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카슈미르 지진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1세기 사망자 수순 지진
{{{#ffffff

[ 펼치기 · 접기 ]
순위
사망자 수 (명)
명칭
진앙
규모
비고
1
227,898
2004년 남아시아 대지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해역
M 9.1
#
2
160,000
2010년 아이티 지진
아이티 포르토프랭스 지역
M 7.0
#
3
87,587
쓰촨성 대지진
중국 쓰촨성 지역
M 8.0
#
4
87,351
2005년 카슈미르 지진
파키스탄 카슈미르 지역
M 7.6
#
5
59,259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튀르키예 카흐라만마라쉬 지역
M 7.8
#
6
34,000
2003년 밤 지진
이란 지역
M 6.6
#
7
20,085
2001년 구자라트 지진
인도 구자라트 지역
M 7.7
#
8
19,759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일본 산리쿠 해역
M 9.1
#
9
8,964
2015년 네팔 대지진
네팔 구르카 지역
M 7.8
#
10
5,782
2006년 남아시아 대지진
인도네시아 자바섬
M 6.4
#
11
4,340
2018년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지진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섬 지역
M 7.5
#
12
2,946
2023년 모로코 마라케시사피 지진
모로코 마라케시-사피 지역
M 6.8
#
13
2,698
2010년 위수 지진
중국 위수 지역
M 6.9
#
14
2,530[집계중]
2023년 10월 아프가니스탄 지진
아프가니스탄 헤라트 북서부 지역
M 6.3
#
15
2,266
2003년 부메르데스 지진
알제리 부메르데스
M 6.8
#
16
2,248
2021년 아이티 지진
아이티 니프 지역
M 7.2
#
17
2,000
2002년 힌두 쿠쉬 지진
아프가니스탄
M 6.1
#
18
1,313
2005년 수마트라 지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인근
M 8.6
#




지진

[ 펼치기 · 접기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국외지진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발생 시각 (UTC+10:00)
규모
진원
최대 진도
2024년 02월 14일
21시 40분 21초
M 6.0
미크로네시아 콜로니아 북북동쪽 172km 해역


쓰나미 여부
쓰나미 미발령
예상 최고높이: m
실측 최고높이: m


2005년 카슈미르 대지진
2005 Kashmir earthquake
,کشمیر زلزلہ، 2005ء,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발생
2005년 10월 8일 8시 50분 39초(UTC+5)
진앙

파키스탄
display: none; display: 파키스탄"
행정구
]]
무자파라바드 북동쪽 19km 지역
진원의 깊이
15km[USGS]
규모
Mw 7.6[USGS]
최대 진도
XI
여진
3회
Mw 5.9
Mw 5.8
Mw 6.4
[USGS]
인명피해
사망
87,351명
부상
75,266명
이재민
2,800,000명 발생
재산피해
불명
1. 개요
2. 피해
3. 둘러보기
4. 반응



1. 개요[편집]


2005년 10월 8일, 파키스탄 카슈미르 지역에서 발생한 대지진으로 남아시아에서 발생한 최악의 지진 중 하나다.


2. 피해[편집]


진앙에 근처에 위치한 무자파라바드에서는 수많은 건물, 병원, 학교들이 무너지면서 피해가 가장 컸다. 수도인 이슬라마바드에서도 아파트가 무너져 70명의 거주민들이 사망했다. 특히, 학교가 무너지면서 등교를 한 학생들이 많이 사망했고 어린이 사망자가 19,000명으로 집계되었다. 카이베르파크툰크와의 한 학교에서는 건물이 무너지면서 350명의 학생들이 사망했다.

사건 당시 날씨가 좋지 않고 산사태로 인해 도로가 파괴되어 구조에도 차질이 생겼다.

인도에서도 피해가 발생했고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1,350명이 사망하고 6,266명이 부상을 입었다. 뉴델리펀자브에서도 진동이 느껴졌다고 전해졌다.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총 4명이 사망했다. 잘랄라바드에서는 건물 벽이 무너지면서 소녀 1명이 사망했다. 카불에서도 진동이 느껴졌다는 보고가 있으나 피해는 없었다.

