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응우

덤프버전 :


전 이평택 가문 묘지기
김응우
金膺禹


파일:김응우역사왜곡.jpg

북한이 그린 제너럴 셔먼호 사건에 대한 기록화이다.
출생
1848년 6월 17일 (헌종 15년)[1]
조선 평안도 평양부 중성리
(현 평양시 중구역 중성동)
사망
1878년 10월 4일 (고종 15년, 향년 30세)
조선 평안도 평양부 고순화방 남동
(현 평양시 만경대구역 만경대동)
본관
전주 김씨
가족
아버지 김송령(1810~1899)[2]
어머니 나현직
아들 김보현
며느리 이보익
손자 김형직
증손자녀김일성, 김철주, 김영주
현손자녀 김정일, 김만일, 김경희, 김평일, 김영일, 김현, 김백연
내손자녀 김정남, 김설송, 김춘송, 김정철, 김정은, 김여정
곤손자녀 김한솔, 김주애


1. 개요
2. 생애
3. 사후의 역사왜곡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조선 시대의 인물로 김정일의 고조부, 김일성의 증조부. 그리고 김보현의 아버지이다.

2. 생애[편집]


평양부 중성리에서 소작을 짓다가, 고순화방으로 이동해 지주 집안의 묘지기를 맡았다.

본래 김일성은 본인의 자서전 세기와 더불어에서 자신의 집안이 전라도 전주에서 살다가[3] 8대조인 김계상이 함경도로 이전하면서 북으로 들어왔다고 주장하는데, 중성리에서 농사를 짓던 김응우가 먹고살기 힘들다는 이유로 지주 이평택의 묘지를 돌봐주기로 하고 산당집을 한 채 받아 이주한 것이 김씨 일가시초라고 한다.

이후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1878년 3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사후의 역사왜곡[편집]



북한에서는 1866년 미국의 상선이 대동강을 거슬러 올라오며 통상을 요구하다가 관민들에 의해 불타버린 제너럴 셔먼호 사건의 통솔자가 김응우라고 주장하며, 김응우를 외래침략자들을 반대하는 투쟁의 선두에서 위훈을 떨친 애국자로 선생[4]이라는 호칭까지 붙이며 존경하고 있다.

북한에서는 북-미 혹은 한-미 관계의 시작을 제네럴 셔먼호 사건으로 바라보고 있으며, 사건의 맥락을 제국주의 침략 야욕에 대한 조선 민족의 저항으로 해석한다. 그리고 이 사건의 중심 인물로서 김일성의 증조부 김응우를 내세움으로써 백두혈통의 정당성을 강화하고 있다.

물론 김응우가 제너럴 셔먼호 사건의 핵심 인물이라는 것은 당연히 말도 안 되는 역사왜곡인 것이, 김응우는 당시 20살도 안 된 햇병아리 묘지기였다. 실제로 이 사건의 총 책임자는 당시 평안도 관찰사이자 연암 박지원의 손자이고 당시 60을 바라보는 노련한 행정 관료인 박규수철산부사 백낙연이었고, 이 사건의 행동 대장 역할을 맡은 사람은 퇴역 군관 출신의 박춘권이었다. 당연히 제너럴 셔먼호 사건을 다룬 당대 사료 그 어디에도 김응우 같은 인물의 이름은 찾아볼 수 없다.

묘지기인 김응우가 사망한 후에도 집은 그대로 김응우 일가의 소유가 되었는데, 이 곳에서 김일성이 태어나면서 집은 만경대라는 이름으로 북한식 사적화가 된다.


4. 둘러보기[편집]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 펼치기 · 접기 ]
주요 역사적 사건
김일성
시대

해방 (1945) ·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설치 (1945) ·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 설립 (1946) · 북조선인민위원회 설립 (1947) · 최고인민회의 설립 (1948)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1948) · 북·남조선로동당 합당 (1949) · 6.25 전쟁 (1950~1953) · 박헌영-리승엽 간첩 사건 (1953~1955) · 8월 종파사건 (1956) · 중국 인민지원군 철수 (1958) · 재일교포 북송 (1959~1984) · 조소동맹조약 (1961) · 조중동맹조약 (1961) · 갑산파 숙청 사건 (1967) · 1.21 사태 (1968)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1968)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 7.4 남북 공동 성명 (1972) · 사회주의헌법 제정 (1972)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6) ·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1983) ·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1987) · 제13차 평양세계학생축전 (1989) · 남북기본합의서 (1991) · 남북 유엔 동시 가입 (1991) · 제1차 북핵 위기 (1993~1994) · 서울불바다 발언 사건 (1993) · 김일성 사망 (1994)
김정일
시대

남북정상회담 무산 (1994) · 고난의 행군 (1994~2000) · 북미 제네바 합의 (1994) ·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 심화조 사건 (1997~2000) · 제1연평해전 (1999) · 남북정상회담 (2000) · 조미 코뮤니케 (2000) · 제2연평해전 (2002) · 새로운 경제관리개선조치 (2002) · 조일 평양선언 (2002) · 6자회담 (2003~2009) · 제1차 핵실험 (2006) · 2007 남북정상회담 (2007) · 제2차 핵실험 (2009) · 화폐개혁 (2009) ·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 연평도 포격전 (2010) · 김정일 사망 (2011)
김정은
시대

제3차 핵실험 (2013) · 장성택 처형 사건 (2013) · 5.30 조치 (2014) · 제4차 핵실험 (2016) · 제5차 핵실험 (2016) · 김정남 피살 사건 (2017) · 제6차 핵실험 (2017) · 남북정상회담 (평양공동선언) (2018) · 북미정상회담 (2018~2019) ·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2020) · 코로나 대유행 (2022)
역사왜곡*
항일무장투쟁
타도제국주의동맹 (1926) · 카륜회의 (1930) · 명월구회의 (1931) · 조선인민혁명군 (1932) · 민생단 사건 (1932~1936) · 남호두회의 (1936) · 미혼진회의 (1936) · 동강회의 (1936) · 조국광복회 (1936)
6.25 전쟁
전쟁 발발 책임 · 승패 인식
백두혈통
우상화

김응우 (제너럴 셔먼호 사건) · 김형직 · 강반석 · 김정숙 · 김정일 출생지 왜곡
관련 서적
미제와 일제의 조선침략 죄행 · 백두혈통 우상화 교과서 · 세기와 더불어 · 조선력사
* 괄호 안의 연도는 북한의 주장에 근거한 연도이며, 실제 역사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단체 및 사건이거나 실제와는 다른 연도일 수 있음.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18:02:15에 나무위키 김응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양력기준. 음력으로는 4월 8일[2] 시대를 감안하면 오래 산 편이다. 그래서 자신의 증손자이자 훗날 김일성의 아버지가 되는 김형직이 태어나는 것까지 보고 영면했다.[3] 그때문에 한국전쟁 당시 피난민들이 전주로 많이 몰렸다고 한다. 전주는 김일성의 연고지이니, 차마 인민군이 공격하지 않을 것이라 여긴 것. 그러나 전주에서도 학살은 자행되었다.[4] 북한에서는 집단성과 동질성을 우선시하기 때문에 가족이나 김씨일가를 제외하고는 님이라는 호칭을 잘 붙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