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BA G 리그

덤프버전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의 농구 리그
[ 펼치기 · 접기 ]
구분명칭
프로1군파일:NBA 로고.svg NBA
동부애틀랜틱 / 센트럴 / 사우스이스트
서부노스웨스트 / 퍼시픽 / 사우스웨스트
폐지미드웨스트 (1970~2004) / 센트럴 (1949~1950) / 이스턴 (1946~1970) / 웨스턴 (1946~1970)
2군파일:NBA G League 로고.svg NBA G 리그
동부애틀랜틱 / 센트럴 / 사우스이스트
서부미드웨스트 / 사우스웨스트 / 퍼시픽
서머 리그라스베이거스 / 유타 / 캘리포니아 / 올랜도 (2002~2017)
관련 문서올스타전NBA 올스타전 / NBA G 리그 올스타전 / NBA G 리그 인터내셔널 챌린지 / ABA 올스타전 (1968~1976)
결승전NBA 파이널 / NBA G 리그 파이널 / ABA 파이널 (1968~1976)
수상목록NBA 수상목록 / NBA G 리그 수상 목록 / ABA 수상목록 (1967~1976)
NBA MVP / All NBA Team / NBA All Defensive Team
정주년 기념NBA 25주년 팀 / NBA 35주년 팀 / NBA 역사상 위대한 50인 선수 / NBA 75주년 팀
기타행사NBA 드래프트 / 글로벌 게임 / 아프리카 게임 / 네이스미스 컵 / 맥도날드 챔피언십 (1987~99)
여자 프로파일:WNBA 로고.svg WNBA
컨퍼런스동부/서부
올스타전WNBA 올스타전
수상 목록WNBA 수상목록
결승전WNBA 파이널
3x3 리그BIG 3
독립 리그IBA / NBA D리그 / PBL
대학NCAA Division I / NCAA Division II / NCAA Division III
고교Division I / Division II / Division III
유소년리틀 농구
폐지ABA (1967~1976) / BAA (1946~1949) / NBL (1937~1949) / JBA (2018)
* BAA는 NBL을 1949년에 합병한 오늘날 NBA의 전신



파일:NBA G League 로고.svg
명칭영어: NBA G League
한글: NBA G 리그
종목농구
설립2001년(23주년)
미국 뉴욕주 뉴욕시
리그 창설2001-02 시즌
참가 국가파일:미국 국기.svg (28개팀) | 파일:캐나다 국기.svg (1개팀) | 파일:멕시코 국기.svg (1개팀)
사무국미국 뉴욕주 뉴욕시
총재샤리프 압둘라힘 (2019~ )
스폰서게토레이
상위리그전미 농구 협회
최근 우승팀델라웨어 블루코츠 (2022-23 시즌)
최다 우승팀리오그란데밸리 바이퍼스 (4회)
링크파일:NBA G League 로고.svg 공식 홈페이지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역대 총재
3. 참가 구단
3.1. 센트럴
3.1.1. 윈디시티 불스
3.1.2. 아이오와 울브스
3.1.3. 포트웨인 매드앤츠
3.1.4. 클리블랜드 차지
3.1.5. 위스콘신 허드
3.1.6. 수폴스 스카이포스
3.1.7. 모터시티 크루즈
3.1.8. 그랜드래피드 골드
3.2. 이스트
3.2.1. 메인 셀틱스
3.2.2. 캐피털시티 고고
3.2.3. 칼리지파크 스카이호크스
3.2.4. 롱아일랜드 네츠
3.2.5. 랩터스 905
3.2.6. 델라웨어 블루코츠
3.2.7. 그린즈브로 스웜
3.2.8. 웨스트체스터 닉스
3.3. 사우스
3.3.1. 리오그란데밸리 바이퍼스
3.3.2. 카피타네스 데 시우다드 데 메히코
3.3.3. 레이크랜드 매직
3.3.4. 텍사스 레전즈
3.3.5. 버밍햄 스쿼드론
3.3.6. 오스틴 스퍼스
3.3.7. 멤피스 허슬
3.4. 웨스트
3.4.1. 온타리오 클리퍼스
3.4.2. 사우스베이 레이커스
3.4.3. 오클라호마시티 블루
3.4.4. 스탁턴 킹스
3.4.5. 산타크루즈 워리어스
3.4.6. 솔트레이크시티 스타스
3.4.7. NBA G 리그 이그나이트
4. 해체 구단
4.1. 아칸소 림락커스
4.2. 로어노크 대즐
4.3. 페이엇빌 패트리어츠
4.4. 그린빌 그루브
4.5. 모빌 레벨스
4.6. 플로리다 플레임
4.7. 포트워스 플라이어스
5. 오너십
6. NBA G 리그 쇼케이스
10. 역대 아시아인 G 리그 선수
11. 여담
12.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정식 명칭은 National Basketball Association Development League이나 사무국에서 공식적으로 부르는 약칭은 NBA D-League[1]이다. 게토레이와 새로 스폰서 계약을 하면서 이름이 NBA G League로 바뀌었다. G는 물론 게토레이의 앞글자 G.

2001년에 창립한 NBA가 직접 관리하는 하부 리그다. 굳이 쉽게 설명하자면 NBA의 마이너 리그 격. 초기에는 로어노크, 페이어트빌 패트리어츠, 플로리다 플레임, 헌츠빌 플라이트, 콜럼버스 리버드래곤스, 애슈빌 앨터튜드 등 6개팀으로 출발했으나 현재는 이 팀은 다 없어지고 16개팀으로 운영된다. 국내팬들에게는 방성윤이 뛰었던 곳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리그 초창기에는 NBA 모 구단들이 직접 운영했으나 2005년부터 구단 매각 등으로 아웃소싱을 시작했다. 또한 2007년부터는 올스타전을 도입해 눈길을 끌었고 2015년 텍사스 레전드가 사상 첫 여성감독인 낸시 리버먼을 임명하며 화제를 불러 모으기도 했다.