3. 둘러보기[편집]


문서가 존재하는 2000년대 지진
[[틀:지진/20세기|

20세기
]]
>
2000년대
[[틀:지진/2010년|
>
2010
]]

지진명
최대진도

2001. 3. 24.

M6.7
2001년 히로시마 게이요 지진

6-


2003. 5. 26.

M7.1
2003년 미야기 해역 지진

6-


2003. 7. 26.

M6.4
2003년 미야기 내륙 지진

6+


2003. 9. 26.

M8.3
2003년 도카치 근해 지진

6-


2003. 12. 26.

M6.6
2003년 밤 지진



2004. 5. 29.

M5.3
2004년 울진 해역 지진

V


2004. 9. 5.

M7.1
2004년 기이반도 동남해역 지진

5-

M7.4

2004. 10. 23.

M6.8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7


2004. 11. 29.

M7.1
2004년 쿠시로 근해 지진

5+


2004. 12. 14.

M6.1
2004년 홋카이도 루모이 남부 지진

5+


2004. 12. 26.

M9.3
2004년 남아시아 대지진



2005. 3. 20.

M7.0
후쿠오카 현 서부 해역 지진

6-


2005. 3. 28.

M8.6
2005년 수마트라 지진



2005. 7. 23.

M6.0
2005년 치바현 북서부 지진

5+


2005. 8. 16.

M7.2
2005년 미야기 해역 지진

6-


2005. 10. 8.

M7.6
2005년 카슈미르 지진

XI


2006. 5. 27.

M6.4
2006년 남아시아 대지진



2006. 10. 9.

M4.2
2006년 길주 인공지진

-


2006. 11. 14.

M8.3
2006년 쿠릴 열도 지진

IV


2007. 1. 13.

M8.2
2007년 쿠릴 열도 지진

IV


2007. 1. 20.

M5.0
2007년 평창 지진

V


2007. 3. 25.

M6.9
2007년 이시카와 해역 지진

6+


2007. 7. 16.

M6.9
2007년 니가타현 주에쓰 앞바다 지진

6+


2008. 5. 8.

M7.0
2008년 이바라키 해역 지진

5-


2008. 5. 12.

M8.0
쓰촨성 대지진

XI


2008. 5. 29.

M6.3
아이슬란드 지진



2008. 6. 14.

M7.2
이와테 미야기 내륙 지진

6+


2008. 7. 24.

M6.8
2008년 이와테 연안북부 지진

6-


2009. 5. 25.

M5.3
2009년 길주 인공지진

-


2009. 8. 11.

M6.5
2009년 시즈오카 해역 지진

6-


2009. 9. 29.

M8.1
2009년 사모아 지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4px; box-shadow: 0 3px 0 #ff0000;"

}}}}}} ||




4. 반응[편집]


네덜란드는 100만 유로의 원조를 제공하고 구조대 66명을 바그 지역에 보냈다.

네팔은 50,000 달러를 제공했다.

노르웨이는 3800만 달러의 원조를 제공했다.

뉴질랜드마리안 홉스 외교부 장관이 뉴질랜드 원조개발청을 통해 750,000 뉴질랜드 달러를 지원할 것이라 전했다. 이후 10월 14일에 750,000 뉴질랜드 달러가 더해져 총 150만 뉴질랜드 달러가 지원금으로 보내졌다.

대한민국은 500,000 달러와 함께 이불, 음식, 의약품을 보냈다. 10월 10일, 외교부에서 300만 달러의 추가 지원금을 제공할 것을 발표했다.

덴마크 정부는 세 번에 걸쳐 총 5000만 덴마크 크로네를 지원했다.

독일은 16명으로 이뤄진 THW 구조대를 보냈다.

러시아는 구조대와 구조물품을 보냈고 야전 병원도 지원했다.

미국은 1억 5600만 달러의 원조를 제공했고 미군을 통해 구조 지원을 했다. 11월 3일, CH-47 5대, UH-60 블랙 호크 3대, C-17 1대를 파견해 이불, 텐트, 기타 구호물품을 전달했다. 또한, 뉴저지의 매과이어 기지에서 근무하는 23명으로 구성된 군수지원단을 파견했다. 미국 국제개발처는 4180만 달러를 제공하면서 구호 물품을 전달했다. 11월 9일, 제너럴 일렉트릭, UPS, 화이자, 제록스, 씨티그룹의 기업 총수들이 부시 대통령과 백악관에서 회담을 통해 남아시아 지진 지원 펀드를 만들었다.

