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덤프버전 : r (♥ 0)

}}} ||


}}} ||





파일: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1]الا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 لكرة القدم
FIFA 코드UAE
축구 협회아랍에미리트 축구 협회 (UAEFA)
대륙 연맹아시아 축구 연맹 (AFC)
지역 연맹서아시아 축구 연맹 (WAFF)
홈 경기장자예드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Zayed Sports City Stadium / 43,206석)
별칭Al-Abyad (흰색)
Eyal Zayed (자예드의 자손)
감독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울루 벤투 (Paulo Bento)
주장
C
왈리드 압바스 (Walid Abbas)
라이벌[[카타르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FIFA 랭킹69위 (2023년 10월 기준 / #)
Elo 랭킹72위 (2023년 11월 22일 기준 / #)
공식 웹사이트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대표팀 기록 보기 ]
A매치 최다 출전아드난 알 탈리아니 (Adnan Al Talyani)
- 161경기 / 53골
A매치 최다 득점알리 마브쿠트 (Ali Mabkhout)
- 112경기 / 81골
월드컵 최다 득점칼리드 이스마일 (Khalid Ismail)
- 1골 (1990)
알리 타니 주마 (Ali Thani Jumaa)
- 1골 (1990)
첫 국제경기 출전[[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 아랍에미리트 vs [[카타르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1:0
(사우디아라비아 / 1972년 3월 17일)
최다 점수차 승리[[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 아랍에미리트 vs [[동티모르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12:0
(브루나이 반다르스리브가완 / 2001년 4월 14일)
최다 점수차 패배[[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 아랍에미리트 vs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0:8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 2005년 11월 12일)
[ 대회별 성적 보기 ]
세계대회
월드컵[진출] 1회
[최고] 24위/조별리그 (1990)
컨페드컵[진출] 1회
[최고] 6위/조별리그 (1997)
대륙대회
아시안컵[진출] 10회
[최고]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1996)
아랍컵[진출] 2회
[최고] 4위 (1998)
걸프컵[진출] 23회
[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2007, 2013)
팬아랍 게임[진출] 4회
[최고] 4위 (2007)

유니폼 컬러어웨이
상의파일:아디다스 로고.svg파일: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10

파일:아디다스 로고 화이트.svg파일: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7

하의
양말



1. 개요[편집]


아랍에미리트축구 국가대표팀. 백색(Al-Abyad)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당시 아시아 예선 티켓 2장 중 아시아 예선 준우승으로[2]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 24개국 본선에 처음 진출했나, 조별리그[3]에서 전패로 24등으로 마치게 되었다. 월드컵 본선 진출은 이것이 전부.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아디다스다.[4]


2. 상세[편집]


그동안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등 전통의 강국들에 밀려 서아시아에서는 중위권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나, 투자를 통해 전력이 상당히 강해졌다. 2007년 자국에서 열린 아라비안 걸프컵에서도 우승했고, 2013년 사상 두 번째로 걸프컵에서 우승했고, 2014년에는 준결승에 진출하는 등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아시안컵에서도 이러한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2015 아시안컵 이전 3번의 대회에서는 모두 조별리그에서 떨어졌지만 2015 AFC 아시안컵 호주에서는 카타르바레인을 연파하고 이란과는 접전 끝에 패하면서 1996년 이후로 19년 만에 토너먼트에 진출 성공했다. 그리고 8강에선 통산 5회 우승과 두 번째 2연패를 꿈꾸던 일본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격침시키고 4강에 진출했고, 대회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다른 중동 국가들과 비교하면 아랍에미리트는 일본과 유사한, 소위 스시타카 스타일과 비슷한 축구를 한다. 그래서 다른 중동 국가들과 달리 일본과는 비등한 경기를 하지만, 파워로 밀어붙이는 대한민국에게 약한 면을 보인다. 현 대표팀의 주축 오마르 압둘라흐만도 일본 스타일의 테크니션, 플레이메이커다. 다만 아흐메드 칼릴, 알리 마브쿠트 투 톱이 매우 빠른 발과 괜찮은 골 결정력은 가지고 있어, 이 삼각편대를 내세운 역습에도 재미를 많이 보는 편. 2019년 자국에서 열리는 아시안컵을 내심 이 세대들이 사고를 쳐줄 것이라고 기대했으나 4강에 그쳤고, 오히려 앙숙인 카타르가 우승하는걸 지켜보게 되었다. 또한 중동 축구팀들의 종특침대축구는 자주 보여주지 않고, 본인들이 앞서고 있어도 웬만하면 공격에 나선다.

