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0 스케일

덤프버전 :



1. 개요
2. 세부 항목에서의 20-80 스케일
2.1. 80: 시대를 대표하는 재능
2.2. 70: 아주 뛰어난 재능[1]
2.3. 60: 평균을 넘는 우수한 재능[2]
2.4. 50: 리그 평균의 재능
2.5. 40: 리그 평균 이하
2.6. 30: 선수가 가진 심각한 단점
2.7. 20: 리그 압도적 최악 수준
3. 종합적 평가에서의 20-80 스케일




1. 개요[편집]


야구 선수들을 평가하는 지표이다.

1950년대, LA 다저스의 단장인 알 캄파니스는 60-80의 평가기준을 도입하였다. 이후 정규분포를 기준으로 평균을 50, 표준편차를 10으로 잡는 T점수를 이용하여 최저점을 20, 최고점을 80으로 잡는 지표로 변화하였다.[3]

T점수에 따른 백분위는 다음과 같다.

80: 상위 0.1%
75: 상위 0.6%
70: 상위 2.2%
65: 상위 6.7%
60: 상위 15.8%
55: 상위 30.8%
50: 상위 50%
45: 하위 30.8%
40: 하위 15.8%
30: 하위 2.2%
20: 하위 0.1%

단, 스카우터나 구단측에서 모든 선수들을 전수평가해서 이선수는 상위 몇 등이다 하고 줄세울수는 없으니, "이 정도 재능이면 아마 이 정도 위치는 될것이다" 하는 식의 대략적인 평가를 내리는 것으로 봐야한다.

또한 선수의 기량은 경험이나 훈련의 축적, 기술의 습득, 사생활 문제, 부상이나 노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예상을 뛰어넘을만큼 발전하기도 하고 급속도로 퇴보하기도 하는등 시시때때로 달라지므로 당연히 평가는 고정적이지 않으며 아예 엇나가는 경우도 종종 있다.

과거에는 20-80 대신 2-8 스케일을 사용하였으며, 21세기 이후로도 그 영향이 남아 5 단위를 잘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나마 55(Above average)와 45(Below average)는 자주 사용되는 편이지만 65나 35는 별로 사용되지 않으며, 75나 25는 거의 볼 일이 없다.

2. 세부 항목에서의 20-80 스케일[편집]


베이스볼 아메리카에서는 2020년판 핸드북에 대한 설명에서 스피드, 파워, 구속 등에 대한 스케일 기준을 제시했다. #

  • 스피드: 홈-1루 도달 시간
스케일
우타자
좌타자
80
4.00
3.90
70
4.10
4.00
65
4.15
4.05
60
4.20
4.10
55
4.25
4.15
50
4.30
4.20
45
4.35
4.25
40
4.40
4.30
30
4.50
4.40
20
4.60
4.50

  • 파워: 시즌 홈런
스케일
HR
80
45+
70
35-44
65
30-34
60
25-29
55
21-24
50
18-20
45
15-17
40
10-14
30
5-9
20
0-4

  • 구속: 평균 속구 구속(mph)
스케일
구속
80
97+
70
96
65
95
60
94
55
93
50
91-92
45
90
40
88-89
30
86-87
20
85 이하

팬그래프에서 2014년 예시로 든 타율 기준 컨택 스케일은 다음과 같다. # 단, 2010년대 이후로 메이저리그의 평균 타율은 점점 떨어져 2020년대 초에는 .240에 근접하게 되었다.

  • 컨택: 시즌 타율
스케일
타율
80
.320
75
.310
70
.300
65
.290
60
.280
55
.270
50
.260
45
.250
40
.240
35
.230
30
.220

2.1. 80: 시대를 대표하는 재능[편집]


베이스볼 아메리카에 의하면 MLB 전체에서 오직 한 선수에게만 특정 툴에 80을 주는 스카우터들도 있다. BA는 애런 저지의 파워, 바이런 벅스턴의 스피드, 아롤디스 채프먼의 패스트볼을 예시로 들었다.


2.2. 70: 아주 뛰어난 재능[7][편집]


BA는 코리 시거의 어깨, 패트릭 코빈의 슬라이더, 프란시스코 린도어의 수비를 예시로 들었다.

  • 클레이튼 커쇼의 커브[8]
  • 오타니 쇼헤이[9], 카일 슈와버[10], 맥스 먼시의 파워
  • 애런 저지, 조이 갈로, 토미 에드먼, 김하성의 수비
  • 아담 웨인라이트의 스태미나
  • 켄리 잰슨임마누엘 클라세의 커터
  • 류현진의 서클 체인지업
  • 토미 에드먼, 배지환의 주력
  • 알레한드로 커크의 선구안
  • 후안 소토, 프레디 프리먼, DJ 르메이휴, 스즈키 이치로, 스티븐 콴, 요시다 마사타카, 저스틴 터너의 컨택
  • 맷 올슨, 호세 바티스타의 어퍼스윙 스킬
  • 맥스 슈어저의 내구성과 스태미나
  • 폴 골드슈미트의 주루센스
  •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의 송구와 주력
  • 다르빗슈 유의 컨트롤

2.3. 60: 평균을 넘는 우수한 재능[11][편집]



2.4. 50: 리그 평균의 재능[편집]