이 리그의 목적은 선수들에게는 NBA 무대에 더 한발짝 나아갈수 있는 발판을, 팀에게는 82경기나 되는 빡빡한 일정 동안 각종 변수(부상 등등)에 대비한 원활한 선수 수급에 있다.

이 리그에서 뛰는 선수들은 대개 드래프트에서 낙방하거나 트레이닝 캠프 로스터, 프리시즌 로스터까지 진입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정작 정규시즌 시작 전에 방출된 선수들, 그리고 과거에는 NBA리거였지만 방출된 선수들이 뛴다. 하부 리그라고 전혀 무시할 수 없는 것이 이 선수들은 모두 NCAA 디비전1 대학에서 날아다녔던 선수들이 대부분. 그래서 리그 수준은 다른 미국의 하부리그와는 비교 대상이 될 수 없다.(CBA는 예외) 그래서인지 G 리그는 NBA 스카우터들 뿐만 아니라 각국의 농구팀 관계자들도 좋은 용병을 찾기 위해서 이 리그를 찾는다.

겉으로는 이렇지만... 현실은 마이너 리그로 치면 싱글A라고 보면 된다. 더블A도 아닌 이유는 하술하듯 G 리그를 뛰다가 주목을 받아 콜업을 받고 NBA에서 인상적이게 뛴 선수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1, 2년도 아니고 20년을 운영했는데 제대로 커리어를 남긴 선수가 라몬 세션스 한 명인 걸로 말 다 했다. NBA에서 대학 4년 다 뛰고 오는 선수가 줄어든 것도 웬만한 재능 있는 선수는 그 전에 NCAA는 날아다니는 수준을 넘어서 다 씹어먹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NBA에 맞는가 안 맞는가가 갈리는 상황에서 NCAA 4년 다 채우고 온 선수나 드래프트를 그 나이대에 낙방한 선수에게 눈독을 들일 구단은 거의 없다.[2][3]

다만 G 리그로 변경되고 각 구단당 하부 G 리그 구단 편성, 대학 리그 측에서 반발할 정도의 유망주 선수 G 리그 프로그램 등 변화가 시도되고 있어 향후에는 어떻게 될 지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매년 12월경에 전체 드래프트를 실시해 각 팀들은 선수들을 뽑는다. 총 8라운드까지 진행되며 라운드마다 16명의 선수를 뽑는다. 선수들 면모를 보면 미국에서 알아주는 농구 명문 대학 선수들도 있다.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에서 뛴 바 있는 카를로스 포웰이 2009년에 드래프트 1라운드 1순위로 지명되기도 했다.

파일:external/content.sportslogos.net/2205__nba_d-league_all-star_game-primary-2016.png
2016년 올스타전 엠블럼

이 리그의 올스타전은 NBA 올스타 주간에 열리기 때문에 여기에 뽑힌 선수들은 NBA 스카우터들의 눈도장을 받을수 있다. 2007년부터 올스타전이 실시되었다.

NBA팀에 콜업을 받는 선수들은 10일 계약으로 시작해서 잘되면 잔여 시즌 계약으로 팀에 남을수 있다. 하지만 잘 안되면 다시 내려가서 다른팀의 콜업을 기다려야 하는 처지. G 리그에서 NBA에 콜업해서 현재까지 꾸준히 남아 있는 선수는 많은 편은 아니지만, 가장 성공한 사례는 최근에 샬럿 밥캣츠와 계약한 라몬 세션스와, 사우스베이 레이커스에 있다가 2018년 4월에 콜업을 받은 안드레 잉그램이 있다.

NBA의 하부리그 답게 NBA팀과 연계하는데 구단 숫자가 적었던 시절에는 한 팀에 여러팀이 연개하는 경우도 존재했고 이로인해 2014-15 시즌의 포트웨인 매드앤츠의 경우는 13팀이 연개하기도 했다. 2016년도를 기점으로 NBA 구단들이 새로운 G 리그 팀들을 창단하면서 1팀 당 1팀 씩 제휴하는 것이 정착되었다.

리그 구성은 동부 컨퍼런스, 서부 컨퍼런스로 나뉘며, 동부 컨퍼런스는 애틀랜틱 디비전, 센트럴 디비전, 서부 컨퍼런스는 사우스 웨스트 디비전, 웨스트 디비전로 분류된다.

2015-16 시즌 현재 19개 팀이 참가하고 있으며 각각 5개팀(서부 컨퍼런스의 웨스트 디비전은 4개팀)으로 나누어 디비전을 치른다.

2016-17 시즌부터 3개팀(애틀랜틱 디비전 2개팀, 센트럴 디비전 1개팀)이 리그에 참가할 예정이다.

NBA 사무국은 향후 5년 내에 팀을 30팀으로 늘려 NBA 팀 당 하나의 G 리그 팀을 보유하게 할 예정이다. 시카고 불스와 브루클린 네츠가 자체 소유 G 리그팀을 창단했다. 올랜도 매직과 로스엔젤레스 클리퍼스, 밀워키 벅스, 애틀랜타 호크스, 뉴올리언스 펠리컨스도 G 리그팀을 창단했다.

2020-21 시즌은 코로나-19로 인해 팀당 경기수가 18경기로 축소 되었으며, 플로리다에 위치한 ESPN Wide World of Sports Complex 스포츠 복합 시설에서 모든 경기가 열리게되면서 디비전을 나눠 치루지 않았다.

현재 G 리그팀은 28팀이며 아직 G 리그팀을 보유하지 않은 NBA 구단은 피닉스 선즈,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2팀이다.