위에서 언급했듯 한국 상대로는 상성이 영 좋지 않은 중동 국가로, 한국을 상대로 통산 전적 21전 3승 5무 13패로 절대 열세다. 최근 경기는 2022년 3월 29일 두바이에서 열린 카타르 월드컵 최종예선 10차전 경기로 아랍에미리트가 1:0 승리를 거두며 2006년 이후 16년 만에 대한민국을 상대로 승리했다. 최종예선 전반기까지만 해도 다소 불안불안했으나 후반기 들어서는 3승 2패로 선전하며 아시아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지었다. 속칭 11524로 불리는 아시아 5강 바로 밑의 팀이라고 줄곧 평가받았으나 월드컵 예선에선 그 평가에 맞는 성적을 내지 못했었지만, 이번 플레이오프 진출로 자신들이 아시아의 다크호스임을 어느 정도 증명했다.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대회 진출 이후 32년만에 월드컵 본선진출과 가장 가까운 위치까지 다가갔다.[5] 그러나 아시아 플레이오프에서 호주에게 1:2로 패하여 또다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022년 현재 주요 선수로는 아메드 칼릴, 알리 마브쿠트 등이 있다.


3. 역대 감독[편집]


파일:UAE UAF.png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펼치기 · 접기 ]
#555,#aaa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61E19 0%, #DD0000 50%, #E61E19)" {{{#fff 1972년 ~ 현재}}}}}} || ||<width=20%> {{{-1 {{{#dd0000,#ff2121 1대}}}}}}[br][[모하메드 셰이타|셰이타]][br][[이집트|[[파일:이집트 국기.svg|height=18]]]] ||<width=20%> {{{-1 {{{#dd0000,#ff2121 2대}}}}}}[br][[주마 가리브|가리브]][br][[아랍 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height=18]]]] ||<width=20%> {{{-1 {{{#dd0000,#ff2121 3대}}}}}}[br][[모하메드 셰이타|셰이타]][br][[이집트|[[파일:이집트 국기.svg|height=18]]]] ||<width=20%> {{{-1 {{{#dd0000,#ff2121 4대}}}}}}[br][[미미 엘셰르비니|엘셰르비니]][br][[이집트|[[파일:이집트 국기.svg|height=18]]]] ||<width=20%> {{{-1 {{{#dd0000,#ff2121 5대}}}}}}[br][[주마 가리브|가리브]][br][[아랍 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height=18]]]] || || {{{-1 {{{#dd0000,#ff2121 6대}}}}}}[br][[디미트리 타디치|타디치]][br][[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7대}}}}}}[br][[돈 레비|레비]][br][[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8대}}}}}}[br][[헤쉬마트 모하제라니|모하제라니]][br][[이란|[[파일:이란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9대}}}}}}[br][[카를루스 아우베르투 파헤이라|파헤이라]][br][[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10대}}}}}}[br][[마리우 자갈루|자갈루]][br][[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height=18]]]] || || {{{-1 {{{#dd0000,#ff2121 11대}}}}}}[br][[베른하르트 블라우트|블라우트]][br][[폴란드|[[파일:폴란드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12대}}}}}}[br][[카를루스 아우베르투 파헤이라|파헤이라]][br][[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13대}}}}}}[br][[발레리 로바노브스키|로바노브스키]][br][[우크라이나|[[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14대}}}}}}[br][[안토니 피슈니체크|피슈니체크]][br][[폴란드|[[파일:폴란드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15대}}}}}}[br]{{{-1 [[토미슬라브 이비치|이비치]]}}}[br][[크로아티아|[[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height=18]]]] || || {{{-1 {{{#dd0000,#ff2121 16대}}}}}}[br][[로리 산드리|산드리]][br][[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17대}}}}}}[br][[밀란 마찰라|마찰라]][br][[체코|[[파일:체코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18대}}}}}}[br][[로리 산드리|산드리]][br][[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19대}}}}}}[br][[카를로스 케이로스|케이로스]][br][[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20대}}}}}}[br][[스레츠코 유리치치|유리치치]][br][[헝가리|[[파일:헝가리 국기.svg|height=18]]]] || || {{{-1 {{{#dd0000,#ff2121 21대}}}}}}[br][[압둘라흐 마스파르|마스파르]][br][[아랍 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22대}}}}}}[br][[앙리 미셸|미셸]][br][[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23대}}}}}}[br][[압둘라흐 사크르|사크르]][br][[아랍 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24대}}}}}}[br][[티니 루이스|루이스]][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25대}}}}}}[br][[조 본프레레|본프레레]][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height=18]]]] || || {{{-1 {{{#dd0000,#ff2121 26대}}}}}}[br][[로이 호지슨|호지슨]][br][[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27대}}}}}}[br][[아드 더모스|더모스]][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28대}}}}}}[br][[딕 아드보카트|아드보카트]][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29대}}}}}}[br][[브루노 메추|메추]][br][[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30대}}}}}}[br][[도미니크 바테나이|바테나이]][br][[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18]]]] || || {{{-1 {{{#dd0000,#ff2121 31대}}}}}}[br][[스레츠코 카타네크|카타네크]][br][[슬로바키아|[[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32대}}}}}}[br][[압둘라흐 마스파르|마스파르]][br][[아랍 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33대}}}}}}[br][[마흐디 알리|알리]][br][[아랍 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34대}}}}}}[br][[에드가르도 바우사|바우사]][br][[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35대}}}}}}[br][[알베르토 자케로니|자케로니]][br][[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18]]]] || || {{{-1 {{{#dd0000,#ff2121 36대}}}}}}[br][[베르트 판마르베이크|판마르베이크]][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37대}}}}}}[br] [[이반 요바노비치|요바노비치]][br][[세르비아|[[파일:세르비아 국기.svg|height=18]]]] || {{{-1 {{{#dd0000,#ff2121 38대}}}}}}[br][[호르헤 루이스 핀투|핀투]][br][[콜롬비아|[[파일:콜롬비아 국기.svg|height=18]]]] ||<bgcolor=#e0ffdb,#073300> {{{-1 {{{#dd0000,#ff2121 39대}}}}}}[br][[베르트 판마르베이크|판마르베이크]][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height=18]]]] || ||<-5><height=30><bgcolor=#eee,#191919> {{{#!wiki style="margin: -5px -10px" {{{-1 [[틀:축구 국가대표팀별 역대 감독|{{{#e61e19,#e61e18 전세계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감독 보기}}}]]}}}}}} ||