  • 강정호의 주력
  • 최지만, 빅터 마르티네즈, 작 피더슨[15]의 수비
  • 아드리안 곤잘레스, 작 피더슨, 윌슨 콘트레라스,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의 선구안
  • 크리스 테일러, 브랜든 드루리의 파워
  • 호세 바티스타, 맷 올슨, 앤서니 리조의 컨택
  • 류현진의 포심 패스트볼[16]
  • 케빈 키어마이어의 주루센스

2.5. 40: 리그 평균 이하[편집]


  • 잰더 보가츠[17], 맥스 먼시, 롭 레프스나이더의 수비
  • 작 피더슨, 브라이언 도져, 카일 슈와버의 컨택
  • 토미 에드먼, 김하성[18], 콜튼 웡, 배지환의 파워
  • 놀란 아레나도의 주력
  • J.T. 리얼무토의 선구안
  • 오타니 쇼헤이의 주루센스
  • 지안카를로 스탠튼, 애런 저지의 내구성

2.6. 30: 선수가 가진 심각한 단점[편집]



2.7. 20: 리그 압도적 최악 수준[편집]


대칭적인 위치에 있는 80이 리그 전체에 한두 명 있을 정도인 만큼, 원칙적으로 20 또한 그 정도로 아웃라이어에 해당해야 한다.

3. 종합적 평가에서의 20-80 스케일[편집]


75-80 : 프랜차이즈 스타, 1선발 투수.[23]
65-70 : 항구적인 올스타, 2선발 투수.
60 : 때때로 선정되는 올스타, 2~3선발 투수, 최고의 마무리 투수
55 : 상위권 팀의 주전 선수, 3~4선발 투수, 우수한 마무리 투수.
50 : 평균적인 주전 선수, 4선발, 최상급 셋업맨.
45 : 약팀의 레귤러, 강팀의 백업, 5선발, 플래툰
40 : aaaa리거, 스윙맨, 좌타자 스페셜리스트.
30-35: 마이너 전용.
30 미만: 유망주도 아님.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01:23:37에 나무위키 20-80 스케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주로 플러스-플러스 등급이라고 불린다.[2] 주로 플러스 등급이라고 불린다.[3] 최저점이 0이 아니고 20인 이유는 평균이 50, 표준편차가 10이므로 T점수 20은 표준편차의 3배만큼 이동한 값인데 이는 백분위로 따져보면 하위 0.13%에 불과하다. 따라서 0~20 사이를 구분하는것은 0%~0.13%를 굳이 나누는 것이므로 무의미하다고 판단하고 실질적인 최저값인 20을 최저점으로 잡은것이다. 80~100 구간도 마찬가지.[4] 사실상 80이 최대치라서 80으로 분류되는거지 실질적으로는 파워 80을 찍는 선수들중에서도 최고로 꼽히는 규격외의 파워라고 평가받고있다.[5] 트라웃은 2020년대에 들어서는 주력이 2010년대보다 줄어들었다.[6] 드래프트 당시에는 70이였다.[7] 주로 플러스-플러스 등급이라고 불린다.[8] 드래프트 당시엔 60을 받았었으나 마이너를 거치는 동안 완성도가 높아지며 데뷔할 즈음엔 70이 됐다.[9] MLB진출전 스카우팅 리포트에서의 평가이며 메이저리그에 오고나서 강도높은 웨이트 트레이닝과 벌크업을 거친 이후에는 사실상 80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현재 메이저리그 전체에서도 순수한 힘으로 오타니를 능가할 선수는 스탠튼말고는 없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10] 컵스 시절. 현재는 홈런왕까지 차지했으니 80이다.[11] 주로 플러스 등급이라고 불린다.[12] 다저스 시절까지. 이후로는 더 발전해서 70이다.[13] 체인지업도 데뷔 때는 60 스케일을 받았으나 70으로 올랐다.[14] 구속으로만 보면 단연 80점 만점이나 구속에 비해 무브먼트가 지나치게 밋밋하고 회전수도 낮아 좋은 평을 받진 못한다.[15] 다저스 시절에는 외야수로는 평균 이상의 수비력이였으나 1루수로는 최악의 수비력을 보였다.[16] 구속이나 구위 자체는 메이저에서 뒤에서 세는 수준이지만 컨트롤과 완급조절로 인하여 구종가치가 아주 나쁘지는 않다.[17] 다만 2022시즌엔 골드글러브 파이널리스트에 들 정도로 수비가 개선되어 앞으로 꾸준히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면 평가가 반전될 가능성이 있다[18] 메이저리그 데뷔 당시 기준, KBO기준으로는 당연히 매 시즌 20홈런을 기대할 수 있는, 20-80 스케일 기준으로는 60 이상의 훌륭한 파워를 보유했다. 그리고 빅리그에서도 2-3년차를 지나며 급격하게 발전을 이루는 중이다.[19] 2021년부터[20] 1992년까지[21] 푸홀스와 몰리나는 선수 생활 말년 한정, 던은 선수 생활 후반기 해당[22] 2020년부터. 사실 2010년대에도 내구성이 좋지는 않았긴 했지만 2020년 이후에는 아예 안 보인다.[23] 여기서의 1선발은 각 팀에 한명씩, 리그 전체에 30명 있는 투수로서의 의미가 아니라 리그를 대표하는 에이스에 가깝다. 사이영 상 투표에서 상위권에 들고 포스트시즌 진출 팀의 1선발을 너끈히 소화하는 수준.