2. 역대 총재[편집]


대수이름임기비고
1댄 리드2001~2014초대 총재
2말콤 터너2014~2019
3샤리프 압둘라힘2019 ~


3. 참가 구단[편집]



3.1. 센트럴[편집]



3.1.1. 윈디시티 불스[편집]


파일:Chicago_NBA_D-League_Bulls.png
윈디시티 불스
Windy City Bulls
창단2016년(8주년)
연고지일리노이 주 호프먼 이스테이트
구단명 변천윈디시티 불스 (2016~ )
홈구장나우 아레나
소유주시카고 불스
감독조쉬 크레이배시
NBA 제휴시카고 불스
리그 우승-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


3.1.2. 아이오와 울브스[편집]


파일:Iowa_Wolves_logo.svg.png
아이오와 울브스
Iowa wolves
창단2007년(17주년)
연고지아이오와 주 디모인
구단명 변천아이오와 에너지 (2007~2017)
아이오와 울브스 (2017~ )
홈구장웰스 파고 아레나
소유주미네소타 팀버울브스
감독샘 뉴먼-벡
NBA 제휴미네소타 팀버울브스
리그 우승1회 (2011)
컨퍼런스 우승1회 (2011)
디비전 우승4회 (2009, 2010, 2011, 201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LeagueIowaLogo.png
아이오와 에너지 시절 로고.


3.1.3. 포트웨인 매드앤츠[편집]


파일:Fort Wayne Mad Ants.png
포트웨인 매드앤츠
Fort Wayne Mad Ants
창단2007년(17주년)
연고지인디애나 주 포트웨인
구단명 변천포트웨인 매드앤츠 (2007~ )
홈구장앨런 카운티 워 메모리얼 콜리시엄
소유주인디애나 페이서스
감독스티브 갠지
NBA 제휴인디애나 페이서스
리그 우승1회 (2014)
컨퍼런스 우승2회 (2014, 2015)
디비전 우승2회 (2014, 2018)

상당히 많은 구단과 제휴를 한 팀으로 2014-15 시즌에는 13팀과 제휴를 하기도 했다.

2017-18 시즌부터 제휴팀인 인디애나 페이서스의 색상에 맞춰서 로고를 변경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ort_Wayne_Mad_Ants_logo.svg.png
이전 로고.

NBA 2K19의 마이커리어 모드에 등장했다.


3.1.4. 클리블랜드 차지[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anton_Charge_logo.png
클리블랜드 차지
Cleveland Charge
창단2001년(23주년)
연고지오하이오 주 캔턴
구단명 변천헌츠빌 플라이트 (2001~2005)
앨버키키 썬더버즈 (2005~2010)
뉴멕시코 썬더버즈 (2010~2011)
캔턴 차지 (2011~2021)
클리블랜드 차지(2021~ )
홈구장캔턴 메모리얼 시빅 센터
소유주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감독네이트 라인킹
NBA 제휴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리그 우승1회 (2006)
컨퍼런스 우승1회 (2013)
디비전 우승-


3.1.5. 위스콘신 허드[편집]


파일:Wisconsin_Herd_logo.png
위스콘신 허드
Wisconsin Herd
창단2017년(7주년)
연고지위스콘신 주 오시코시
구단명 변천위스콘신 허드 (2017~ )
홈구장메노미네 네이션 아레나
소유주밀워키 벅스
감독체이스 뷰퍼드
NBA 제휴밀워키 벅스
리그 우승-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


3.1.6. 수폴스 스카이포스[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Sioux_Falls_Skyforce_logo.svg.png
수폴스 스카이포스
Sioux Falls Skyforce
창단1989년(35주년)
G 리그 가입2006년(18주년)
연고지사우스다코타 주 수폴스
구단명 변천수폴스 스카이포스 (1989~ )
홈구장샌퍼드 펜타곤
소유주마이애미 히트
감독에릭 글래스
NBA 제휴마이애미 히트
리그 우승CBA : 2회 (1996, 2005)
NBA G 리그 : 1회 (2016)
컨퍼런스 우승NBA G 리그 : 1회 (2016)
디비전 우승CBA : 3회 (1996, 1997, 1999)
NBA G 리그 : 1회 (2015)

솔트레이크시티 스타즈(前 아이다호 스탬피드) 처럼 CBA 소속(2006년 CBA에서 넘어온 3팀 가운데 한 팀인 수폴스 스카이포스, 아이다호 스탬피드(現 솔트레이크시티 스타즈), 다코타 위저즈(現 산타크루즈 워리어스)이다.)이었다가 2006년에 가입하여 활동 중이다.


3.1.7. 모터시티 크루즈[편집]


모터시티 크루즈
Motor City Cruise
창단2003년(21주년)
G 리그 가입2006년(18주년)
연고지미시간 주 디트로이트
구단명 변천롱비치 잼 (2003~2005)
베이커즈필드 잼 (2006~2016)
노던애리조나 선즈 (2016~2021)
모터시티 크루즈 (2021~ )
홈구장웨인 스테이트 아레나
소유주디트로이트 피스톤즈
감독공석
NBA 제휴디트로이트 피스톤즈
리그 우승ABA : 1회 (2004)
컨퍼런스 우승NBA G 리그 : 1회 (2013)
디비전 우승-

2021-22 시즌부터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로 이전하면 NBA 제휴팀도 디트로이트 피스톤즈가 되고홈구장은 웨인 스테이트 아레나를 사용할 예정이다.

2003년에 ABA라는 리그에서 롱비치 잼(Long Beach Jam)라는 팀명으로 창단되었고 2006년부터 베이커즈필드로 연고지를 이동하면서 G 리그에 가입했다.

2005-06 시즌에는 G 리그 가입 신청이 중단되어서, 2006-07 시즌부터 리그에 참가했다.


3.1.8. 그랜드래피드 골드[편집]


그랜드래피드 골드
Grand Rapids Gold
창단2006년(18주년)
연고지미시간 주 워커
구단명 변천애너하임 아스널 (2006~2009)
스프링필드 아머 (2009~2014)
그랜드래피드 드라이브 (2014~2021)
그랜드래피드 골드 (2021~ )
홈구장델타플렉스 아레나
소유주SSJ 그룹
감독공석
NBA 제휴덴버 너기츠
리그 우승-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1회 (2009)

2006년부터 2007년까지 하승진이 활약했던 팀의 후신이며, 당시 팀명은 애너하임 아스널이었다.