4.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편집]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rowbgcolor=#e61e19><rowcolor=#ffffff><width=10%> '''순서''' ||<width=40%> '''선수 이름''' ||<width=10%> '''출전 횟수''' ||<width=20%> '''첫 경기''' ||<width=20%> '''마지막 경기''' || || 1 || 아드난 알탈리아니 || '''161회''' || 1984.3.10 || 1997.12.17 || || 2 || 이스마일 마타르 || '''136회''' || 2003.9.27 || 2021.12.6 || || 3 || 수바이트 카터 || '''120회''' || 1999.8.20 || 2011.11.15 || ||<|2> 4 || 이스마일 알함마디 ||<|2> '''115회''' || 2007.9.23 || 2019.12.2 || || 압둘라힘 주마 || 1998.11.25 || 2009.4.1 || || 6 || [[알리 마브쿠트]] || '''113회''' || 2009.11.15 || 2023.11.21 || || 7 || 주헤어 바크시트 || '''112회''' || 1988.1.23 || 2002.12.16 || || 8 || 압둘살람 주마 || '''111회''' || 1997.3.18 || 2010.1.6 || ||<|2> 9 || 무흐신 무사바 ||<|2> '''107회''' || 1985.4.12 || 1999.8.27 || || 왈리드 아바스 || 2008.12.27 || 2023.11.16 || || 11 || 아흐메드 칼릴 || '''104회''' || 2008.2.6 || 2019.11.29 || || 12 || 모하메드 오마르 || '''102회''' || 1996.8.14 || 2009.1.28 || }}}




5. 역대 성적[편집]



5.1. FIFA 월드컵[편집]


역대 월드컵 전적 순위 : 74위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독립이전(영국의 일부)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1950년 브라질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기권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불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조별리그24위03003211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일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미
?????????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년 월드컵
?????????
합계본선진출 1회1/20[6]03003211


5.2.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대회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
1992 사우디진출 실패
1995 사우디
1997 사우디 컨페더컵조별리그6위310228
1999 멕시코진출 실패
2001 한국/일본
2003 프랑스
2005 독일
2009 남아공
2013 브라질
2017 러시아
합계진출 1회1/10310228


5.3. AFC 아시안컵[편집]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8위

대회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1956년
독립 이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0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1964년
파일:이란 국기.svg
1968년
파일:태국 국기.svg
1972년
파일:이란 국기.svg
1976년
불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80년
조별리그9위1401339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1984년
조별리그6위6420238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년
조별리그8위3410324
파일:일본 국기.svg
1992년
4위[7]6513134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6년
준우승2위14642083
파일:레바논 국기.svg
2000년
본선 진출 실패[12개팀]
파일:중국 국기.svg
2004년
조별리그15위1301215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2007년
조별리그12위3310236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1년
조별리그13위1301204
파일:호주 국기.svg
2015년
3위[8]106312108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9년
4강[9]4위11632188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3년
?????????
파일:국기.svg
2027년
?????????
합계준우승(1회)11/1856441511184159


