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d-Season Invitational/역대 기록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Mid-Season Invitational

1. 개요
2. 역대 기록
2.1. 역대 우승팀 및 순위
2.1.1. 우승 횟수
2.2. 역대 입상자 및 MVP
2.3. 역대 결승전
2.4. 역대 펜타킬
2.5. 역대 리그 별 출전 팀
2.6. 역대 우승팀 대회 승률 순위
2.7. 역대 3회 이상 출전 선수
2.8. 역대 3회 이상 출전 팀
2.9. 역대 풀세트 다전제
2.10.1. 역대 킬 스코어 퍼펙트 경기
2.11. 경기 관련 기록
2.11.1. 역대 최장 다전제 순위
2.11.2. 역대 최단 다전제 순위
2.12. 역대 MSI 챔피언 밴픽 기록



1. 개요[편집]


Mid-Season Invitational의 역대 기록에 대한 문서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Mid-Season Invitational 문서의 r116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Mid-Season Invitational 문서의 r116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 역대 기록[편집]



2.1. 역대 우승팀 및 순위[편집]


''' ||




시즌우승준우승3, 4위[1]
2015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EDG_logo_no_background.png
[[Edward Gaming Hycan
(LPL)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 telecom T1(LCK)
파일:external/riot-web-cdn.s3-us-west-1.amazonaws.com/ahq__Unicorn_LOGO.png
ahq e-Sports Club(LMS)[2]
파일:Fnatic.png
Fnatic(LCS EU)
2016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 telecom T1(LCK)
파일:Counter_Logic_Gaminglogo_square.png
Counter Logic Gaming(LCS NA)
파일:external/s.yimg.com/8go1ob3zddf07hsmh4cgc418ntjimm5.png
Royal Never Give Up(LPL)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Flash_Wolves.png
Flash Wolves(LMS)
2017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 telecom T1(LCK)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G2_logo.png
G2 Esports(LCS EU)
파일:external/d210291ab9f7bdac17b0762c548995bc948b09a029e057e326383751676d7435.png
Team WE(LPL)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Flash_Wolves.png
Flash Wolves(LMS)
2018파일:RNG 로고 2017.svg
Royal Never Give Up(LPL)
파일:King_zone_DragonXlogo_square.png
KING-ZONE DragonX(LCK)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Flash_Wolves.png
Flash Wolves(LMS)
파일:Fnatic.png
Fnatic(LCS EU)
2019파일:G2 Esports 로고.svg
G2 Esports(LEC)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
Team Liquid(LCS)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Invictus Gaming(LPL)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 telecom T1(LCK)
2021파일:RNG 로고 2017.svg
Royal Never Give Up(LPL)
파일:DWG KIA 엠블럼.svg
DWG KIA(LCK)
파일:PSG Talon 로고(2020-2021).svg
PSG Talon(PCS)
파일:MAD_Lions_no_text.png
MAD Lions(LEC)
2022파일:RNG 로고 2017.svg
Royal Never Give Up(LPL)
파일:T1 LoL 로고.svg
T1(LCK)
파일:G2 Esports 로고.svg
G2 Esports(LEC)
파일:Evil Geniuses 로고.svg[[파일:Evil Geniuses 로고 white.svg
Evil Geniuses(LCS)
2023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JDG Intel Esports Club(LPL)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Bilibili Gaming Pingan Bank(LPL)
파일:T1 LoL 로고.svg
T1(LCK)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G (LCK)


지역우승준우승4강
파일:LPL_20202.png
(중국)
5회1회3팀
파일:LCK 로고.svg
(한국)
2회4회3팀
파일:LEC.png
(유럽)
1회1회4팀
파일:LCS_text.png
(북미)
0회2회1팀
파일:PCS Square.png
(태평양 연안)[3]
0회0회5팀


2.1.1. 우승 횟수[편집]


리그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Royal Never Give UpLPL302018, 2021, 2022-
T1LCK222016, 20172015, 2022
G2 EsportsLEC1120192017
Edward Gaming HycanLPL102015-
JDG Intel Esports ClubLPL102023-
NRG EsportsLCS01-2016
DRXLCK01-2018
Team Liquid HondaLCS01-2019
Dplus KIALCK01-2021
Bilibili Gaming Pingan BankLPL01-2023