2020-21 시즌까지 디트로이트 피스톤즈와 제휴한다.

2021-22 시즌부터는 덴버 너기츠와 제휴를 하게되었다.

2021년 4월 팀명을 그랜드래피드 골드로 변경하였다.


3.2. 이스트[편집]



3.2.1. 메인 셀틱스[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Maine_Red_Claws_Logo.svg.png
메인 셀틱스
Maine Celtics
창단2009년(15주년)
연고지메인 주 포틀랜드
구단명 변천메인 레드클로스 (2009~2021)
메인 셀틱스 (2021~ )
홈구장포틀랜드 엑스퍼지션 빌딩
소유주보스턴 셀틱스
감독대런 에르만
NBA 제휴보스턴 셀틱스
리그 우승-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3회 (2015, 2016, 2017)


3.2.2. 캐피털시티 고고[편집]


파일:Capital City Go-Go.png
캐피털시티 고고
Capital City Go-Go
창단2018년(6주년)
연고지워싱턴 D.C.
구단명 변천캐피털시티 고고 (2018~ )
홈구장세인트 엘리자베트 이스트 엔터테인먼트 앤 스포츠 아레나[4]
소유주워싱턴 위저즈
감독라이언 리치먼
NBA 제휴워싱턴 위저즈
리그 우승-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


3.2.3. 칼리지파크 스카이호크스[편집]


파일:College Park Skyhawks.png
칼리지파크 스카이호크스
College Park Skyhawks
창단2017년(7주년)
연고지조지아 주 칼리지파크
구단명 변천이리 베이호크스 (2017~2019)
칼리지파크 스카이호크스 (2019~ )
홈구장게이트웨이 센터 아레나[5]
소유주애틀랜타 호크스
감독노엘 길레스피
NBA 제휴애틀랜타 호크스
리그 우승-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1회 (2018)

현대모비스 피버스의 선수였던 이대성이 2017 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20순위로 지명을 받아 하승진, 방성윤에 이어 3번째로 G 리그 소속팀에서 활약했다. 다만 이대성의 경우는 아주 잠깐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적응에 실패하고 시즌 도중 방출 당했기 때문. 이후 다시 현대모비스로 복귀했다.

구단 역사가 복잡한데 2017년까지 있던 이리 베이호크스 구단은 이후 레이크랜드로 옮겨 레이크랜드 매직이 되었는데 애틀랜타 호크스에서 2017년부터 새로 G 리그 구단을 창단해 이름을 똑같이 이리 베이호크스로 해서 창단했다. 그리고 2019-20 시즌부터는 조지아 주의 칼리지파크로 연고이전을 한 후 팀명을 칼리지파크 스카이호크스(College Park Skyhawks)로 변경하여 활동하게 된다.


3.2.4. 롱아일랜드 네츠[편집]


파일:LongIslandNets.png
롱아일랜드 네츠
Long Island Nets
창단2016년(8주년)
연고지뉴욕 주 유니언데일
구단명 변천롱아일랜드 네츠 (2016~ )
홈구장나소 베테랑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소유주브루클린 네츠
감독숀 파인
NBA 제휴브루클린 네츠
리그 우승-
컨퍼런스 우승1회 (2019)
디비전 우승1회 (2019)
영구결번32

과거 뉴저지 네츠의 컬러링을 재현했다.


3.2.5. 랩터스 905[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Raptors905.png
랩터스 905
Raptors 905
창단2015년(9주년)
연고지캐나다 온타리오 주 미시소거
구단명 변천랩터스 905 (2015~ )
홈구장허시 센터
스코샤뱅크 아레나 (제2 홈구장)[6]
소유주토론토 랩터스
감독자마 말라렐라
NBA 제휴토론토 랩터스
리그 우승1회 (2017)
컨퍼런스 우승2회 (2017, 2018)
디비전 우승1회 (2017)
NBA G 리그에 유일한 캐나다를 연고로 하는 팀이자, 카피타네스 데 시우다드 데 메히코와 함께 미국 지역이 연고지가 아닌 둘 뿐인 팀이다.


3.2.6. 델라웨어 블루코츠[편집]


파일:Delaware_Blue_Coats_logo.png
델라웨어 블루코츠
Delaware Blue Coats
창단2007년(17주년)
연고지델라웨어 주 윌밍턴
구단명 변천유타 플래시 (2007~2011)
델라웨어 에이티세브너스 (2013~2018)
델라웨어 블루코츠 (2018~ )
홈구장세븐티식서스 필드하우스
소유주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감독코너 존슨
NBA 제휴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리그 우승1회(2023)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1회 (2009)


3.2.7. 그린즈브로 스웜[편집]


파일:GreensboroSwarm.png
그린즈브로 스웜
Greensboro Swarm
창단2016년(8주년)
연고지노스캐롤라이나 주 그린즈브로
구단명 변천그린즈브로 스웜 (2016~ )
홈구장그린스브로 콜리시엄 파빌리온
소유주샬럿 호네츠
감독조 울프
NBA 제휴샬럿 호네츠
리그 우승-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


3.2.8. 웨스트체스터 닉스[편집]


파일:Westchester_Knicks.png
웨스트체스터 닉스
Westchester Knicks
창단2014년(10주년)
연고지뉴욕 주 화이트플레인스
구단명 변천웨스트체스터 닉스 (2014~ )
홈구장웨스트체스터 카운티 센터
소유주뉴욕 닉스
감독데릭 올스턴
NBA 제휴뉴욕 닉스
리그 우승-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1회 (2018)


3.3. 사우스[편집]