5.4.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대회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2000
불참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2002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004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2007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008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2010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2012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2014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2019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2023
?????????
합계-0/90000000


5.5. 아라비안 걸프컵[편집]


연도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파일:바레인 국기.svg
1970 바레인
불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72 사우디아라비아
결선리그3위31021113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74 쿠웨이트
4강4위4112594
파일:카타르 국기.svg
1976 카타르
결선리그6위60244132
파일:이라크 국기.svg
1979 이라크
결선리그6위61055183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82 아랍에미리트
결선리그3위5302769
파일:오만 국기.svg
1984 오만
결선리그4위6231549
파일:바레인 국기.svg
1986 바레인
준우승2위63121071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8 사우디아라비아
준우승2위63217411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90 쿠웨이트
결선리그5위4022282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2 카타르
결선리그4위5302439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4 아랍에미리트
준우승2위53207111
파일:오만 국기.svg
1996 오만
결선리그4위5131556
파일:바레인 국기.svg
1998 바레인
결선리그3위5212577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2 사우디아라비아
결선리그6위5104373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003-04 쿠웨이트
결선리그5위6213677
파일:카타르 국기.svg
2004 카타르
조별리그6위3021452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7 아랍에미리트
우승1위54018512
파일:오만 국기.svg
2009 오만
조별리그5위3111344
파일:예멘 국기.svg
2010 예멘
4강4위4121325
파일:바레인 국기.svg
2013 바레인
우승1위550010315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14 사우디아라비아
4강3위5221758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017-18 쿠웨이트
준우승2위5140107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9 카타르
조별리그7위3102563
파일:이라크 국기.svg
2023
이라크
?????????
합계우승(2회)23/24110412940117140152


5.6. FIFA 아랍컵[편집]


대회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1963
독립이전(영국의 일부)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1964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1966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1985
불참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1988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1992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1998
4강4위4103683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2002
불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2012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2021
8강7위4202376
합계4위(1회)2/1083059159


5.7. 올림픽[편집]


  • 2012 런던 올림픽: 15위[16개팀]


6. 연령별 대표팀[편집]



6.1. U-23 대표팀[편집]



6.1.1. AFC U-23 아시안컵[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2014
8강8위5412122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2016
8강5위7421155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018
예선 탈락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2020
8강6위5412146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2022
조별리그11위4311134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2024
?????????
굵은 글씨는 올림픽 진출권이 걸려있는 대회
합계8강 (3회)4/5[10]21155641417


6.2. U-20 대표팀[편집]



6.2.1. FIFA U-20 월드컵[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파일:튀니지 국기.svg
1977년 튀니지
예선 탈락
파일:일본 국기.svg
1979년 일본
파일:호주 국기.svg
1981년 튀니지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3년 멕시코
파일:소련 국기.svg
1985년 소련
파일:칠레 국기.svg
1987년 칠레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9년 사우디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1991년 포르투갈
파일:호주 국기.svg
1993년 호주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5년 카타르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97년 말레이시아
16강16위34103213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99년 나이지리아
예선 탈락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01년 아르헨티나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3년 아랍에미리트
8강7위752124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5년 네덜란드
예선 탈락
파일:캐나다 국기.svg
2007년 캐나다
8강8위7521267
파일:이집트 국기.svg
2009년 이집트
예선 탈락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2011년 콜롬비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13년 터키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15년 뉴질랜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대한민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2019년 폴란드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23년 아르헨티나[11]
합계8강[12] 2회3/23[13]