2.2. 역대 입상자 및 MVP[편집]


||


||


파일:300px-LOL_MSI_logo.svg.pngMid-Season Invitational
역대 MVP
||
[ 펼치기 · 접기 ]

시즌단계이름국적ID포지션소속팀
2015통합밍카이파일:중국 국기.svg
Clearlove
파일:Jungle_icon_msi.png
JGL
파일:EDG_logo_no_background.png
2016결승이상혁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aker
파일:Mid_icon_msi.png
MID
파일:attachment/300px-SKT1.png
2017결승이재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olf
파일:Support_icon_msi.png
SPT
파일:attachment/300px-SKT1.png
2018결승젠쯔하오파일:중국 국기.svg
Uzi
파일:Bot_icon_msi.png
ADC
파일:RNG_Logo.png
2019결승라스무스 뷘터파일:덴마크 국기.svg
Caps
파일:Mid_icon_msi.png
MID
파일:G2_Esports_2019.png
2021결승천웨이파일:중국 국기.svg
GALA
파일:Bot_icon_msi.png
BOT
파일:RNG_Logo.png



첫 대회인 2015 시즌이 유일한 통합 MVP였고[4] 그 다음 시즌부터는 시리즈별 MVP 선정으로 바뀌었다.

시즌단계이름포지션소속 팀
20154강 1경기이상혁(Faker)MIDSK telecom T1
4강 2경기퉁양(Koro1)TOPEdward Gaming
통합밍카이(Clearlove)JGLEdward Gaming
20166강 풀리그 단계장형석(Looper)TOPRoyal Never Give Up
류시위(Mlxg)JGLRoyal Never Give Up
리위안하오(Xiaohu)MIDRoyal Never Give Up
트레버 헤이즈(Stixxay)ADCCounter Logic Gaming
조세형(Mata)SPTRoyal Never Give Up
4강 1경기이상혁(Faker)MIDSK telecom T1
4강 2경기재커리 블랙(aphromoo)SPTCounter Logic Gaming
결승이상혁(Faker)MIDSK telecom T1
20174강 1경기이상혁(Faker)MIDSK telecom T1
4강 2경기김강윤(Trick)JGLG2 Esports
결승이재완(Wolf)SPTSK telecom T1
20184강 1경기옌쥔쩌(Letme)TOPRoyal Never Give Up
4강 2경기곽보성(Bdd)MIDKING-ZONE DragonX
결승지안즈하오(Uzi)ADCRoyal Never Give Up
20194강 1경기조용인(CoreJJ)SPTTeam Liquid
4강 2경기마르틴 한센(Wunder)TOPG2 Esports
결승라스무스 뷘터(Caps)MIDG2 Esports
2021결승천웨이(GALA)BOTRoyal Never Give Up
2022결승옌양웨이(Wei)JGLRoyal Never Give Up
2023결승줘딩(knight)MIDJDG Intel Esports Club

2.3. 역대 결승전[편집]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svgMid-Season Invitational
역대 결승전
||
[ 펼치기 · 접기 ]




2.4. 역대 펜타킬[편집]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svgMid-Season Invitational
펜타킬 달성 일람
||
[ 펼치기 · 접기 ]