3.3.1. 리오그란데밸리 바이퍼스[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Rio_Grande_Valley_Vipers_Logo.svg.png
리오그란데밸리 바이퍼스
Rio Grande Valley Vipers
창단2007년(17주년)
연고지텍사스 주 히달고
구단명 변천리오그란데밸리 바이퍼스 (2007~ )
홈구장버트 오그던 아레나
소유주RGV 배스킷볼
감독마흐무드 압델파타
NBA 제휴휴스턴 로키츠
리그 우승3회 (2010, 2013, 2019)
컨퍼런스 우승5회 (2010, 2011, 2013, 2017, 2019)
디비전 우승3회 (2010, 2013, 2019)


3.3.2. 카피타네스 데 시우다드 데 메히코[편집]


카피타네스 데 시우다드 데 메히코
Capitanes de Ciudad de México
창단2017년(7주년)
G 리그 가입2020년(4주년)
연고지멕시코 멕시코 시티
구단명 변천카피타네스 데 시우다드 데 메히코 (2017~ )
홈구장힘나시오 올림피코 후안 데 라 바레라
소유주모이세스 코시오
감독라몬 디아즈 산체스
NBA 제휴없음
리그 우승-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

2020-21 시즌에 참가하였으며, NBA G 리그 최초로 멕시코를 연고하는 팀이자 랩터스 905에 이어서 두번째로 미국지역 외 팀이 된다.


3.3.3. 레이크랜드 매직[편집]


파일:Lakeland_Magic_logo.svg.png
레이크랜드 매직
Lakeland Magic
창단2008년(16주년)
연고지플로리다 주 레이크랜드
구단명 변천이리 베이호크스 (2008~2017)
레이크랜드 매직 (2017~ )
홈구장RP 펀딩 센터
소유주올랜도 매직
감독스탠 히스
NBA 제휴올랜도 매직
리그 우승1회 (2021)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1회 (2019)

2017년 이리 베이호크스가 레이크랜드로 연고이전해 올랜도 매직의 산하구단이 되면서 레이크랜드 매직으로 팀명을 바꾸었는데 직후 애틀랜타 호크스에서 신규 G 리그 구단을 만들면서 이름을 똑같이 이리 베이호크스로 지었다.

레이크랜드는 올랜도의 옆에 위치한 위성도시다.

2021년 G 리그가 코로나로 인해 게임수가 팀당 18경기로 축소되었고 리그에서 6위를 차지하게된다. 1위에서 6위팀까지 치뤄진 플레이오프전에 참가하여 단판 결승전에서 델라웨어 블루코츠를 이기면서 처음으로 G 리그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3.3.4. 텍사스 레전즈[편집]


파일:TexasLegends.png
텍사스 레전즈
Texas Legends
창단2006년(18주년)
연고지텍사스 주 프리스코
구단명 변천콜로라도 포티너스 (2006~2010)
텍사스 레전즈 (2010~ )
홈구장코메리카 센터
소유주텍사스 D-리그 매니지먼트 LLC
감독조지 갈라노폴로스
NBA 제휴댈러스 매버릭스
리그 우승1회 (2009)
컨퍼런스 우승1회 (2009)
디비전 우승1회 (2009)


3.3.5. 버밍햄 스쿼드론[편집]


버밍햄 스쿼드론
Birmingham Squadron
창단2019년(5주년)
연고지앨라배마 주 버밍햄
구단명 변천이리 베이호크스 (2019~2022)
버밍햄 스쿼드론 (2022~ )
홈구장레거시 아레나
소유주뉴올리언스 펠리컨스
감독TJ 세인트
NBA 제휴뉴올리언스 펠리컨스
리그 우승-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


3.3.6. 오스틴 스퍼스[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ustinSpurslogo.png
오스틴 스퍼스
Austin Spurs
창단2001년(23주년)
연고지텍사스 주 오스틴
구단명 변천콜럼버스 리버드래곤즈 (2001~2005)
오스틴 토로스 (2005~2014)
오스틴 스퍼스 (2015~ )
홈구장H-E-B 센터 앳 시더 파크
소유주샌안토니오 스퍼스
감독블락 에이언
NBA 제휴샌안토니오 스퍼스
리그 우승2회 (2012, 2018)
컨퍼런스 우승4회 (2005, 2008, 2012, 2018)
디비전 우승5회 (2005, 2008, 2012, 2015, 2018)


3.3.7. 멤피스 허슬[편집]


파일:Memphis_Hustle_logo.svg.png
멤피스 허슬
Memphis Hustle
창단2017년(7주년)
연고지미시시피 주 사우스헤븐
구단명 변천멤피스 허슬 (2017~ )
홈구장랜더스 센터
소유주멤피스 그리즐리스
감독제이슨 마치
NBA 제휴멤피스 그리즐리스
리그 우승-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


3.4. 웨스트[편집]



3.4.1. 온타리오 클리퍼스[편집]


파일:Agua_Caliente_Clippers_logo.png
온타리오 클리퍼스
Ontario Clippers
창단2017년(7주년)
연고지캘리포니아 주 온타리오
구단명 변천아구아 칼리엔테 클리퍼스 (2017~2022)
온타리오 클리퍼스(2022~ )
홈구장토요타 아레나
소유주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감독브라이언 아담스
NBA 제휴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리그 우승-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

NBA G 리그 최초로 지역명이 아닌 스폰서(리조트회사인 아구아 칼리엔테) 명칭을 사용했던 팀이다.


3.4.2. 사우스베이 레이커스[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outh_Bay_Lakers_logo.png
사우스베이 레이커스
South Bay Lakers
창단2006년(18주년)
연고지캘리포니아 주 엘세군도
구단명 변천로스앤젤레스 디펜더스 (2006~2010, 2011~2017)
사우스베이 레이커스 (2017~ )
홈구장UCLA 헬스 트레이닝 센터
소유주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감독코비 칼
NBA 제휴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리그 우승-
컨퍼런스 우승2회 (2012, 2016)
디비전 우승2회 (2012, 2014)

로스앤젤레스 디펜더스(Los Angeles D-Fenders)라는 팀 이름을 2017-18 시즌부터 바꾸었다.