벨기에는 벨기에 연방 정부에서 250,000 유로를, 플란데런 정부에서 125,000 유로를 지원했다.

사우디아라비아압둘라 왕은 1억 1300만 달러의 긴급 지원금을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스웨덴은 1억 9600만 스웨덴 크로나를 보냈다.

스위스는 이슬라마바드에 구조대를 보내고 100만 스위스 프랑을 지원했다. 스위스의 NGO는 750,000 스위스 프랑을 추가로 보냈다.

싱가포르리셴룽 총리는 위로를 전했고 싱가포르 민방부대에서 44명의 구조팀을 파견했다.

아랍에미리트는 1억 달러의 긴급 지원금을 제공했다. 두바이경찰도 구조 지원을 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아프가니스탄은 구조 헬기를 보냈고 4톤 가량의 약품과 군의관들을 지원했다. 또한, 500,000달러 상당의 구호 물자를 보낼 것을 약속했다.

에스토니아는 의료팀 18명을 파키스탄의 바타그람에 파견했다.

영국에서는 잭 스트로 영국 외무·영연방 및 개발부 장관이 60명의 재난대응팀과 50명의 의료진을 파견할 것이라고 발표했고 힐러리 벤 국제개발부 장관은 1000만 파키스탄 루피 상당의 원조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11월 중순까지 총 1억 파운드 스털링을 지원했다.

인도만모한 싱 총리는 구조 지원을 제안했고 25톤 가량의 구호 물자를 보냈다. Il-76에 82톤의 약품과 이불 15,000채 등을 실어 보냈다. 또한, 250만 달러 상당의 원조를 제공했다.

인도네시아C-130에 의약품을 싣고 의료팀과 함께 구조 활동에 도움을 주었다.

일본은 구조팀과 장비 제공을 했고 200만 달러의 긴급원조를 약속했다.

중국은 620만 달러 규모의 긴급원조를 제공했다. 10월 10일, 100만 달러 상당의 현금을 전달했다.

체코이르지 파로우베크 총리는 2500만 체코 코루나를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카타르 외교부 대변인은 카타르 정부가 인도주의적 지원을 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밝혔다.

캄보디아훈 센 총리는 60,000 달러를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캐나다는 100,000 캐나다 달러국제적십자·적신월운동에 제공했다. 이후, 200,000 캐나다 달러를 구호 물품에 사용하는 데 제공, 에일린 캐롤 국제개발부장관은 2000만 캐나다 달러 상당인 21톤의 이불을 제공할 것을 밝표했다. 구호물품은 캐나다 공군을 통해 전달되었다. 10월 26일에는 5700만 달러를 추가로 지원했다.

쿠바피델 카스트로 대통령은 200명의 의사를 지원할 것을 발표했다. 또한, 234.5 톤의 의약 관련 물품을 보냈다.

쿠웨이트는 4900만 달러를 긴급 구조에 5100만 달러를 재건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했다.

튀니지C-130에 14톤의 구호물품과 음식을 실어 보냈다.

튀르키예는 의료팀을 파견했고 10월 20일 1억 5000만 달러 상당의 이불과 밀가루 및 설탕을 포함한 긴급 구호품 및 원조를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핀란드 외교부에서는 100만 유로를 지원했고 20명의 의료인들도 파견했다.

프랑스는 구조팀과 구조견을 보냈고 총 1050만 유로의 원조를 제공했다.

호주브루스 빌슨 외교부 차관이 위로를 전하면서 500,000 호주 달러를 기부할 것이라 발표했다. 이후, 알렉산더 다우너 외교부 장관이 정부가 550만 호주 달러의 원조를 제공할 것을 발표했다. 10월 11일에는 지원금이 총 1000만 호주 달러로 증가되었다. 11월 9일, 로버트 힐 국방부 장관은 호주군 140명을 파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4 04:23:48에 나무위키 2005년 카슈미르 지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USGS] A B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