순서이름(ID)당시 소속팀포지션챔피언상대팀일자경기비고
1배준식
(Bang)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파일:Bot_icon.png
BOT
파일:lucian_portrait.png파일:qf4WA1R.png2015.05.082015 6강 풀리그 12경기영상
[ 정보 ]
세주아니 - 나르 - 시비르 - 카시오페아 - 노틸러스 순서로 킬
MSI 최초 겸 LCK 팀 최초의 펜타킬
2마르틴 라르손
(Rekkles)
파일:qf4WA1R.png파일:ezreal_portrait.png파일:RNG 로고 2017.svg2018.05.182018 4강 1경기 3세트영상
[ 정보 ]
라이즈 - 올라프 - 케이틀린 - 탐 켄치 - 오른 순서로 킬.
LEC 팀 최초의 펜타킬
3마르틴 한센
(Wunder)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Top_icon.png
TOP
파일:ryze_portrait.png파일:600px-Phong_Vũ_Buffalologo_square.png2019.05.142019 6강 풀리그 26경기영상
[ 정보 ]
모르가나 - 자르반 4세 - 리산드라 - 바루스 - 사일러스 순서로 킬
4라스무스 뷘터
(Caps)
파일:Mid_icon.png
MID
파일:akali_portrait.png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2019.05.182019 4강 2경기 2세트영상
[ 정보 ]
라칸 - 자야 - 사일러스 - 헤카림 - 바이 순서로 킬.
5장용준
(Ghost)
파일:DWG KIA 엠블럼.svg파일:Bot_icon.png
BOT
파일:tristana_portrait.png파일:RNG 로고 2017.svg2021.05.242021 결승 4세트영상
[ 정보 ]
레오나 - 우디르 - 카이사 - 그라가스 - 라이즈 순서로 킬
MSI 최초 결승전 펜타킬.
6천웨이
(GALA)
파일:RNG 로고 2017.svg
파일:kaisa_portrait.png파일:RED_KALUGA_logo_square.png2022.05.132022 그룹 스테이지 B조 10경기영상
[ 정보 ]
레오나 - 벡스 - 비에고 - 그웬 - 진 순서로 킬
LPL 팀 최초의 펜타킬
7트레버 헤이스
(Stixxay)
파일:골든 가디언스 로고.svg
파일:tristana_portrait.png파일:GAM Esports 로고.svg2023.05.032023 플레이-인 스테이지 A조 2경기 2세트영상
[ 정보 ]
오공 - 브라움 - 피오라 - 오리아나 - 제리 순서로 킬
LCS 팀 최초의 펜타킬



월즈와 마찬가지로 1년에 한 번만 열리는 MSI에서도 이 2015 시즌에 달성한 이후 2년 동안 단 한 번도 나오지 않았다가 2018 시즌에 레클레스가 1번, 2019 시즌에는 각각 원더, 캡스가 1번씩 달성했다. 2021 시즌에 고스트가 결승전 첫 펜타킬을 달성하였다. 2022 시즌 MSI에서는 RNG의 갈라가 펜타킬을 만들어냈으나 핑 불공정 이슈가 생겨 재경기가 확정되었고, MSI 역사상 최초의 무효 판정이 난 이후의 재경기에서 펜타킬을 기록했다.


2.5. 역대 리그 별 출전 팀[편집]


리그 별 출전 팀
리그20152016201720182019202120222023
LPLEDGRNGWERNGIGRNGJDG
BLG
LCKSKTKZSKTDKT1GEN
T1
LECFNCG2FNCG2MADG2MAD
G2
LECTCLBJKSUPFBIW편입
LCSTSMCLGTSMTLC9EGC9
GG
PCSLMSAHQFWPSG
LST불참GAMASCMG
LCODWBMRPGGORD합병
VCS불참EVSPVB불참SGBGAM
LJLRPGPGMDFMDFM
CBLOLREDKBMITZPNGREDLLL
LLACLSISGKLGISGINFAZER7
LLNLYNR7
LCLVPGMBVEGUOL불참폐지

2.6. 역대 우승팀 대회 승률 순위[편집]


순위우승 팀대회 승률출전 연도
1Royal Never Give Up20-4(83.33%)2022
2SK telecom T114-3(82.35%)2017
3JDG Intel Esports Club12-3(80.0%)2023
4Royal Never Give Up14-4(77.77%)2018
4Royal Never Give Up21-6(77.77%)2021
6Edward Gaming10-3(76.92%)2015
7SK telecom T112-5(70.58%)2016
8G2 Esports11-7(61.11%)2019

2.7. 역대 3회 이상 출전 선수[편집]


