주요 정류장만 정차하도록 조치하자는 의견이 많은 지지를 얻고 있다. 1009번의 경우에는 신호주거단지, 명지오션시티, 명지국제신도시로 돌아가지만 그나마 급행버스 특성상 정류장 수가 적어서 불만이 크지는 않다.[16] 용원동의 경우 창원시 시내버스들의 배차간격이 길어서 해당 지역주민들은 시간표를 숙지하여 버스를 이용하는 편이다. 명지오션시티의 경우에도 BIMS와 더불어 시간표를 정류장마다 제공한다면 이용불편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17] 용원의 경우 용원사거리까지 걸어가기에 너무 먼 청안동을 제외하고 나머지 지역에서 하단역으로 갈 때는 용원사거리로 걸어가서 강서9-1번을 타는 것이 좀 더 빠르다. 다만 강서9-1번도 배차간격이 긴데다가 우방아이유쉘아파트 경유로 소요시간 증가+운행횟수 감회로 인해 소요시간 차이가 거의 없어졌기 때문에 용원사거리에서 하단으로 갈 때 강서9-1보다 58-1번이 먼저 오면 굳이 보내지 말고 타는 것이 낫다.[18] 그도 그럴것이 오션시티에서는 이 노선을 이용해봤자 하단역에서 노선이 끊겨버려 낙동대로 연선에서 타 노선으로 환승하려는 승객들에겐 별반 메리트가 전혀 없고 하단역 주변이 목적지거나 하단역에서 지하철로 환승하려는 승객들은 대부분 58-1번과 같이 국제신도시로 돌아가지 않고 배차간격은 훨씬 짧은 강서20번을 타고간다. 물론 요금은 지하철로 환승하면 거의 비슷해지지만, 그냥 둘 중 먼저 오는 거 아무거나 탄다 해도 강서20번이 배차가 훨씬 짧기 때문에 먼저 오는 경우도 별로 없으니...[19] 신호주거단지 미경유, 명지오션시티 미경유 등등. 2017년 4월에 해당 노선으로 부산 버스 3이 추가로 들어왔지만, 이 노선의 직선화는 아직도 실현되지 않았다.[20] 충무동까지 다녔을 시절에는 환승하기 귀찮다는 이유로 이 노선을 이용하는 승객들이 많았으나 하단역까지 단축된 이후로는 명지오션시티에서는 마을버스 부산 버스 강서20이랑 다를게 없는 노선이라며 불평불만이 쏟아졌으며 현재는 해당 수요를 몽땅 강서20번에게 빼앗기면서 파리만 날리고 있는 실정이다. 오히려 하단역 너머 다양한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한 낙동초등학교 버스 정류장까지 연계시켜주는 58-2번보다 훨씬 못하다. 배차간격이 벌어지더라도 기존 국제시장~남포동 회차가 아닌 123번의 선형(구덕운동장 미경유, 서부경찰서~서대시장 직통.)을 그대로 따라가서 최소한 서구청까지만이라도 연계하거나, 혹은 을숙도대교 ~ 감천 쪽으로 돌려서 남포동으로 가는 것이 현재로써는 유일한 해결방안이다. 이 경우 송도 ~ 남포동 ~ 영도 ~ 남항대교 구간을 편도 순환 회차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21] 타 대도시에 비하면 늦은 편이었는데, 부산은 2010년이 되어서야 모든 업체가 천연가스버스를 원활하게 운행할만한 여건이 갖추어졌기 때문이다.[22] 만약 강경 대책으로 5412번 꼴이 났더라도, 58-2번이 있기에 큰 타격은 없었을 것이다. 아마 58-2번빗자루질 노선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디젤버스를 허가시켜서까지 현상 유지를 택한건 나름 좌석버스의 필요성도 느낀 것 같은데 나쁜 선택이라고 보기는 힘들다.[23] 520번이랑 태영버스 2000번도 이곳에서 충전한다.[24] 이유는 최장거리 노선인 600번 때문. 구지면 내리에서 논공읍 하리CNG충전소까지 공차거리 왕복 30km인데 디젤차 투입 금지로 인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며, 범일운수의 노선들처럼 운행 중간에 충전하는 것도 안 된다. 이로 인해 내리에서 하리까지 충전하러 간 후, 달성1차산단 입구에서 운행을 재개하기 때문에 현풍 이남에서 결행되는 일이 잦다고 한다. 결국 유천교 이북 구간이 날아가 버렸고, 옥포 이남 주민들의 항의로 대명10동까지 연장됐지만 다시 충전여건 때문에 악순환을 겪고 있다. 게다가 시청 환경과에서는 구지/유가에 충전소를 만들 계획이 없다고 한다.[25] 장림 도시가스 CNG 충전소가 없어지면서 대도운수 충전소와 영신여객 충전소를 사용하게 되었으나 워낙에 사용하는 차량들이 많다보니 두 충전소 모두 충전 스케줄과 용량 초과로 디젤버스를 뽑을 수 밖에 없다.[26] 이와 비슷한 경우로 부산-거제 시내직행좌석버스가 있다.[27] 2019년11월1일자로 김해~창원 광역환승할인이 되지만 221번170번간 장유에서는 환승할인이 되지 않으니 유의바란다. 하지만 이것이 오히려 동아여객 시외버스를 이용하는 것보다 훨씬 저렴하다.[28] 55번, 520번창원시의 허가를 받지 않아서 송정공원쪽을 정식 기점으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