2010-11 시즌에는 잠시 리그에 참석하지 않았다.


3.4.3. 오클라호마시티 블루[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Oklahoma_City_Blue.png
오클라호마시티 블루
Oklahoma City Blue
창단2001년(23주년)
연고지오클라호마 주 오클라호마 시티
구단명 변천애슈빌 앨터튜드 (2001~2005)
털사 식스티식서스 (2005~2014)
오클라호마시티 블루 (2014~ )
홈구장콕스 컨벤션 센터[7]
소유주오클라호마시티 썬더
감독그랜트 기브스
NBA 제휴오클라호마시티 썬더
리그 우승2회 (2004, 2005)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4회 (2004, 2005, 2018, 2019)


3.4.4. 스탁턴 킹스[편집]


파일:400px-Stockton_Kings_logo.svg.png
스탁턴 킹스
Stockton Kings
창단2008년(16주년)
연고지캘리포니아 주 스탁턴
구단명 변천리노 빅혼스 (2008~2018)
스탁턴 킹스 (2018~ )
홈구장스탁턴 아레나
소유주새크라멘토 킹스
감독타이론 엘리스
NBA 제휴새크라멘토 킹스
리그 우승-
컨퍼런스 우승3회 (2011, 2016, 2018)
디비전 우승-


3.4.5. 산타크루즈 워리어스[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anta_Cruz_Warriors.png
산타크루즈 워리어스
Santa Cruz Warriors
창단1995년(29주년)
G 리그 가입2006년(18주년)
연고지캘리포니아 주 산타크루즈
구단명 변천다코타 위저즈 (1995~2012)
산타크루즈 워리어스 (2012~ )
홈구장카이저 퍼머넌트 아레나
소유주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감독크리스 윔즈
NBA 제휴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리그 우승IBL : 1회 (2001)
CBA : 2회 (2002, 2004)
NBA G 리그 : 2회 (2007, 2015)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IBL : 2회 (2000, 2001)
CBA : 4회 (2002, 2003, 2004, 2005)
NBA G 리그 : 4회 (2007, 2008, 2015, 2019)

1995년에 CBA라는 리그에서 타코타 위저즈(Dakota Wizards)라는 팀명으로 창단되었고, (2006년 CBA에서 넘어온 3팀 가운데 한 팀인 수폴스 스카이포스, 아이다호 스탬피드(現 솔트레이크시티 스타즈), 다코타 위저즈(現 산타크루즈 워리어스)이다.) 2006년부터 G 리그에 가입했다. 그 이후 2012년 캘리포니아 주 산타크루즈로 연고지를 이전했다.


3.4.6. 솔트레이크시티 스타스[편집]


파일:Salt_Lake_City_Stars_logo.svg.png
솔트레이크시티 스타스
Salt Lake City Stars
창단1997년(27주년)
G 리그 가입2006년(18주년)
연고지유타 주 솔트레이크 시티
구단명 변천아이다호 스탬피드 (1997~2016)
솔트레이크시티 스타스 (2016~ )
홈구장라이프타임 액티버티스 센터
비빈트 스마트홈 아레나 (제2 홈구장)[8]
소유주유타 재즈
감독마틴 실러
NBA 제휴유타 재즈
리그 우승NBA G 리그 : 1회 (2008)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CBA : 1회 (2001)
NBA G 리그 : 2회 (2007, 2008)

역사가 꽤 오래된 구단으로 1997년에 CBA라는 리그에서 아이다호 스탬피드(Idaho Stampede)라는 팀명으로 창단되었고, (2006년 CBA에서 넘어온 3팀 가운데 한 팀인 수폴스 스카이포스, 아이다호 스탬피드(現 솔트레이크시티 스타즈), 다코타 위저즈(現 산타크루즈 워리어스)이다.) 2006년부터 G 리그에 가입했다. 그 이후 2016년 유타주로 연고이전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IdahoStampede.png
아이다호 스탬피드 시절 로고


3.4.7. NBA G 리그 이그나이트[편집]


NBA G 리그 이그나이트
NBA G League Ignite
창단2020년(4주년)
G 리그 가입2020년(4주년)
연고지캘리포니아 주 월넛크릭
구단명 변천NBA G 리그 이그나이트 (2020~ )
홈구장얼티미트 필드하우스
소유주
감독브라이언 쇼
NBA 제휴없음 [9]
리그 우승-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

2020-21 시즌부터 참가하는 구단. NBA G 리그에 소속된 발전형 농구팀이다. 캘리포니아 주 월넛크릭에 연고를 둔 이 팀은 G 리그의 전통적인 팀 구조를 벗어난 시범 경기에 출전하며 엘리트 NBA 유망주들을 위한 리그 1년 개발 프로그램의 일환이며, 그 명단은 유망주들과 베테랑 선수들로 구성되고 있다.

NBA 2K22에서도 마이커리어 모드에서 G리그 루트를 선택하면 이 팀에서 뛰게된다.

4. 해체 구단[편집]


  • 연고지를 이전한 구단은 해당 구단의 역사 항목을 참조.
  • 편의상 리그 참가를 그만두거나 오너십이 보류 중인 구단만 기재.


4.1. 아칸소 림락커스[편집]


아칸소 림락커스
Arkansas RimRockers
창단2004년(20주년)
G 리그 가입2005년(19주년)
해체2007년(17주년)
연고지아칸소 주 리틀록
구단명 변천아칸소 림락커스 (2006~2007)
홈구장올텔 아레나
소유주래리 크레인
마지막 감독앤디 스톡긴
NBA 제휴애틀랜타 호크스
멤피스 그리즐리스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토론토 랩터스
마이애미 히트
리그 우승ABA : 1회 (2005)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ABA : 1회 (2005)

2004년에 ABA라는 리그에서 아칸소 림락커스(Arkansas RimRockers)라는 팀명으로 창단되었고 2005년부터 G 리그에 가입했으면 2007년까지 활약하다가 해체되었다.