닉네임출전 횟수출전 연도
이상혁 (Faker)62015, 2016, 2017, 2019, 2022, 2023[2020]
루카 페르코비치 (Perkz)42016, 2017, 2019, 2021
황이탕 (Maple)2016, 2017, 2018, 2021
리위안하오 (Xiaohu)2016, 2018, 2021, 2022
라스무스 뷘터 (Caps)2018, 2019, 2022, 2023[2020]
세바스티안 니뇨 (Oddie)2017, 2018, 2019, 2023
문건영 (Steal)2019, 2021, 2022, 2023[2020]
스기우라 유타 (Yutapon)
배준식 (Bang)32015, 2016, 2017
이재완 (Wolf)
무스타파 괴크셀로을루 (Dumbledoge)
아슴 카라카야 (fabFabulous)2016, 2017, 2018
푸르칸 귕괴르 (Stomaged)
훙하오쉬안 (Karsa)2016, 2017, 2018
후숴제 (SwordArt)
제이크 푸체로 (Xmithie)2016, 2018, 2019
에드가 브라카몬테스 (Seiya)2017, 2018, 2019
루위훙 (Betty)
김동하 (Khan)2018, 2019, 2021
정언영 (Impact)2018, 2019, 2022
시썬밍 (Ming)2018, 2021, 2022
무라세 슌스케 (Evi)2019, 2021, 2022
한왕호 (Peanut)2017, 2018, 2023
예스페르 스베닝센 (Zven)2017, 2021, 2023[2020]

2.8. 역대 3회 이상 출전 팀[편집]


3회 이상 출전한 팀
팀명20152016201720182019202120222023비고
파일:T1 LoL 로고.svg
T1
준우승우승우승-4강-준우승3위6회
[최다][LCK]
파일:G2 Esports 로고.svg
G2
-6강준우승-우승-4강하위
2R
5회
[LEC]
파일:Flash_wolves_logo.png
FW
-4강4강4강6강[해체]4회
[LMS]
파일:RNG 로고 2017.svg
RNG
-4강-우승-우승우승-4회
[최다우승][LPL]
파일:DFM 로고 2023.svg[[파일:DFM 로고 2023 화이트.svg
DFM
----플인그룹그룹플인4회
[LJL]
파일:380px-Papara_SuperMassive_2022_lightmode.png
SUP
-6강플인플인---[편입]3회
[TCL]
파일:PSG Talon 아이콘 2022.svg[[파일:PSG Talon 아이콘 2022 화이트.svg
PSG
-----4강6강플인3회
[PCS]

2.9. 역대 풀세트 다전제[편집]


2015시즌부터 2022 시즌까지 5세트까지 3:2 경기가 펼쳐진 다전제, 일명 실버 스크랩스 경기 기록이다.

순서경기승리팀결과패배팀
12015 4강 1경기SK telecom T1○×○×○Fnatic
22015 결승전Edward Gaming×○○×○SK telecom T1
32017 플레이-인 2라운드 1경기Team SoloMid××○○○GIGABYTE Marines
42019 플레이-인 녹아웃 패자전Phong Vũ Buffalo○○××○Vega Squadron
52019 4강 2경기G2 Esports×○×○○SK telecom T1
62021 4강 2경기DWG KIA○××○○MAD Lions
72021 결승전Royal Never Give Up○×○×○DWG KIA
82022 결승전T1
92023 브래킷 2라운드 1경기T1○○××○Gen.G
102023 브래킷 상위권 결승JDG Intel Esports Club○××○○T1

2.10. 역대 퍼펙트 게임[편집]


순서달성 팀스코어상대 팀일자경기
경기 시간타워드래곤전령바론
1SK telecom T127:559:010:03:01:01:0Royal Never Give Up2016.05.132016 MSI 4강 A조 4경기


2.10.1. 역대 킬 스코어 퍼펙트 경기[편집]


퍼펙트 게임 조건인 드래곤, 전령, 바론, 타워를 상대팀에게 하나 이상 내줬어도 상대팀의 킬 스코어가 0인 게임을 말하며, 만약 드래곤, 전령, 바론, 타워를 모두 내주지 않았을 경우 킬 스코어 퍼펙트 경기와 동시에 자동으로 위에 있는 퍼펙트 게임이 성립된다.

