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교량

덤프버전 :



1. 개요[편집]



2. 목록[편집]






보는 볼드체 표시.

교량명길이(m)서쪽도로명
(철도명)
동쪽개통년도비고
양산낙동강교0000경상남도김해시대동면중앙고속도로지선경상남도양산시물금읍1996
낙동대교0000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부산광역시북구금곡동2018
대동화명대교000077번 부산광역시도[1]화명동2012
구포낙동강교0000부산광역시강서구대저1동남해고속도로덕천동1973
구포철교970부산 도시철도 3호선구포동2005
구포대교000014번 국도
40번 부산광역시도[2]
1993
강서낙동강교3430중앙고속도로사상구모라1동1996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교량/목록 문서의 r50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교량/목록 문서의 r50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1. 대구경북[편집]


  • 구문소교
  • 석포대교
  • 성황교
  • 석포철교
  • 굴현교
  • 결둔교
  • 암기1교
  • 원곡교
  • 비동2교
  • 비동1교
  • 분천교
  • 분천1교
  • 풍애교
  • 현동제2대교
  • 현동교
  • 임기교
  • 명호교
  • 관창2교
  • 관창1교
  • 주진교
  • 영락교

2.1.1. 월영교 [편집]



2.1.2. 안동교[편집]


중앙선 안동-망호 구간에 있는 교량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안동교 문서의 r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안동교 문서의 r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1.3. 풍산대교 [편집]


중앙고속도로 교량이다. 1995년에 칠곡IC서안동IC 구간이 개통되면서 풍산대교가 개통되었으며, 1999년에 왕복 2차로에서 4차로로 확장되었다. 이름도 안동시 풍산읍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서안동IC남안동IC 사이에 위치해 있다. 북단에 안동휴게소가 있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풍산대교 문서의 r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풍산대교 문서의 r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1.4. 상풍교[편집]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면과 예천군 풍양면을 잇는 다리이다. 인근에 상주예술촌이 자리하고 있으며 자전거 동호인들에게는 국토종주 자전거길(낙동강, 새재) 인증센터 중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상풍교 문서의 r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상풍교 문서의 r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1.5. 중동교 [편집]


59번 국도 상주다인로의 일부로, 폭 6m, 연장 450m의 교량이다. 그냥 평범한 낙동강을 통과하는 교량이지만, 폭이 좁아도 너무 좁아 차 2대가 겨우 지나다닐 수 있을 정도이다. 게다가 국토종주 코스 중 하나라서 자전거까지 지나다니니, 이 구간은 조심해서 가자.

2.1.6. 낙단대교 [편집]


2004년 7월 1일에 개통한 교량으로 25번 국도의 일부이자, 낙동대로의 일부다.
상주영천고속도로 상주JC에서 상주방향 주행시 영덕방향 진입과 영덕에서 영천방향 진입이 불가능하여 도개IC에서 진출입하거나, 동상주IC를 통해 진출입하여 이용을 하게 되는데 낙단대교는 그 경로상에 위치하고 있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낙단대교 문서의 r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낙단대교 문서의 r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1.7. 낙동강대교 [편집]


낙동강에 걸친 상주영천고속도로의 교량이다. 2017년 6월 28일에 개통하였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낙동강대교 문서의 r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낙동강대교 문서의 r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1.8. 산호대교 [편집]


경상북도 구미시에 있는 교량이다. 인근에 구미국가산업단지금오공과대학교가 위치해 있으며, 산호대로의 일부이기도 하다.
이름은 비산동양호동에서 한 글자씩 땄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산호대교 문서의 r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산호대교 문서의 r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1.9. 왜관낙동강교 [편집]


경부고속도로의 교량으로 경상북도 구미시 오태동과 칠곡군 석적읍에 걸쳐있다.
서쪽에는 남구미IC가 있다.
1970년 7월 7일에 개통하였고 2003년에 8차선으로 확장하였으며. 낙동강에서 가장 오래된 고속도로교량이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왜관낙동강교 문서의 r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왜관낙동강교 문서의 r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1.10. 왜관경부고속철교 [편집]


경부고속선 약목IEC와 대구북연결선 사이에 있는 낙동강 횡단교량, 직선주로라 KTX가 본격적으로 속도를 내는 구간에 있다. 다리 바로 옆에 낙동강 칠곡보가 있으며, 평화문화축전이 교량 바로 밑에서 열린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왜관경부고속철교 문서의 r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왜관경부고속철교 문서의 r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1.11. 왜관철교[편집]



2.1.12. 왜관교 [편집]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적리와 약목면 관호리를 잇는 낙동강의 교량. 연장 510m, 너비 13.5m. 1970년에 준공되었다. 이 다리의 건설로 대구시, 선산군, 김천시, 성주군으로 이동하기 용이해졌다. 처음에는 2차선이었으나 2000년대 중반쯤 4차선으로 확장되었다. 그리고 폐교량은 2011년에 해체되었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왜관교 문서의 r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왜관교 문서의 r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1.13. 호국의 다리[편집]