4.2. 로어노크 대즐[편집]


로어노크 대즐
Roanoke Dazzle
창단2001년(23주년)
해체2006년(18주년)
연고지버지니아 주 로어노크
구단명 변천로어노크 대즐 (2001~2006)
홈구장로어노크 시빅 센터
소유주NBA
마지막 감독켄트 데이비슨
NBA 제휴뉴저지 네츠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워싱턴 위저즈
리그 우승-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

방성윤이 2004년 4라운드 2번으로 지명돼 경기를 뛰었었다.


4.3. 페이엇빌 패트리어츠[편집]


페이엇빌 패트리어츠
Fayetteville Patriots
창단2001년(23주년)
해체2006년(18주년)
연고지노스캐롤라이나 주 페이엇빌
구단명 변천페이엇빌 패트리어츠 (2001~2006)
홈구장컴벌랜드 카운티 크라운 콜리시엄
소유주NBA
마지막 감독마이크 브라운
NBA 제휴샬럿 밥캣츠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뉴욕 닉스
리그 우승-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1회 (2003)


4.4. 그린빌 그루브[편집]


그린빌 그루브
Greenville Groove
창단2001년(23주년)
해체2003년(21주년)
연고지사우스캐롤라이나 주 그린빌
구단명 변천그린빌 그루브 (2001~2003)
홈구장BI-LO 센터
소유주칼 쉐어
마지막 감독트리 롤린스
NBA 제휴없음
리그 우승1회 (2002)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


4.5. 모빌 레벨스[편집]


모빌 레벨스
Mobile Revelers
창단2001년(23주년)
해체2003년(21주년)
연고지앨라배마 주 모빌
구단명 변천모빌 레벨스 (2001~2003)
홈구장모빌 시빅 센터
소유주MVP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마지막 감독샘 빈센트
NBA 제휴없음
리그 우승1회 (2003)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


4.6. 플로리다 플레임[편집]


플로리다 플레임
Florida Flame
창단2001년(23주년)
해체2007년(17주년)
연고지플로리다 주 포트마이어스
구단명 변천노스 찰스턴 로우게이터스 (2001~2003)
찰스턴 로우게이터스 (2003~2004)
플로리다 플레임 (2004~2006)
홈구장저메인 아레나
소유주플레임 오너십 그룹
마지막 감독제프 말론
NBA 제휴보스턴 셀틱스
마이애미 히트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올랜도 매직
리그 우승-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


4.7. 포트워스 플라이어스[편집]


포트워스 플라이어스
Fort Worth Flyers
창단2005년(19주년)
해체2007년(17주년)
연고지텍사스 주 포트워스
구단명 변천포트워스 플라이어스 (2005~2007)
홈구장포트워스 컨벤션 센터
소유주데이비드 칸 사우스웨스트 배스킷볼 LLC
마지막 감독시드니 몬크리프
NBA 제휴샬럿 밥캣츠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댈러스 매버릭스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리그 우승-
컨퍼런스 우승-
디비전 우승1회 (2006)

5. 오너십[편집]


  • NBA 구단이 오너인 팀
델라웨어 블루코츠, 롱아일랜드 네츠, 메인 레드클로스, 랩터스 905, 웨스트체스터 닉스, 캔턴 차지, 포트웨인 매드앤츠, 윈디시티 불스, 위스콘신 허드, 캐피털시티 고고, 칼리지파크 스카이호크스, 이리 베이호크스, 그린즈브로 스웜, 레이클랜드 매직, 아이오와 울브스, 멤피스 허슬, 오클라호마시티 블루, 수폴스 스카이포스, 오스틴 스퍼스, 솔트레이크시티 스타스, 온타리오 클리퍼스, 노던애리조나 선즈, 산타크루즈 워리어스, 사우스베이 레이커스, 스탁턴 킹스

  • NBA 구단이 오너가 아닌 팀
그랜드래피즈 드라이브, 리오그란데밸리 바이퍼스, 텍사스 레전즈, 카피타네스 데 시우다드 데 메히코, G 리그 셀렉트팀

6. NBA G 리그 쇼케이스[편집]


NBA G 리그 쇼케이스(NBA G League Showcase)는 2005년부터 현재까지 스카우팅 이벤트로 4일동안 한곳(하루에 2경기씩)에서 모든 경기가 열린다. NBA 구단 단장과 스카우트들이 G 리그 선수들을 볼 수 있는 기회있다.
2019년부터는 토너먼트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연도장소개최지 G 리그 팀
2005년조지아 주 콜럼버스콜럼버스 리버드래건즈
2006년노스캐롤라이나 주 페이엣빌페이엣빌 패트리어츠
2007년사우스다코타 주 수폴스수폴스 스카이포스
2008년아이다호 주 보이시아이다호 스탬피드
2009년유타 주 오렘유타 플래시
2010년아이다호 주 보이시아이다호 스탬피드
2011년텍사스 주 사우스 파드리 아일랜드-
2012년네바다 주 리노리노 빅혼스
2013년
2014년
2015년캘리포니아 주 산타크루즈산타크루즈 워리어스
2016년
2017년온타리오 주 미시소거랩터스 905
2018년
네바다 주 패러다이스-
2019년

7. NBA G 리그 올스타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NBA G 리그 올스타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최초의 NBA G 리그 올스타는 2007년 2월 17일 만달레이 리조트 앤드 카지노에서 개최되었다. 매년 올스타 게임 개최지는 NBA 올스타 게임 개최한 곳과 동일한 곳에서 한다.