순서일자경기블루 진영킬스코어레드 진영경기 시간퍼펙트 게임 달성여부
12016.05.132016 MSI 4강 A조 4경기⁠Royal Never Give Up0 : 9SK telecom T1⁠27:55퍼펙트 게임 1호
22017.04.292017 MSI Play-In 1R 6경기⁠SuperMassive7 : 0RED Canids⁠26:30X(타워)
32022.05.102022 MSI 그룹 스테이지 B조 2경기⁠RED Kalunga13 : 0PSG Talon⁠28:01X(타워, 드래곤)

2.11. 경기 관련 기록[편집]









2.11.1. 역대 최장 다전제 순위[편집]


2022 MSI 결승까지를 기준으로 역대 가장 늦게 끝난 MSI 다전제를 1등부터 5등까지 매기면 다음과 같다.

1. 2015 Mid-Season Invitational 4강 1경기: SK telecom T1 vs Fnatic의 181분 16초

2. 2015 Mid-Season Invitational 결승: SK telecom T1 vs Edward Gaming의 177분 33초

3. 2017 Mid-Season Invitational/플레이-인 스테이지 2라운드: Team SoloMid vs GIGABYTE Marines의 165분 00초

4. 2021 Mid-Season Invitational 결승: Royal Never Give Up vs DWG KIA의 169분 47초

5. 2019 Mid-Season Invitational 플레이-인 녹아웃 스테이지 패자전: Phong Vũ Buffalo vs Vega Squadron의 168분 50초


2.11.2. 역대 최단 다전제 순위[편집]


2022 MSI 결승까지를 기준으로 역대 가장 빨리 끝난 MSI 다전제를 1등부터 5등까지 매기면 다음과 같다.

1. 2019 Mid-Season Invitational 결승: G2 Esports vs Team Liquid의 70분 43초.

2. 2017 Mid-Season Invitational 플레이-인 스테이지 2라운드 2경기: Flash Wolves vs SuperMassive eSports의 81분 33초.

3. 2019 Mid-Season Invitational 플레이-인 녹아웃 스테이지 1경기: Team Liquid vs Phong Vũ Buffalo의 86분 49초.

4. 2017 Mid-Season Invitational 4강 1경기: SK telecom T1 vs Flash Wolves의 88분 8초.

5. 2018 Mid-Season Invitational 플레이-인 녹아웃 스테이지 2경기: Flash Wolves vs Gambit Esports의 96분 41초.

2.12. 역대 MSI 챔피언 밴픽 기록[편집]