6.2.2. AFC U-20 아시안컵[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59 말레이시아
독립 이전(영국의 일부)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0 말레이시아
파일:태국 국기.svg
1961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1962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3 말레이시아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1964 남베트남
파일:일본 국기.svg
1965 일본
파일:필리핀 국기.svg
1966 필리핀
파일:태국 국기.svg
1967 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8 대한민국
파일:태국 국기.svg
1969 태국
파일:필리핀 국기.svg
1970 필리핀
파일:일본 국기.svg
1971 일본
비회원국
파일:태국 국기.svg
1972 태국
파일:이란 국기.svg
1973 이란
파일:태국 국기.svg
1974 태국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75 쿠웨이트
불참
파일:태국 국기.svg
1976 태국
파일:이란 국기.svg
1977 이란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1978 방글라데시
파일:태국 국기.svg
1980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1982 태국
결선리그4위1301227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85 UAE
결선리그3위4311194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6 사우디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 카타르
4강4위5512225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0 인도네시아
예선 탈락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2 UAE
4강4위7521255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4 인도네시아
예선 탈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 대한민국
4강3위862221213
파일:태국 국기.svg
1998 태국
예선 탈락
파일:이란 국기.svg
2000 이란
조별리그10위04004612
파일:카타르 국기.svg
2002 카타르
8강7위4411236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04 말레이시아
예선 탈락
파일:인도 국기.svg
2006 인도
조별리그14위0300326
AFC U-19 챔피언십 대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8 사우디
우승 1위186600123
파일:중국 국기.svg
2010 중국
8강8위4411276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2 UAE
조별리그11위3303022
파일:미얀마 국기.svg
2014 미얀마
8강7위5412175
파일:바레인 국기.svg
2016 바레인
조별리그10위4311143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18 인도네시아
조별리그9위63201103
AFC U-20 아시안컵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3 우즈베키스탄
예선 탈락
합계우승 (1회)14/39[14]69561815238380


6.3. U-17 대표팀[편집]



6.3.1. FIFA U-17 월드컵[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파일:중국 국기.svg
1985 중국
예선 탈락
파일:캐나다 국기.svg
1987 캐나다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1989 스코틀랜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1 이탈리아
조별리그15위13012310
파일:일본 국기.svg
1993 일본
예선 탈락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1995 에콰도르
파일:이집트 국기.svg
1997 이집트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1999 뉴질랜드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2001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일:핀란드 국기.svg
2003 핀란드
파일:페루 국기.svg
2005 페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 대한민국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09 나이지리아
16강15위3410336
파일:멕시코 국기.svg
2011 멕시코
예선 탈락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3 UAE
조별리그22위03003210
파일:칠레 국기.svg
2007 캐나다
예선 탈락
파일:인도 국기.svg
2017 인도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9 브라질
기권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23 인도네시아
예선 탈락
파일:국기.svg
2025 FIFA U-17 월드컵
합계2라운드 16강(1회)3/19[15]410118826


6.3.2. AFC U-17 아시안컵[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AFC U-16 Championship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1985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1986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1988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1990
준우승2위105311103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1992
조별리그7위1301235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1994
조별리그7위54121109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1996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1998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2000
AFC U-17 Championship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2002
8강7위4411257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004
예선 탈락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2006
AFC U-16 Championship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2008
4강4위64202713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2010
8강6위5412155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012
예선 탈락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2014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16
8강6위7421175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2018
기권
AFC U-17 아시안컵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2023
예선 탈락
합계준우승 (1회)7/19[16]3828108104747
[1] 아랍어: muntakhab al'iimarat alearabiat almutahidat likurat alqadam[2] 아시아 예선 우승 진출은 대한민국이었으며, 90월드컵 ~ 94월드컵 아시아 예선은 전 지역 합동 리그 예선으로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당시 24강 본선 월드컵에 진출하였다.[3] 24강 조별리그[4] 사실 아디다스는 국제적으로 약팀이면 유니폼을 대충 만들기로 유명하다. 실제로 UAE 축구대표팀의 유니폼이 기본으로 배급받는 디자인에 협회로고만 갖다박은 수준으로 2014년 부터 2017년까지 그냥 이러한 똑같은 유니폼만 입었다. 이 때문에 유럽의 아르메니아 대표팀산마리노, 페로 제도 등 약소국 국가대표팀들이 2018년 시즌부터 아디다스에서 이탈리아 브랜드인 마크론으로 갈아탄 원인이 되었다.[5] 아시아 플레이오프를 기준으로 하면 2002년 한일 월드컵 예선 이후 20년만에 플레이오프 무대를 밟는 셈이다.[24개국] A B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6]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7] 4강전에서 탈락 후 3,4위전 최종 4위[12개팀]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8] 4강전에서 탈락 후 3,4위전 최종 3위[9] 이 대회부터 3-4위전이 폐지되어서 최종결과는 4강전이다.[16개팀] 본선 16강 조별리그[10] AfC U-23 아시안컵 본선 진출 비율[11] 2021년 대회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취소[12] 2003년 8강 7위, 2007년 8강 8위[13] FIFA U-20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14] AfC U-20 아시안컵 본선 진출 비율[15] FIFA U-17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16] AFC U-17 아시안컵 본선 진출 비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6:09:42에 나무위키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