8. NBA G 리그 인터내셔널 챌린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NBA G 리그 인터내셔널 챌린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NBA G 리그 인터내셔널 챌린지는 NBA G 리그의 올스타 선정이 돋보이는 국제 프로농구 대회다. NBA G 리그 소속 선수들이 클럽, 리그 올스타 선정, 세계 각국 대표팀과 경기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9. NBA G 리그 파이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NBA G 리그 파이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NBA G 리그 파이널은 NBA G 리그의 챔피언십 시리즈로 2002년부터 2003년까지 3전 2승제였다가, 2004년부터 2007년까지 단판 승부제로 변경되었다가 2008년부터 현재까지 다시 3전 2승제로 변경되었다.


10. 역대 아시아인 G 리그 선수[편집]


순서이름국적클럽기간
1방성윤대한민국로어노크 대즐
애너하임 아스널[10]
리노 빅혼스
(2004-2005)
(2007)
(2008)
2멍크 바터중국헌츠빌 플라이트(2004-2005)
3타부세 유타일본앨버커키 썬더버즈
베이커즈필드 잼
애너하임 아스널
(2005-2006)
(2006-2007)
(2007-2008)
4하승진대한민국애너하임 아스널(2006-2007)
5쑨웨중국로스앤젤레스 디펜더스(2008-2009)
6하메드 하다디이란다코타 위저즈(2008)
7저우치중국리오그란데밸리 바이퍼스(2017-2018)
8이대성대한민국이리 베이호크스(2017)
9와타나베 유타일본멤피스 허슬(2018-2020)
10카이 소토필리핀NBA G 리그 이그나이트(2020~ )
11이현중대한민국산타크루즈 워리어스(2023~ )


11. 여담[편집]


  • NBA로고가 제리 웨스트를 모델로 그린 것이 유명하기에 NBA의 하부리그인 NBA G 리그 로고도 누군가를 모델로 한거 아니냐는 말들이 많았고 특유의 덩크 자세가 마이클 조던을 닮았다는 카더라가 돌기도 하는데, NBA 공식 입장은 "특정 선수의 실루엣을 그린게 아니다.#"라는 것.


  • G 리그에서 선수생활을 했던 로드 벤슨의 인터뷰 내용 중 G 리그는 이동 시에는 1군과 마찬가지로 비행기를 탄다고 한다. 이동시 버스 타고 다니는 마이너 리그와는 다른 부분.[11][12]

파일:external/dleaguedigest.com/DSC_0144.jpg
2014-15 시즌 우승팀인 산타크루즈 워리어스의 우승 반지







12. 관련 문서[편집]



[1] 줄여서 NBDL.[2] MLB는 많은 선수들이 메이저로 직행하기보다는 잠깐이라도 마이너 생활을 하지만, NBA는 G리그를 '경험삼아' 겪는 선수들이 거의 없다. NBA급 유망주가 G리그를 경험하는 경우는 너무 어린 나이에 데뷔해서 완전한 원석이거나 부상이 잦아서 실전 경험이 필요한 경우 정도이고, 그 외에는 애초에 실력과 잠재력이 모자라 낙방한 선수들이 대부분이다. NBA는 00드래프트처럼 폭망 케이스가 아닌 이상 신인들이 대부분 팀전력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 NBA가 2001년 전까지 팀들과 연계되는 공식 마이너 리그조차 없었던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NBA는 야구와 같은 체계적인 팜 시스템이 정착되어 있지 않고 종목 특성상 그것이 야구만큼 중요성이 크지도 않다.(CBA나 ABA는 편의상 마이너리그로 불리기도 했지만 엄밀히 말하면 NBA와 별개로 운영되는 리그들이었다.[3] 농구라는 스포츠 자체가 참여 인원이 5명에 불과하고, 두 개 포지션을 볼 수 있는 선수들이 늘어나면서 하부 리그 선수가 기회를 받기 매우 어렵다. 거기다 미국 4대 스포츠 중 가장 세계화가 되어 있는 종목인 만큼 유럽, 남미의 스타 선수들이 도전장을 내밀기도 하고, 역으로 NBA급 기량에 다소 미치지 못해도 한국, 중국, 일본 농구 리그에 외국인 선수로 가서 활약 좀 하면 연봉 50만 달러는 어렵지 않게 찍을 수 있고, 하다 못해 유럽으로 가도 그럭저럭 먹고 살 만한 10~20만 달러의 연봉은 받을 수 있다. 요약하면 미국의 유망주뿐 아니라 남미, 유럽 스타 선수들까지 오다 보니 NBA로 올라갈 기회를 받는 것부터가 터무니없이 어렵고, NBA행만 일단 포기하면 유럽, 아시아로 가면 먹고 살 연봉은 나온다. 이러니 야구로 치면 AAA에서 주전을 차지해야 할 선수들이 한두 명 빼고 다 나가버린 꼴이 된다.[4] WNBA 워싱턴 미스틱스와 홈구장 공유.[5] 애틀랜타 드림와 홈 구장 공유.[6] NBA 토론토 랩터스NHL 토론토 메이플리프스가 사용 중인 경기장.[7] 털사 식스티식서스 시절 <엑스포 스퀘어 파빌리온>,<스피릿뱅크 이벤트 센터>,<털사 컨벤션 센터>를 홈구장으로 사용했다.[8] NBA 유타 재즈가 사용중인 경기장.[9] 엑시비션팀이라서 NBA 제휴팀이 없음.[10] 출장기록 없음[11] 마이너 리그 트리플A 선수들은 장거리 이동시 일반 여객기이긴 해도 비행기로 이동한다. 물론 이동할 때는 버스보다는 편하겠지만 비행기 대기시간과 가끔 발생하는 비행기 지연까지 발생하면 버스로 걸리는 시간과 큰 차이가 없다고 한다.[12] 다만 하승진의 증언으로는 거리가 괜찮으면 미니버스를 이용하고 차로 이동할 수 없는 거리일 경우에는 비행기를 탄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1 08:44:46에 나무위키 NBA G 리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