상세 기록(펼치기 / 닫기)
최초 챔피언 17인 및 동시 출시 챔피언들의 순서는 나무위키 서술 순서에 따라 기록하였다.
2015 Mid-Season Invitational(2015.05.07) 시작 이전 출시 챔피언들
순서챔피언출시일첫 밴첫 픽
날짜사용자승패
1누누와 윌럼프2009.02.212015.05.082015.05.08
4경기
Bengi
2라이즈2009.02.212016.05.042016.05.04
2경기
Perkz
3마스터 이2009.02.21----
4모르가나2009.02.212015.05.072015.05.07
4경기
Dumbledoge
5사이온2009.02.212015.05.072015.05.08
5경기
Dyrus
6소라카2009.02.212016.05.042016.05.05
1경기
aphromoo
7시비르2009.02.212015.05.082015.05.07
1경기
WildTurtle
8알리스타2009.02.212015.05.082015.05.07
3경기
Meiko
9애니2009.02.212015.05.072015.05.08
1경기
YellOwStaR
10애쉬2009.02.212017.04.282017.04.28
1경기
YutoriMoyasi
11워윅2009.02.21----
12잭스2009.02.212018.05.032018.05.05
3경기
Intreso
13케일2009.02.212019.05.022019.05.02
5경기
Evi
14트리스타나2009.02.212018.05.032015.05.07
6경기
Deft
15트위스티드 페이트2009.02.212015.05.072015.05.08
3경기
PawN
16티모2009.02.21----
17피들스틱2009.02.212021.05.092021.05.06
3경기
Pabu
18신지드2009.04.182018.05.112018.05.18
4강 1경기 3세트
Bwipo
19질리언2009.04.182016.05.042016.05.07
3경기
Faker
20이블린2009.05.012022.05.112015.05.10
결승전 5세트
Clearlove
21트린다미어2009.05.012022.05.112022.05.12
2경기
BioPanther
22트위치2009.05.012016.05.042016.05.05
4경기
Wuxx
23카서스2009.06.122018.05.092015.05.07
3경기
westdoor
24아무무2009.06.262021.05.09---
25초가스2009.06.262018.05.132015.05.07
1경기
Bjergsen
26람머스2009.07.10-2018.05.06
5경기
Zantins
27애니비아2009.07.102018.05.032018.05.03
4경기
Plugo
28베이가2009.07.24-2022.05.20
3경기
Froggy
29카사딘2009.08.072017.05.122015.05.09
4강 2경기 2세트
PawN
30갱플랭크2009.08.192016.05.052016.05.04
4경기
Maple
31타릭2009.08.192019.05.022017.05.20
4강 2경기 1세트
mithy
32말파이트2009.09.022016.05.052021.05.14
4경기
Fudge
33문도 박사2009.09.02-2015.05.08
5경기
Koro1
34블리츠크랭크2009.09.022021.05.152017.04.29
1경기
SaNTaS
35잔나2009.09.022018.05.032015.05.07
2경기
Dumbledoge
36카타리나2009.09.19----
37코르키2009.09.192019.05.032015.05.09
4강 1경기 1세트
Bang
38나서스2009.10.01----
39샤코2009.10.10----
40하이머딩거2009.10.102019.05.022019.05.02
7경기
Gadget
41우디르2009.12.022021.05.062021.05.06
2경기
SolidSnake
42니달리2009.12.172016.05.042016.05.04
1경기
mlxg
43뽀삐2010.01.132016.05.072016.05.04
1경기
Looper
44그라가스2010.02.022015.05.072015.05.07
1경기
Reignover
45판테온2010.02.02----
46모데카이저2010.02.242022.05.112022.05.11
5경기
StarScreen
47이즈리얼2010.03.162016.05.062015.05.09
4강 1경기 1세트
Faker
482010.03.242017.04.282017.04.28
3경기
Evi
49케넨2010.04.082017.04.282017.04.29
2경기
Stark
50가렌2010.04.272017.05.122022.05.14
7경기
StarScreen
51아칼리2010.05.112019.05.012019.05.01
2경기
Buggax
52말자하2010.06.012017.04.282017.04.28
3경기
Dioud
53올라프2010.06.092017.05.202017.04.28
1경기
Chippys
54코그모2010.06.242017.04.282017.04.30
1경기
YutoriMoyasi
55신 짜오2010.07.132018.05.192018.05.14
2경기
Moojin
56블라디미르2010.07.272015.05.072015.05.07
4경기
Thaldrin
57갈리오2010.08.102017.04.282017.04.28
2경기
fabFabulous
58우르곳2010.08.242015.05.072015.05.07
1경기
Steeelback
59미스 포츈2010.09.082017.05.042017.05.04
2라운드 2경기 1세트
Dumbledoge
60소나2010.09.212017.05.012016.05.14