2.1.14. 제2왜관교 [편집]


칠곡군 앞을 지나가는 다리이다. 33번 국도에서 칠곡군 왜관읍에 진입할때 타는 다리다.
  • 이 도로의 33번 국도 교차로 이름이 죽전교차로 이다.
  • 이 다리 근처에 로얄 교차로가 있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제2왜관교 문서의 r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제2왜관교 문서의 r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1.15. 성주대교 [편집]



2.1.16. 강정고령보[편집]



2.1.17. 사문진교[편집]



2.1.18. 88낙동강교 [편집]


왕복 5차선의 교량이다.[3] 88올림픽고속도로광주대구고속도로로 바뀌었지만 바꾸는 데도 돈이 들기 때문에 명칭이 따로 변경되지는 않았다.
[3] 광주행은 2차로 대구행은 3차로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88낙동강교 문서의 r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88낙동강교 문서의 r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1.19. 고령교[편집]



2.1.20. 성산대교 [편집]


동고령로가 낙동강을 지나가는 왕복 4차선 다리이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성산대교(낙동강) 문서의 r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성산대교(낙동강) 문서의 r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1.21. 달성보 [편집]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과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에 있는 낙동강(洑)이자, 교량. 4대강 정비 사업으로 인해 건설되어서 운영되고 있다.

자전거 동호인들에게는 국토종주 인증센터가 있는 장소로 알려져있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달성보 문서의 r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달성보 문서의 r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1.22. 박석진교[편집]



2.1.23. 중부내륙낙동대교 [편집]


중부내륙고속도로가 낙동강을 지나가는 왕복 4차선 다리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중부내륙낙동대교
, version=9)]

2.2. 경상남도[편집]



2.2.1. 적포교 [편집]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과 합천군 청덕면을 잇는 낙동강의 교량. 1933년 10월 착공하여 1935년 9월에 완공하였다. 도로명주소의합대로우포1대로이다. 20번 국도24번 국도가 지나가며 현재 사용하는 것은 2대 째 교량이다.합천에서는 이 다리가 있는 곳을 적교라 부른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적포교 문서의 r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적포교 문서의 r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2.2. 박진교 [편집]


경상남도 의령군과 창녕군을 잇는 교량이다. 도로명주소는 박진로이다. 이름에서 보여지듯 박진이라는 사람이 연상되는 교량이지만, 교량명칭은 인명과 전혀 관계가 없다. 박진이라는 이름은 의령군 부림면 경산리에 있는 마을이름이다. 이 마을에서 교량명이 정해졌다.
왕복 2차로며, 통행량은 많지 않다. 다만, 낙동강 자전거길에 있어서 중요한 길이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박진교 문서의 r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박진교 문서의 r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2.3. 창녕낙동강교 [편집]


중부내륙고속도로의 교량으로 남지IC 바로 앞에 있다. 1977년에 옛 구마고속도로로 개통한 후, 1995년에 재건축한 뒤 2001년 노선번호 변경으로 중부내륙고속도로로 편입되었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창녕낙동강교 문서의 r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창녕낙동강교 문서의 r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2.4. 낙동대교(창녕) [편집]


낙동강을 건너는 5번 국도의 교량이다. 경남대로의 일부로, 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 동쪽에 있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낙동대교(창녕) 문서의 r1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낙동대교(창녕) 문서의 r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2.5. 창녕함안보 [편집]


昌寧咸安洑 / Changnyeonghaman Weir

경상남도 창녕군 길곡면 증산리와 함안군 칠북면 봉촌리에 있는 낙동강(洑)이자, 교량. 4대강 정비 사업으로 인해 건설되어서 운영되고 있다. 국토종주 자전거길 인증센터 가운데 한 곳이다.
[각주]

2.2.6. 삼랑진교 [편집]


58번 국도가 통과한다.

2.2.7. 낙동대교(삼랑진) [편집]


삼랑진IC상동IC 사이에 있는 대구부산고속도로교량이다.
[각주]


2.2.8. 양산 낙동대교[편집]


김해시양산시를 잇는 국가지원지방도 60호선의 교량으로 현재 건설 중이다. 낙동강을 경계로 같은 경상남도에 속해 있지만 이 다리가 놓이기 전에 두 도시를 왕래하기 위한 무료 도로가 없었다. 다만 이 도로가 양산 임경대의 경관을 망쳐 아쉬움을 호소하는 시민들이 있다.

2.2.9. 양산낙동강교 [편집]


중앙고속도로지선 중 물금IC와 대동JC를 연결하는 낙동강의 교량이다. 중앙지선과 함께 개통하였다
[각주]

2.3. 부산광역시[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