4강 2경기 3세트
aphromoo
61스웨인2010.10.052018.05.032018.05.03
2경기
G4
62럭스2010.10.19-2019.05.10
6경기
Palette
63르블랑2010.11.022015.05.072015.05.07
1경기
Febiven
64이렐리아2010.11.162018.05.042015.05.07
3경기
Koro1
65트런들2010.12.012016.05.042016.05.04
2경기
Kikis
66카시오페아2010.12.142015.05.072015.05.07
1경기
Huni
67케이틀린2011.01.042016.05.052016.05.04
1경기
Stixxay
68레넥톤2011.01.182017.04.282017.04.29
5경기
Pride
69카르마2011.02.012017.04.282016.05.04
3경기
Wolf
70마오카이2011.02.162015.05.072015.05.07
4경기
Dyrus
71자르반 4세2011.03.012017.04.302015.05.07
3경기
Mountain
72녹턴2011.03.152019.05.012018.05.03
6경기
Diamondprox
73리 신2011.04.012017.04.282016.05.04
6경기
mlxg
74브랜드2011.04.122017.04.282017.04.28
3경기
Dara
75럼블2011.04.262015.05.072015.05.07
2경기
MaRin
76베인2011.05.10-2016.05.08
4경기
Achuu
77오리아나2011.06.012017.04.282015.05.10
결승전 1세트
PawN
78요릭2011.06.222019.05.122021.05.16
1경기
BioPanther
79레오나2011.07.082021.05.072015.05.09
4강 1경기 3세트
YellOwStaR
80오공2011.07.262021.05.062021.05.07
5경기
Armut
81스카너2011.08.092018.05.032018.05.03
5경기
Tierwulf
82탈론2011.08.242017.04.302017.04.28
5경기
Phantiks
83리븐2011.09.14-2022.05.22
5경기
BrokenBlade
84제라스2011.10.05-2021.05.23
결승전 2세트
ShowMaker
85그레이브즈2011.10.192016.05.062016.05.04
1경기
Xmithie
86쉬바나2011.11.01----
87피즈2011.11.152015.05.082015.05.08
2경기
westdoor
88볼리베어2011.11.292021.05.152021.05.07
1경기
Pabu
89아리2011.12.132015.05.072015.05.09
1경기 2세트
Faker
90빅토르2011.12.292021.05.062017.04.30
5경기
Naru
91세주아니2012.01.172015.05.072015.05.07
2경기
Theokoles
92직스2012.02.012017.04.292015.05.07
4경기
Bjergsen
93노틸러스2012.02.142015.05.092015.05.07
1경기
YellOwStaR
94피오라2012.02.292017.05.102017.04.30
4경기
Robo
95룰루2012.03.202015.05.072015.05.07
2경기
Energy
96헤카림2012.04.182015.05.072015.05.07
3경기
Koro1
97바루스2012.05.082017.04.282016.05.14
4강 2경기 3세트
NL
98다리우스2012.05.232017.04.282017.04.28
3경기
Robo
99드레이븐2012.06.052019.05.022018.05.06
5경기
Titan
100제이스2012.07.072017.05.102017.04.29
2경기
Pride
101자이라2012.07.242017.04.282017.04.29
2경기
Newbie
102다이애나2012.08.072021.05.062015.05.08
3경기
Energy
103렝가2012.08.212017.04.292017.05.04
2라운드 2경기 3세트
Karsa
104신드라2012.09.132017.04.282017.04.28
1경기
tockers
105카직스2012.09.272017.04.292017.04.29
3경기
Kreox
106엘리스2012.10.262017.04.282016.05.06
4경기
Karsa
107제드2012.11.132015.05.072015.05.08
1경기
Febiven
108나미2012.12.072017.04.292016.05.15
결승전 1세트
Wolf
109바이2012.12.192022.05.222019.05.07
3라운드 4세트
AHaHaCiK
110쓰레쉬2013.01.232016.05.042015.05.07
1경기
Lustboy
1112013.03.01----
112자크2013.03.292018.05.052018.05.03
3경기
Diamondprox
113리산드라2013.04.302016.05.042016.05.04
4경기
Huhi
114아트록스2013.06.132019.05.072019.05.02
4경기
Mimic
115루시안2013.08.222016.05.062015.05.07
2경기
Bang
116징크스2013.10.102015.05.102015.05.08
3경기
Deft
117야스오2013.12.132018.05.132018.05.06
2경기
Triple
118벨코즈2014.02.27-2018.05.20
결승전 4세트
Bdd
119브라움2014.05.122016.05.042016.05.04
1경기
aphromoo
120나르2014.08.142015.05.082015.05.07
1경기
Dyrus
121아지르2014.09.162015.05.072015.05.07
2경기
Faker
122칼리스타2014.11.202015.05.072015.05.07
3경기
AN
123렉사이2014.12.112015.05.072015.05.07
1경기
Santorin
124바드2015.03.122016.05.042015.05.08
5경기
Lustboy
2015 Mid-Season Invitational(2015.05.07) 시작 이후 출시 챔피언들
순서챔피언출시일첫 밴첫 픽
날짜사용자승패
125에코2015.05.282016.05.052016.05.04
2경기
MMD
126탐 켄치2015.07.092016.05.062016.05.04
6경기
Mata
127킨드레드2015.10.142016.05.042016.05.04
2경기
Trick
128일라오이2015.11.24-2018.05.12
4경기
Khan
1292016.02.012018.05.052016.05.05
2경기
Wuxx
130아우렐리온 솔2016.03.242016.05.082016.05.04
1경기
Huhi
131탈리야2016.05.182017.04.282017.04.28
2경기
Ramune
132클레드2016.08.102017.04.292017.05.04
2라운드 2경기 1세트
MMD
133아이번2016.10.062017.04.282017.04.28
1경기
nappon
134카밀2016.12.072017.05.042017.04.29
1경기
Jirall
135자야2017.04.192018.05.062018.05.03
1경기
Lodik
136라칸2017.04.192018.05.032018.05.03
1경기
Edward
137케인2017.07.12-2019.05.12
2경기
Ning
138오른2017.08.232018.05.032018.05.03
2경기
Jirall
139조이2017.11.212018.05.042018.05.04
2경기
Ramune
140카이사2018.03.072018.05.032018.05.03
3경기
Lodik
141파이크2018.05.312019.05.102019.05.02
6경기
SaNTaS
142니코2018.12.052019.05.022019.05.05
4경기
Gadget
143사일러스2019.01.252019.05.012019.05.01
1경기
Zeros
144유미2019.05.152022.05.102022.05.22
5경기
Targamas
145키아나2019.06.282021.05.142021.05.09
6경기
Chazz
146세나2019.11.102021.05.062021.05.15
2경기
Ghost
147아펠리오스2019.12.112022.05.122021.05.08
1경기
Carzzy
148세트2020.01.142021.05.072021.05.06
5경기
StarScreen
149릴리아2020.07.232021.05.062021.05.07
3경기
SolidSnake
150요네2020.08.062021.05.172021.05.08
6경기
Serin
151사미라2020.09.212021.05.102021.05.06
5경기
HolyPhoenix
152세라핀2020.10.30----
1532020.12.102021.05.072021.05.06
2경기
Kazu
154비에고2021.01.212022.05.102022.05.10
3경기
Jankos
155그웬2021.04.162022.05.112022.05.10
1경기
Zeus
156아크샨2021.07.23----
157벡스2021.09.242022.05.102022.05.11
2경기
Kisee
158제리2022.01.212022.05.112022.05.10
4경기
Flakked
159레나타 글라스크2022.02.182022.05.102022.05.10
2경기
Harp
160벨베스2022.06.10----
161닐라2022.07.14----
162크산테2022.11.042023.05.042023.05.02
B조 1경기 1세트
Azhi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1 02:44:55에 나무위키 Mid-Season Invitational/역대 기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따로 3, 4위 결정전을 시행하지 않는다. 2023 시즌부터는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특성으로 3, 4위를 구분할 수 있다.[2] 당시 LMS 소속이었으나 2020 시즌부터 PCS 소속으로 바뀌었다.[3] LMS, LST 시절 기록 포함[4] 다만 결승전에서의 활약을 기점으로 통합 MVP로 선정되었기에 다른 의미로는 결승 MVP라고 봐도 크게 이상하진 않다.[2020] A B C D 2020년은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한 대회 취소 처리.[최다] 최다 출전팀.[LCK] LCK 최다 출전팀.[LEC] LEC 최다 출전팀.[해체] 2020년에 해체했다.[LMS] LMS 최다 출전팀. 현 PCS. 아이러니하게도 PCS가 통합 출범할 때 플래시 울브즈는 해체했기에 PCS 최다 출전팀이라는 표현은 쓰기 애매해졌다.[최다우승] MSI 최다 우승팀[LPL] LPL 최다 출전팀.[LJL] LJL 최다 출전팀.[편입] EMEA 산하로 편입되어 MSI 진출이 불가해졌다.[TCL] TCL 최다 출전팀.[PCS] PCS 최다 출전팀.[5] MSI뿐만 아니라 국제리그 최단시간에도 해당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